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64B1 -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64B1
KR102286564B1 KR1020200002263A KR20200002263A KR102286564B1 KR 102286564 B1 KR102286564 B1 KR 102286564B1 KR 1020200002263 A KR1020200002263 A KR 1020200002263A KR 20200002263 A KR20200002263 A KR 20200002263A KR 102286564 B1 KR102286564 B1 KR 10228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nozzle unit
height
unit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042A (ko
Inventor
김영수
강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이엔티
Priority to KR102020000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노즐 유닛에서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는 노즐 유닛, 센서부 및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은 조사단계, 작성단계 및 제어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nozzle unit of a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유닛에서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금속 분말과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시 사용되는 것으로, DED(Direct Energy Deposition) 방식과 PBF(Powder Bed Fusion) 방식 및 ME(Material Extrusion) 방식 등 3가지 종류로 나뉜다.
DED(Direct Energy Deposition) 방식은 고출력 레이저를 집광해 모재에 용융풀을 형성하고 금속 분말이나 와이어를 공급해 적층하는 방식을 말한다.
PBF(Powder Bed Fusion) 방식은 금속 분말을 얇게 깔고 레이저 프린터와 동일한 원리로 고출력 레이저를 분말에 조사해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형상을 만들어 낸다. DED 방식에 비해 강도는 떨어지지만 복잡한 형상제작에 유리하다.
ME(Material Extrusion) 방식은 금속 보다는 플라스틱 계열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주로 액체 상태의 플라스틱을 밀어내어 적층하는 방식이다. 금속에 ME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금속을 녹여야 하는 조건을 가진다.
이러한 3D 프린터에 있어, 금속 3D 프린터는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레이저 빔은 광케이블을 거친 후 노즐유닛의 레이저 헤드를 통하여 조사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레이저 빔은 노즐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광학계를 거친 후 조사되는 데, 이때 레이저 헤드는 노즐유닛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도달하는 포커스 지점 또한 항시 동일한 위치로 지정된다.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과 접하는 레이저 빔의 사이즈 또한 항시 동일한 사이즈로 조사되는 데, 이때 가공대상물의 가공위치나 가공조건에 따라 레이저 빔 사이즈 조절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레이저 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하여 노즐유닛 내의 광학계를 조절 또는 교체하고, 부수적으로 다른 부품을 새로 세팅(setting)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병행됨은 물론, 노즐유닛의 정밀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원하는 빔 사이즈로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아 정밀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7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7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 유닛에서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정밀도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는 3D 프린터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면에 광케이블이 결합되고, 내부에 광학계가 구비된 노즐 본체와, 상기 광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광학계를 거친 후 이송되는 레이저 광선을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 유닛; 상기 노즐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은 상기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으로,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상기 노즐 유닛이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단계; 센서부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하는 작성단계; 및 통합 제어부가 상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노즐 유닛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커스 지점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출력과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치 않게됨은 물론,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3D 프린터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를 갖춘 금속 3D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3D 프린터를 CNC 자체로 사용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에는 레이저 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하여 노즐유닛 내의 광학계를 조절 또는 교체하고, 부수적으로 다른 부품을 새로 세팅(setting)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번거로운 작업이 병행됨은 물론, 노즐유닛의 정밀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원하는 빔 사이즈로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아 정밀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노즐 유닛에서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정밀도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는 노즐 유닛(100), 센서부(200) 및 통합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 유닛(100)은 도시되지 않은 3D 프린터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면에 광 케이블(미도시)이 결합되고, 내부에 광학계(미도시)가 구비된 노즐 본체(120)와, 상기 광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광학계(미도시)를 거친 후 이송되는 레이저 광선(B)을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11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100)은 3D 프린터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130)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낮이 조절부(130)에 의해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부(130)는 예컨대 3D 프린터(미도시)에 구비되어 노즐 유닛(100)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기어드 모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적용하여 노즐 유닛(100)을 승하강 시킬 수도 있다.
