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58B1 - Food waste dispos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dispo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58B1
KR102287258B1 KR1020200139678A KR20200139678A KR102287258B1 KR 102287258 B1 KR102287258 B1 KR 102287258B1 KR 1020200139678 A KR1020200139678 A KR 1020200139678A KR 20200139678 A KR20200139678 A KR 20200139678A KR 102287258 B1 KR102287258 B1 KR 10228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grinder
grinding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훈
한만승
Original Assignee
김종훈
한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한만승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0013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ood waste processor capable of effectively crushing 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processor comprises: a first pulverizer for physically crushing food waste; a second pulverizer for decomposing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first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nd a connecting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ulverizer and the second pulverizer. The first pulverizer may include: a pulverizing housing providing a pulverizing space; a drive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pulverizing housing;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to divide the pulverizing space into an upper pulverizing space and a lower pulverizing space; a first grinder unit for primary grinding of food waste in the upper pulverizing space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 second grinder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to secondarily grind food waste put into the lower pulverizing space.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DISPOSER} Food Disposer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한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토양 매립이나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 및 각 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비롯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만들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In general, as soil reclamation or marine dumping of food waste generated after cooking various kinds of food in the kitchen sink is prohibited, the government and each local government have implemented a volume-rate system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collected and collected food waste. Various methods are being tried, such as processing and making fertilizer or feed, or using it as an energy source.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는 그 처리량이 적어도 몇 십톤 이상이 되어야만 설비 유지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재정이 열약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대형의 음식물 처리 설비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 facility for processing food waste is considered to be economical to maintain only when the amount of treatment is at least several tens of tons.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with poor finances, they are unable to build large-scale food processing facilities.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Disposer)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reality, a method of disposing of food waste at home or at a restaurant by itself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food waste generated at home or at a restaurant has been proposed. Accordingly, a food waste disposer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ink to crush food as a device for directly installing and disposing of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under the sink of a home or restaurant, and a food waste disposer that uses microorganisms to process food Microbial treatment equipment and the like are used.

그런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미생물 처리기가 분리되어 있는 제품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미생물 처리기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데, 사용자가 미생물 처리기에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꺼리거나, 여타의 이유로 연결관을 분리시켜 바로 하수구로 연결해 사용하는 경우, 분쇄물이 바로 하수구로 배출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product in which the food waste grinder and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re separated, the food waste grinder and the microorganism processor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ipe. For this reason, if the connection pipe is disconnected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er for use, the pulverized product is discharged directly into the sewer.

한편, 미생물 처리기를 통한 미생물의 분해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효과적인 분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decomposition time of microorganisms through the microbial processor, an effective pulverization technology for food waste is required.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38717호 (2008.06.10. 등록)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38717 (Registered on Jun. 10, 200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vented against the background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rocessor capable of effectively crushing food was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제1 분쇄기; 상기 제1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제2 분쇄기; 및 상기 제1 분쇄기와 상기 제2 분쇄기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기는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하우징; 상기 분쇄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분쇄공간을 상부 분쇄공간 및 하부 분쇄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상부 분쇄공간 내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제1 그라인더 유닛;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분쇄공간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는 제2 그라인더 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crusher for physically crushing food waste; a second pulverizer for decomposing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first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wherein the first crusher includes a crushing housing providing a crushing space; a drive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grinding housing; a rotation plate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to partition the crushing space into an upper crushing space and a lower crushing space; a first grinder unit for primary grinding of food waste in the upper grinding space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nd a second grinder unit installed under the rotating plate to secondarily grind the food waste input to the lower grinding space.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1 분쇄기, 상기 제2 분쇄기 및 상기 연결관이 내장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provid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st crusher, the second crusher, and the connector are built.

또한, 상기 제1 분쇄기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 샤프트에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inde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riving shaft to the driving shaft.

