KR102288634B1 - 공기 청정기용 드론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34B1
KR102288634B1 KR1020200013383A KR20200013383A KR102288634B1 KR 102288634 B1 KR102288634 B1 KR 102288634B1 KR 1020200013383 A KR1020200013383 A KR 1020200013383A KR 20200013383 A KR20200013383 A KR 20200013383A KR 102288634 B1 KR102288634 B1 KR 10228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one
propellers
air purifi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신동우
황상준
이재현
이현빈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 청정기의 공기 흡입부로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미세먼지,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고, 공기 청정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기 배출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미세먼지와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비행 중에 실내외의 넓은 공간에서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용 드론{DRONE FOR AIR PURIFIER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실내외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대기오염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빠른 시간에 제거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상부에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프로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상부의 주변 공기를 공기 청정기에 유입시켜서 공기를 정화하고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 발전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해 심각한 대기 오염 특히, 미세먼지, 황사 등의 대기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과 미세먼지는 사람들의 건강에 커다란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많은 국가에서는 대기 오염을 국가적 재난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기술을 개발 및 활용하여 대기 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는 개별적으로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고 있지만, 실외에서는 미세먼지 및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 외출 자제 및 마스크 착용 등과 같은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고 있다. 현재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 배출 제한, 도로 물청소 등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발 스모그, 황사 등의 국외 영향과 국내 오염원으로 인한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 및 노출에 따른 건강 영향과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정화 기술이 사회적 요구와 함께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쾌적한 실내 공기질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실내외의 공기질 관리가 필요하다. 공기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생활 공간 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학교, 병원 등의 실내 공간에서의 주로 활용되고, 공항, 버스 대합실, 지하철 역사 등 외부 공간과 차단되거나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확보해야 되는 다양한 공간에 적용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실내, 실외의 오염된 공기를 자연 대류 또는 송풍기를 이용해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 등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로, 설치 장소에 고정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공기 청정기는 예를 들어, 오염 물질 제거 방식에 따라 기계식과 전기식 및 복합식으로 분류된다. 기계식은 집진 필터를 이용하여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식과, 물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습식으로 구분되며, 전기식은 고전압으로 공기를 이온화하는 원리로서, 집진관의 유무에 따라 전기 집진식과 음이온식으로 분류된다. 또 복합식은 기계식과 전기식의 기능이 복합되어 적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 청정기는 아파트 주거 공간, 사무실, 공항, 버스 대합실 등 대기 오염이 심한 경우, 넓은 공간의 미세먼지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경제적인 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관리 방법도 쉽지 않아 여전히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0211호(공고일 2018년 12월 17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0441호(공개일 2019년 03월 04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810호(공개일 2017년 11월 30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6988호(공개일 2017년 07월 05일)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행 중에 실내외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론 기체와 공기 청정 기술을 융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실내외 공간에서 비행 중에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을 회전시켜서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서 하부로 흡입 유동이 발생하게 하여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공기 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몸체부; 상기 드론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부의 공기를 하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회전되어 상기 드론을 비행시키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프로펠러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드론의 비행 중에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청정기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 시, 간섭이 없도록 상부면이 상기 프로펠러들의 하부면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공기 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회전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의 오염된 공기가 빠른 시간에 흡입되어 효과적으로 미세먼지와 대기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비행 중에 실내외의 넓은 공간에서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에 대응하여 공기 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공항, 버스 대합실, 사무실 등 실내외 공간에서 비행 중에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보급이 가능하므로,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사회적인 기여에도 기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드론 기체와 공기 청정 기능을 융합한 기술로, 4 차 산업 혁명 시대의 드론 활용 분야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저소음, 고효율 프로펠러 기술을 보급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은 미세먼지가 국민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는 요즘에 다양한 장소에서의 대기 환경을 개선시키는 요구 사항을 충족시킴으로써, 제품화하여 공기 청정기 시장에 진출 가능하고, 시장 규모 증가와 함께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으로도 진출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 및 배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용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 및 배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용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실내 또는 실외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공기 청정기(130)를 설치하고, 공기 청정기(130)가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몸체부(110)의 하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실내외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 물질, 유해 가스, 냄새, 연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기 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들의 회전에 의해 상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하부로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즉, 프로펠러(120)의 회전력으로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켜서 상부에서 하부로 강력한 흡입 유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상부에 공기 청정기(130)의 공기 흡입부(132)를 배치하고, 하부에 공기 청정기(130)의 공기 배출부(138)를 배치하여, 프로펠러(120)들이 회전되면, 상부의 오염된 공기나 미세먼지가 빠른 시간에 흡입되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물론 공기 청정기(130)는 공기 흡입부(132)와 공기 배출부(138)를 반대 방향으로 흡입 유동하도록 구성하고, 프로펠러(120)들의 회전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몸체부(110)와,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와, 공기 청정기(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구동부(106)와, 통신부(104) 및 제어부(102)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몸체를 구성하고,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들이 회전 가능하게 균등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즉, 몸체부(110)는 프로펠러(120)의 수량에 대응하여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프로펠러 지지대(112)를 구비한다. 프로펠러 지지대(112)들은 몸체부(1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프로펠러 지지대(112)에는 프로펠러(1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프로펠러(120)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이 구비된다.
