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311B1 -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311B1
KR102287311B1 KR1020150125693A KR20150125693A KR102287311B1 KR 102287311 B1 KR102287311 B1 KR 102287311B1 KR 1020150125693 A KR1020150125693 A KR 1020150125693A KR 20150125693 A KR20150125693 A KR 20150125693A KR 102287311 B1 KR102287311 B1 KR 10228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vehicle
unit
supply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8713A (en
Inventor
송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11B1/en
Publication of KR2017002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부품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부와 연결되어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부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공급된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통합취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for accommodating vehicle parts and a transfer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the parts move,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to supply parts from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It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Auto parts supply device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정량 공급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or quantitatively supplying parts necessary for vehicle assembly.

일반적으로 차량 생산을 위한 공정은 완성차에 탑재될 엔진 본체를 완성하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 공정, 자동차의 외형을 만드는 프레스 공정, 자동차의 각 부분의 패널들을 조립, 용접하여 완성차의 모양을 만들어 낸다. 차체 공정, 부식방지 및 외관을 목적으로 하는 도장 공정, 실내외 의장 부품을 장착하는 등 상품으로서 마무리를 하는 최종 공정인 조립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the process for vehicle production creates the shape of a finished car by assembling and welding the engine and transmission process that completes the engine body to be mounted on a finished vehicle, the press process that makes the exterior of the car, and the panels of each part of the car. It consists of a car body process, a painting process for the purpose of corrosion prevention and appearance, and an assembly process, which is the final process of finishing as a product, such as installing indoor and outdoor decorative parts.

보통 차량의 차체(BIW; Body In White)는 엔진룸, 프론트 플로어, 리어 플로어, 사이드 대시, 사이드 실 등을 포함하는 언더 보디와, 사이드 보디, 루프 레일, 루프, 파셜 쉐프, 에이프런, 사이드 휠 등을 포함하는 메인바디(MainBody)로 이루어진다. The body in white (BIW) of a vehicle has an underbody including an engine room, front floor, rear floor, side dash, side sill, etc., side body, roof rail, roof, partial chef, apron, side wheel, etc. It consists of a main body including

이러한 차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바디를 기초로 하는 플로어 메인 공정, 차체의 벽면 주요부품인 바디 사이드 공정, 기초가 되는 플로어에 벽면인 사이드, 루프, 리어 패널 등을 붙이는 메인 벅 공정, 메인 공정 에 공급되는 엔진 등의 중간조립품을 조립하는 메인 서브 공정, 메인 바디에 도어, 후드 등을 붙이는 메탈 라인 공정, 메탈라인에 공급하는 도어, 후드 등을 부품에 조립하는 메탈 서브 공정 등을 수행하는 각각의 스테이지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완성된 자동차 차체로 제작된다.
Each part composing the car body consists of the floor main process based on the body, the body side process that is the main wall part of the car body, the main buck process that attaches the wall side, roof, and rear panel to the base floor, and the main process. Each of the main sub-processes of assembling intermediate assemblies such as supplied engines, the metal line process of attaching doors and hoods to the main body, and the metal sub-process of assembling the doors and hoods supplied to the metal line into parts, etc. Through the process of assembling on stage, it is produced as a complete car bod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공정에서, 팔레트에 수용된 부품을 추출함으로서 수량 체크 오류로 인한 체결점 누락 및 이종 체결을 방지하는데 있으며, 차량에 부품의 조립 후 팔레트 및 체결장치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동선의 발생을 줄이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mission of fastening points and heterogeneous fastening due to a quantity check error by extracting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pallet in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movement line for returning the pallet and fastening device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assembling the parts in the vehi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for vehicle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 차량의 차량용 부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부품저장소를 포함하는 부품저장부, 상기 부품저장부와 연결되어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부품저장부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공급된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에 대응되게,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합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각각은, 수용된 부품들 중 어느 부품을 상기 통합취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1 공급배관,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공급배관 및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또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3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배관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1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1 집합배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2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2 집합배관 및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3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3 집합배관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s stora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for accommodating vehicle parts of a predetermined vehicle, the parts storage unit and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the parts move, and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to receive parts from the parts storage unit, supply the supplied parts to a worker, and to correspond to the entry of the vehicle,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an integrated take-out unit moving along a direc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includes a first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and a first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ther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part. A second supply pipe for transporting the storage part to the entry direction side and a third supply pipe for transporting an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parts storage part, wherein the transport pipe includes , a first collective pipe for collecting the first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 second collective pipe for collecting the secon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nd a third set for collecting the thir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Includes plumbing.