또한, 상기 제1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에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연에 이격되도록 상기 분쇄 하우징에 장착되는 사이드 그라인더; 및 상기 회전 플레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분쇄공간 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사이드 그라인더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inder unit may include a blade protruding from the rotating plate; a side grinder mounted on the grinding housing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guid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ce to guide the food waste in the upper crushing space to the side grinder.

또한, 상기 사이드 그라인더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사이드 링부; 및 상기 사이드 링부의 하부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라인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grinder may include a side ring portion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grinder groove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ide ring portion.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지지편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방사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일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includes a support piece mounted on the rotation plate, a first guide portion verticall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to guide the food wast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the food waste.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part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iece to guide the rotation pl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2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 가능한 유격 공간이 상기 분쇄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그라인더부; 및 상기 유격 공간을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도록 상기 그라인더부의 하부면에서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rinder unit may include: a grinder unit moun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such that a clearance space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can mov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grinding housing; and a blade part protruding in a spiral shap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grinder part to secondarily grind the food waste moving in the clearance space.

또한, 상기 분쇄 하우징은 상기 상부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 가능한 커넥팅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분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측벽에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nding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providing the upper grinding space; a connecting pip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and connectable to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a lower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provide the lower crushing spac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formed on a side w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분쇄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1 그라인더 유닛을 통해 1차 분쇄한 후, 제2 그라인더 유닛의 맷돌 분쇄 방식으로 2차 분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분쇄가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first grinder is first grinded through the first grinder unit, and then the food waste is effectively shredded by second grinding by the millstone grinding method of the second grinder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omposition time of food wast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스 내 제1 분쇄기 및 제2 분쇄기가 일체형으로 케이스에 내장함으로써, 제1 분쇄기만을 케이스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제1 분쇄기의 분쇄물을 임의로 하수구로 바로 배출시키는 불법적인 행위를 못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in the case are integrated into the case,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crush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it is illegal to discharge the crushed material of the first crusher directly to the sew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human behavi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제1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기의 제1 그라인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기의 제2 그라인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grinder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e “AA” of FIG. 2 by cutting i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grinder unit of a first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grinder unit of the first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supplied', 'transferred', or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pply, delivery, and contact may occur,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of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side, etc.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제1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기의 제1 그라인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기의 제2 그라인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grinder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part cu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grinder unit of the first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irst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grinder uni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는, 제1 분쇄기(100), 제2 분쇄기(200), 연결관(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food process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rusher 100 , a second crusher 200 , a connector 300 , and a case 400 . may include.

구체적으로, 제1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쇄기(100)는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한 후,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할 수 있다. 제1 분쇄기(100)에서, 1차 및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분쇄물)는, 연결관(300)을 통해 제2 분쇄기(200)로 이동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grind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f the sink. The first pulverizer 100 may first pulverize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sink, and then pulverize the first pulverized food waste secondarily. In the first crusher 100 , the first and second crushed food waste (pulverized material) may be moved to the second crusher 2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00 .

제1 분쇄기(100)는 분쇄 하우징(110), 구동 샤프트(120), 회전 플레이트(130), 제1 그라인더 유닛(140), 제2 그라인더 유닛(150) 및 구동모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er 100 may include a grinding housing 110 , a drive shaft 120 , a rotation plate 130 , a first grinder unit 140 , a second grinder unit 150 , and a driving motor 160 . there is.

분쇄 하우징(110)은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제공받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분쇄공간(S)은 회전 플레이트(130)에 의해 상부 분쇄공간(S1)과 하부 분쇄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분쇄공간(S1)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1차 분쇄가 제1 그라인더 유닛(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분쇄공간(S2)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2차 분쇄가 제2 그라인더 유닛(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ulverizing housing 110 may provide a pulverizing space S for pulverizing the food waste provided from the drain hole of the sink. The crushing space S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crushing space S1 and a lower crushing space S2 by the rotating plate 130 . In the upper crushing space S1 , the primary crushing of food waste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grinder unit 140 . In the lower grinding space S2 , secondary grinding of food waste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grinder unit 150 .

