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516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516B1
KR102287516B1 KR1020150006736A KR20150006736A KR102287516B1 KR 102287516 B1 KR102287516 B1 KR 102287516B1 KR 1020150006736 A KR1020150006736 A KR 1020150006736A KR 20150006736 A KR20150006736 A KR 20150006736A KR 102287516 B1 KR102287516 B1 KR 10228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installation part
rib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583A (ko
Inventor
양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5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어에 하중이 가해질 때, 도어프레임에서 도어핀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리방지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의 파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변형 또는 파손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포가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장착되고, 구동부에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포를 퍼 올린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에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 상기 이너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이너설치부; 및 상기 아우터설치부 또는 이너설치부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 상기 이너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이너설치부; 및 상기 아우터설치부 및 이너설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어에 하중이 가해질 때, 도어프레임에서 도어핀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리방지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의 파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아우터프레임에서 이너프레임으로 돌출된 분리방지리브 만으로도 도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분리방지리브가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겹쳐져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핀의 압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및 캐비닛의 결합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아우터프레임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이너프레임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강도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방지리브가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방지리브가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와, 터브(20)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포를 수용하여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20)에 공급하는 급수유닛(미도시)과, 상기 급수유닛에서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3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51)과, 세탁 세제가 수용되고, 세탁수를 세탁 세제와 혼합시키는 세제박스(50)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켜 다시 상기 터브(20)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60)과, 상기 펌프(60)에 의해 순환되는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순환노즐(미도시)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캐비닛(10) 내부에는 터브(20)가 구비된다. 캐비닛(10)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21)이 형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포 출입홀(2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9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70)이 구비된다. 캐비닛(10)에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50)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20) 및 캐비닛(10) 사이에는 스프링유닛(미도시) 및 댐퍼(미도시)과 같은 서스펜션이 설치되고, 상기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터브(20)의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킨다.
터브(20)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된다.
그리고 터브(20)의 내부에는 드럼(30)이 배치된다.
터브(20)에는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전극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으로 수위를 측정한다. 터브(20) 내부에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30)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드럼통공(33)이 형성된다. 드럼(30) 내벽에는 드럼(30)의 회전 시 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은 구동부(40)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드럼(30)은 완전히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30)의 후방부가 입구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23)은 터브(20)와 캐비닛(10) 사이에 구비되어, 터브(20) 및 캐비닛(10)을 밀봉한다. 개스킷(23)은 터브(20)의 입구와 포 출입홀(21)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23)은 드럼(30)의 회전시 도어(9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캐비닛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23)은 한가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터브(20)와의 체결 강도 및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터브(20)와 체결되는 부분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캐비닛(10)과 체결되는 부분은 터브(20)로부터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23)에는 분사노즐(51), 스팀노즐(미도시) 및 순환노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51)은 외부 수원에서 공급된 세탁수가 분사된다.
상기 스팀노즐은 상기 히터에서 생성된 증기가 분사된다.
상기 순환노즐은 상기 터브(20)에 저장된 세탁수가 분사된다. 상기 펌프(60)는 상기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순환노즐에 공급한다.
구동부(40)는 드럼(30)을 회전시킨다. 구동부(40)는 드럼(30)을 다양한 회전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클러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드럼(30)의 실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박스(50)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50)는 캐비닛(10)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50)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20)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50)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헹굼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70)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71)와, 세탁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및 캐비닛의 결합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아우터프레임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이너프레임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상기 도어(90)는 도어프레임(91)과, 상기 도어프레임(91) 내측에 배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터브(3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도어윈도우(93)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96)과, 상기 도어브라켓(96) 및 도어프레임(91)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91)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98)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91)은 세탁기 전면 측에 위치되는 아우트프레임(92)과, 상기 아우터프레임(92)과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92)의 배면 측에 위치되는 이너프레임(94)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핀(98)은 상기 도어브라켓(96)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도어(90)는 상기 도어핀(98)을 축으로 수평방향 회전된다.
