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28B1 -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28B1
KR102287228B1 KR1020210005654A KR20210005654A KR102287228B1 KR 102287228 B1 KR102287228 B1 KR 102287228B1 KR 1020210005654 A KR1020210005654 A KR 1020210005654A KR 20210005654 A KR20210005654 A KR 20210005654A KR 102287228 B1 KR102287228 B1 KR 10228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harvesting
unit
modul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정정수
정요성
백영목
정재욱
유대환
유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텍
영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텍, 영광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텍
Priority to KR102021000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30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6Devices for coupling mowing tables to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휠(112)이 장착되며, 구동모듈(114)이 내장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는 수확모듈(120)로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컨베이어부(122) 및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에 위치되어 하방의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키는 예취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후단부 측으로 예취물을 이송시키는, 수확모듈(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후단부 측에 형성되며, 수거수단이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공간부(130)로서, 상기 컨베이어부(122)에 의해 이송된 예취물을 상기 수거수단으로 포집시키는, 포집공간부(13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에 위치되며, 상기 휠(112) 및 수확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 을 포함하는,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Automatic barley sprout harvesting device}
본 발명은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의 기계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농작물을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다양한 수확기가 개발되었다. 수확기의 일 예로 콤바인은 이동하면서 벼, 보리, 밀 등과 같은 곡물을 베어 들임과 동시에 낟알을 이삭에서 떨어내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농기계이다. 통상적으로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과 '보통형 콤바인'이 있다.
자탈형 콤바인은 벼의 수확작업에 알맞게 설계된 것으로, 예취부, 탈곡 선별부, 주행부 및 기관, 반송부 등으로 구성된다. 예취부는 바닥에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 세워 왕복날로 예취한다. 반송장치는 예취한 작물을 흩어지지 않게 탈곡부까지 운반하는 장치이며, 삼각형의 돌기가 있는 체인이나 V벨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탈곡부에서는 예취부에서 운반되어 온 작물이 자동적으로 피드체인에 몰려서 탈곡된다.
보통형 콤바인은 여러 종류의 곡물을 대량으로 수확하며 예취폭이 넓고 출력이 큰 특징이 있다. 보통형 콤바인은 예취된 작물 전부를 탈곡부에 투입 및 통과시킨다. 보통형 콤바인의 주요부는 예취부, 탈곡부, 분리 선별부, 주행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농산물을 간편하게 수확하기 위한 수확기를 제조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우선, 농산물은 두둑이 없이 평평하게 갈아진 밭 위에 흩어뿌려 재배하거나 또는 두둑을 만들어 그 위에 흩어 뿌려 재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이 때, 농산물 수확기는 평평한 밭 위에서 이동할 때와 두둑 사이의 고랑에서 이동할 때에 농산물의 밑동을 절단하는 커터의 높이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경우에 커터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농산물의 밑동을 원하는 높이에서 정확하게 절단해야 하는 바, 이러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74886호인 '농산물 수확기'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후방 양측에 운전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사이의 하부에 바스켓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대가 형성된 차대, 상기 차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수단, 상기 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져 절단된 농산물을 상기 거치대 위의 바스켓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고, 농산물의 밑동을 절단하도록 형성된 커터, 및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받쳐 구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보조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종래기술은 보조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커터의 높이를 조절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밭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다.