이러한 분쇄 하우징(110)은 상부 분쇄공간(S1)을 제공하는 상부 하우징(111)과,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상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커넥팅관(112)과, 상부 하우징(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분쇄공간(S2)을 제공하는 하부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113)의 측벽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grinding housing 110 includes an upper housing 111 providing an upper grinding space S1, a connecting pipe 112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11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f a sink, and an upper housing 111 ) may include a lower housing 113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to provide a lower crushing space S2. In this case, an outlet 114 for discharging food waste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lower housing 113 .

구동 샤프트(120)는 분쇄 하우징(110)의 분쇄공간(S)의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120)의 상단에는 회전 플레이트(130)가 장착될 수 있고, 구동 샤프트(120)의 하단에는 구동모터(160)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120)는 구동모터(16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1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grinding space S of the grinding housing 110 . The rotation plate 13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shaft 120 , and the driving motor 16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shaft 120 . The driving shaft 12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60 .

회전 플레이트(130)는 구동 샤프트(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120)의 회전시, 구동 샤프트(12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플레이트(130)는 분쇄공간(S)을 상부 분쇄공간(S1) 및 하부 분쇄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130)의 상부 및 외경측에는 제1 그라인더 유닛(140)이 설치될 수 있고, 회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120 , and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shaft 120 when the drive shaft 120 rotates. The rotating plate 130 may divide the grinding space (S) into an upper grinding space (S1) and a lower grinding space (S2). In addition, the first grinder unit 1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outer diameter sides of the rotation plate 130 , and 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plate 130 .

제1 그라인더 유닛(140)은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상부 분쇄공간(S1) 내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그라인더 유닛(140)은 회전 플레이트(130) 상에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141)와, 분쇄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사이드 그라인더(140)와, 회전 플레이스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41)는 회전 플레이트(130)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터 형상일 수 있다. 블레이드(141)는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회전 플레이트(130) 상에 위치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여 분쇄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er unit 140 may primary grind the food waste in the upper grinding space S1 when the rotating plate 130 rotates. To this end, the first grinder unit 140 includes a blade 141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plate 130 , a side grinder 140 mounted on the grinding housing 110 , and a guide installed on the rotation place. 143) may be included. The blade 141 may have a cutter shape form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otation plate 130 . The blade 141 may cut and pulverize the food waste positioned on the rotating plate 130 when the rotating plate 130 rotates.

사이드 그라인더(140)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사이드 링부(142a)와, 사이드 링부(142a)의 하부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라인더 홈부(14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 그라인더(140)는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회전 플레이트(130)의 외주연으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The side grinder 140 may include a side ring portion 142a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grinder groove portions 142b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ide ring portion 142a. The side grinder 140 may pulverize the food waste mov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late 130 when the rotation plate 130 rotates.

예컨대,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의 외주연으로 가이드(143)에 의해 안내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사이드 그라인더(140)의 그라인더 홈부(142b)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쇄되면서, 상부 분쇄공간(S1)에서 하부 분쇄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otating plate 130 rotates, when the food waste is guided by the guide 143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late 130 by centrifugal force, the food waste enters the grinder groove 142b of the side grinder 140 . As it is additionally pulverized by the above, it may be moved from the upper pulverizing space S1 to the lower pulverizing space S2.

가이드(143)는 상부 분쇄공간(S1) 내 음식물 쓰레기를 사이드 그라인더(140)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143)는 회전 플레이트(130) 상에 장착되는 지지편부(143a)와, 지지편부(143a)의 일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143b)와, 지지편부(143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14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편부(143a)는 고정핀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13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편부(143a)의 일측부 및 단부에는 제1 가이드부(143b) 및 제2 가이드부(143c)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143 may guide the food waste in the upper crushing space S1 to the side grinder 140 . The guide 143 includes a support piece portion 143a mounted on the rotation plate 130 , a first guide portion 143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portion 143a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piece portion 143a . It may be formed of a second guide portion 143c protruding from the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iece 143a may be fixed to the rotation plate 130 through a fixing pin. A first guide portion 143b and a second guide portion 143c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and an end of the support piece portion 143a.

