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212B1 -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 Google Patents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212B1
KR102288212B1 KR1020210029644A KR20210029644A KR102288212B1 KR 102288212 B1 KR102288212 B1 KR 102288212B1 KR 1020210029644 A KR1020210029644 A KR 1020210029644A KR 20210029644 A KR20210029644 A KR 20210029644A KR 102288212 B1 KR102288212 B1 KR 10228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re
escape
hydrant
escap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212B9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건창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창기술단 filed Critical (주)건창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02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12B1/ko
Publication of KR10228821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1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05Y2900/6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급수전, 상기 급수전이 수용되며 상기 수전과 연결되는 분사호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 소화전함체,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화재의 발생 시 분리하여 탈출자를 보호하는 함체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도어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며 탈출자를 보호하는 탈출패널, 상기 탈출패널이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탈출패널이 개방된 부분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패널은 서로 마주하며 탈출자의 상부를 가려 보호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을 펼치거나 접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에 설치되는 패널힌지부, 상기 제1 패널에서 상기 제2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패널공간, 상기 제2 패널에서 상기 제1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패널공간, 상기 제1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일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1 측면덮개, 및 상기 제2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타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2 측면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Fire hydrant indoor for firefighting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의 발생 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된다.
소화전에는 방화수가 공급되는 급수전이 위치하며, 화재가 발생한 지점까지 방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호스가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소화전은 방화수의 공급 및 화재의 발생 시 외부에 알림만 수행할 뿐, 화재로부터 대피할 때, 도움을 줄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2878호(2017.7.3.공고)의 "기능성 소화전"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능성 소화전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며, 건물 내부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되 플렉시블한 튜브재질로 제작되는 소방호스;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소방호스의 선단부에 마련되되 사용자가 잡고 불을 끌 수 있도록 한 분사노즐; 상기 소방호스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펌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유닛를 구비하며, 상기소방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소방호스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유닛; 상기 컨트롤 유닛에 마련되되 상기 급수펌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스위치; 상기 급수관의 중간부에 마련되되 상기 급수관이 상기 급수펌프가 연결되는 공급단과, 상기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배출단으로 나뉘게 하는 제1 전자 컨트롤밸브; 급기관을 통해 상기 급수관의 배출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탄산가스가 저장되는 붐배; 및 상기 급기관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제2 전자 컨트롤밸브와, 상기 붐배에 구비되어 상기 붐배에 저장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1 전자 컨트롤밸브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2 전자 컨트롤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붐배에 저장되는 탄산가스가 상기 급기관과 상기 배출단을 통해 상기 소방호스로 공급되도록 하여 불이 난 대상물 또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놓인 실내 비품이 물에 젖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압력측정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붐배에 저장되는 탄산가스가 모두 소모되면 상기 급수펌프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전자 컨트롤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소방호스로 물이 공급되도록 컨트롤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능성 소화전은 제1 및 제2 워터 커튼용 노즐이 설치되어 탈출 시에 제1 및 제2 워터 커튼용 노즐에서 워터 커튼을 형성하여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능성 소화전은 화재로부터 탈출할 때, 방화호스를 함께 갖고 나가야 하기 때문에 탈출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워터 커튼만으로 탈출자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화재시 연기로 인해 탈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구조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시 소화전함체에서 탈출패널을 분리하여 탈출패널을 통해 탈출자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여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탈출자표시기가 설치되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속에서도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급수전, 상기 급수전이 수용되며 상기 수전과 연결되는 분사호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 소화전함체,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화재의 발생 시 분리하여 탈출자를 보호하는 함체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도어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며 탈출자를 보호하는 탈출패널, 상기 탈출패널이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탈출패널이 개방된 부분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패널은 서로 마주하며 탈출자의 상부를 가려 보호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을 펼치거나 접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에 설치되는 패널힌지부, 상기 제1 패널에서 상기 제2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패널공간, 상기 제2 패널에서 상기 제1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패널공간, 상기 제1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일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1 측면덮개, 및 상기 제2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타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2 측면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의 사이에 위치하는 탈출자를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가 둘러싸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체결하는 덮개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전함체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의 발생 시 화재의 발생을 경고소리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패널은 상기 탈출패널을 갖고 탈출하는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가 입력되는 소리입력부와, 상기 소리입력부에서 상기 경고소리가 입력되면 발광하는 탈출표시램프를 포함하는 탈출자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공간과 상기 제2 패널공간에는 각각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내측에서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시 탈출패널을 함체도어에서 분리하여 탈출패널을 펼쳐 휴대한 상태로 탈출함으로써, 탈출자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탈출패널에 탈출자표시기가 설치되고 탈출자표시기는 경고소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탈출할 때, 탈출자표시기를 작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출자표시기의 탈출표시램프에서 빛이 발광하고 GPS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발신하여 연기 속에서도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체도어에서 탈출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을 구성하는 탈출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을 구성하는 탈출패널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을 구성하는 탈출패널을 펼친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탈출자가 탈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100)은 급수전(113), 소화전함체(110), 및 함체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전(113)은 화재의 발생 시 진화를 위한 방화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전(113)은 급수설비의 배관과 연결되어 급수설비에서 공급되는 물을 방화수로 사용할 수 있다.
