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288B1 -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288B1
KR102288288B1 KR1020170112410A KR20170112410A KR102288288B1 KR 102288288 B1 KR102288288 B1 KR 102288288B1 KR 1020170112410 A KR1020170112410 A KR 1020170112410A KR 20170112410 A KR20170112410 A KR 20170112410A KR 102288288 B1 KR102288288 B1 KR 10228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h fraction
polycarbonate
organic phase
batch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7365A (en
Inventor
김유나
이동권
김광현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8002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40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4/406Purifying;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2011/002Counter-current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수성상, 예컨대 염성분 및 촉매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고, 제1 추출 처리에서 발생된 폐수인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을 제2 추출 처리 시의 수용액 공급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과 동시에 폐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for effectively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mpris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The polycarbonat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can efficiently separate and remove an aqueous phase, such as a salt component and a catalyst component, from a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nd a second extraction of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which is wastewater generated in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By reusing it as an aqueous solution source duri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for effectively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mpris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폴리카보네이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하나로서 플라스틱 산업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투명성,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투명시트, 자동차 범퍼 및 광디스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Polycarbonate is a material widely used in the plastics industry as one of the engineering plastics. Because of its excellent transparency, impac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it is being appli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transparent sheets, automobile bumpers, and optical discs.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통상적으로 2가 히드록시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방법 또는 2가 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교환법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Such polycarbonate is generally prepared through a method of reacting a divalent hydroxy compound with phosgene or an exchange method of reacting a divalent hydroxy compound with a diester carbonate.

상기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생성물 내에는 목적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외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유기용매인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촉매성분 및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성분 등의 불순물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순물들이 남아있게 되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충격강도 등의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생성물에서 상기의 불순물을 제거해주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duct prepared by the above two methods, catalyst components such as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triethylamine, which are organic solvents commonly used for preparing polycarbonates other than the desired polycarbonate, and sodium chloride and sodium carbonate Impurities such as salt components are present. If these impurities remain, it may adversely affec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of polycarbonate.

만약, 촉매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0.5 ppm)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열화를 유발하거나, 분리하여 중합에 재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비말동반되어 제조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평균분자량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염성분이 잔류하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탈색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catalyst component is not completely removed (≥0.5 ppm), it causes deterioration of the polycarbonate, or the polymerizatio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produced by being entrained in an organic solvent that is separated and reused for polymerization does not grow properly can cause In addition, when the salt component remains, a problem of aggravating the discoloration of the polycarbonate may occur.

따라서, 촉매성분, 염성분 등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제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urification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impurities such as catalyst components and salt components.

KRUS 2012-00520082012-0052008 AA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for effectively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includ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im to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정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탈수처리하고 수용액으로 제1 추출 처리하여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산성용액으로 제2 추출하여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이 추출 제거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용액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에 강산을 첨가하여 제조된 혼합물인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rification method for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mpris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where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s dehydrated and separating a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and a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by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with an aqueous solution (step 1); and a second extraction of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with an acidic solution to prepare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from which the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is extracted and removed (step 2), wherein the acidic solution contains the first aqueous phase It provides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which is a mixture prepared by adding a strong acid to the rich fraction.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제1 추출컬럼과 제2 추출컬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처리부;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강산을 공급하는 산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의 제1 추출컬럼과 제2 추출컬럼은 제1 추출컬럼 탑정에서 제2 추출컬럼 탑저로 연결되는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과 제1 추출컬럼 탑저에서 제2 추출컬럼 탑정으로 연결되는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산공급부는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으로 강산을 이송시키는 산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정제하기 위한 정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mprising a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and sequentially arranged in a first extraction column and a second extraction column; a recover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configured to recover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an ac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supplying a strong acid, wherein the first extraction column and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of the processing unit ar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from the top of the first extraction column. The line and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connect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xtraction column to the top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the acid supply unit comprising an acid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strong acid to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ation flow line It provides a purification system for purifying polycarbonate that is.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수성상, 예컨대 염성분 및 촉매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고, 제1 추출 처리에서 발생된 폐수인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을 제2 추출 처리 시의 수용액 공급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과 동시에 폐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separate and remove an aqueous phase, such as a salt component and a catalyst component,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and remove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which is a wastewater generated in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2 By reusing as an aqueous solution source during extraction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라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정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라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정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schematically shows a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발명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as the bes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분리정제하여 고순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carbonate purification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and purify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ntain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to obtain a polycarbonate of high purit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모든 공정반응으로부터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반응은 유기용매 및 촉매성분 존재 하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 반응 생성물을 얻고 있으며, 이에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에는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비롯하여 촉매성분 및 부가적으로 생성된 염성분 등이 존재한다. 즉,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주체로 포함하는 유기상과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주체로 포함하는 수성상이 섞여 있는 혼합물일 수 있다. The term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nd may include reaction products obtained from all process reaction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process reaction for producing polycarbonate, a polycarbonate reaction product is obtained by reacting a carbonate precursor with a dihydroxy compound in the presence of an organic solvent and a catalyst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organic solvent, there are catalyst components and additionally produced salt components. That i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may be a mixture in which an organic phase mainly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nd an aqueous phase mainly containing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re mix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기상(organic phase)"은 수지상 또는 폴리머상으로도 지칭되며, 유기용매와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체로 포함하고 유기용매에 비말동반(entrainment)된 촉매성분 및 염성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term "organic phas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referred to as a dendritic phase or a polymer phase, and includes an organic solvent and polycarbonate as a main component, and a catalyst component entrained in the organic solvent and a part of the salt component may be doin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성상(aqueous phase)"은 염수상(brine phase)으로도 지칭되며, 염성분 및 촉매성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aqueous phase" is also referred to as a brine phase, and may include a salt component and a catalyst componen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및 "제3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정제 정도에 따라 분획 내 유기상의 상태를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대비 유기상의 비율이 증가한 상태, 즉 수성상인 촉매성분과 염성분의 비율이 감소되고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율이 증가한 상태일 수 있다. The terms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and "thir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organic phase in the fr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rification, and the second organic phase The rich fraction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atio of the organic phase to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s increased, that is, the ratio of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that is the aqueous phase is decreased and the ratio of the polycarbonate is increas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및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정제 정도에 따라 분획내 수성상의 상태를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대비 수성상 내 염성분 및 촉매성분의 비율이 증가한 상태일 수 있다.The terms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aqueous phase in the fr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rification, and the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is the first The ratio of the salt component and the catalyst component in the aqueous phase to the aqueous phase-rich fraction may be increas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추출 처리"및 "제2 추출 처리"는 유기상과 수성상이 섞여 있는 혼합물에서 유기상과 수성상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액-액 추출컬럼을 사용하여 대향류 추출(counter current extraction)을 통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액-액 추출컬럼은 대향류 추출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 디스크 컬럼(rotating disc column, RDC), SCHEIBEL column, Karr column 등일 수 있다.The terms "first extraction treatment" and "second extraction trea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a means for separating an organic phase and an aqueous phase from a mixture in which an organic phase and an aqueous phase are mixed, us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to It may be performed through counter current extraction. Here, the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countercurrent extraction is possible, for example, a rotating disc column (RDC), SCHEIBEL column, Karr column,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정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탈수처리하고 수용액으로 제1 추출 처리하여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산성용액으로 제2 추출하여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이 추출 제거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용액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에 강산을 첨가하여 제조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urification method for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compris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s separating a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and a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by dehydration and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with an aqueous solution (step 1); and a second extraction of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with an acidic solution to prepare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from which the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is extracted and removed (step 2), wherein the acidic solution contains the first aqueous ph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ixture prepared by adding a strong acid to the rich fraction.

