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96B1 -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96B1
KR102286496B1 KR1020210020175A KR20210020175A KR102286496B1 KR 102286496 B1 KR102286496 B1 KR 102286496B1 KR 1020210020175 A KR1020210020175 A KR 1020210020175A KR 20210020175 A KR20210020175 A KR 20210020175A KR 102286496 B1 KR102286496 B1 KR 10228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t member
coating
ma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담
Priority to KR102021002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06M13/148Polyalcohols, e.g. glycerol or gluc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이 누워 휴식이나 취침을 하는 반려동물 침대에 있어서, 바닥 상에 위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 매트부재; 상기 바닥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매트부재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매트부재가 가려지도록 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벽면부재; 상기 매트부재와 바닥판 및 상기 벽면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부재는,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외면에 씌워져 결합되며,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습기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매트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와, 상기 벽면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Companion animal b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반려동물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잘 수 있도록 보온성을 제공하는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인간과 함께 더불어 생활하는 반려동물로서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키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애완동물을 위한 용품들의 진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애완동물의 용품에 대한 연구 개발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용품 중, 애완동물이 편안하게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침대는 그 일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48661호에서 같이 애완동물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받침부재와, 외부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폐막부재로 형성되는 형태로 사용하여 왔다. 이때 받침부재 및 차폐막부재는 주로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며, 받침부재의 상부에 별도의 쿠션재를 마련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애완동물용 침대에서 애완동물이 분뇨를 분비하게 되면 쿠션재와 받침부재를 모두 분뇨로 적시게 되며, 특히 일반 쿠션재 등은 방수성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분뇨에 쉽게 오염되어 재사용하거나 세탁 할 수 없어 교체해야 하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대로 방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냄새, 쿠션재의 날림, 외관상의 문제 등 위생 및 환경상 좋지 않게 되고, 또한 받침부재에 남겨진 얼룩이나 냄새를 없애야하는 등의 그 뒷처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애완동물,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 등은 습관적으로 벽이나 바닥을 긁게 되는데, 이때 받침부재, 차폐막부재 및 쿠션재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또한 받침부재와 쿠션재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시 부피를 차지하여 보관상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려동물이 편하게 쉴 수 있으며 분뇨에 의한 얼룸이나 냄새가 배지 않도록 방수, 방오, 방취 기능이 발휘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하도록 매트와 벽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이 편리한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이 누워 휴식이나 취침을 하는 반려동물 침대에 있어서, 바닥 상에 위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 매트부재; 상기 바닥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매트부재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매트부재가 가려지도록 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벽면부재; 상기 매트부재와 바닥판 및 상기 벽면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부재는,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외면에 씌워져 결합되며,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습기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매트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와, 상기 벽면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 직물층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된 코팅층;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고, 표면층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이 코팅되고, 방향물질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의 외면에 커버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매트부재를 제작하는 1공정; 경질로 된 판넬의 외면에 커버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벽면부재를 제작하는 2공정; 상기 매트부재와 벽면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매트부재와 벽면부재 각각의 외면에 부착수단을 형성하는 3공정; 상기 벽면부재를 매트부재의 외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되 벽면부재가 매트부재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매트부재가 가려져서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4공정;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3공정의 부착수단은 매트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와, 상기 벽면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층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을 코팅하고, 상기 방향물질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제1 덕트, 제2 덕트 및 제3 덕트가 슬라이딩되면서 중첩되도록 결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흡배기호스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편하게 쉴 수 있으며 분뇨에 의한 얼룸이나 냄새가 배지 않도록 방수, 방오, 방취 기능이 발휘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하도록 매트와 벽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덕트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덕트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는, 반려동물이 누워 휴식이나 취침을 하는 것으로, 바닥판(2), 매트부재(4), 벽면부재(6), 부착수단(8)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침대는, 바닥 상에 위치되는 바닥판(2); 바닥판(2)의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 매트부재(4); 바닥판(2)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매트부재(4)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매트부재(4)가 가려지도록 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벽면부재(6); 매트부재(4)와 바닥판(2) 및 상기 벽면부재(6)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2)은 목재, 합성수지 등의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지지되어 이물질이 매트부재(4)에 직접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바닥의 차가운 온도가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줄 수 있어 반려동물에 대한 보온 역할을 할 수 있다.