이때, 노즐 유닛(100)은 높낮이 조절부(130)에 의해 높낮이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자체의 Z축 이동에 의해 높낮이가 변경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높낮이 조절부(130)를 설명한 것일 뿐, 이러한 기술적 구성 없이 CNC 자체의 Z축 이동을 이용하여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노즐 유닛(100)을 구성하는 노즐 본체(120) 및 레이저 헤드(110)는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은 아니므로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센서부(200)는 노즐 유닛(100)에 설치되고,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에 따라 레이저 광선(B)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한다. 여기서, 레이저 광선(B)의 특성들이라 함은,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 음향(주파수) 및 파장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광센서(210), 어쿠스틱센서(220) 및 스펙트럼센서(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0)는 레이저 광선(B)의 방출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210),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이 가공부재의 일면을 절삭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을 측정하기 위한 어쿠스틱센서(220) 및 레이저 광선(B)의 파장을 측정하기 위한 스펙트럼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부(2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됨에 따라, 레이저 헤드(120)에서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방출 유무를 측정하고, 레이저 광선(B)이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됨에 따라 적층 및 절삭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이저 광선(B)의 음향 즉, 주파수(Hz)를 측정하며,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특정 파장대를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한 후, 통합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센서부(200)의 설치위치는 노즐 유닛(10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광선(B)의 방출 유무, 음향, 파장과 같은 특성들을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에든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부(200)는 상기와 같은 광센서, 어쿠스틱센서 및 스펙트럼센서로 구성된다고 기재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방출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그 레이저 광선(B)이 가공부재를 절삭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레이저 광선(B)의 파장대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의 다양한 센서들을 적용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통합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값과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비교 및 분석하여, 센싱값이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의 범위 내라고 판단하면,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 및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가 유지되도록 높낮이 조절부(130) 및 도시되지 않은 광학계를 제어하고,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 및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가 증감되도록 높낮이 조절부(130) 및 상기 광학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통합 제어부(300)가 높낮이 조절부(130)를 제어하여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CNC 자체의 Z축 이동을 제어하여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 광학계를 조절하는 기술적 구성은 예컨대, 광학계의 폭을 조절하여 레이저 광선의 폭을 조절하는 등 해당분야의 기술자가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은 센서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센싱값과 비교하여 최적의 포커스 지점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값 또는 비교값으로서, 제1 설정값은 하한값으로, 상한값인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과 비교하여, 최적의 포커스 지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포커스 지점에 따라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적의 레이저 출력과 높이를 유지하면서 가공을 할 수 있기에, 정밀한 가공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 제어부(300)는 저장부(310) 및 산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310)는 상기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이 미리 저장되고, 센서부(200)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1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310)는 노즐 유닛(100)의 상태정보나, 상기 센싱값과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통하여 최적의 포커스 지점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산출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센싱값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2개 또는 3개 이상 비교 및 조합한 후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를 유지시키거나 증감하기 위한 최적의 포커스 지점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주파수의 변화 또는 소리의 파장 변화로 레이저 광선(B)의 위치를 감지하여 최적의 포커스 지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포커싱 위치에 따라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즐 유닛(1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커스 지점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출력과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어짐은 물론, 정밀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부분 또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은 상술한 노즐유닛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와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단계(510), 작성단계(520) 및 제어단계(530)를 수행한다.
조사단계(510)에서는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노즐 유닛(100)이 레이저 광선(B)을 조사한다. 여기서, 가공부재는 3D 프린터의 적층 및 절삭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 제품을 위한 가공 대상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이라 함은, 가공 대상물을 절삭하여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광선(B)이 조사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작성단계(520)에서는 센서부(200)가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헤드(1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에 따라, 레이저 광선(B)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한다.
여기서, 센서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선(B)의 방출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210),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이 가공부재의 일면을 절삭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을 측정하기 위한 어쿠스틱센서(220) 및 레이저 광선(B)의 파장을 측정하기 위한 스펙트럼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성된 센싱값은 통합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제어단계(530)에서는 통합 제어부(300)가 작성단계(520)에서 작성된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 및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단계(530)는 비교 및 판단단계(531), 유지단계(532) 및 높낮이 및 출력 세기 제어단계(533)를 포함한다.
비교 및 판단단계(531)에서는 작성단계(520)에서 작성된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비교 및 조합하여,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센싱값이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의 범위 내라고 판단되면, 유지단계(532)에서는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와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가 유지되도록 높낮이 조절부(130) 및 광학계(미도시) 또는 레이저 헤드(110)를 제어한다.