즉, 본 발명의 상기 정제방법은 제1 추출 처리 후 발생된 폐수인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을 제2 추출 처리 시에 재사용하며, 이에 폐수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수용액 사용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uses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which is wastewater generated after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during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and reducing the use of aqueous solution.

상기 단계 1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분리하기 위한 제1 추출 처리 단계로,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수용액으로 제1 추출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Step 1 is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step for separating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from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nd may be performed by first extracting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ith an aqueous so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즉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주체로 포함하고 촉매성분 및 염성분이 일부 비말동반되어 있는 유기상과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주체로 포함하는 수성상이 섞여 있는 혼합물일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1은 상기 유기상과 수성상이 섞여 있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에서 수성상과 유기상을 분리하면서 유기상에 포함되어 있는 촉매성분과 염성분을 유기상으로부터 추출분리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may include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that is, a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s a main component, and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are partially entrained. It may be a mixture in which the organic phase and the aqueous phase mainly containing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are mixed. That is, step 1 may be a step for extracting and separating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included in the organic phase from the organic phase while separating the aqueous phase and the organic phase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n which the organic phase and the aqueous phase are mixed.

따라서,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은 폴리카보네이트와 유기용매를 주체로 하고 촉매성분과 염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되, 본래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 유기상 대비 촉매성분과 염성분의 비율이 감소되고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율이 증가된 상태인 것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mainly composed of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nd includes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nd the ratio of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to the organic phase in the original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is reduced and the polycarbonate The ratio may be in an increased sta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보네이트 반복 단위를 갖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carbonate may be a homopolymer or copolymer having a carbonat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1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스페놀과 같은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다. In Formula 1, R 1 may be derived from an aromatic dihydroxy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a dihydroxy compound such as bisphenol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2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h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10의 알킬 및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10의 아릴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In Formula 2, R h is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atom, a halogen atom-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10 alkyl, and a halogen atom-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10 aryl, n is 0 to 4 is an integer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3
Figure 112017085448416-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C1-12의 알콕시 및 C1-12의 알킬이고, p 및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며, p 또는 q가 4 미만인 경우에는 고리의 각각의 탄소의 원자가는 수소로 채워진다. In Formula 3, R a and R b are each independently halogen, C 1-12 alkoxy and C 1-12 alkyl, p and q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to 4, and p or q is 4 If less than, the valence of each carbon of the ring is filled with hydrogen.

