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67B1 -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67B1
KR102286467B1 KR1020200040783A KR20200040783A KR102286467B1 KR 102286467 B1 KR102286467 B1 KR 102286467B1 KR 1020200040783 A KR1020200040783 A KR 1020200040783A KR 20200040783 A KR20200040783 A KR 20200040783A KR 102286467 B1 KR102286467 B1 KR 10228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obile high
pass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정기주
이원우
이강동
윤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이노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이노베스트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0004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은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을 포함하며,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차량 정보 저장부, 기동 정보 저장부, 및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 저장부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기동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상에 탑재된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로 차량 식별 정보 및 기동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는 물론 탑승 차량까지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상의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Mobile High Pass App Launch System}
본 발명은 톨링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로 주행중인 자동차 안에서 멈추지 않고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는 모바일 하이패스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패스 이용률이 80%에 이르고 있다. 첫 도입 당시 이용률인 16% 정도에서 64%가량 상승한 결과이다. 하이패스 이용량이 1000만대를 돌파하기 시작한 2014년과 비교해보아도 누적 기준 3000만대, 하루 평균 106만대가 늘어난 것으로 하이패스 이용이 상당히 보편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하이패스는 전용 단말기와 카드를 준비해야 하고, 차량 내에 설치까지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톨링 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휴대전화로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 멈추지 않고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모바일 하이패스 기능의 앱을 기동시키려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 탑승시 수동 터치에 의하여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기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모바일 하이패스가 사용자의 탑승 차량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대중교통과 같은 다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하이패스를 통해 하이패스의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1987633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는 물론 탑승 차량까지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상의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은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을 포함하며,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차량 정보 저장부, 기동 정보 저장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 저장부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기동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상에 탑재된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부는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로 차량 식별 정보 및 기동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는 물론 탑승 차량까지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상의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를 차량 정보 저장부에 등록하는 차량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이 탑재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모바일 하이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고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기동시키는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른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착오로 자신의 통신 단말을 통해 결재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부가 수행하는 통신 방식은 NFC 통신이고,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NFC 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잡한 통신 장비 없이 NFC 태그를 차량 내부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모바일 하이패스의 용이한 이용이 가능하고 부당한 착오 결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는 물론 탑승 차량까지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상의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이 탑재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모바일 하이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착오로 자신의 통신 단말을 통해 결재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잡한 통신 장비 없이 NFC 태그를 차량 내부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모바일 하이패스의 용이한 이용이 가능하고 부당한 착오 결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은 과금 정보 매칭 단말(110), 및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120)을 포함하며, 과금 정보 매칭 단말(110)은 다시 차량 정보 저장부(112), 기동 정보 저장부(114), 통신부(116), 및 차량 정보 등록부(118)를 포함한다.
과금 정보 매칭 단말(110)은 차량 식별 정보 및 기동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차량 내부의 근거리통신에 적합한 통신 수단으로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NFC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정보 저장부(110)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차량 식별 정보는 서로 다른 차량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로 구현될 수 있겠지만, 차량 등록 번호 정보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기동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상에 탑재된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부(130)는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차량 식별 정보 및 기동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는 물론 탑승 차량까지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상의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과금 정보 매칭 단말(100)이 NFC 태그(20)로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사용자 단말 거치대(30) 상에 NFC 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의 탑승 시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120)이 탑재된 자신의 통신 단말을 사용자 단말 거치대(30)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기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잡한 통신 장비 없이 NEC 태그를 차량 내부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모바일 하이패스의 용이한 이용이 가능하고 부당한 착오 결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정보 등록부(118)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를 차량 정보 저장부(112)에 등록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이 탑재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모바일 하이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120)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앱으로서, 통신부(116)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기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착오로 자신의 통신 단말을 통해 하이패스 결재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의 과금 정보 매칭 단말(20)은 궤적 기반 스마트 톨링 시스템에서 스마트폰 앱 결제를 편리하게 해주는 단말기이다.
궤적 기반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20)는, 초기에 스마트폰에서 차번호 ID를 등록하고 스마트폰에서 등록 버튼이 눌러지면, 스마트폰 NFC의 쓰기 모드에 의해 외부 차량용 NFC Tag는 NFC 차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20)가 되어 차번호가 등록된다.
차 번호가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20)에 등록된 후,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20)는 스마트폰의 NFC 쪽이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 NFC Tag(20)으로 근접하는 경우, 차 매칭 기동 정보 및 차 번호 ID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보내준다.
이때, 궤적 기반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 스마트폰의 서비스 앱(백그라운드 앱)은 기동 정보를 받고 스마트폰 앱을 기동시키고, 스마트폰 앱은 기동 정보를 받고 동작하며 앱에 등록된 차 번호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동작상태로 전환되고 자동으로 궤적 기반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앱이 구동 상태가 되어 결제모드가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궤적 기반 스마트 톨링 시스템에 등록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공 NFC에 초기 차량번호를 등록한다. 등록한 이후, NFC 태그(20)를 차량 거치대(30)나 붙이기 적당한 곳에 붙여 스마트폰을 NFC 위에 놓으면, 결제 스텐바이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이후,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200)이 차량 내부에 있게 되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모바일 하이패스 기능의 앱은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20)에서 보내오는 차량 정보와 앱이 가지고 있는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차량의 앱만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자동 앱 기동이 되고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모바일 하이패스 기능의 앱이 자동 작동하게 되어, 앱에서 자동 결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모바일 하이패스에서 NFC를 이용한 과금 정보를 차량과 매칭시키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하이패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서 차량의 번호 정보를 차량 내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로 보내면, NFC 차량 과금 정보 매칭 단말기는 차량 번호를 가지고 있다가 동일한 차량 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 검출되면 스마트폰의 백그라운드에서 활성화된 에이전트를 통하여 궤적 기반 모바일 하이패스 또는 모바일 하이패스 기능의 앱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과금 할 수 있는 스텐바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준다.
궤적 기반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스마트폰 앱에 이러한 NFC기능이 없으면 사용자는 자기 차량에 탑승한 다음 스마트폰의 앱을 수동으로 기동시켜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스텐바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일이 될 것인데 NFC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할 것이다.
20: NFC 태그
30: 사용자 단말 거치대
110: 과금 정보 매칭 단말
112: 차량 정보 저장부
114: 기동 정보 저장부
116: 통신부
118: 차량 정보 등록부
120: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