상기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및 상기 통합취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취출부를 이송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entrance and type of the vehicle, and a mobile unit connected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to transfer the integrated take-out unit.

상기 부품저장부는,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The parts storage unit may supply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ensing unit.

또한, 상기 통합취출부는, 상기 부품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취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에 작업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may have an outlet for supplying the parts supplied from the parts storage unit to the worker, 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orker may be provided at the outlet.

또한, 상기 통합취출부는, 진입한 차량에 대한 부품 공급을 종료하면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may be moved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supply of parts to the entered vehicle is finished.

또한, 상기 이동유닛에는, 상기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Raser Sensor)와, 상기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는 바코드리더(Barcodereader)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unit may include a las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or not, and a barcode reader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부품저장부와 연결된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종류에 해당하는 부품을 상기 통합취출부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integrate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arts storage uni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supply a par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vehicle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조립에 필요한 부품이 정량으로 공급(낙하)함으로서 수량 체크 오류를 줄이고, 체결점 누락 및 이종 체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auto parts supplying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quantity check error by supplying (falling) the parts required for assembly to the operator in a fixed quantity, and preventing omission of fastening points and different kinds of fastening.

둘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부품의 조립 후 통합취출부가 원위치되어 작업자의 동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auto parts supply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assembling the parts in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셋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이동속도와 대응하여 통합취출부가 이동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grated take-out unit is moved in response to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s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supplying device for part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front view of Fig. 1A;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ejection unit of Figure 1a.
Fig. 2B is a front view of Fig. 2A;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ejection unit of Figure 2a.
Fig. 3B is a front view of Fig. 3A;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vehicle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며, 도 3a는 도 2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part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front view of Figure 1a,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of Figure 1a, Figure 2b is Figure 2a is a front view of,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ejection unit of Figure 2a, Figure 3b is a front view of Figure 3a.

바람직한 차량의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인 경우이다.A preferre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vehicle parts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ay be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in this embodiment,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us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upplying device for part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front view of FIG. 1A .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면, 완성차를 생산하는 공정 중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로서 차체에 브레이크 페달 등과 같은 부품을 체결 조립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1A and 1B,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coupling member including a bolt and a nu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inished vehicle, parts such as a brake pedal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applied to

차량용 부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부품저장부(10)와, 복수의 부품저장부(10)와 연결되어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배관(20) 및 이송배관(20)과 연결되어 복수의 부품저장부(10)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공급된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통합취출부(30)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for accommodating vehicle parts,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parts are moved,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pipes 20 and conveying pipe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receives the parts from the parts storage unit 10, and includes an integrated take-out unit 30 for supplying the supplied parts to the operator.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차량용 부품을 수용한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부품을 수용하는 제 1부품저장소(12)와, 제 1부품저장소(12)와 다른 부품이 수용된 제 2부품저장소(14), 제 1부품저장소(12) 및 제 2부품저장소(14)와 다른 부품이 수용된 제 3부품저장소(16)가 구비된다.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accommodates vehicle parts.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may supply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includes a first parts storage 12 for accommodating parts, a second parts storage 14 for accommodating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parts storage 12, a first parts storage 12 and A second parts storage 14 and a third parts storage 16 in which other parts are accommodated are provided.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제 1부품저장소(12), 제 2부품저장소(14), 제 3부품저장소(16)가 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 1부품저장소(12), 제 2부품저장소(14), 제 3부품저장소(16)는 통합제어부(50)와 연결되어 제어된다. 차량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한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서로 다른 부품이 수용되고, 작업자에게 부품 공급시 차량에 필요한 부품에 따라 각각 복수의 부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 the first parts storage 12 , the second parts storage 14 , and the third parts storage 16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parts storage 12 , the second parts storage 14 , and the third parts storage 16 ar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 We supply the necessary parts for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accommodates different parts, and when parts are supplied to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supply a plurality of parts according to the parts required for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perator.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차량용 부품이 수용하는 저장소와, 저장소에서 이동되어 대기하는 버퍼를 포함한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각각 저장소와 버퍼가 형성된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의 버퍼는 각각 이송배관(20)과 연결된다. 복수의 부품저장부(10)는 통합제어부(50)와 연결되어 제어된다.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includes a storage for accommodating vehicle parts, and a buffer to be moved from the storage and waiting.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is formed with a storage and a buffer, respectively. The buffer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0 .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is controlled.