또한, Xa는 2개의 히드록시 치환된 방향족기를 연결하는 연결기로 -O-, -S-, -S(O)-, S(O)2-, -C(O)- 또는 C1-18의 유기기이고, 상기 C1-18의 유기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18의 사이클로알킬리덴,-C(Rc)(Rd)-의 C1-25의 알킬리덴(여기서, Rc 및 Rd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12의 알킬, C1-12의 사이클로알킬, C7-12의 아릴알킬, C1-12의 헤테로알킬 또는 C7-12의 헤테로아릴알킬이다) 또는 -C(=Re)(여기서, Re는 C1-12의 2가 탄화수소이다)일 수 있다. In addition, X a is a linking group connecting two hydroxy-substituted aromatic groups -O-, -S-, -S(O)-, S(O) 2 -, -C(O)-, or C 1-18 is an organic group, and the C 1-18 organic group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2-18 cycloalkylidene, -C(R c )(R d )- C 1-25 alkylidene (where R c and R 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12 alkyl, C 1-12 cycloalkyl, C 7-12 arylalkyl, C 1-12 heteroalkyl or C 7-12 heteroarylalkyl ) or -C(=R e ) (where R e is a divalent hydrocarbon of C 1-12 ).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4,4'-디히드록시바이페닐, 1,6-디히드록시나프탈렌,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1-나프틸메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2-(4-히드록시페닐)-2-(3-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1,1-비스(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트랜스-2,3-비스(4-히드록시페닐)-2-부텐, 2,2-비스(4-히드록시페닐)아다만탄,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톨루엔,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토니트릴,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에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n-프로필-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이소프로필-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sec-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사이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알릴-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1,1-디클로로-2,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 1,1-디브로모-2,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 1,1-디클로로-2,2-비스(5-페녹시-4-히드록시페닐)에틸렌,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비스(4-히드록시페닐)-2-부타논, 1,6-비스(4-히드록시페닐)-1,6-헥사디온, 에틸렌 글리콜 비스(4-히드로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린, 2,7-디히드록시피렌, 6,6'-디히드록시-3,3,3',3'-테트라메틸스피로(비스)인단(스피로바이인단 비스페놀), 3,3-비스(4-히드록시페닐)프탈이미드, 2,6-디하디록시디벤조-p-디옥신, 2,6-디히드록시티안트렌, 2,7-디히드록시페녹사틴, 2,7-디히드록시-9,10-디메틸페나진, 3,6-디히드록시디벤조푸란, 3,6-디히드록시디벤조티오펜 및 2,7-디히드록시카바졸 등의 비스페놀 화합물; 5-메틸 레조르시놀, 5-에틸 레조르시놀, 5-프로필 레조르시놀, 5-부틸 레조르시놀, 5-t-부틸레조르시놀, 5-페닐 레조르시놀, 5-쿠밀 레조르시놀, 2,4,5,6-테트라플루오로 레조르시놀, 2,4,5,6-테트라브로모 레조르시놀 등의 치환된 레조르시놀 화합물;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및 2-메틸 하이드로퀴논, 2-에틸 하이드로퀴논, 2-프로필 하이드로퀴논, 2-부틸 하이드로퀴논, 2-t-부틸 하이드로퀴논, 2-페닐 하이드로퀴논, 2-쿠밀 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메틸 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t-부틸 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플루오로 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브로모 하이드로퀴논 등의 치환된 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dihydroxy compound include 4,4'-dihydroxybiphenyl, 1,6-dihydroxynaphthalene, 2,6-dihydroxynaphthalene, bis(4-hydroxyphenyl)methane, bis (4-hydroxyphenyl)diphenylmethane, bis(4-hydroxyphenyl)-1-naphthylmethane, 1,2-bis(4-hydroxyphenyl)ethane, 1,1-bis(4-hydroxyl Phenyl)-1-phenylethane, 2-(4-hydroxyphenyl)-2-(3-hydroxyphenyl)propane, bis(4-hydroxyphenyl)phenylmethane, 2,2-bis(4-hydroxyl -3-Bromophenyl)propane, 1,1-bis(hydroxyphenyl)cyclopentane, 1,1-bis(4-hydroxyphenyl)cyclohexane, 1,1-bis(4-hydroxyphenyl)isobu Ten, 1,1-bis(4-hydroxyphenyl)cyclododecane, trans-2,3-bis(4-hydroxyphenyl)-2-butene, 2,2-bis(4-hydroxyphenyl)a Danantane, α,α'-bis(4-hydroxyphenyl)toluene, bis(4-hydroxyphenyl)acetonitrile, 2,2-bis(3-methyl-4-hydroxyphenyl)propane, 2,2 -bis(3-eth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n-prop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isopropyl-4-hydroxy Phenyl)propane, 2,2-bis(3-sec-but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t-butyl-4-hydroxyphenyl)propane, 2,2-bis( 3-cyclohex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all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methoxy-4-hydroxyphenyl)propane, 2,2-bis(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1,1-dichloro-2,2-bis(4-hydroxyphenyl)ethylene, 1,1-dibromo-2,2-bis (4-hydroxyphenyl)ethylene, 1,1-dichloro-2,2-bis(5-phenoxy-4-hydroxyphenyl)ethylene, 4,4'-dihydroxybenzophenone, 3,3-bis (4-hydroxyphenyl)-2-butanone, 1,6-bis(4-hydroxyphenyl)-1,6-hexadione, ethylene glycol bis(4-hydroxyphenyl)ether, bis(4-hydroxyl) Roxyphenyl)ether, bis(4-hydroxyphenyl)sulfide, bis(4-hydroxyphenyl)sulfoxide, bis(4-hydroxyphenyl)sulfone, 9,9-bis(4-hydroxyphenyl)fluoro Lin, 2,7-dihydroxypyrene, 6,6'-dihydroxy-3,3,3',3'-tetramethylspiro(bis)indane (spirobiindane bisphenol), 3,3-bis(4-hydroxyphenyl)phthalimide, 2 ,6-dihadihydroxydibenzo-p-dioxine, 2,6-dihydroxythianthrene, 2,7-dihydroxyphenoxatin, 2,7-dihydroxy-9,10-dimethylphenazine, bisphenol compounds such as 3,6-dihydroxydibenzofuran, 3,6-dihydroxydibenzothiophene, and 2,7-dihydroxycarbazole; 5-Methyl resorcinol, 5-ethyl resorcinol, 5-propyl resorcinol, 5-butyl resorcinol, 5-t-butyl resorcinol, 5-phenyl resorcinol, 5-cumyl resorcinol , 2,4,5,6-tetrafluoro resorcinol, 2,4,5,6-tetrabromo resorcinol, etc. substituted resorcinol compounds; catechol; hydroquinone; and 2-methyl hydroquinone, 2-ethyl hydroquinone, 2-propyl hydroquinone, 2-butyl hydroquinone, 2-t-butyl hydroquinone, 2-phenyl hydroquinone, 2-cumyl hydroquinone, 2,3,5 ,6-tetramethyl hydroquinone, 2,3,5,6-tetra-t-butyl hydroquinone, 2,3,5,6-tetrafluoro hydroquinone, 2,3,5,6-tetrabromo hydro Substituted hydroquinones, such as a quinone, etc. are mentioned.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에틸렌 클로라이드(C2H4Cl2), 1,2-디클로로에탄(ClCH=CHCl), 클로로벤젠(C6H5Cl), 톨루엔(C7H8)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is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ethylene chloride (C 2 H 4 Cl 2 ), 1,2-dichloroethane (ClCH=CHCl), chlorobenzene (C 6 H 5 Cl), toluene (C 7 ) H 8 ) and the like, and specifically methylene chloride.