Claims (4)

  1.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정보 저장부;
    사용자 단말상에 탑재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의 기동 정보를 저장하는 기동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내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차량 식별 정보 및 상기 기동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을 포함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차량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하이패스 앱을 기동시키는 모바일 하이패스 기동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에 등록하는 차량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수행하는 통신 방식은 NFC 통신이고, 상기 과금 정보 매칭 단말은 NFC 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KR1020200040783A 2020-04-03 2020-04-03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KR10228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83A KR102286467B1 (ko) 2020-04-03 2020-04-03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83A KR102286467B1 (ko) 2020-04-03 2020-04-03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67B1 true KR102286467B1 (ko) 2021-08-05

Family

ID=7731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83A KR102286467B1 (ko) 2020-04-03 2020-04-03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109A (ko) * 2010-12-14 2012-06-22 (주)서원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27433B1 (ko) * 2011-11-04 2013-02-08 김현정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101629791B1 (ko) * 2015-06-30 2016-06-13 천은봉 하이패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식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KR101692866B1 (ko) * 2013-07-09 2017-01-05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를 위한 차량 정보가 내장된 스마트폰 충전겸용 아이덴티피케이션 케이블
KR20180083014A (ko) *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스마트단말기을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KR101987633B1 (ko) 2012-09-04 2019-09-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내에서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109A (ko) * 2010-12-14 2012-06-22 (주)서원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27433B1 (ko) * 2011-11-04 2013-02-08 김현정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101987633B1 (ko) 2012-09-04 2019-09-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내에서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1692866B1 (ko) * 2013-07-09 2017-01-05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를 위한 차량 정보가 내장된 스마트폰 충전겸용 아이덴티피케이션 케이블
KR101629791B1 (ko) * 2015-06-30 2016-06-13 천은봉 하이패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식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KR20180083014A (ko) *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스마트단말기을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2018B (fi) Pysäköintimaksujärjestelmä, tarkastuslaite ja identifiointiväline
JP2018190463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US20080270227A1 (en) System for Checking the Payment of Vehicle Parking Charges
CN103839159A (zh) 一种车辆支付系统
US20090176485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90065341A (ko)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
KR20110068116A (ko)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카드 및 그 방법
JP2014054902A (ja) 通知装置
CN105450417B (zh) 移动场景下的用户行为验证方法及装置
CN105976439A (zh) 停车场计费方法和装置
JP2007219785A (ja) タクシー料金のカードレス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027319A (ja) 端末間送金システム及び端末間送金方法
CN101256695A (zh) 一种近场通信终端自动充值的方法
JP2019185144A (ja) 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KR102286467B1 (ko) 모바일 하이패스 앱 기동 시스템
JP2002342892A (ja) 車両の制御装置、車両の制御方法、当該方法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当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CN103971420A (zh) 出租车费支付系统、调度服务器、车载终端及移动终端
US8138898B2 (en) Electronic device to be incorporated into a motor vehicle in order to help retrieve the device following a theft
JP20061955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2406519B1 (ko)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32528B1 (ko) 스마트단말을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시스템
JP2020089097A (ja) 充電システム
KR20120023354A (ko) 콤비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의 접근 보안성이 강화된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처리 방법
KR102381671B1 (ko) 안면인식 기반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KR20190082347A (ko) 주차시설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