상기 도어핀(98)은 상기 도어브라켓(96)에 2개가 배치되고,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도어핀(98)은 상기 아우터프레임(92) 및 이너프레임(94)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아우터프레임(92) 및 이너프레임(94)에는 상기 도어핀(98)이 설치되는 설치부(110)(120)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92)은 본 실시예에서 ABS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프레임(94)은 PC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92)이 외부에 배치되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프레임(92)을 이너프레임(94)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프레임(92)에 설치된 설치부를 아우터설치부(110)라 정의하고, 이너프레임(94)에 설치된 설치부를 이너설치부(120)라 정의한다.
상기 아우터설치부(110)는 상기 아우터프레임(92)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설치부(120)도 상기 이너프레임(94)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설치부(110)는 도어핀(98)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과 접촉되고, 상기 도어핀(98)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리브(112)와, 상기 도어핀(98)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원주지지리브(114)와, 상기 원주지지리브(114)에 형성되고 도어(90)에 상하 방향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도어핀(98)이 아우터설치부(110) 및 이너설치부(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리브(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리브(112)는 상기 도어핀(98)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수직지지리브(112)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리브(112)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돌출된 수직보강리브(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주지지리브(114)는 상기 도어핀(98)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오목한 도어핀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원주지지리브(114)는 본 실시예에서 도어핀(98)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리브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원주지지리브(114)를 연결하는 원주보강리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원주지지리브(114)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도어핀(98)을 기준으로 캐비닛(10)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복수개의 원주지지리브(114)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98)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상기 이너프레임(94)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도어핀(98)의 평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이너프레임(94)과 겹쳐진 영역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분리방지리브(130)가 형성된 아우터프레임(92)은 상기 도어핀(98)의 원주면 중 절반을 초과하여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설치부(120)는 상기 분리방지리브(130)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분리방지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설치부(120)는 상기 아우터설치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이너설치부(120)는, 수직지지리브(122), 원주지지리브(124) 및 도어핀홈(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리브(1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수직보강리브(123)가 형성되고, 원주지지리브(124)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원주보강리브(125)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홈(140)은 상기 분리방지리브(13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주지지리브(124) 및 원주보강리브(125)의 높이를 낮추어 상기 분리방지홈(140)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아우터프레임(92) 및 이너프레임(94)이 결합될 때, 상기 아우터설치부(110) 및 이너설치부(120)가 상호 걸림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설치부(110)에는 걸림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설치부(120)에는 걸림돌기(12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걸림홈 및 걸림부는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90)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도어(90)을 누를 때, 상기 도어(90)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도어(9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핀(98)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바,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고려하여 상측 도어핀(98)에 대해서는 캐비닛(10) 측에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도어핀(98)에 대해서는 세탁기의 전면 측에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모두 같은 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어(90)의 상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 도어핀(98)에서 대부분의 파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분리방지리브(130) 및 분리방지홈(140)이 모두 캐비닛(10)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재질의 강도가 높은 아우터프레임(92)에 분리방지리브(130)를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도어핀(98)에 의한 압괴를 억제한다.
도 10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리방지리브(130)가 형성된 경우, 그래프에서와 같이 강도가 12kgf 에서 32kgf로 증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방지리브(130)는 이너프레임(94)에 형성되고, 분리방지홈(140)이 아우터프레임(9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질의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분리방지리브(130)의 두께, 길이 등이 상기 제 1 실시예보다 보강되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방지리브가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프레임(92) 및 이너프레임(94)에 모두 분리방지리브(130)(2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분리방지리브(130)(230)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상기 각 분리방지리브(130)(230)는 상기 도어핀(98)의 이동 방향에 중첩되어 배치된다.