상기 촉매성분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N,N-디에틸-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아닐린 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틸아민일 수 있다. The catalyst component may be triethylamine, tributylamine, N,N-diethyl-cyclohexylamine, N,N-dimethylaniline, or the like, specifically triethylamine.

상기 염성분은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일 수 있다.The salt component may be sodium chloride, sodium carbonate, or the like.

상기 제1 추출 처리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00 중량% 대비 수용액을 4 중량%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여 대향류 추출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추출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류 추출이 가능한 액-액 추출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countercurrent extraction using 4 wt% to 25 wt% of an aqueous solution based on 100 wt%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In this case,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us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capable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추출 처리는 액-액 추출컬럼을 이용하여 추출컬럼의 탑정으로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탑저로 수용액을 각각 유입시켜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과 수용액을 대향류로 접촉시키면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액은 탈염수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 유기상과 수성상이 분리되면서 유기상 내 수용해성 성분, 예컨대 염성분이 수용액에 용해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에서 분리된 수성상; 및 유기상으로부터 추출분리된 염성분과 촉매성분 일부가 수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에서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으로 분리되어 제거된 염성분, 또는 염성분과 촉매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와 유기용매를 주체로 하고 촉매성분과 염성분의 비율이 본래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 유기상 대비 감소한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s performed by introduc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nto the top of the extraction column and the aqueous solution into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column us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respectively, and contacting the polymerization mixture and the aqueous solution in a countercurrent flow. In this case, the aqueous solution may be demineralized water. Through this, as the organic phase and the aqueous phase in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re separated, the water-soluble component in the organic phase, such as a salt component, is dissolved and moved in the aqueous solution, thereby being separated into a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a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That is, the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comprises an aqueous phase separated from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nd a salt component and a part of the catalyst component extracted and separated from the organic phase may be dissolved in an aqueous solution, wherein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into a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or It may contain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alt component and the catalyst component.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may be mainly composed of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ratio of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organic phase in the original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방법은 상기 단계 1의 제1 추출 처리 이전에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탈수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dehydra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before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n step 1.

여기에서, 상기 탈수처리는 원심분리는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는 30 rpm 내지 10,000 rpm의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00 rpm 내지 5,000 rpm의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는 상기의 조건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dehydr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through centrifugation, and the centrifugation may be performed under a condition of 30 rpm to 10,000 rpm, and specifically, it may be performed under a condition of 1,000 rpm to 5,000 rpm. . In addition, the centrifug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parate the solid phase and the liquid phase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may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centrifuge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제방법은 단계 1의 제1 추출 처리 이전에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탈수처리시킴으로써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에 수분과 수성상이 일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제1 추출 처리 시 수성상과 유기상의 분리가 더 용이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추출 처리 전 탈수처리시킴으로써 제1 추출 처리해야 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및 추출제거해야 하는 염성분 및 촉매 성분의 양이 감소될 수 있어 제1 추출 처리에 이용되는 수용액의 양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제2 수성상 풍부 분획, 즉 폐수의 발생량이 감소될 수 있다. In th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hydrating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prior to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n step 1, some moisture and aqueous phase may be removed from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and thus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The separation of the aqueous and organic phases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by dehydration treatment before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to be subjected to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and the salt component and catalyst component to be extracted and removed can be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s reduced. and thus the finally generated second aqueous phase rich fraction, that is,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can be reduced.

상기 단계 2는 제1 추출 처리에 의하여 분리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내 잔존하는 수성상, 예컨대 촉매성분을 분리제거하여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조하기 위한 제2 추출 처리 단계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산성용액으로 제2 추출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Step 2 is a second extraction treatment step for preparing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by separating and removing an aqueous phase, such as a catalyst component, remaining in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separated by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Fractionation can be carried out by a second extraction treatment with an acidic solu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추출 처리는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100 중량% 대비 산성용액을 0.1 중량%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여 대향류 추출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추출 처리는 제1 추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대향류 추출이 가능한 액-액 추출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추출 처리를 위한 액-액 추출컬럼은 제1 추출 처리 시 사용된 액-액 추출컬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목적하는 바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countercurrent extraction using 0.1 wt% to 25 wt% of the acidic solution relative to 100 wt% of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us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capable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similar to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In this case, the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for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may be the same as the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used in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or different on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추출 처리는 액-액 추출컬럼을 이용하여 추출컬럼의 탑정으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탑저로 산성용액을 각각 유입시키고 제1 유기상 풍부 분획과 산성용액을 대향류로 접촉시키면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성용액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에 강산을 첨가하여 제조된 혼합물로 pH 3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pH 1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산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pH 3 이하의 산용액일 수 있고, 예컨대 염산, 질산, 황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강산의 사용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산성용액이 전술한 pH 범위를 가질 수 있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introduced into the top of the extraction column and the acidic solution is introduced to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column us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and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the acidic solution are counterflowed. It may be performed while making contact. In this case, the acidic solution may be a mixture prepared by adding a strong acid to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may have a pH of 3 or less, specifically, a pH of 1 to 3. In addition, the strong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n acid solution having a pH of 3 or less,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sulfuric aci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the strong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cidic solution may be used in a ratio capable of having the aforementioned pH range.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내 촉매성분은 산성용액에 용해되어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으로 분리제거되고, 이에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으로부터 수성상, 특히 촉매성분이 제거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으로부터 분리된 촉매성분 또는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함유하는 산성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주체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대비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의 비율이 증가하고 수성상인 촉매성분 및 염성분의 비율이 감소한 것일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atalyst component in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dissolved in an acidic solution and separated and removed into a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whereby the aqueous phase, particularly the catalyst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Fractions can be prepared. That is, the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may be an acidic solution containing a catalyst component or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separated from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mainly composed of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s it contains, the ratio of polycarbonate and organic solve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the ratio of catalyst component and salt component, which is an aqueous phase, may be decreas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10 중량% 미만의 염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10 중량% 미만의 촉매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may include less than 10% by weight of the salt component, and may include less than 10% by weight of the catalyst compon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제방법은 단계 2의 제2 추출 처리 이후에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entrifuging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after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in step 2.