급수전(113)에는 선택적으로 방화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급수전(113)에는 방화호스를 연결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까지 이동하여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립되거나, 벽면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소화전함체(110)의 내부에는 급수전(113)이 설치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에는 방화호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화전함체(110)에는 수용공간(111)에 방화호스를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1)의 일면을 개방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에는 화재의 발생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소리출력부(117)와 빛에 화재의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램프출력부(118)가 설치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117)와 램프출력부(118)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기에서 발생하는 화재발생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전함체(110)에는 화재의 발생을 외부로 알리기 위해 수동 조작에 의해 소리출력부(117)와 램프출력부(1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119)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리출력부(117), 램프출력부(118) 및 작동버튼(119)은 소화전함체(110)에서 수용공간(111)과는 별도의 구획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117)는 화재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예컨대, 경종소리, 음성, 또는 사이렌과 같은 경고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소리출력부(117)는 스피커, 경종, 또는 사이렌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램프출력부(118)는 전구 또는 LED로 구현될 수 있으며, 램프출력부(118)는 화재발생신호를 감지하면, 섬광과 같이 반복적으로 점등되거나,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화재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도어(120)는 소화전함체(110)의 수용공간(111)을 개방한 개구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다.
함체도어(120)는 수용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탈출시 탈출자를 보조하기 위한 탈출용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함체도어(120)는 탈출패널(130), 도어프레임(121), 도어힌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패널(130)은 개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개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121)은 탈출패널(130)을 고정설치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21)은 측단이 개방된 형태로 개방된 측단을 통해 탈출패널(130)을 탈착 가능하게 도어프레임(121)에 결합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21)에는 개방된 측단을 제외하고, 나머지 둘레에는 탈출패널(130)의 둘레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가이드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힌지부(125)는 도어프레임(121)을 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프레임(121)이 회전함에 다라 도어프레임(121)에 결합된 탈출패널(130)에 의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힌지부(125)는 도어프레임(121)의 개방된 측단의 위치와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측단에서 도어프레임(121)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힌지부(125)는 힌지핀의 형태로 도어프레임(121)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거나, 경첩의 형태로 도어프레임(121)의 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21)에서 개방된 측단은 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는 개구의 둘레에 밀폐되어 함체도어(120)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어프레임(121)에서 이탈되지 않으나, 개구를 개방하도록 도어프레임(121)이 회전한 상태에서 개방된 측단이 개구로부터 이격되면서, 도어프레임(121)에서 개방된 측단을 통해 탈출패널(130)을 분리할 수 있다.