매트부재(4)는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42)와, 쿠션부재(42)의 외면에 씌워져 결합되며,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습기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44)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441); 직물층(441)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된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형성된 표면층(44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면층(442)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443)이 코팅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방향물질(443)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된다.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수단(8)은, 매트부재(4)와 벽면부재(6)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하여 세탁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른 부착수단(8)은, 매트부재(4)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81)와, 상기 벽면부재(6)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81)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착부(81) 및 제2접착부(82)는 벨크로 파스너 또는 스냅 파스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42)의 외면에 커버(44)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100)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매트부재(4)를 제작하는 1공정(S1);
경질로 된 판넬의 외면에 커버(44)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100)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벽면부재(6)를 제작하는 2공정(S2);
매트부재(4)와 벽면부재(6)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매트부재(4)와 벽면부재(6) 각각의 외면에 부착수단(8)을 형성하는 3공정(S3);
벽면부재(6)를 매트부재(4)의 외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되 벽면부재(6)가 매트부재(4)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매트부재(4)가 가려져서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4공정(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공정(S1)은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42)를 준비한다. 쿠션부재(42)는 라텍스, 스펀지, 기타 직물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당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쿠션부재(42)의 외면에 커버(44)를 감싼 후 재봉 또는 접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커버(44)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441); 직물층(441)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된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형성된 표면층(44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면층(442)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443)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물질(443)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커버(44)가 결합된 쿠션부재(42)로 완성된 매트부재(4)는 접착제 또는 기타 화학성분이 잔존하게 되므로 이를 가열시켜 베이킹시킴으로써 제거시킨다.
따라서 매트부재(4)를 덕트부(100)에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키게 된다.
2공정(S2)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의 경질로 된 판넬을 준비하고, 이 판넬의 외면에 커버(44)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하여 벽면부재(6)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벽면부재(6)를 덕트부(100)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벽면부재(6)를 제작한다.
3공정(S3)은 매트부재(4)와 벽면부재(6)가 서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매트부재(4)와 벽면부재(6) 각각의 외면에 부착수단(8)을 형성한다.
일 예에 따른 부착수단(8)은, 매트부재(4)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81)와, 상기 벽면부재(6)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81)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착부(81) 및 제2접착부(82)는 벨크로 파스너 또는 스냅 파스너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공정(S1) 및 2공정(S2)의 덕트부(100)는, 완성된 매트부재(4), 벽면부재(6)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부(C)와, 컨베이어벨트부(C)의 상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되면서 중첩되도록 결합되고, 체결부재(F)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제1 덕트(110), 제2 덕트(120) 및 제3 덕트(130)로 구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흡배기호스(C)를 포함한다.
덕트부(100)는 제1 내지 제3 덕트(110, 120, 1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110), 제2 덕트(120) 및 제3 덕트(13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으나, 내부에 설치된 흡배기호스(C)를 보호하도록 일정 이상을 강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덕트(110), 제2 덕트(120) 및 제3 덕트(130) 각각은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이며, 제1 덕트(110)와 제3 덕트(130)는 각기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135)이 형성된다.
제1 덕트(110), 제2 덕트(120) 및 제3 덕트(130)의 슬라이드 홈(135)에 체결부재(F)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이렇게 적절하게 덕트부(100)의 길이를 설정한 후 체결부재(F)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이렇게 연결된 제1 내지 제3 덕트(110, 120, 130)의 내부에는 흡배기호스(C)이 배치된다.
흡배기호스(C)를 통해 상온공기를 공급하여 대상물품(매트부재(4), 벽면부재(6))의 건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아울러 건조공정 후 발생되는 가스(접착제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회수할 수 있다. 외부에는 정화장치가 구비되어 흡배기호스(C)와 연결된다.
따라서 덕트부(100)를 통과하는 컨베이어벨트(C)에 대상물품(매트부재(4), 벽면부재(6))을 적재한채 이동시키면서 건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고, 아울러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바닥판 4 : 매트부재
6 : 벽면부재 8 : 부착수단
42 : 쿠션부재 44 : 커버