상기 원심분리는 1,000 rpm 내지 5,000 rpm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내 수성상 및 수분이 추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The centrifugation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0 rpm to 5,000 rpm, whereby the aqueous phase and moisture in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may be further separated and remov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urifying the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의 일례를 수행할 수 있는 정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정제방법을 구성하는 단계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schematically show a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example of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steps of configuring the purification method. can

구체적으로, 도 1은 제1 추출 처리 단계 및 제2 추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정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제1 추출 처리 단계 및 제2 추출 처리 단계를 비롯하여 후단에 원심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하는 정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Specifically, FIG. 1 schematically shows a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including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step and a second extraction treatment step, and FIG. 2 is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step and a second extraction treatment step. It schematically shows a purif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that further includes a centrifugation step at the rear end, including the treatment step.

기본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정제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제1 추출컬럼과 제2 추출컬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처리부;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고 강산을 공급하는 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Bas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purification system 100 capable of performing the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iza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reaction product mixture;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and sequentially arranged in a first extraction column and a second extraction column; a recover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configured to recover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an ac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supplying a strong acid.

상기 공급부는 처리부로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라인A(1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라인(10)은 처리부의 원심분리기(C1)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The supply unit may include a supply line A (10) for transfer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to the processing unit, and the supply lin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ifuge (C1) of the processing unit.

상기 처리부는 원심분리기(C1), 제1 추출컬럼(EC1) 및 제2 추출컬럼(EC2)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원심분리기(C1)과 제1 추출컬럼을 연결하는 공급라인 B(30)를 포함하며, 제1 추출컬럼(EC1)과 제2 추출컬럼(EC2)을 연결하는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6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은 제1 추출컬럼(EC1)의 탑정에서 제2 추출컬럼(EC2) 탑저로 연결되고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60)은 제1 추출컬럼(EC1) 탑저에서 제2 추출컬럼(EC2) 탑정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has a centrifuge (C1), a first extraction column (EC1) and a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a supply line B (30) connecting the centrifuge (C1) and the first extraction column It may include a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50 and a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60 connecting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and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 The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50 is connected from the top of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to the bottom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and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raction column ( EC1) may be connected from the bottom of the tower to the top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상기 제1 추출컬럼(EC1)은 탑저에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60)과 별도로 탈염수 공급라인(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 있고, 제2 추출컬럼(EC2)은 탑저에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과 별도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회수부로 이송시키는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90)이 구비되어 있고 탑정에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60)과 별도로 제2 수성상 풍부 분획배출라인(8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may be provided with a demineralized water supply line 40 separately from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60 at the bottom of the tower, and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is a first water at the bottom of the tower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discharge line 90 for transferring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to the recovery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50 , and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60 and separate from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60 at the top of the tower is provided. An aqueous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80 may be provided.

상기 산공급부는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으로 강산을 이송시키는 산공급라인(70)을 포함하며, 이에 상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을 통해 이송되는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2 추출컬럼(EC2)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산공급라인(70)으로부터 이송된 강산과 혼합되어 산성용액 상태로 제2 추출컬럼(EC2)에 유입될 수 있다. The acid supply unit includes an acid supply line 70 for transferring a strong acid to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50 , and thus the first water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ation flow line 50 . The phase-rich fraction may be mixed with the strong acid transferred from the acid supply line 70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and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as an acidic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제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공급라인 A(10)를 통하여 원심분리기(C1)에 이송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 수분과 수성상을 분리하여 불순물 배출 라인(20)으로 제거한 후 공급라인 B(30)를 통하여 제1 추출컬럼(EC1)의 탑정으로 유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탈염수 공급라인(40)을 통하여 탈염수를 제1 추출컬럼(EC1)의 탑저로 유입시킨 후 제1 추출컬럼(EC1) 내에서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과 탈염수를 대향류 접촉시켜 분리된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60)을 통하여 제2 추출컬럼(EC2)의 탑정으로 이송되고,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을 통하여 제2 추출컬럼(EC2)의 탑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2 추출컬럼(EC2)으로 이송되기 전에 산성용액 저장용기(AT)로부터 산공급라인(70)을 통하여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50)으로 이송된 강산과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제2 추출컬럼(EC2)에는 산성용액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각각 제2 추출컬럼(EC2)의 탑정과 탑저로 이송되어 유입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과 산성용액은 대향류 접촉하여 제2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형성하고,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은 제2 수성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80)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90)을 통하여 회수부로 이송될 수 있다.When the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urif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s transferred to the centrifuge C1 through the supply line A 10 and After centrifugation to separate the water and aqueous phases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and remove the impurities through the discharge line 20, it flows into the top of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through the supply line B 30, and at the same time the demineralized water supply line After introducing demineralized water into the bottom of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through (40),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and demineralized water are brought into countercurrent contact in the first extraction column (EC1) to separate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the second 1 organic phase rich fraction can be formed.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s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through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60 , and the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flows through the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50 .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through. At this time,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is transferred from the acid solution storage container (AT) to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flow line (50) through the acid supply line (70)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It may be mixed with the strong acid, and thu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in an acidic solution state.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the acid solution transferr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respectively, and the acid solution contact countercurrently to form a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and a second aqueous phase The rich fraction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queous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80 and the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recovery unit through the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9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을 수행할 수있는 정제 시스템(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부에 제2 추출컬럼(EC2) 이후 원심분리기(C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cation system 200 capable of performing the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entrifuge (C2) after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in the processing unit as shown in FIG. 2 . it may have bee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시스템이 도 1에서 원심분리기(C2)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경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90)에 의하여 제2 추출컬럼(EC2)과 연결되고, 이때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90)은 제2 추출컬럼(EC2)의 탑저에서 원심분리기(C2)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기(C2)는 제3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11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entrifuge (C2) in FIG. 1, a second extraction column ( EC2), and in this case, the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9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ifuge C2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extraction column EC2. In addition, the centrifuge (C2)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110).