탈출패널(130)은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서로 패널힌지부(1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이 패널힌지부(133)에 의해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을 접었을 경우, 소화전함체(110)의 개구를 밀폐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을 펼쳤을 경우, 그 면적이 두 배가 되도록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패널힌지부(133)를 통해 반으로 접인 상태로 도어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패널은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서로 마주하도록 접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은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접힌 상태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패널힌지부(133) 또는 제1 패널(131) 또는 제2 패널(132)에는 제1 패널(131)가 제2 패널(132)을 패널힌지부(133)를 통해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을 펼쳤을 때, 미리 설정된 각도로만 펼쳐지도록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펼침각제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펼침각제한부는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패널힌지부(133)에 연결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제1 패널(131) 또는 제2 패널(132)에 걸쳐짐으로써,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은 상부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이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의 경사를 통해 용이하게 흘러 내리도록 90°~120°의 간격으로만 펼쳐지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일 경우, 둘에 의해 보호되는 보호영역이 작아 탈출자가
탈출패널(130)은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는 탈출자의 측면 둘레를 감싸 화염으로부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측면덮개(134)는 제1 패널(131)의 제1 패널공간(131a)에 접힌 상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제2 측면덮개(135)는 제2 패널(132)의 제2 수용공간(111)에 접힌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는 난연성을 갖는 재질의 방염천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측면덮개(134)는 제1 패널공간(131a)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탈출자의 일측 둘레를 덮어 보호하고, 제2 측면덮개(135)는 제2 패널공간(132a)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탈출자의 타측 둘레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제1 측면덮개(134)는 제1 패널(131)에서 패널힌지부(133)로 연결된 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감싸도록 패널힌지부(133)로 연결된 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측단에 접합될 수 있으며, 제1 측면덮개(134)는 제1 패널(131)에서 펼쳐졌을 때,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탈출자의 측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제2 측면덮개(135)는 제2 패널(132)에서 패널힌지부(133)로 연결된 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감싸도록 패널힌지부(133)로 연결된 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측단에 접합될 수 있으며, 제2 측면덮개(135)는 제2 패널(132)에서 펼쳐졌을 때, 제1 측면덮개(134)와 동일한 길이로 탈출자의 다른 측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는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체결하기 위한 덮개체결부(13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체결부(137)는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가 서로 마주하는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를 서로 체결하는 형태로 서로 벌어짐에 따라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의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체결부(137)는 천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스냅단추, 또는 지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에는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의 내부에 위치하는 탈출자가 외부를 투과하여 볼 수 있는 투시창(136)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136)은
투시창(136)은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의 기울어진 사이로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탈출패널(130)은 손잡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38)는 탈출자가 탈출패널(130)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탈출할 수 있도록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38)는 손잡이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38)는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부(138)는 제1 패널(131) 또는 제2 패널(132)이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로 접히거나, 제1 패널(131) 또는 제2 패널(132)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탈출패널(130)은 탈출자표시기(139)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자표시기(139)는 화재의 발생을 외부에 경고함과 동시에 탈출패널(130)을 통해 탈출자가 탈출 시에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탈출자표시기(139)는 화재감지기와는 별도로 소리출력부(117)의 경고소리의 출력에 의해서만 작동할 수 있으며, 탈출자표시기(139)는 함체도어(120)에서 탈출패널(130)의 분리시에도 작동 가능하도록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탈출자표시기(139)는 소리입력부(139a)와 탈출표시램프(139b)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는 소화전함체(110)의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는 소화전함체(110)에서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소리입력부(139a)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는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와 미리 설정된 경고소리를 비교하여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의 미리 설정된 경고소리는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와 대응되는 진폭, 또는 음향패턴를 갖는 소리일 수 있다.
경고소리의 진폭 또는 경고소리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는 경우, 경고소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는 소리의 진폭 또는 주파수 등을 비교판단할 수 있는 공지된 전기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리입력부(139a)는 탈출패널(130)에서 소화전함체(110)의 소리출력부(117)와 근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탈출표시램프(139b)는 소리입력부(139a)에서 입력되는 소리가 경고소리라고 판단되는 경우, 탈출표시램프(139b)가 점등될 수 있다.
탈출표시램프(139b)는 섬광을 반복적으로 번쩍이거나, 연속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탈출표시램프(139b)는 화재 시 연기로 인한 어두움을 밝혀 구조자로 하여금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탈출자를 용이하게 탈출시킬 수 있다.
탈출표시램프(139b)는 탈출패널(130)이 함체도어(12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램프출력부(118)와 함께 점등되어 외부에 시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으며, 함체도어(120)에서 탈출패널(13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탈출패널(130)을 통해 탈출하는 탈출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탈출자표시기(139)는 패널힌지부(133)에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탈출표시램프(139b)는 패널힌지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거나, 복수 개의 LED가 설치된 LED바로 구현될 수 있다.