몸체부(110)는 상부 중앙에 공기 청정기(130)가 설치되고, 내부 또는 하부에 제어부(102)와 배터리(140)가 설치된다. 몸체부(110)는 하부에 복수 개의 받침대(114)를 구비한다. 받침대(114)는 복수 개가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또는 자동 접이식 다리(retractor) 등으로 구비된다. 받침대(114)가 자동 접이식 다리인 경우,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이 비행되면 자동으로 접철된다. 이러한 받침대(114)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이 하강 시, 하강 장소에 안착되어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지지한다.
프로펠러(120)는 몸체부(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배터리(14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부의 공기를 하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회전되어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이동시킨다. 즉, 프로펠러(120)는 복수 개 예를 들어, 3 개 내지 8 개가 구비되고, 몸체부(110)의 프로펠러 지지대(112)에 회전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프로펠러(120)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조종 장치(미도시됨)의 조작에 의해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비행하도록 회전하거나, 제어부(1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자율 비행하도록 회전한다. 이러한 프로펠러(120)는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저소음의 프로펠러로 구비된다.
공기 청정기(130)는 프로펠러(120)들의 회전에 간섭을 받지 않게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다. 공기 청정기(130)는 프로펠러(120)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몸체부(110)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몸체부(110)의 하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공기 청정기(130)는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프로펠러(120)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132)가 프로펠러(12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몸체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138)가 배치된다. 공기 청정기(13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흡입된 공기를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이동 중에 정화시켜서 배출한다. 또 공기 흡입부(132)는 프로펠러(120)들의 회전 시, 간섭이 없도록 공기 청정기(130)의 상부가 프로펠러(120)들의 하부면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130)는 몸체부(110)에 설치 시, 공기의 흡입 유동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120)들과의 높이와 단면의 폭 등을 조정하여 장착된다. 또 공기 청정기(130)는 프로펠러(120)와의 간섭이 없는 위치에 장착되고, 프로펠러(120)의 크기와 공기의 흡입 유동량을 고려하여 성능과 용량 등이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1)과, 공기 흡입부(132)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134)와, 적어도 하나의 팬(136) 및 공기 배출부(138)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예컨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 흡입부(132), 필터(134), 팬(136) 및 공기 배출부(138)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하우징(131)은 상부면이 프로펠러(120)들의 회전 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프로펠러(120)의 하부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공기 흡입부(132)는 하우징(13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공기 흡입부(132)는 프로펠러(120)들의 회전에 의해 상부의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 필터(134)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유해 가스, 오염 물질, 냄새, 연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필터(134)는 예를 들어, 중력, 관성력, 충돌, 확신, 전기력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필터링하는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필터(134)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우징(131)의 내부에 필터(134)들이 상호 적층된다. 팬(136)은 예컨대, 모터가 구비된 형태 즉, 팬 모터(fan motor)로,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회전된다. 팬(136)은 필터(134)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기 배출부(138)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138)는 하우징(13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공기 배출부(138)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대체로 공기 흡입부(132)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공기 배출부(138)는 팬(136)의 회전력에 의해 몸체부(110)의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배터리(140)는 예컨대, 재충전 가능한 2 차 전지로 구비되어 몸체부(110)의 내부 또는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배터리(140)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40)는 제어부(102), 통신부(104), 구동부(106) 및 공기 청정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40)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6)로 전원을 공급한다.