통합제어부(50)는 복수의 부품저장부(10)의 부품을 통합취출부(30)로 공급되게 복수의 부품저장부(10)와, 이송배관(20)과, 통합취출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통합제어부(50)는 미리 저장된 차량정보(종류 등)과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비교하여, 진입하는 차량에 해당하는 부품을 버퍼로 이동시킨다. 즉, 통합제어부(50)는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의 종류에 필요한 부품 개수가 복수의 부품저장부(10)의 저장소에서 버퍼로 이동시킨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 a transfer pipe 20 , and an integrated take-out unit 30 to supply the component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 can be connecte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vehicle information (type, etc.) stored in advance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sens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and moves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entering the buffer to the buffer. That i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moves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e type of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ensing unit from the storage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to the buffer.

통합제어부(50)는 감지센서에서 작업자를 감지하면 버퍼에서 대기중인 부품을 통합취출부(30)로 공급한다. 다른실시예에 의하면, 통합제어부(50)는 차량의 종류에 해당하는 부품을 저장소에서 통합취출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supplies the parts waiting in the buffer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whe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op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may supply par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vehicle from the storage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

이송배관(20)은 복수의 부품저장부(10)와 연결되어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형성한다. 이송배관(20)은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에어 실린더로 구비된다. 이송배관(20)은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과 복수의 부품저장부(10)의 버퍼와 각각 연결되고, 버퍼에서 통합취출부(30)의 취출구(34)로 부품이 이동한다.The transfer pipe 2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the parts move. The transfer pipe 20 is provided with an air cylinder for the line through which the parts are moved. The transfer pipe 2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ine through which the parts are moved and the buffer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 and the parts move from the buffer to the outlet 34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

통합취출부(30)는 이송배관(20)과 연결되어, 복수의 부품저장부(10)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공급된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한다. 통합취출부(30)는 복수의 부품저장부(10)로부터 공급받은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취출구(34)가 형성되고, 작업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취출구(34)에 구비된다. 통합취출부(30)는 취출구(34)의 하측에 팔레트(36)를 포함한다. 팔레트(36)는 취출구(34)에서 공급(낙하)되는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0, receives parts from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10, and supplies the supplied parts to the operator.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s provided with an outlet 34 for supplying the parts supplied from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to the worker, and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worker is provided at the outlet 34 .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ncludes a pallet 36 under the air outlet 34 . The pallet 36 may accommodate parts supplied (falling down) from the outlet 34 .

통합취출부(30)는 진입한 차량에 대한 부품 공급을 종료하면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통합취출부(30)는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및 통합취출부(30)와 연결되어 통합취출부(30)를 이송하는 이동유닛(40)과 결합된다.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may be moved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supply of parts to the entered vehicle is finished.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s connected to a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entrance and type of a vehicle and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and is coupled with a moving unit 40 that transports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

이동유닛(40)은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및 통합취출부(30)와 연결되어 통합취출부(30)를 이송한다. 이동유닛(40)은 통합취출부(30)가 결합된 헹거(42)와 헹거(4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6)과 가이드레일(46)에서 헹거(42)를 이동시키는 모터(48)가 구비된다. 가이드레일(46)과 헹거(42)는 가이드브라켓(44)으로 연결된다. 가이드브라켓(44)은 모터(48)가 설치된다. 모터(48)는 가이드레일(46)에 결합되어, 모터(48)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브라켓(44)이 슬라이딩된다. The mobile unit 4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entry and type of vehicle and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to transfer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 The moving unit 40 includes a hanger 42 to which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s coupled, a guide rail 46 guiding the hanger 42, and a motor 48 that moves the hanger 42 from the guide rail 46. is provided The guide rail 46 and the hanger 42 are connected by a guide bracket 44 . A motor 48 is installed in the guide bracket 44 . The motor 48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46 , and the guide bracket 44 is sli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8 .

