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216B1 -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 Google Patents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216B1
KR102286216B1 KR1020210019810A KR20210019810A KR102286216B1 KR 102286216 B1 KR102286216 B1 KR 102286216B1 KR 1020210019810 A KR1020210019810 A KR 1020210019810A KR 20210019810 A KR20210019810 A KR 20210019810A KR 102286216 B1 KR102286216 B1 KR 102286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otrusion
spine
us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웅
Original Assignee
(주)비겐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겐의료기 filed Critical (주)비겐의료기
Priority to KR102021001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16B1/ko
Priority to KR1020210067067A priority patent/KR102562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에 관한 것으로, 매트몸체와 상기 매트몸체에 배치되는 열선과 상기 매트몸체의 상단 일측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연결되고 상기 매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는 매트부 및,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매트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안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롤러부재는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복수의 안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마유닛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복수의 경락을 각각 안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온열 치료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 경락을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ROLLER MEMBERS AND MASSAGE MA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열 치료와 함께 안마기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에 관한 것이다.
요즘 현대인들은 업무, 공부 등과 같은 일상생활로 인해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비활동 상태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으므로, 습관적으로 상체가 일방향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치우진 자세로 앉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 신체의 불균형으로 인해 만성피로, 목 통증, 어깨 결림, 요통, 허리 통증 등과 같은 질환을 얻을 수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척추 상태와 연관되어 있다.
허리 통증, 목 통증 등과 같은 척추로 인한 질환이 발생하였을 때, 통상 병원, 물리치료시설, 한의원 등에 찾아가 물리치료를 받아야만 했었다. 병원이나 물리치료실에서 실시하는 물리치료는 척추질환과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변위 부위에 대하여 핫팩(Hot Pack)을 이용하여 온열치료를 하거나 적외선 온열치료, 저주파 전기자극 치료, 척추 경락 마시자가 일반적이며, 한의원은 침이나 뜸 치료를 추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각의 물리치료 기구나 장치들은 사용방법과 절차에 따라 각각 조작하여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조작상, 이용상의 불편함을 수반하며 사람에게 커다란 경제적 부담, 시간적인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병원이나 의원을 찾지 않고, 가정에서 간편하게 온열치료와 함께 척추 마시지를 받아 척추질환을 완화하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33533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열 치료와 함께 안마기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러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롤러부재는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복수의 안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마유닛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복수의 경락을 각각 안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는,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하는 제1 안마유닛; 상기 제1 안마유닛과 다른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경락을 안마하는 제2 안마유닛; 및 상기 제1 안마유닛과 상기 제2 안마유닛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패널; 및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의 중앙측을 연결하는 센터핀;을 포함하는 롤러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마유닛과 상기 제2 안마유닛 사이의 간격(E1)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 사이의 간격(X)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안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에 고정되는 제1 롤러축; 상기 제1 롤러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블록; 상기 제1 롤러축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서브블록; 상기 제1 롤러축에서 상기 제1 센터블록과 상기 제1 서브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축과 상기 제1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축에서 상기 제1 센터블록과 상기 제1 서브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제1 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는,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1 돌출부;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2 돌출부; 및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1-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돌출부는 상기 제1-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1-2 돌출부 사이의 간격(E7)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들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안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에 고정되는 제2 롤러축; 상기 제2 롤러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블록;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센터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서브블록;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서브블록과 상기 롤러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축과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센터블록과 상기 제2 서브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롤러는,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1 돌출부;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2 돌출부; 및 상기 제2-1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돌출부는 상기 제2-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1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 사이의 간격(E8)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들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2-1 돌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서로 다른 경락을 안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1 돌출부는 상기 제1-1 돌출부에 대해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서로 다른 경락을 안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2 돌출부는 상기 제1-2 돌출부에 대해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마매트에 관한 것으로, 매트몸체;와 상기 매트몸체에 배치되는 열선;과 상기 매트몸체의 상단 일측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연결되고 상기 매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는 매트부; 및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매트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안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롤러부재는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와 연동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힌지축으로 연결되며, 일측부에는 상기 복수의 안마유닛을 지지하는 롤러지지유닛에 연결되는 링크피스가 배치되고, 타측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승강대; 상기 관통홀에 휠축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휠; 상기 이동블록의 상단에서 상기 승강대의 타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절개홈; 및 상기 이동블록의 단부에 배치되고, 타이밍벨트를 고정하는 벨트고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휠이 이동하는 가이드라인이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구동축에는 제1 풀리가 연결되는 구동모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부에 배치된 풀리브라켓에 제2 풀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지지되고, 양단부는 상기 밸트고정패널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타이밍벨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배치되고, 상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연결되는 이동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마기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크기 차이로 인해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 위치가 다르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충분한 안마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온열치료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근육통을 완화해 줄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척추 질환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완화하거나 또는 예방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에서 수용부와 롤러유닛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 이동가이드부재 및 커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 및 이동가이드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 및 이동가이드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 및 이동가이드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 및 이동가이드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표시된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개시된 롤러부재 및 이동가이드부재의 구조에서 가이드프레임이 삭제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표시된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표시된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에서 제1 안마유닛과 제2 안마유닛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재에서 제1,2 안마유닛과 사용자의 척추 경락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들 및 각각의 구조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되더라도,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통합되어 적용되고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100)는 매트부(200) 및 안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매트부(200)는 매트몸체(210), 열선(220), 수용홈(230) 및 이동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몸체(210)는 안마매트(100)의 