탈출표시램프(139b)는 탈출자표시기(139)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탈출자표시기(139)는 GPS를 포함할 수 있다. GPS는 탈출표시램프(139b)의 작동시 함께 작동할 수 있으며, GPS는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현재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를 발신하고, 구조자는 이 추적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100)은 건축물에 급수전(113)이 설치된 부분에 소화전함체(110)가 설치되며, 소화전함체(110)의 수용공간(111)에는 급수전(113)을 통해 방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방화호스가 수용된다.
소화전함체(110)에는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의 발생시 소리로 화재를 알리는 소리출력부(117)와, 빛에 의해 화재를 알리는 램프출력부(118)가 설치되며, 수동으로 소리출력부(117) 및 램프출력부(1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119)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소화전함체(110)의 개구에는 수용공간(111)을 개폐하는 함체도어(120)가 설치되며, 함체도어(120)는 도어프레임(121)이 도어힌지부(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프레임(121)의 가이드홈(123)에는 탈출패널(1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탈출패널(130)은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패널힌지부(133)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접혀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이 형성되며, 제1 패널공간(131a)에는 제1 측면덮개(134)가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제2 패널공간(132a)에는 제2 측면덮개(135)가 접힌 상태로 수용된다.
탈출패널(130)에는 탈출자표시기(139)가 설치되고, 탈출자표시기(139)는 소리입력부(139a)와 탈출표시램프(139b)를 포함하며, 탈출표시램프(139b)는 패널힌지부(133)의 외면에 설치되고, 소리입력부(139a)는 탈출표시램프(139b)가 설치된 부분 또는 소리출력부(117)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를 입력받는다.
경고소리가 입력되면, 소리입력부(139a)는 입력되는 경고소리와 미리 설정된 경고소리를 비교하여 경고소리가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라고 판단되면 탈출표시램프(139b)가 점등할 수 있으며, 탈출자표시기(139)에는 GPS가 내장되어 탈출표시램프(139b)의 점등과 함께 현재의 위치신호를 외부로 발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100)은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소리출력부(117)에서 경고소리를 출력하고, 램프출력부(118)가 점등하면서 화재의 발생을 소리와 빛으로 외부에 알린다.
그리고, 화재를 진압할 경우에는 함체도어(120)를 개방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소방호스(115)를 급수전(113)에 연결하고, 소방호스(115)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급수전(113)에서 공급되는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화재의 발생 시 화재의 진압이 어려워 탈출이 필요한 경우, 함체도어(120)에서 탈출패널(130)을 도어힌지부(125)가 연결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도어프레임(121)에서 탈출패널(130)을 분리한다.
탈출패널(130)이 분리되면,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펼치고, 제1 패널공간(131a)에 접힌 제1 측면덮개(134)를 펼치고, 제2 패널공간(132a)에 접힌 제2 측면덮개(135)를 펼친다.
그리고,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를 덮개체결부(137)로 서로 체결하고, 제1 측면덮개(134)와 제2 측면덮개(135)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탈출자가 들어가 제1 패널공간(131a)과 제2 패널공간(132a)에 설치된 손잡이부(138)를 펼쳐 손잡이부(138)를 파지한 상태로 탈출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여 소리출력부(117)에서 경고소리가 출력되면, 탈출패널(130)에 설치된 탈출자표시기(139)의 소리입력부(139a)로 입력되고, 소리입력부(139a)에서 입력되는 소리가 경고소리라고 판단되면, 탈출표시램프(139b)를 점등하고, GPS를 통해 탈출패널(130)의 현재 위치를 전송한다.