이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정제방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90)을 통하여 원심분리기(C2)로 유입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추가의 수분 및 수성상, 예컨대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비롯한 산성용액 성분이 추가로 분리제거된 제3 유기상 풍부 분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기상 풍부 분획은 제3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110)을 통하여 회수부로 이송되고, 이외의 수분 및 수성상을 포함하는 불순물은 불순물 배출 라인(1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Through this, when performing the polycarbonate purification method,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is introduced into the centrifuge C2 through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discharge line 90 and centrifuged to additional moisture and aqueous phase, for example, A thir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rom which acidic solution components, including catalyst components and salt components, are further separated off may be formed. The third organic phase-rich frac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recovery unit through the third organic phase-rich fraction discharge line 110 , and impurities including other moisture and aqueous phas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impurity discharge line 120 .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탈수처리, 수처리 및 산처리 수행)Example (Dehydration treatment, water treatment and acid treatment performed)

Lab-scale의 혼합 침강 혼성(mixer-settler) 방식으로 대향류 추출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총 고형분: 10 wt%)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A counter-flow extrac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lab-scale mixed sedimentation hybrid (mixer-settler) method,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total solid content: 10 wt%) was prepared and us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1) 제1 추출 처리1) first extraction treatment

탈염수를 이용하여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제1 추출 처리하여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as subjected to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with demineralized water to separate a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and a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먼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50 g을 원심분리하여 층분리하고 상층부 물 75 g을 제거한 생성 혼합물 75 g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생성 혼합물 75 g이 각각 들어있는 제1 배치(batch), 제2 배치, 제3 배치, 제4 배치 및 제5 배치를 준비하였다. First, 150 g of a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as centrifuged to separate layers, and 75 g of a product mixture obtained by removing 75 g of water from the upper layer was prepared. A first batch, a second batch, a third batch, a fourth batch and a fifth batch each containing 75 g of the product mixture thus prepared were prepared.

제1 배치에 탈염수 7.5 g(생성 혼합물:탈염수=10:1 중량비)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여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제2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1 배치에도 탈염수 7.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1 배치 및 제2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제1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2 배치에, 제2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3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5 배치까지 연속적으로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1 배치에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5 배치에서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 After adding 7.5 g of demineralized water (product mixture: demineralized water = 10:1 weight ratio) to the first batch, shaking was induced to induce layer separation, and 7.5 g of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was collected,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 At the same time, 7.5 g of demineralized water was added to the first batch as well, and then the layers were induced by shaking. 7.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batch and the second batch were collecte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batch was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batch was put into the third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ontinued until the fifth batch to obtain a fraction rich in the first organic phase in the first batch and a fraction rich in the first aqueous phase in the fifth batch.

2) 제2 추출 처리2) second extraction process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산성용액으로 제2 추출 처리하였다. 이때, 상기 산성용액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7.5 g에 HCl 1 g을 첨가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was subjected to a second extraction with an acidic solution. In this case, the acidic solution was used as a mixture in which 1 g of HCl was added to 7.5 g of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and mixed.

먼저, 제1 유기상 풍부분획 75 g이 각각 들어있는 제6 배치, 제7 배치, 제8 배치, 제9 배치 및 제10 배치를 준비하였다. First, batches 6, 7, 8, 9 and 10 each containing 75 g of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were prepared.

산성용액 8.5 g을 제6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한 후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7 배치에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6 배치에도 산성용액 8.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6 배치 및 제7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6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7 배치에, 제7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8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10 배치까지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6 배치에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10 배치에서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 8.5 g of the acidic solution was put into the sixth batch, shaking to induce layer separation, and then 8.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was collected, put into the seventh batch, and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At the same time, 8.5 g of the acidic solution was also added to the sixth batch, followed by shaking to induce layer separation. 8.5 g of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from the 6th batch and the 7th batch were collected, respectively, and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from the 6th batch was put into the 7th batch, and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from the 7th batch was put into the 8th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arried out until the tenth batch to obtain a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n the sixth batch and a second aqueous phase rich fraction in the tenth batch.

구분division 중량(g)Weight (g) 중량%weight%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polycarbonate polymer 5.55.5 3.673.67 CH2Cl2 CH 2 Cl 2 5050 33.3333.33 H2OH 2 O 7575 5050 NaClNaCl 1515 1010 Na2CO3 Na 2 CO 3 3.53.5 2.332.33 TEA(trimethylamine)Trimethylamine (TEA) 1One 0.670.67 totaltotal 150150 100100

비교예 1(탈수처리 및 수처리 수행)Comparative Example 1 (Dehydration treatment and water treatment performed)

제1 추출 처리까지만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유기상과 수성상을 분리 수득하였다. An organic phase and an aqueous phase were separated and obtained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first extraction treatment was performed.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50 g을 원심분리하여 층분리하고 상층부 물 75 g을 제거한 생성 혼합물 75 g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생성 혼합물 75 g이 각각 들어있는 제1 배치(batch), 제2 배치, 제3 배치, 제4 배치 및 제5 배치를 준비하였다.150 g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as centrifuged to separate layers, and 75 g of the product mixture obtained by removing 75 g of water from the upper layer was prepared. A first batch, a second batch, a third batch, a fourth batch and a fifth batch each containing 75 g of the product mixture thus prepared were prepared.