반면, 상기 센싱값이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의 범위 내라고 판단되면, 높낮이 및 출력 세기 제어단계(533)에서는 레이저 광선(B)의 출력 세기 및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가 증감되도록 높낮이 조절부(130) 및 상기 광학계 또는 레이저 헤드(11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에 의하면, 노즐 유닛(1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커스 지점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B)의 출력과 노즐 유닛(1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노즐 유닛
110: 레이저 헤드 120: 노즐 본체
130: 높낮이 조절부
200: 센서부 210: 광센서
220: 어쿠스틱센서 230: 스펙트럼센서
300: 통합제어부
310: 저장부 320: 산출부
510: 조사단계 520: 작성단계
530: 제어단계

Claims (5)

  1. 3D 프린터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면에 광케이블이 결합되고, 내부에 광학계가 구비된 노즐 본체와, 상기 광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광학계를 거친 후 이송되는 레이저 광선을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 유닛;
    상기 노즐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이저 광선의 방출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 상기 포커스 지점으로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 광선의 음향을 측정하기 위한 어쿠스틱센서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파장을 측정하기 위한 스펙트럼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센싱값이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의 범위 내라고 판단하면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 및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 및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가 증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기재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와 노즐 유닛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으로,
    가공부재의 포커스 지점으로 상기 노즐 유닛이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단계,
    센서부가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선의 특성들을 측정하여 센싱값을 작성하는 작성단계 및
    통합 제어부가 상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센싱값과 미리 저장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센싱값과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싱값이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의 범위 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 및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유지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상기 레이저 광선의 출력 세기 및 상기 노즐 유닛의 높낮이가 증감되도록 제어하는 높낮이 및 출력 세기 제어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방법.
  5. 삭제
KR1020200002263A 2020-01-07 2020-01-07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28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63A KR102286564B1 (ko) 2020-01-07 2020-01-07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63A KR102286564B1 (ko) 2020-01-07 2020-01-07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42A KR20210089042A (ko) 2021-07-15
KR102286564B1 true KR102286564B1 (ko) 2021-08-06

Family

ID=7689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63A KR102286564B1 (ko) 2020-01-07 2020-01-07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5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364A (ja) 1988-04-18 2002-10-29 Three D Syst Inc ビームプロファイル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850222B1 (ko) 2016-12-28 2018-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차원 프린터의 축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69B1 (ko) * 2001-11-16 2004-02-19 주식회사 인스텍 레이저 클래딩과 직접 금속 조형기술에서 이미지 촬영과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클래딩 층 높이의 실시간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054920B (zh) * 2014-11-14 2022-09-16 株式会社尼康 造形装置及造形方法
KR101657700B1 (ko) 2015-05-29 2016-09-20 한국광기술원 3d 프린터의 광조사 장치
KR101676738B1 (ko) 2015-09-16 2016-11-16 주식회사 카본티씨지 3d 프린터 빔 조절장치
KR101858558B1 (ko) * 2016-07-26 2018-05-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클래딩 장치
KR20180093350A (ko) * 2017-02-13 2018-08-2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가변형 레이저 클래딩 헤드
KR102000922B1 (ko) * 2017-08-31 2019-07-17 주식회사 디이엔티 금속 3d 프린터의 레이저 빔 사이즈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364A (ja) 1988-04-18 2002-10-29 Three D Syst Inc ビームプロファイル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850222B1 (ko) 2016-12-28 2018-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차원 프린터의 축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42A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31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work pieces with a radiation detection device
JP7126012B2 (ja) 校正デバイスを備えた製品の付加製造のための装置及びこの装置の校正方法
US20160263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with thermal focus shift compensation
JP7268961B2 (ja) レーザ加工のための微細スケールでの時間的制御
EP3210713A1 (en) Laser power monitoring in additive manufacturing
WO2017189982A1 (en) Visible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US10537964B2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and laser machining method for performing laser machining while controlling reflected light
CN101990478B (zh) 加工控制装置以及激光加工装置
JPWO2019188155A1 (ja) レーザ切断加工装置及びレーザ切断加工方法
US20140021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by Means of a Laser Beam
WO2017196956A1 (en) Hybrid micro-manufacturing
CN113365774B (zh) 用于自动化地求取激光加工参数对激光加工的影响的方法以及激光加工机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70122254A (ko) 레이저 가공을 위한 초기 거리 접근 방법
JP2018153935A (ja) 積層造形装置、処理装置、及び積層造形方法
US20190219522A1 (en) Laser processing device warning of contamination of protective window during laser processing
US20170291258A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laser processing while controlling reflected light
US20170157711A1 (en) Piercing Workpieces by a Laser Beam and an Associated Laser Processing Machine
KR102286564B1 (ko) 3d 프린터의 노즐유닛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7123938B (zh) 一种用于激光切割薄膜的功率补偿方法及其补偿系统
JP2013119098A (ja) レーザ肉盛装置とレーザ肉盛方法
US201201039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formation of striation patterns in laser cutting
US20220274202A1 (en)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WO2020218269A1 (ja) レーザ加工機及び加工条件設定方法
US11571750B2 (en) Lamina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molded object
JPH0275489A (ja) 焦点距離自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