그러나, 보조 구동 수단이 휠과 연결되는 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지면상태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는 바, 커터의 높이 유지가 다소 불안정한 문제가 있고, 예취물의 이송 상태를 작업자(수확기 운전자를 의미함)가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에서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886호 (2014.03.13.)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589호 (2015.05.19.)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새싹보리순의 급격한 소비증가로 현행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여 낫으로 진행되던 수작업 방식에서 발생되는 비용 증감 및 빈번한 안전사고에서 오는 농가의 부담을 해소함과 동시에, 일정한 규격의 대량의 수확량을 확보하고, 새싹보리순의 수확 손실률 및 인력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휠(112)이 장착되며, 구동모듈(114)이 내장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는 수확모듈(120)로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컨베이어부(122) 및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에 위치되어 하방의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키는 예취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후단부 측으로 예취물을 이송시키는, 수확모듈(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후단부 측에 형성되며, 수거수단이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공간부(130)로서, 상기 컨베이어부(122)에 의해 이송된 예취물을 상기 수거수단으로 포집시키는, 포집공간부(13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에 위치되며, 상기 휠(112) 및 수확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 을 포함하는,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122)는, 상기 예취부(124)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로 형성된 경사컨베이어(122a) 및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컨베이어(122b); 로 구분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 및 상기 수평컨베이어(122b)는 단일의 이송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단일의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구동모듈(114)과 연결된 롤러모듈의 회전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방 측은,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부(110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10a) 상부에는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가 위치되되, 상기 경사부(110a)의 전단부 및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전단부 사이에는 리프팅부(116)가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예취부(1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릴모듈(126)이 구비되며, 상기 릴모듈(126)은, 상기 예취부(124)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폭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바(126a)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바(126a)는,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예취물을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상기 릴모듈(126)의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취부(124)는, 지면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예취날(124a); 및 상기 제1 예취날(124a)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예취날(124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예취날(124b);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예취날(124a, 124b)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트러스프레임(15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휠(112)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구동모듈(114) 및 상기 한 쌍의 휠(112)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되, 상기 한 쌍의 휠 모두에 동력이 전달되는 전후진모드; 및 상기 한 쌍의 휠 중 어느 하나에만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싹보리순의 급격한 소비증가로 현행 다수의 인력을 동원 낫으로 진행되던 수작업 방식에서 발생되는 비용 증감 및 빈번한 안전사고에서 오는 농가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규격의 대량의 수확량을 확보하고, 새싹보리순의 수확 손실률 및 인력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의 전체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진으로서, 수확모듈이 탈거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5의 본 발명의 트러스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 측에 구비된 발받침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부 및 릴모듈의 동시 작동을 위한 기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예취날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의 실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리프팅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예취대상물'은 지면에 위치되며, 재배된 상태인 농작물을 의미하며, 본원에서는 새싹보리순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새싹보리순 이외에 다른 농작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예취물'은 예취대상물이 예취날에 의해 예취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확장치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하며, 예취날이 구비된 위치를 전방이라 하며, 제어모듈이 구비된 위치를 후방이라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자동 수확장치는 베이스프레임(110), 수확모듈(120), 포집공간부(130), 제어모듈(140) 및 트러스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두 쌍의 휠(111, 112)이 구비되며, 각각은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두 쌍의 휠(111, 112)을 구비함에 따라, 정지된 상태에서도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구동모듈(114)과 관련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X 방향) 연장된 형상이다. 물론, 일부의 요철, 홀 및 격벽 등이 포함되며, 굽어진 부위도 일부 포함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 측에는 제어모듈(140)이 위치되는 바, 제어모듈(140)의 장착을 위해, 상방을 향해 연장된 부위가 존재한다. 제어모듈(140)의 전방 측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분이 형성되며, 이는 포집공간부(130)를 의미한다.
도 12를 먼저 참조하면, 포집공간부(130)는 수거수단이 위치된다. 도 12에서는 박스형태의 수거수단을 도시하나, 예취물의 수거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도 9를 먼저 참조하면, 베이스프레임(110)에는 구동모듈(114)이 장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압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펌프(114b) 및 유압펌프(114b)와 연결된 한 쌍의 유압모터(114a)가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유압모터(114a)는 각각 좌측 휠(112) 및 우측 휠(1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별도의 조향수단이 필요없이, 좌측 또는 우측 휠(112)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자동 수확장치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유압모터(114a) 이외에 추가적인 유압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러한 유압모터의 장착을 위한 구조들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22)의 동작을 위한 유압모터, 예취부(124)의 동작을 위한 유압모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예취부(124)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부(116)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들 모두는 유압펌프(114b)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압펌프(114b) 및 유압모터(114a)는 유압라인(114c)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압모터(114a)는 험로 및 경사도 주행이 가능한 대용량(고회전)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로써, 작업자의 보행속도를 유지하기 위한 감속(2:1) 체인기어를 적용하며, 유압모터를 체인기어 방식으로 적용하여 바퀴 직결로 인한 모터샤프트 손상(리데나 씰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용량(중량)의 유압모터를 좌/우 대칭 배열함으로써, 무게배분을 통한 무게중심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로, 험로 및 경사도 조건의 수확을 위한 16인치 광폭 타이어 전륜 배치하고, 유압주행 조건의 단점인 급격한 브레이크 조향에 대한 완충조건으로 13인치 대형 회전식 비동력 캐스터 바퀴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3마력 4행정 엔진의 유압펌프(114b)가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토지 조건에서의 불규칙한 사용조건과 사용 후 보관에 따른 고장 원인을 감소시키고,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고려한 볼트온 키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반부 측에는 하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부(110a)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경사컨베이어(122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인 바, 경사컨베이어(122a)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부(110a)의 후단 측에는 수평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다수의 유압장치들이 구비되는 바, 발열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공랭 냉각풍 순환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열의 냉각을 위해, 팬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다수의 통기홀(117)이 형성된다. 통기홀(117)의 개수, 위치 및 형상 등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최적의 냉각 효율을 위해, 이들은 선택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통기홀(117)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측면 및 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 및 저면에도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 상부에는 수확모듈(120)이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을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트러스프레임(150)이 결합된다. 트러스프레임(15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상이다. 수확모듈(120)은 컨베이어부(122)의 동작시 소정의 진동이 인가되는 바, 이러한 진동에도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러스프레임(150)을 통해, 수확모듈(120), 특히, 컨베이어부(122)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을 통해, 컨베이어부(122)의 동작시 베이스프레임(110)과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이격된 공간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듈(114)로부터 발생된 고열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트러스프레임(150)은 30mm 보스핀 결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확모듈(120) 자체를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작업자의 정비 및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확모듈(120)은 트러스프레임(1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수확모듈(120)은 컨베이어부(122), 예취부(124) 및 릴모듈(126)을 포함한다.