이동유닛(40)은 모터(48)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레일(46)을 따라 헹거(42)가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유닛(40)은 차량의 진행속도에 대응하여 이동된다. 이동유닛(40)에는 차체의 진입유무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Raser Sensor)와, 상기 차체의 종류를 감지하는 바코드리더(Barcodereader)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40)은 차량이 진입하는 가이드레일(46) 선단에 레이저센서 및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센서는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여 통합제어부(50)로 송신하고, 바코드리더기는 차량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통합제어부(50)로 송신한다.In the moving unit 40, the hanger 42 moves along the guide rail 46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8. At this time, the moving unit 40 moves in response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mobile unit 40 may include a las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and a barcode reader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vehicle. The mobile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a laser sensor and a barcode reader at the tip of the guide rail 46 into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laser sensor detects whether the vehicle enters or not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 and the barcode reader recognizes the vehicle's barcode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50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front view of Figure 1a, Figure 4 is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ing

도 1a 및 도 1b, 도 4를 참고하면,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한다(S10). 레이저 센서(Raser Sensor)와 바코드리더(Barcodereader)기로 상기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한다. 다음, 차량용 부품을 복수의 부품저장소에 수용한다(S20). 이때, 복수의 부품저장소에는 각각 다른 부품이 분류되어 버퍼에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S. 1A, 1B and 4 , the vehicle's entrance and type are detected ( S10 ). A laser sensor and a barcode reader detect the vehicle's entrance and type. Next, the vehicle parts are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S20). At this time, different parts are classified in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nd accommodated in the buffer.

여기서,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면, 해당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부품저장부(10)에 각각 필요한 부품을 준비한다.Here, when the vehicle's entry and type are sensed, each necessary component is prepared in the plurality of component storage units 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다음, 통합취출부(30)에 감지센서에서 작업자가 감지되면(S30), 복수의 부품저장부(10)에 수용된 부품 중 차량의 종류에 해당하는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통합취출부(30)로 공급한다(S40). 제 1부품저장부(12)의 버퍼에 수용된 부품은 이송배관(20)에 의해 통합취출부(30)의 취출구(34)로 공급되어 작업자의 손에 공급(낙하)된다. Next, when the operator is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S30),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that supplies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vehicle among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10 to the operator. is supplied (S40).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buffer of the first parts storage unit 12 are supplied to the outlet 34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by the transfer pipe 20 and are supplied (fallen) into the hands of the operator.

이상과 같은 작업 중 차량은 이동하게 되고, 차량과 대응하여 통합취출부(30)와 같이 이동유닛(40)이 함께 이동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During the work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moves, and the mobile unit 40 moves along with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in response to the vehicle to proceed to the next step.

도 2a는 도 1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ejection unit of Figure 1a, Figure 2b is a front view of Figure 2a.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차량이 이동하면서, 작업자로부터 서열을 확인한다.즉, 통합취출부(10)의 감지센서에서 작업자를 감지하면, 제 2부품저장부(14)의 버퍼에 수용된 부품은 이송배관(20)에 의해 통합취출부(30)의 취출구(34)로 공급되어 공급되어 작업자의 손에 공급(낙하)된다.As the vehicle moves 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sequence is checked from the operator. That is, when the sensor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10 detects the operator,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buffer of the second parts storage unit 14 are It is supplied to and supplied to the outlet 34 of the integrated outlet 30 by the transfer pipe 20 and supplied (falling) to the hand of the operator.

도 3a는 도 2a의 통합취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egrated ejection unit of Figure 2a, Figure 3b is a front view of Figure 3a.