가이드(143)의 제1 가이드부(143b)는 지지편부(143a)의 일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의 방사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43c)는 제2 가이드부(143c)의 연장선상에서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1 가이드부(143b)에 의해 안내된 음식물 쓰레기를 사이드 그라인더(14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효과적인 안내가 가능하다. Since the first guide part 143b of the guide 143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part 143a, when the rotation plate 130 rotates, the food waste is radiated from the rotation plate 130 by centrifugal force. direction can be guided. Since the second guide part 143c is incli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130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guide part 143c, the food waste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143b is removed by the side grinder 140 . Effective guidance is possible in the direction where is located.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은 회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은 유격 공간(W)을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맷돌 분쇄 방식으로 2차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맷돌 분쇄 방식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의 유격 공간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윗돌을 회전시켜 내용물을 가루 형태로 분쇄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은 윗돌과 대응될 수 있고, 분쇄 하우징(110)의 내측 하부면은 아랫돌과 대응될 수 있다. 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be installed under the rotation plate 130 . 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secondarily pulverize the food waste moving in the clearance space W by a millstone grinding method. Here, the millstone grinding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of grinding the contents in a powder form by rotating the upper ston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placed in the clearanc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one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stone,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110 may correspond to the lower stone.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은 회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장착되는 그라인더부(151)와, 그라인더부(151)의 하부면에서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인더부(151)는 원추형으로 그라인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include a grinder unit 151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plate 130 and a blade unit 15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nder unit 151 in a spiral shape. . The grinder unit 1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inder in a conical shape.

그리고 그라인더부(151)와 분쇄 하우징(110)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 가능한 유격 공간(W)이 형성될 수 있다. 유격 공간(W)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이 회전될 때, 음식물 쓰레기는 유격 공간(W)을 통과하면서, 더 잘게 부서져 분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learance space W in which food waste can m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grinder unit 151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110 . The clearance space W may be designed to have a narrower interval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grinder unit 150 is rotated, the food waste may be broken and pulve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learance space W.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의 블레이드부(152)는 구동 샤프트(120)가 위치되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그라인더부(151)에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41)의 너비는 그라인더부(151)의 외경부에서 그라인더부(151)의 회전 중심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게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라인더부(151)의 외경부에 위치한 블레이드(141)의 너비는 그라인더부(151)의 회전 중심 측에 위치한 블레이드(141)의 너비보다 더 넓게 설계될 수 있다. The blade part 152 of the second grinder unit 150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grinder part 151 based on a rotation center at which the drive shaft 120 is position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blade 141 may be designed to become wider from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grinder unit 151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grinder unit 151 .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blade 141 locat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grinder unit 151 may be design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141 located at the rotation center side of the grinder unit 151 .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유격 공간(W)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때, 보다 자세하게, 음식물 쓰레기가 그라인더부(151)의 외경부 측에서 그라인더부(151)의 회전 중심 측으로 유격 공간(W)을 따라 이동될 때, 음식물 쓰레기는 더 잘게 부서져 분쇄될 수 있다. 유격 공간(W)을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하우징(110)의 배출구(114) 및 연결관(300)을 거쳐 제2 분쇄기(20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od waste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learance space W, in more detail, the food waste moves from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grinder unit 151 to the rotation center side of the grinder unit 151 in the clearance space W As it moves along, the food waste is more shredded and can be crushed.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clearance space W may be moved to the second crusher 200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crushing housing 110 and the connection pipe 300 .