먼저, 컨베이어부(122)의 전단측에는 예취부(124)가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122)의 전반부는 경사컨베이어(122a)로 형성되는 바, 전단측이 가장 낮은 위치로 형성된다. 즉, 예취부는 지면과 가장 인접한 부위이다.
컨베이어부(122)는 경사컨베이어(122a) 및 수평컨베이어(122b)로 구성된다. 경사컨베이어(122a)는 예취부(124)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로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며, 수평컨베이어(122b)는 경사컨베이어(122a)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의미한다. 경사컨베이어(122a)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수평컨베이어(122b)의 길이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부(122)는 수평컨베이어(122b)가 형성됨에 따라, 발받침프레임(142) 상에 작업자가 위치할 때, 작업자는 시야 가림이 없이, 컨베이어부(122)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다수 기술들은 수평컨베이어(122b)를 구비하지 않는 바, 작업자가 예취물의 이송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은 통상적인 컨베이어 방식에서 탈피하였으며, 보리순 수확 과정에 있어 작업자의 시야 확보 및 수확물의 상태를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15도 경사각 이송후 수평으로 수확물의 확인이 가능토록 설계하였다.
일 실시예로, 컨베이어부(122)의 벨트폭은 1m, 전장은 1.5m, 벨트 전체의 길이는 3.4m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컨베이어(122a) 및 수평컨베이어(122b)는 단일의 이송벨트로 형성되며, 단일의 컨베이어벨트는 구동모듈(114)과 연결된 롤러모듈의 회전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모듈은 구동롤러, 텐션롤러 및 동력연계형 롤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벨트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기어(126c), 릴 회전축(127) 및 롤러기어(123)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어 형태인 롤러기어(123)는 외경 50mm, 길이 1000mm이며, 유니트베이링으로 고정된다.
컨베이어부(122)의 폭방향 양 측부에는 박스형 컨베이어 롤러콘솔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베이어부(122)의 동작 중에 내장된 롤러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롤러콘솔은 상방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굽어지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는 바, 컨베이어부(122)를 향한 처마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처마를 통해, 바람과 같은 환경적 요소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바람막이 터널식 수확물 이송을 가능케하는 바, 바람이나 비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수확물을 보호할 수 있다.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컨베이어부(1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릴모듈(126)이 구비된다. 여기서, 릴모듈(126)은, 예취부(124)의 상측에 위치되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바(126a)가 구비된다. 설명을 위해, 도 12를 먼저 참조하면, 릴모듈(126)에는 다수의 걸림바(126a)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폭방향 양측부에는 원판 디스크가 구비되며, 원판 디스크의 중심은 회전축과 연결된다. 여기서, 릴모듈(126)은 수확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또는 기후 및 바람에 의한 도복 상태에서도 일정하게 수확물을 예취날로 유도하여 절단할 수 있게, 직경이 500mm, 6엽 날개(브러쉬 타입)로 제작함으로써, 수확물의 손상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컨베이어(122a)로부터 이송된 예취물은 수평컨베이어(122b)로 이송된 후, 수거수단으로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수평컨베이어(122b)의 하부에 수거수단을 위치시키며, 예취물은 자중에 의해 수거수단 내로 포집될 수 있다.