이렇게 탈출표시램프(139b)와 GPS가 작동하면, 어두운 화재 현장에서도 탈출패널(130)을 통해 탈출하는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PS에서 발신하는 현재의 위치를 송신하여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신속하게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100)은 화재의 발생시 함체도어(120)에서 탈출패널(130)을 분리하여 탈출함으로써, 화염으로부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패널(131)과 제2 패널(132)이 탈출자의 머리의 상부를 덮어 화재의 발생 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낙하물로부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시 소리출력부(117)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를 탈출자표시기(139)가 입력받아 탈출표시램프(139b)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탈출표시램프(139b)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탈출표시램프(139b)를 켜기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출표시램프(139b)가 점등되어 어둠을 밝히기 때문에 어두운 화재 현장에서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110: 소화전함체
111: 수용공간 113: 급수전
115: 소방호스 117: 소리출력부
118: 램프출력부 119: 작동버튼
120: 함체도어 121: 도어프레임
123: 가이드홈 125: 도어힌지부
130: 탈출패널 131: 제1 패널
131a: 제1 패널공간 132: 제2 패널
132a: 제2 패널공간 133: 패널힌지부
134: 제1 측면덮개 135: 제2 측면덮개
136: 투시창 137: 덮개체결부
138: 손잡이부 139: 탈출자표시기
139a: 소리입력부 139b: 탈출표시램프

Claims (4)

  1. 소방수가 공급되는 급수전,
    상기 급수전이 수용되며 상기 급수전과 연결되는 분사호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 소화전함체,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화재의 발생 시 분리하여 탈출자를 보호하는 함체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도어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며 탈출자를 보호하는 탈출패널,
    상기 탈출패널이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탈출패널이 개방된 부분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개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패널은
    서로 마주하며 탈출자의 상부를 가려 보호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을 펼치거나 접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에 설치되는 패널힌지부,
    상기 제1 패널에서 상기 제2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패널공간,
    상기 제2 패널에서 상기 제1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패널공간,
    상기 제1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일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1 측면덮개, 및
    상기 제2 패널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용되며 펼친상태에서 탈출자의 타측면을 가려 보호하는 방염소재로 형성된 제2 측면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의 사이에 위치하는 탈출자를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가 둘러싸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측면덮개와 상기 제2 측면덮개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체결하는 덮개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함체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의 발생 시 화재의 발생을 경고소리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패널은
    상기 탈출패널을 갖고 탈출하는 탈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고소리가 입력되는 소리입력부와, 상기 소리입력부에서 상기 경고소리가 입력되면 발광하는 탈출표시램프를 포함하는 탈출자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공간과 상기 제2 패널공간에는 각각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내측에서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KR1020210029644A 2021-03-05 2021-03-05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KR10228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44A KR102288212B1 (ko) 2021-03-05 2021-03-05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44A KR102288212B1 (ko) 2021-03-05 2021-03-05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212B1 true KR102288212B1 (ko) 2021-08-10
KR102288212B9 KR102288212B9 (ko) 2022-09-20

Family

ID=7731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44A KR102288212B1 (ko) 2021-03-05 2021-03-05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77B1 (ko) 2021-09-14 2022-03-07 (주)진원엔지니어링 내부 투시형 옥내 소화전
KR102621155B1 (ko) * 2023-01-20 2024-01-04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옥내소화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290A (ko) * 2011-11-25 2013-06-04 이병곤 대피용 간이 방화복
KR101707642B1 (ko) * 2015-06-15 2017-02-20 육송(주) 소화전 호스 릴
KR101764250B1 (ko) * 2016-01-27 2017-08-04 안성덕 화재보호장치
CN211410760U (zh) * 2019-09-16 2020-09-04 江西华睿天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学校的防火披风及包装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290A (ko) * 2011-11-25 2013-06-04 이병곤 대피용 간이 방화복
KR101707642B1 (ko) * 2015-06-15 2017-02-20 육송(주) 소화전 호스 릴
KR101764250B1 (ko) * 2016-01-27 2017-08-04 안성덕 화재보호장치
CN211410760U (zh) * 2019-09-16 2020-09-04 江西华睿天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学校的防火披风及包装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77B1 (ko) 2021-09-14 2022-03-07 (주)진원엔지니어링 내부 투시형 옥내 소화전
KR102621155B1 (ko) * 2023-01-20 2024-01-04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옥내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212B9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212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KR102272276B1 (ko)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KR20170029134A (ko) 위치 알림 소화기
KR102557987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다기능 소방방재장치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JP3205324U (ja) 防護マスク及び防護マスクユニット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US20170291050A1 (en) Multi-Functional Fire Attack System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ES2381041T3 (es) Aparato de lucha contra incendios de gas inerte y método relativo para extinguir incendios
KR102367912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621155B1 (ko) 건축물 소방용 옥내소화전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JP4006724B2 (ja) 消火栓装置のメンテナンス弁
KR200465483Y1 (ko)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CN213491720U (zh) 一种人工智能消防栓
KR20200094322A (ko) 비상스위치 기능이 구비된 옥내소화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