Claims (3)

  1. 반려동물이 누워 휴식이나 취침을 하는 반려동물 침대에 있어서,
    바닥 상에 위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 매트부재;
    상기 바닥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매트부재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매트부재가 가려지도록 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벽면부재;
    상기 매트부재와 바닥판 및 상기 벽면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부재는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외면에 씌워져 결합되며,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습기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매트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제1접착부와, 상기 벽면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접착부와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
    상기 직물층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된 코팅층;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방향물질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침대.
  2. 삭제
  3. 쿠션을 갖는 쿠션부재의 외면에 커버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매트부재를 제작하는 1공정;
    경질로 된 판넬의 외면에 커버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접착한 후 덕트부를 통과시키면서 건조 및 탈취시켜 벽면부재를 제작하는 2공정;
    상기 매트부재와 벽면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매트부재와 벽면부재 각각의 외면에 부착수단을 형성하는 3공정;
    상기 벽면부재를 매트부재의 외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되 벽면부재가 매트부재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매트부재가 가려져서 안정감을 주도록 하는 4공정;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제1 덕트, 제2 덕트 및 제3 덕트가 슬라이딩되면서 중첩되도록 결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흡배기호스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1공정의 커버는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직물층;
    상기 직물층의 상면에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난연성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된 코팅층;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 또는 시트 접착으로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이 경화된 후 방향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방향물질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침대의 제조방법.

KR1020210020175A 2021-02-15 2021-02-15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75A KR102286496B1 (ko) 2021-02-15 2021-02-15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75A KR102286496B1 (ko) 2021-02-15 2021-02-15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96B1 true KR102286496B1 (ko) 2021-08-05

Family

ID=7731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175A KR102286496B1 (ko) 2021-02-15 2021-02-15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45Y1 (ko) * 2003-06-09 2003-08-25 문형근 애완동물용 소파
KR20150002214U (ko) * 2013-12-03 2015-06-11 김윤희 애완동물용 침대
KR20190059126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펫타운 애완동물 침대용 매트
KR20190002328U (ko) * 2019-08-26 2019-09-18 김병현 애완동물용 방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45Y1 (ko) * 2003-06-09 2003-08-25 문형근 애완동물용 소파
KR20150002214U (ko) * 2013-12-03 2015-06-11 김윤희 애완동물용 침대
KR20190059126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펫타운 애완동물 침대용 매트
KR20190002328U (ko) * 2019-08-26 2019-09-18 김병현 애완동물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471B1 (en) Baby mat
US5000116A (en) Self-covering pet bed
US20140069337A1 (en) Dog Mat
US20110311603A1 (en) Material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Pests
US20070056530A1 (en) Disposable pet garment
US9345228B2 (en) Bed and method of making the bed
US10701898B2 (en) Multi-functional reconfigurable pet enrichment system
US20160021845A1 (en) Covering for a pet crate
CA3007796C (en) Furniture apparatuses, and kits, systems, and uses of same
US11202524B1 (en) Stowable and deployable rug
KR102286496B1 (ko) 반려동물 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18239A1 (en) Odor reducing pet bed
US20160324328A1 (en) Support cushion having a disposable absorbent layer
US20080202434A1 (en) Pet comfort composite material
KR20110021448A (ko) 온열매트
JP2004323641A (ja) 機能性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用途
US11564374B2 (en) Pet resting structur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3143655U (ja) ペット用クッション
KR101386893B1 (ko)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가구용 에이비에스 엣지 마감재 제조방법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KR200481211Y1 (ko) 애완동물용 침대
US20070234968A1 (en) Pet grooming bag
JP3072490U (ja) 床用敷物
AU2014101453A4 (en) Portable pet mat
CN213593822U (zh) 一种高透气防水沙发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