릴모듈(126)은 회전을 통해, 예취부(124)에 의해 예취된 예취물을 경사컨베이어(122a) 상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효과적인 이송을 위해, 걸림바(126a)에는 걸림브러쉬(126d)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브러쉬(126)를 통해 예취물을 경사컨베이어(122a) 상으로 쓸어올릴 수 있다. 물론, 릴모듈(126) 및 컨베이어부(122)의 이송벨트는 상호 연동되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송벨트가 동작될 때, 릴모듈(126) 역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벨트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기어(126c), 릴 회전축(127) 및 롤러기어(123)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릴모듈(126)의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취대상물의 길이, 높이, 지면의 상태 등에 따라, 릴모듈(126) 자체의 높이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높이조절부(125)는 작업 전에 미리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125)는 다수의 고정홀(125a)을 포함하는 바, 핀부재를 통해, 릴모듈(126)의 회전축을 고정홀(125a)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취부(124)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리순 전용 절단용 트리머날을 사용하며, 일 예시로써, 날 길이는 1.2m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열처리용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부식 및 날 파손에 뛰어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취부(124)는, 제1 예취날(124a) 및 제2 예취날(12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취날(124a)은 지면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예취날(124b)은 제1 예취날(124a) 상측에 위치되며, 제1 예취날(124a)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예취날(124a, 124b)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운동하여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킬 수 있다. 탈부착 방식의 칼날 베이스 적용으로 외부 충격이나 불규칙한 수확 조건에서의 이송벨트의 좌우 트러블에 대응할 수 있다. 즉, 1.2m(예취날 길이를 의미함)에서의 좌우 왕복 작동에 대한 피로도 및 칼날 가이드 이탈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2m 좌우 왕복 작동을 위한 캠방식의 링크 케이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두께 10mm의 평기어를 장착하고, 고토크의 유압모터 작동에도 소음감소 및 정확한 칼날 작동을 구현할 수 있고, 칼날 보호, 작동 기어 보호, 이송벨트 보호 등을 위해, 칼날 베이스 하부에 500mm 베어링 롤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노면의 흙 및 이물질 제거용 전용 가이드 역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예취날의 보호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수확물을 절단 및 이송할 수 있도록 하부측에 50mm 롤러를 칼날 하부에 장착하였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발받침프레임(142)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바, 작업자의 필요시에는 하방을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는 발받침프레임(142) 상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작업자의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모듈(140)은, 전후진모드 및 회전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한 쌍의 휠(112)은 구동모듈(114)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되, 전후진모드에서는 한 쌍의 휠 모두에 동력이 전달되며, 회전모드에서는 한 쌍의 휠 중 어느 하나에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으로 회전을 원하는 경우, 좌측 휠에만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좌측으로 회전을 원하는 경우, 우측 휠에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프팅부(116)에 대한 설명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부(116)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들 모두는 유압펌프(114b)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리프팅부(116)는 완충장치가 결합된 구조이다. 완충장치는 수확장치 계통에 포함되며 새싹보리순 수확시 불규칙한 노지 조건에 예취부 하중에 의한 돌 등 장애물에 대한 충격을 흡수. 회피하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4의 (a)는 완충장치가 팽창된 상태이며, (b)는 완충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완충장치는 실린더 하부에 압축성의 텐덤 스프링과 스프링의 압축 팽창에 대한 자유 유격 유지 슬라이딩 샤프트로 구성된다. 수확기가 불규칙적인 노지에서 작업시 예취칼날 베이스의 롤러가 불규칙적인(돌, 흙 뭉치 등) 지면에 접지될 때, 반력으로 올라오는 그 충격으로 예취부의 좌우 불균형이 발생하여 보리순의 절단이 일정하게 수확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때, 본 리프팅부(116)의 적용을 통해 불규칙적 노지 형태에서도 일정한 규격의 보리순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유압실린더 하부의 스프링이 완충됨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며 예취부(124)가 불규칙적인 지면을 고르게 타고 진행하면서 수확물을 일정한 규격으로 예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일반적인 실린더에서는 작동유가 모두 상부 실린더로 올라가면 실린더가 제대로 압축이 되지 않아 완충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일부 실린더 중에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해 주는 미터링 핀(Metering Pin)이 장착된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압축을 받을 때 오일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10: 베이스프레임
110a: 경사부
116: 리프팅부
114: 구동모듈
120: 수확모듈
122: 컨베이어부
122a: 경사컨베이어
122b: 수평컨베이어
124: 예취부
125: 높이조절부
126: 릴모듈
130: 포집공간부
140: 제어모듈
150: 트러스프레임

Claims (5)

  1. 폭 방향으로 한 쌍의 휠(112)이 장착되며, 유압펌프(114b) 및 상기 유압펌프(114b)와 연결된 한 쌍의 유압모터(114a)를 구비하는 구동모듈(114)이 내장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는 수확모듈(120)로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컨베이어부(122) 및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에 위치되어 하방의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키는 예취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후단부 측으로 예취물을 이송시키는, 수확모듈(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후단부 측에 형성되며, 수거수단이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공간부(130)로서, 상기 컨베이어부(122)에 의해 이송된 예취물을 상기 수거수단으로 포집시키는, 포집공간부(13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에 위치되며, 상기 휠(112) 및 수확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포집공간부(130)의 전단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트러스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부(122)가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22)는,