제2 분쇄기(200)는 제1 분쇄기(100)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분쇄기(200)는 소정 시간 동안 미생물과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분쇄물을 분해할 수 있다. 제2 분쇄기(200)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종래 미생물 분쇄기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pulverizer 200 may decompose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by the first pulverizer 100 using microorganisms. For example, the second pulverizer 200 may decompose the pulverized product using microorganisms and the grinder for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second grinder 200 corresponds to a conventional microbial grinder capable of decomposing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관(300)은 제1 분쇄기(100)와 제2 분쇄기(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분쇄기(100)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제2 분쇄기(200)로 안내할 수 있다. 연결관(300)의 내부에는 제1 분쇄기(100)의 분쇄물을 제2 분쇄기(200)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3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rinder 100 and the second grinder 200 to guide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first grinder 100 to the second grinder 200 . A flow path for guiding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first pulverizer 100 to the second pulverizer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300 .

케이스(400)는 제1 분쇄기(100), 제2 분쇄기(200) 및 연결관(300)이 내장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400)에는 제1 분쇄기(100) 및 제2 분쇄기(200)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쇄기(100)만을 케이스(40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불법적인 행위가 어렵게 되고, 결국, 제1 분쇄기(100)만을 케이스(400)에서 분리하한 상태에서, 제1 분쇄기(100)의 분쇄물을 임의로 하수구로 바로 배출시키는 불법적인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case 400 may provid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st crusher 100 , the second crusher 200 and the connector 300 are built-in. For example, the first crusher 100 and the second crusher 20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ase 400 . Accordingly, an illegal act of separating only the first crusher 100 from the case 400 becomes difficult, and eventually,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crusher 1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400, the first crush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illegal act of arbitrarily discharging the pulverized product directly into the sewe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제1 분쇄기(100)의 상부 분쇄공간(S1)으로 유입되고, 제1 분쇄기(100)의 구동 샤프트(120)가 구동모터(1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 상부 분쇄공간(S1) 내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그라인더 유닛(140)에 의해 1차 분쇄될 수 있다. First, the food waste flows into the upper crushing space S1 of the first crusher 100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ink, and the drive shaft 120 of the first crusher 10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60 . Then, the food waste in the upper pulverizing space S1 may be first pulverized by the first grinder unit 140 .

예컨대,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시, 상부 분쇄공간(S1) 내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그라인더 유닛(140)의 블레이드(141)에 의해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가이드(143)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의 외주연으로 안내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사이드 그라인더(140)의 그라인더 홈부(142b)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쇄되면서, 상부 분쇄공간(S1)에서 하부 분쇄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plate 130 rotates, the food waste in the upper crushing space S1 may be cut by the blade 141 of the first grinder unit 140 . And when the food waste is gui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late 130 by the guide 143 , the food waste is additionally pulverized by the grinder groove 142b of the side grinder 140 , and in the upper pulverizing space S1 , the lower part It can be moved to the crushing space (S2).

제1 그라인더 유닛(140)에 의해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 분쇄공간(S2)으로 이동되어,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의 맷돌 분쇄 방식으로 2차 분쇄될 수 있다.The food waste that has been primarily pulverized by the first grinder unit 140 may be moved to the lower pulverizing space S2 and secondarily pulverized by the millstone pulverizing method of the second grinder unit 150 .