제1 배치(batch)에 탈염수 7.5 g(생성 혼합물:탈염수=10:1 중량비)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여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생성 혼합물(S2)가 들어있는 제2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1 배치에도 탈염수 7.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1 배치 및 제2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제1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2 배치에, 제2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3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5 배치까지 연속적으로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1 배치에서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5 배치에서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After adding 7.5 g of demineralized water (product mixture: demineralized water = 10:1 weight ratio) to the first batch, shaking to induce layer separation, 7.5 g of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was collected and the product containing the product mixture (S2) It was put in 2 batches and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At the same time, 7.5 g of demineralized water was added to the first batch, and then the layers were induced by shaking. 7.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batch and the second batch were collecte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batch was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batch was put into the third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ontinued until the fifth batch to obtain an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n the first batch and an aqueous phase rich fraction in the fifth batch.

비교예 2(산처리 수행)Comparative Example 2 (acid treatment performed)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50 g이 각각 들어있는 제1 배치(batch), 제2 배치, 제3 배치, 제4 배치 및 제5 배치를 준비하였다.A first batch, a second batch, a third batch, a fourth batch and a fifth batch containing 150 g each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ere prepared.

제1 배치(batch)에 탈염수 7.5 g과 HCl 1 g을 혼합한 산성용액 8.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여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2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1 배치에도 산성용액 8.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1 배치 및 제2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1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2 배치에, 제2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3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5 배치까지 연속적으로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1 배치에서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5 배치에서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In the first batch, 8.5 g of an acidic solution of 7.5 g of demineralized water and 1 g of HCl is added, and then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Then, 8.5 g of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is collected,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shaken to separate the layers. was induced. At the same time, 8.5 g of the acidic solution was added to the first batch and then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8.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batch and the second batch were collecte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batch was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batch was put into the third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ontinued until the fifth batch to obtain an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n the first batch and an aqueous phase rich fraction in the fifth batch.

비교예 3(산처리 및 수처리 수행)Comparative Example 3 (acid treatment and water treatment performed)

1) 제1 추출 처리1) first extraction treatment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50 g이 각각 들어있는 제1 배치(batch), 제2 배치, 제3 배치, 제4 배치 및 제5 배치를 준비하였다.A first batch, a second batch, a third batch, a fourth batch and a fifth batch containing 150 g each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were prepared.

제1 배치(batch)에 탈염수 7.5 g과 HCl 1 g을 혼합한 산성용액 8.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여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2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1 배치에도 산성용액 8.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1 배치 및 제2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8.5 g을 채취하여 제1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2 배치에, 제2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3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5 배치까지 연속적으로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1 배치에서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5 배치에서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In the first batch, 8.5 g of an acidic solution of 7.5 g of demineralized water and 1 g of HCl is added, and then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Then, 8.5 g of the layer-separated upper layer solution is collected,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shaken to separate the layers. was induced. At the same time, 8.5 g of the acidic solution was added to the first batch and then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8.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batch and the second batch were collecte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batch was put into the second batch, an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batch was put into the third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ontinued until the fifth batch to obtain a fraction rich in the first organic phase in the first batch and a fraction rich in the first aqueous phase in the fifth batch.

2) 제2 추출 처리2) second extraction process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탈염수로 제2 추출 처리하였다.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was subjected to a second extraction with demineralized water.

먼저, 제1 유기상 풍부분획 75 g이 각각 들어있는 제6 배치, 제7 배치, 제8 배치, 제9 배치 및 제10 배치를 준비하였다. First, batches 6, 7, 8, 9 and 10 each containing 75 g of the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were prepared.

탈염수 7.5 g를 제6 배치에 투입하고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한 후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제7 배치에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제6 배치에도 탈염수 7.5 g을 투입한 후 흔들어 층분리를 유도하였다. 제6 배치 및 제7 배치에서 각각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 7.5 g을 채취하여 제6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7 배치에, 제7 배치에서 층분리된 상층부 용액은 제8 배치에 투입하였다. 이렇게 제10 배치까지 대향류 추출을 진행하여 제6 배치에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10 배치에서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을 수득하였다.After adding 7.5 g of demineralized water to the sixth batch and shaking to induce layer separation, 7.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was collected, put into the seventh batch, and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At the same time, 7.5 g of demineralized water was also added to the sixth batch and shaken to induce layer separation. 7.5 g of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ixth and seventh batches were collecte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ixth batch was put into the seventh batch, and the upper layer solution separated from the seventh batch was put into the eighth batch. . Countercurrent extraction was thus carried out until the tenth batch to obtain a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in the sixth batch and a second aqueous phase rich fraction in the tenth batch.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각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또는 유기상 풍부 분획 내 잔류하는 염성분과 촉매성분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정제 전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내 염성분은 12.33 중량%, 촉매성분은 0.67 중량%로 존재하였다.The content of the residual salt component and the catalyst component in each of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or the organic phase-rich fraction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Meanwhil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before purification, the salt component was present in an amount of 12.33 wt% and the catalyst component was present in an amount of 0.67 wt%.

구체적으로, 염성분은 ICP-OES(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epctrometry) 및 IC(Ion-Chromatogra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촉매성분은 GC/FID(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분석하였다. 결과값은 소수점 두번째 자리까지 표시하였으며, 일괄적으로 소수점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salt component was analyzed using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epctrometry) and IC (Ion-Chromatograpy), and the catalyst component was analyzed by GC/FID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The result value was displayed to the second decimal place, and rounded up to the third decimal place.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염성분(중량%)Salt component (wt%) 0.000.00 0.000.00 1.851.85 0.700.70 촉매성분(중량%)Catalyst component (wt%) 0.000.00 0.160.16 0.070.07 0.030.0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방법을 통하여 정제된 실시예의 제2 유기상 풍부분획 내에는 염성분과 촉매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유기상 또는 제2 유기상 풍부분획과 비교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총 폐수 발생량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As shown in Table 2, almost no salt component and catalyst component remained in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of Examples purifi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phase or the second ph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was confirmed that even when compared with the organic phase-rich fraction, it was efficiently purified. In additio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3, the total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was reduced by half.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염성분 및 촉매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제거함과 동시에 폐수 발생량도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폐수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olycarbonate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separates and removes the salt component and the catalyst component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is significantly reduced as well as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is significantly reduced. can confirm that it can be done.