통신부(104)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비행을 원격 조종하는 원격 조종 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고,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원격 조종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구동부(106)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모터로 구비되고, 프로펠러 지지대(112)들 각각에 설치된다. 구동부(106)는 배터리(14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프로펠러(120)들 각각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몸체부(110)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02)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02)는 통신부(104)와 구동부(106)를 제어하여 원격 조종 장치(미도시됨)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서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원격 조종에 따라 비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부(102)는 내부에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을 자율 주행하도록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이를 통해 해당 장소의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자율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용 드론(100)은 사람들이 많은 공간 예를 들어, 사무실, 공항, 버스 대합실 등의 실내 공간이나, 아파트, 공원 등의 실외 공간에서 비행 중에 복수 개의 프로펠러(120)들이 회전시켜서 공기 청정기(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흡입 유동이 발생하게 하여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하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드론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공기 청정기용 드론
110 : 몸체부
112 : 프로펠러 지지대
114 : 받침대
120 : 프로펠러
130 : 공기 청정기
131 : 하우징
132 : 공기 흡입부
134 : 필터
136 : 팬
138 : 공기 배출부
140 : 배터리

Claims (3)

  1. 공기 청정기용 드론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드론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공기를 하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회전되어 상기 드론을 비행시키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프로펠러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을 원격 조종하는 원격 조종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원격 조종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통신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드론의 비행 중에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청정기;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론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조종 장치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 시, 간섭이 없도록 상부면이 상기 프로펠러들의 하부면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들 사이의 상부의 공기가 하부로 흐르도록 흡입 유동을 형성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상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공기 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하부로 배출하는 상기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회전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용 드론.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3383A 2020-02-04 2020-02-04 공기 청정기용 드론 KR10228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83A KR102288634B1 (ko) 2020-02-04 2020-02-04 공기 청정기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83A KR102288634B1 (ko) 2020-02-04 2020-02-04 공기 청정기용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634B1 true KR102288634B1 (ko) 2021-08-11

Family

ID=7731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83A KR102288634B1 (ko) 2020-02-04 2020-02-04 공기 청정기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88A (ko) 2015-12-26 2017-07-05 자이로캠주식회사 비행 및 호버링하는 드론 기반의 공기청정기 및 선풍기
KR20170131810A (ko) 2016-05-22 2017-11-30 정용훈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검침에 따른 맞춤형 공기 청정 방법
KR20180131396A (ko) * 2018-05-14 2018-12-10 김정숙 실내 안내용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0211B1 (ko) 2018-06-20 2018-12-17 이길순 드론형 소형 공기청정기
KR20190020441A (ko) 2017-08-21 2019-03-04 울산과학기술원 공기청정용 드론
KR20190114317A (ko) * 2018-03-29 2019-10-10 권혁준 공중부양체를 이용한 대기정화장치 및 대기정화처리 방법
KR20200013531A (ko) * 2018-07-30 2020-02-07 이해곤 드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88A (ko) 2015-12-26 2017-07-05 자이로캠주식회사 비행 및 호버링하는 드론 기반의 공기청정기 및 선풍기
KR20170131810A (ko) 2016-05-22 2017-11-30 정용훈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검침에 따른 맞춤형 공기 청정 방법
KR20190020441A (ko) 2017-08-21 2019-03-04 울산과학기술원 공기청정용 드론
KR20190114317A (ko) * 2018-03-29 2019-10-10 권혁준 공중부양체를 이용한 대기정화장치 및 대기정화처리 방법
KR20180131396A (ko) * 2018-05-14 2018-12-10 김정숙 실내 안내용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0211B1 (ko) 2018-06-20 2018-12-17 이길순 드론형 소형 공기청정기
KR20200013531A (ko) * 2018-07-30 2020-02-07 이해곤 드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130B2 (ja) 空気濾過および空気浄化装置
CN206310698U (zh) 抽屉式新风空气净化系统
CN102225214B (zh) 室内吸顶式空气净化器
KR20170076988A (ko) 비행 및 호버링하는 드론 기반의 공기청정기 및 선풍기
CN102818322A (zh) 加湿空气净化器
US20070180996A1 (en) Tower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CN103822312A (zh) 一种通风净化装置
CN106642387A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288634B1 (ko) 공기 청정기용 드론
CN213020188U (zh) 一种室内空气净化器
CN105318449A (zh) 一种可智能移动空气净化器
WO2018148940A1 (zh) 静电除尘装置和空气处理设备
CN203893326U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5890058A (zh) 空气净化装置
CN106907786A (zh) 全方位空气净化器
CN202069902U (zh) 室内吸顶式空气净化器
CN203771574U (zh) 一种通风净化装置
CN202073804U (zh) 可净化空气的电风扇
KR102210161B1 (ko)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CN203954890U (zh) 能清洗式的微米陶瓷空气清净器
WO2012162876A1 (zh) 迷宫式集尘箱
KR20120007604A (ko) 흡음관이 내장된 직접 급기 방식의 벽걸이형 복합 기능 환기 장치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CN107435960B (zh) 厨房空气净化系统
CN212870131U (zh) 一种具有空气净化智能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