보다 자세하게, 1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격 공간(W)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그라인더 유닛(150)의 맷돌 분쇄 방식에 의해 잘 잘게 2차 분쇄될 수 있다. 유격 공간(W)을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하우징(110)의 배출구(114) 및 연결관(300)을 거쳐 제2 분쇄기(200)로 이동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as the firstly pulverized food waste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learance space W, the food waste may be secondarily pulverized finely by the millstone grinding method of the second grinder unit 150 .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clearance space W may be moved to the second crusher 200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crushing housing 110 and the connection pipe 3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분쇄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1 그라인더 유닛을 통해 1차 분쇄한 후, 제2 그라인더 유닛의 맷돌 분쇄 방식으로 2차 분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분쇄가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케이스 내 제1 분쇄기 및 제2 분쇄기가 일체형으로 케이스에 내장함으로써, 제1 분쇄기만을 케이스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제1 분쇄기의 분쇄물을 임의로 하수구로 바로 배출시키는 불법적인 행위를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first grinder is first crushed through the first grinder unit, and then the food waste is effectively crushed by secondary grinding using the millstone grinding method of the second grinder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composition time of food waste, and since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in the case are integrated into the case, the crushed product of the first crusher is arbitrarily discharged into the sewer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crush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It has excellent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illegal acts of discharging immediate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pplication, or combine or substitute the embodiments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that does not exceed the scope 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it should be said that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식물 처리기 100 :제1 분쇄기
110 :분쇄 하우징 111 :상부 하우징
112 :커넥팅관 113 :하부 하우징
120 :구동 샤프트 130 :회전 플레이트
140 :제1 그라인더 유닛 141 :블레이드
142 :사이드 그라인더 143 :가이드
143a :지지편부 143b :제1 가이드부
143c :제2 가이드부 150 :제2 그라인더 유닛
151 :그라인더부 152 :블레이드부
160 :구동모터 200 :제2 분쇄기
200 :제2 분쇄기 300 :연결관
400 :케이스
10: food processor 100: first grinder
110: grinding housing 111: upper housing
112: connecting tube 113: lower housing
120: drive shaft 130: rotation plate
140: first grinder unit 141: blade
142: side grinder 143: guide
143a: support piece 143b: first guide portion
143c: second guide unit 150: second grinder unit
151: grinder part 152: blade part
160: drive motor 200: second grinder
200: second grinder 300: connector
400 : case

Claims (8)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제1 분쇄기;
상기 제1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제2 분쇄기; 및
상기 제1 분쇄기와 상기 제2 분쇄기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기는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하우징과, 상기 분쇄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분쇄공간을 상부 분쇄공간 및 하부 분쇄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 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상부 분쇄공간 내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제1 그라인더 유닛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분쇄공간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는 제2 그라인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 가능한 유격 공간이 상기 분쇄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그라인더부와, 상기 유격 공간을 이동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도록 상기 그라인더부의 하부면에서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과 대응하여, 상기 유격 공간을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맷돌 분쇄 방식으로 2차 분쇄하는,
음식물 처리기.
a first pulverizer for physically pulverizing food waste;
a second pulverizer for decomposing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first pulverizer using microorganisms;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The first crusher
a grinding housing providing a grinding space; a drive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grinding housing;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to partition the grinding space into an upper grinding space and a lower grinding space; a first grinder unit for primary grinding of the food waste in the upper grinding space during rotation; and a second grinder unit installed under the rotating plate to secondary grind the food waste injected into the lower grinding space. do,
The second grinder unit
A grinder unit moun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plate so that a clearance space in which the food waste can be moved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grinding housing, and a lower surface of the grinder unit to secondarily pulverize the food waste moving in the clearance space Including a blade part protruding in a spiral shape,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secondary grinding of the food waste moving in the clearance space in a millstone grinding method,
food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기, 상기 제2 분쇄기 및 상기 연결관이 내장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se provid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st crusher, the second crusher, and the connection pipe are built,
food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기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 샤프트에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rusher
Further comprising a drive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to the drive shaft
food proces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에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연에 이격되도록 상기 분쇄 하우징에 장착되는 사이드 그라인더;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분쇄공간 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사이드 그라인더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grinder unit
a blade protruding from the rotating plate;
a side grinder mounted on the grinding housing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guid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to guide the food waste in the upper crushing space to the side grinder;
food proces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그라인더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사이드 링부; 및
상기 사이드 링부의 하부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라인더 홈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de grinder
a side r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rinder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ring,
food proces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지지편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방사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일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편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is
A support piece mounted on the rotary plate, a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to guide the food wast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Containing a second guide port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iece to gu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od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인더 유닛은 맷돌의 윗돌과 대응되고, 상기 분쇄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은 상기 맷돌의 아랫돌과 대응되고,
상기 그라인더부는 원추형으로 그라인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2 그라인더 유닛이 회전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유격 공간을 통과하면서, 더 잘게 부서져 분쇄되도록, 상기 유격 공간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grinder unit corresponds to the upper stone of the millstone,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corresponds to the lower stone of the millstone,
The grinder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inder in a conical shape,
When the second grinder unit is rotated, the gap between the gaps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food waste passes through the play space and is broken down into smaller pieces.
food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하우징은
상기 상부 분쇄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 가능한 커넥팅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분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측벽에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nding housing is
an upper housing providing the upper crushing space;
a connecting pip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and connectable to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and a lower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provide the lower crushing space,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is formed in a side wall;
food processor.
KR1020200139678A 2020-10-26 2020-10-26 Food waste disposer KR102287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78A KR102287258B1 (en) 2020-10-26 2020-10-26 Food waste disp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78A KR102287258B1 (en) 2020-10-26 2020-10-26 Food waste dispo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58B1 true KR102287258B1 (en) 2021-08-09