다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차량이 이동한 뒤, 통합취출부(10)의 감지센서에서 작업자를 감지하면 제 2부품저장부(14)의 버퍼에 수용된 부품은 이송배관(20)에 의해 통합취출부(30)의 취출구(34)로 공급되어 작업자의 손에 공급(낙하)된다.Next, as shown in FIGS. 3A and 3B , when the sensor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10 detects a worker after the vehicle moves,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buffer of the second parts storage unit 14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ipe 20 . It is supplied to the outlet 34 of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and supplied (falls) to the hand of the operator.

다음, 작업자는 조립 후 복원스위치를 작동시켜 이송배관(20) 즉, 통합취출부(3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Next, the operator operates the restoration switch after assembly to move the transfer pipe 20 , that is, the integrated take-out unit 30 to the initial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는 작업자에게 조립에 필요한 부품이 정량으로 공급(낙하)됨으로서 수량 체크 오류를 줄이고, 체결점 누락 및 이종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차량 부품 조립 후 통합취출부가 원위치되어 작업자의 동선을 줄일 수 있다. 또, 차량의 이동속도와 대응하여 통합취출부가 이동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quantity check errors and prevent omission of fastening points and heterogeneous fastening by supplying (falling) a quantity of parts required for assembly to an operator. In additio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assembly of the vehicle parts, thereby reduc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In addition, since the integrated take-out unit is moved in response to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s improved.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ternatively, som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복수의 부품저장부 20: 이송배관
30: 통합취출부 40: 이동유닛
50: 통합제어부
<Detailed Description of Main Reference Signs>
10: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 20: transfer pipe
30: integrated outlet 40: mobile unit
50: integrated control unit

Claims (10)

소정 차량의 차량용 부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부품저장소를 포함하는 부품저장부;
상기 부품저장부와 연결되어 부품이 이동하는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부품저장부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공급된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에 대응되게,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합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각각은,
수용된 부품들 중 어느 부품을 상기 통합취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1 공급배관;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공급배관; 및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또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3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배관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1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1 집합배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2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2 집합배관; 및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3 공급배관들을 모으는 제3 집합배관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 parts stora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units for accommodating vehicle parts of a predetermined vehicle;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parts storage unit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parts are mov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to receive parts from the parts storage unit, supplies the supplied parts to the operator, and includes an integrated take-out unit that moves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o correspond to the entry of the vehicle,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 first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integrated outlet;
a second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entry direction side of the parts storage unit; and
and a third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parts storage part,
The transfer pipe is
a first collecting pipe for collecting the first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 second collective pipe for collecting the secon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nd
Including a third collective pipe for collecting the thir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및
상기 통합취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취출부를 이송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저장부는,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부품을 공급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vehicle's entry and type; and
Further comprising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integrated take-out,
The parts storage unit,
A vehicle parts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취출부는,
상기 부품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취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에 작업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output unit,
An outlet for supplying the parts supplied from the parts storage unit to the operator is formed,
Auto parts supply device for vehicle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worker in the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취출부는,
진입한 차량에 대한 부품 공급을 종료하면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output unit,
Auto parts supplying device for vehicles that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parts supply to the entered vehicle is finish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에는,
상기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Raser Sensor)와,
상기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는 바코드리더(Barcodereader)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mobile unit,
A las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or not;
Auto parts supplying device for vehicles including a barcode reader (Barcodereader)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저장부와 연결된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차량의 종류에 해당하는 부품을 상기 통합취출부로 공급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grate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arts storage uni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 vehicle parts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ar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vehicle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복수의 부품저장소를 포함하는 부품저장부에 수용된 부품 중 차량의 종류에 해당하는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단계는: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어느 부품을 제1 집합배관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진입에 대응되게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합취출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다른 어느 부품을 제2 집합배관을 통해서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또 다른 어느 부품을 제3 집합배관을 통해서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각각은,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어느 부품을 상기 통합취출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1 공급배관;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공급배관; 및
상기 수용된 부품들 중 또 다른 어느 부품을 상기 부품저장부의 상기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3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배관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1 공급배관들을 모으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집합배관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2 공급배관들을 모으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 집합배관은,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의 제3 공급배관들을 모으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
A sensing step of detecting the vehicle's entrance and type; and
A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vehicle among the parts accommodated in the parts stora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s storage to the operator,
The feeding step is:
supplying any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an integrated take-out unit moving along an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o correspond to the entry of the vehicle through a first assembly pipe;
transferring any 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entry direction side of the parts storage part through a second assembly pipe; and
and transferring an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a side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parts storage part through a third collective pipe,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a first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integrated outlet;
a second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entry direction side of the parts storage unit; and
and a third supply pipe for transferring any other part of the accommodated part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parts storage part,
The first collective pipe,
It is provided to collect the first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The second collective pipe,
It is provided to collect the secon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The third collective pipe,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which is provided to collect the third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계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필요한 개수의 부품을 통합제어부의 관리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부품저장소로부터 상기 통합취출부로 공급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upply step,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a necessary number of parts for the vehicle from the plurality of parts storage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by the management of an integrated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에 있어서,
레이저 센서(Raser Sensor)와 바코드리더(Barcodereader)기로 상기 차량의 진입 및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entrance and type of the vehicle,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that detects the vehicle's entry and type with a laser sensor and a barcode rea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계에 있어서,
상기 통합취출부로 부품이 공급될 때, 통합취출부에 구비된 감지센서에서 작업자를 감지하여 부품을 공급하는 차량용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upply step,
When the parts are supplied to the integrated take-out unit,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vehicle parts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parts by detecting a worker by a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integrated take-out unit.
KR1020150125693A 2015-09-04 2015-09-04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KR102287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93A KR102287311B1 (en) 2015-09-04 2015-09-04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93A KR102287311B1 (en) 2015-09-04 2015-09-04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13A KR20170028713A (en) 2017-03-14
KR102287311B1 true KR102287311B1 (en) 2021-08-09