그래서 상하 방향 하중이 도어(90)에 가해질 경우, 중첩된 각 분리방지리브(130)(230)를 통해 상기 도어핀(98)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기 도어핀(98)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축응력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각 분리방지리브(130)(23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 분리방지리브(130)(230)는 마주보는 프레임 측에 삽입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90)는 각 분리방지리브(130)(230)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중첩되기 때문에,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40 : 구동부
50 : 세제박스 60 : 펌프
70 : 컨트롤패널 90 : 도어
91 : 도어프레임 92 : 아우터프레임
93 : 도어윈도우 94 : 이너프레임
96 : 도어브라켓 98 : 도어핀
100 : 세탁기 110 : 아우터설치부
111 : 도어핀홈 112 : 수직지지리브
113 : 수직보강리브 114 : 원주지지리브
115 : 원주보강리브 117 : 걸림홈
120 : 이너설치부 121 : 도어핀홈
122 : 수직지지리브 123 : 수직보강리브
124 : 원주지지리브 125 : 원주보강리브
127 : 걸림돌기

Claims (19)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며,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다른 한쪽에 삽입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도어핀을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 측에 위치된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다른 한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다른 한쪽과 겹쳐지게 형성된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리브가 형성된 상기 아우터프레임 또는 이너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절반을 초과하여 감싸게 형성된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설치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이너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아우터설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너설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도어핀을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 측에 위치된 세탁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설치부에는 상기 분리방지리브가 삽입되는 분리방지홈이 형성된 세탁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설치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이너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이너설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설치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설치부에는 상기 분리방지리브가 삽입되는 분리방지홈이 형성된 세탁기.
  1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
    상기 이너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이너설치부; 및
    상기 아우터설치부 또는 이너설치부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며, 상기 아우터설치부 또는 이너설치부 중 다른 한쪽에 삽입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설치부는,
    상기 도어핀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리브;
    상기 도어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원주지지리브;
    상기 원주지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도어핀홈; 및
    상기 원주지지리브에 형성된 상기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설치부는 상기 분리방지리브가 삽입되는 분리방지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설치부는,
    상기 도어핀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리브;
    상기 도어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원주지지리브;
    상기 원주지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도어핀홈; 및
    상기 원주지지리브에 형성된 상기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설치부는 상기 분리방지리브가 삽입되는 분리방지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16.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브라켓 및 도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도어핀;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아우터설치부;
    상기 이너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핀이 설치되는 이너설치부; 및
    상기 아우터설치부 및 이너설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핀을 지지하며, 상기 이너설치부 및 아우터설치부에 각각 삽입되는 분리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대하여 서로 겹쳐져 배치된 세탁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도어핀의 분리방향에 대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세탁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설치부에 형성된 상기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도어핀과 접촉되고, 상기 이너프레임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너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이너설치부에 형성된 분리방지리브는 상기 아우터설치부에 형성된 분리방지리브를 지지하게 배치된 세탁기.

KR1020150006736A 2015-01-14 2015-01-14 세탁기 KR10228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36A KR102287516B1 (ko) 2015-01-14 2015-01-14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36A KR102287516B1 (ko) 2015-01-14 2015-01-14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83A KR20160087583A (ko) 2016-07-22
KR102287516B1 true KR102287516B1 (ko) 2021-08-06

Family

ID=5668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36A KR102287516B1 (ko) 2015-01-14 2015-01-14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32B1 (ko) 2018-08-03 2019-07-11 이상영 유리판 내외부 습기제거장치
KR101997749B1 (ko) 2018-08-03 2019-07-08 이상영 미닫이용 습기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71B1 (ko) * 2002-07-29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83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313B1 (ko) 세탁기
EP3239386B1 (en) Washing machine
US9121125B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US9834879B2 (en) Washing machine
KR102627713B1 (ko) 세탁기
EP1424429A1 (en) Washing machine with special cabinet construction
KR20150005060A (ko) 세탁기
KR102165604B1 (ko) 세탁기
EP2669419B1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102549142B1 (ko) 세탁기
KR2021010568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7516B1 (ko) 세탁기
KR102348039B1 (ko) 세탁기
KR102342116B1 (ko) 세탁물처리기기
KR20180074484A (ko) 세탁기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102042217B1 (ko) 세탁기
KR102254404B1 (ko) 세탁기
KR10249315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0637A (ko) 세탁기
KR10252230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1051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87865B1 (ko) 세탁기
KR101162207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