Family

ID=7731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78A KR102287258B1 (en) 2020-10-26 2020-10-26 Food waste dispo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3202A (en) * 2022-07-14 2022-10-21 上海海事大学 Garbage crushe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7B1 (en) 2007-03-13 2008-06-19 서경태 Microbe supply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KR20100133771A (en)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바이온텍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KR20110028407A (en) * 2009-09-12 2011-03-18 배영득 Disposer
KR20110029860A (en)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바이온텍 Disposer
KR20110053644A (en) * 2009-11-16 2011-05-24 (주)코트랩 Disposer
KR20120137666A (en) * 2011-06-13 2012-12-24 서경태 Fine grinding disposer
KR101378156B1 (en) * 2013-06-03 2014-03-27 가람환경기술(주) Crushing device for food trash having hammer partion
KR20140138391A (en) * 2013-05-23 2014-12-04 임준식 The pulverizer for a food waste
KR20170045818A (en)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허머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7B1 (en) 2007-03-13 2008-06-19 서경태 Microbe supply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KR20100133771A (en)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바이온텍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KR20110028407A (en) * 2009-09-12 2011-03-18 배영득 Disposer
KR20110029860A (en) * 2009-09-16 2011-03-23 주식회사 바이온텍 Disposer
KR20110053644A (en) * 2009-11-16 2011-05-24 (주)코트랩 Disposer
KR20120137666A (en) * 2011-06-13 2012-12-24 서경태 Fine grinding disposer
KR20140138391A (en) * 2013-05-23 2014-12-04 임준식 The pulverizer for a food waste
KR101378156B1 (en) * 2013-06-03 2014-03-27 가람환경기술(주) Crushing device for food trash having hammer partion
KR20170045818A (en)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허머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3202A (en) * 2022-07-14 2022-10-21 上海海事大学 Garbage crusher
CN115213202B (en) * 2022-07-14 2024-04-23 上海海事大学 Garbage cru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302Y1 (en) Food garbage pulverization machine for sink
US4134555A (en) Waste disposer
KR101674175B1 (en)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KR20110029860A (en) Disposer
TWI704012B (en) Two shaft shredder
JP2013518711A (en)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102287258B1 (en) Food waste disposer
KR20150056248A (en)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KR20120137666A (en) Fine grinding disposer
CN208288153U (en) Food refuse disposer
KR102412533B1 (en) A millstone system for crusher
CN103464256B (en) Grinding assembly and food residue processor with same
CN205024784U (en) Food waste disposer's grinding mechanism
KR10189942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KR101705130B1 (en) A disposer
KR20070082135A (en) Apparatus for garbage processing
KR20060049147A (en) Crusher
JP2005034698A (en)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and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ing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KR101665592B1 (en) Grain crushing and grinding unit and grain mill for home use having the same
KR20130106040A (en) Pulverizer
KR102015045B1 (en) Eco-friendly food crusher
KR101327559B1 (en) Food pulverrizer
KR102481108B1 (en) Food garbage disintegration processing spinning ball power ball set
KR100950698B1 (en) Food waste disposer for grinding into fine powder
KR200298878Y1 (en) The multipurpose pulverizer that is possible to change pulverization blade easi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