Family

ID=5846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693A KR102287311B1 (en) 2015-09-04 2015-09-04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3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67A (en) 2017-07-21 2019-01-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for error reset of unmanned transfer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514A (en) * 2004-12-04 2006-06-22 Yoshitaka Aoyama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y supplying several types of parts
KR101461908B1 (en) * 2013-08-12 2014-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oint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774A (en) * 1979-05-23 1980-12-06 Nissan Motor Co Ltd Method for feeding parts in assembly work of automobile
JPH0466113U (en) * 1990-04-27 1992-06-10
JPH08252543A (en) * 1995-03-16 1996-10-01 Fuji Xerox Co Ltd Parts supplying device of consolidated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514A (en) * 2004-12-04 2006-06-22 Yoshitaka Aoyama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y supplying several types of parts
KR101461908B1 (en) * 2013-08-12 2014-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oint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13A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985B2 (en) Automotive service system
US7992276B2 (en) Fixture exchange rail system and method of use
JP7279659B2 (en) Automatic valet parking system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CN109828542B (en) Production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based on discrete workstation
KR102287311B1 (en) Component Of Auto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CN107486825B (en) Work or material rest, loading attachment and automatic system of getting and putting work piece
US7874057B1 (en) Method for performing vehicle maintenance and repair
CN111515581A (en) Collinear automatic flexible main bonding wire for multiple vehicle types
CN1188760C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on equipment in factory marking rewinding assembly of safty band
KR20140120570A (en) Joint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036129B1 (en) System for assembling a vehicle body panel
US7478470B2 (en) Device for assembling, tuning, and testing motor vehicles
CN104624911B (en) The semi-automatic riveting machine of automotive safety belt supporting frame
JP2008006516A (en) Work confirmation interlock system of assembling line
CN111644844A (en) Automatic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mode for automobile skylight
JP6201880B2 (en) Clip guide mounting tool
KR101987155B1 (en) Painted body operating system and method
JP2022063822A (en) Heterogeneous nut welding automation system of metal workpieces for automobile
JP3844653B2 (en) Body assembly method and body assembly line
JP4974934B2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guided vehicle
JPS6215265B2 (en)
JP2707025B2 (en) Work transfer method on assembly line
KR20090098159A (en) Pallet transporting recognition for engine assembly system
KR100599316B1 (en) Device for supplying head lining
KR20070038624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learance of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