    상기 예취부(124)가 전단 측에서 지면과 인접한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예취부(124)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컨베이어(122a) 및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프레임(150)에 결합되는 수평컨베이어(122b)로 구분되고,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 및 상기 수평컨베이어(122b)는 단일의 컨베이어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단일의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구동모듈(114)과 연결된 롤러모듈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방 측은,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부(110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10a)의 상부에는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가 위치되되, 상기 경사부(110a)의 전단부 및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전단부 사이에는 완충장치가 결합된 유압실린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압펌프(114b)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리프팅부(116)가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예취부(124)의 높이를 조절하는,
    자동 수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부(1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릴모듈(126)이 구비되고,
    상기 릴모듈(126)은,
    상기 예취부(124)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폭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바(126a)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바(126a)는,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예취물을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 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경사컨베이어(122a)의 하단부 측에는, 상기 릴모듈(126)의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부(125)가 형성되는,
    자동 수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24)는,
    지면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예취날(124a); 및
    상기 제1 예취날(124a)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예취날(124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예취날(124b);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예취날(124a, 124b)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반복하여 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예취대상물을 예취시키는,
    자동 수확장치.
KR1020210005654A 2021-01-15 2021-01-15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KR10228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54A KR102287228B1 (ko) 2021-01-15 2021-01-15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54A KR102287228B1 (ko) 2021-01-15 2021-01-15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28B1 true KR102287228B1 (ko) 2021-08-09

Family

ID=7731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54A KR102287228B1 (ko) 2021-01-15 2021-01-15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04Y1 (ko) * 2004-07-05 2004-09-18 정요성 보리총체 작업기
JP5426251B2 (ja) * 2009-06-29 2014-0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及び対地高さ制御プログラム
KR101374886B1 (ko) * 2013-08-19 2014-03-13 박상길 농산물 수확기
KR20200139917A (ko) * 2019-06-05 2020-12-15 (주)슈닉스 농산물 수거장치의 농산물 수거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04Y1 (ko) * 2004-07-05 2004-09-18 정요성 보리총체 작업기
JP5426251B2 (ja) * 2009-06-29 2014-0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及び対地高さ制御プログラム
KR101374886B1 (ko) * 2013-08-19 2014-03-13 박상길 농산물 수확기
KR20200139917A (ko) * 2019-06-05 2020-12-15 (주)슈닉스 농산물 수거장치의 농산물 수거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774B2 (en) Windrow merging apparatus
CN109526382B (zh) 轮履复合高地隙再生稻收割机
US7051501B2 (en) Agricultural bi-mower with cantilever beam suspension
CZ174296A3 (en) Harvesting adapter of agricultural machines for harvesting and removal of stalk plants, for instance maize plants
US3635004A (en) Orchard machine
KR20160014950A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US4229932A (en) Harvesters
CN111096146A (zh) 一种液压驱动三角履带轮式再生稻收割机
EP299932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crop
US3103091A (en) Sugar cane harvester
WO2017216807A1 (en) A self propelled track mounted paddy harvester
KR102287228B1 (ko) 새싹보리순 자동 수확장치
JP2003047318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CN203261777U (zh) 联合收割机的前处理装置
RU2229207C2 (ru) Свекло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KR101084317B1 (ko) 자주식 원형 베일러
RU2028035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WO2014059380A1 (en) Tractor on top cotton harvester with rear picker unit lift and tilt mechanism
WO2014059379A1 (en) Tractor on top cotton harvester with sightline to picker unit below the tractor
RU2267903C2 (ru) Агрегат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й поросли и механизм стыковки с адаптерами
CN217564163U (zh) 一种粉碎功能可选的牧草收割装置
RU2301516C2 (ru) Самоходный льно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CN2498822Y (zh) 一种玉米联合收割机
CA1089314A (en) Pea harvesters
JPH03474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