100, 200: 정제 시스템
10: 공급라인 A
20, 120: 불순물 배출 라인
30: 공급라인 B
40: 탈염수 공급라인
50: 제1 수성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
60: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흐름라인
70: 산공급라인
80: 제2 수성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
90: 제2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
110: 제3 유기상 풍부 분획 배출라인
EC1: 제1 추출컬럼
EC2: 제2 추출컬럼
C1, C2: 원심분리기
AT: 산성용액 저장용기
100, 200: purification system
10: supply line A
20, 120: impurity discharge line
30: supply line B
40: demineralized water supply line
50: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60: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flow line
70: acid supply line
80: second aqueous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90: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110: thir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discharge line
EC1: first extraction column
EC2: second extraction column
C1, C2: centrifuge
AT: acid solution storage container

Claims (11)

폴리카보네이트, 유기용매, 촉매성분 및 염성분을 포함하는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정제방법으로서,
상기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탈수처리하는 단계;
탈염수로 제1 추출 처리하여 제1 수성상 풍부 분획과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기상 풍부 분획을 산성용액으로 제2 추출 처리하여 제2 수성상 풍부 분획이 분리제거된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용액은 제1 수성상 풍부 분획에 강산을 첨가하여 제조된 혼합물인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A purification method for separating polycarbonate from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ixture comprising polycarbonate, an organic solvent, a catalyst component and a salt component, the purification method comprising:
dehydra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ixture by centrifugation;
separating into a first aqueous phase rich fraction and a first organic phase rich fraction by performing a first extraction treatment with demineralized water; and
preparing a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from which the second aqueous phase-rich fraction is separated and removed by subjecting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to a second extraction treatment with an acidic solution;
The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wherein the acidic solution is a mixture prepared by adding a strong acid to the first aqueous phase-rich fra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는 1,000 rpm 내지 5,000 rpm의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ifugation is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that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0 rpm to 5,000 rp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은 중합반응 생성 혼합물 100 중량% 대비 수용액을 4 중량%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여 대향류 추출로 수행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raction is a polycarbonate purification method that is performed by countercurrent extraction using an aqueous solution in an amount of 4% to 2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mix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성용액은 pH 1 내지 3인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idic solution is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having a pH of 1 to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은 제1 유기상 풍부 분획 100 중량% 대비 산성용액을 0.1 중량%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여 대향류 추출로 수행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xtraction is a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that is performed by countercurrent extraction using an acidic solution in an amount of 0.1% to 25%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first organic phase-rich fra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0.01 중량% 미만의 염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wherein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comprises less than 0.01% by weight of a salt compon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은 0.01 중량% 미만의 촉매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wherein the second organic phase rich fraction comprises less than 0.01% by weight of the catalyst compon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방법은 제2 추출 처리 이후에 제2 유기상 풍부 분획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entrifuging the second organic phase-rich fraction after the second extraction treatme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는 1,000 rpm 내지 5,000 rpm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entrifugation is a purific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that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0 rpm to 5,000 rpm.
KR1020170112410A 2016-09-06 2017-09-04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KR1022882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4395 2016-09-06
KR1020160114395 201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65A KR20180027365A (en) 2018-03-14
KR102288288B1 true KR102288288B1 (en) 2021-08-11

Family

ID=6166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10A KR102288288B1 (en) 2016-09-06 2017-09-04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288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659A (en) * 1994-11-24 1996-06-04 Mitsui Toatsu Chem Inc Production of polyoxyalkylene polyol
US6977308B2 (en) * 2002-06-25 2005-12-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dialkyl carbonate
KR101230938B1 (en) 2010-11-15 2013-02-15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101431121B1 (en) * 2011-08-17 2014-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Process for purifying of acetone
CN105408390B (en) * 2013-07-25 2017-03-15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Low sheraing method for Merlon purification
US9617382B2 (en) * 2013-07-25 2017-04-1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poly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65A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3432B1 (en) Method for preparing aromatic bischloroformate compositions and polycarbonates
BE1009624A5 (en) Mixed polymer sequence silicone polycarbonate and sailing polycarbonates trouble or reduc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274812B1 (en) Method for isolating enriched source of conducting polymers precursors
KR101077503B1 (en) A method for purifying wastewater
CN101039896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high-purity diaryl carbonate
RU2006102364A (en) METHOD FOR PRODUCING AROMATIC CARBONATE
CN1112103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ultra-pure bisphenol a and the use thereof
KR102083640B1 (en) Thermal enhancement of the purification process for interfacial polycarbonate and copolymer polycarbonates
KR102288288B1 (en)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CN109476517B (en) Method for treating solvent in wastewater
US4469561A (en) Azeotropic recovery of BPA and phenol from aqueous effluent streams
CN110072910B (en) Color reducing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JPH07196582A (en) Recovery of useful bishydroxy aromatic organic compound and bisaryl carbonate from aromatic polycarbonate scrap
WO2012076532A1 (en) Process for purifying aryl group containing carbonates
US20160102035A1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n alkylene glycol
KR102349078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KR102349079B1 (en) Method for purifying polycarbonate resin
KR101823620B1 (en) Low shear process for polycarbonate purification
KR101650610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carbonate
CN102224183A (en) Method for recycling amine catalyst in interfacial polycarbonate manufacturing process
JP2003221440A (en) Method for recovering solvent in manufacture of polyphenylene ether
US8771476B2 (en) Methods for inhibiting polymerization of vinyl aromatic compounds during extractive distillation
KR20220032517A (en) Chemical Recovery Method of Propylene Oxide-Styrene Monomer Process
CN112029101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polyorganosiloxane copolymer
KR102637370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using organic solvents based on chlorinated hydrocar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