전반적인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단면은 평평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바닥 또는 승강장치 또는 경사장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면도 평평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열선(220)은 상기 매트몸체(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를 통해 열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열선(220)은 상기 매트몸체(210)의 상부에 누운 사용자를 온열 치료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0)은 상기 매트몸체(210)의 상단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이동홈(240)은 상기 수용홈(230)에 연결되고 상기 매트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11를 참고하면, 상기 안마부(300)는 이동가이드부재(400), 커버부재(600) 및 롤러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400)는 상기 롤러부재(50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매트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가이드부재(400)는 가이드프레임(420), 구동모터(410), 제1 풀리(440), 제2 풀리(450), 타이밍벨트(430), 가이드레일(460) 및 이동베이스(4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은 상기 이동홈(24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은 상기 이동홈(240)의 양측부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423)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측면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매트몸체(210)의 하단에도 복수개의 체결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6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을 감싸며 보호하는 가이드커버(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커버(610)의 측면부에는 체결홀(611)이 형성되고, 하단플랜지에도 체결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커버(6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체결홀(6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체결홀(422)은 서로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커버(610)의 하단플랜지에 형성된 체결홀(612)과 상기 매트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홀(211)은 서로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은 상기 가이드커버(610)에 의해 상기 매트몸체(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측면부에는 가이드라인(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421)은 굴곡진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구동축(441)에는 상기 제1 풀리(44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600)의 모터커버(620)가 상기 구동모터(410)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커버(620)의 하단플랜지에는 체결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매트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홀(212)과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상기 모터커버(620)에 의해 상기 매트몸체(2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 풀리(45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타측부에 배치된 풀리브라켓(451)에 제2 풀리축(45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를 참고하면,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상기 제1 풀리(440)와 상기 제2 풀리(450)에 지지되고, 양단부는 상기 롤러부재(500)의 벨트고정패널(514)에 고정될 수 있다. 벨트고정패널(514)은 이하 검토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6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내부에서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60)의 양측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베이스(461)는 상기 가이드레일(460)에 배치되고, 상부는 상기 롤러부재(500)의 이동블록(5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510)은 이하 검토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구동모터(410)가 작동하면, 상기 제1 풀리(440)가 회전하고,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상기 제1,2 풀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타이밍벨트(430)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2 풀리에 형성된 요철부에 맞물릴 수 있다. 요철구조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상기 제1,2 풀리에 의해 이동할 때,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회전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4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2 풀리를 기준으로하여 상부의 타이밍벨트(430)를 지지하는 벨트지지봉(431a,431c)과 하부의 타이밍벨트(430)를 지지하는 벨트지지봉(431b,431d)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상부의 타이밍벨트(430)와 하부의 타이밍벨트(43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양단부는 상기 밸트고정패널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5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타이밍벨트(4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5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510)의 하단에는 상기 이동베이스(46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베이스(461)가 상기 가이드레일(460)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므로, 상기 이동블록(51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롤러부재(500)는 이동블록(510), 승강대(520), 가이드휠(530), 제1 안마유닛(540), 제2 안마유닛(550) 및 롤러지지유닛(5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510)은 상기 이동가이드부재(400)와 연동되며 상기 이동홈(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블록(510)의 하단에는 상기 이동베이스(461)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51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벨트고정패널(51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고정패널(514)의 체결홀(514a)이 볼트 체결되며 상기 벨트고정패널(514)을 상기 이동블록(51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벨트고정패널(514)이 상기 타이밍벨트(430)를 압박 고정하며 상기 이동블록(51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벨트고정패널(514)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430)가 상기 이동블록(510)에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가 작동하면, 상기 제1,2 풀리가 상기 타이밍벨트(43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타이밍벨트(430)에 연결된 상기 이동블록(5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20)의 내측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베이스(461)가 상기 가이드레일(460)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므로, 상기 이동블록(510) 또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대(520)는 상기 이동블록(51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브라켓(511)에 힌지축(512)으로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대(520)의 일측부에는 상기 롤러지지유닛(560)의 센터핀(561)에 연결되는 링크피스(52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마유닛(540)이 삽입되는 롤러축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에는 관통홀(5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휠(530)은 상기 관통홀(523)에 휠축(531)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휠(530)은 상기 가이드라인(421)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라인(421)의 굴곡진 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휠(530)은 상기 휠축(531)의 양단부에 한 쌍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휠축(531)에 대해 상기 가이드휠(530)은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휠(530)은 상기 가이드라인(421)을 따라 구르듯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510)의 상단에서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개홈(5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휠(530)이 상기 가이드라인(421)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승강대(520)는 힌지축(512)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며 상기 승강대(520)의 일측부는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는 하강하게 되는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는 상기 관통홀(523)을 형성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이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가 상기 이동블록(510)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절개홈(513)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가 상기 이동블록(510)의 상단에 접촉되고, 상기 승강대(520)의 일측부는 충분히 상승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홈(513)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대(520)의 타측부의 하강 깊이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반대측인 상기 승강대(520)의 일측부가 충분히 상승할 수 있도록 상승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520)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2 안마유닛(540,550)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1,2 안마유닛(540,550)이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충분히 상승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롤러지지유닛(560)은 상기 제1 안마유닛(540)과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패널(563) 및,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563)의 중앙측을 연결하는 센터핀(56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핀(561)의 중앙측은 상기 링크피스(524)에 의해 상기 승강대(5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대(5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센터핀(561)이 승강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563)에 연결된 제1,2 안마유닛(540,55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안마유닛(540)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경락을 안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안마유닛(540)은 제1 롤러축(548), 제1 센터블록(545), 제1 서브블록(546), 제1 롤러(541) 및 제1 베어링(547a,547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축(548)의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563)에 제1 연결구(548a)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터블록(545)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롤러축(548)의 중앙부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블록(546)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롤러축(548)의 양측부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롤러(541)는 상기 제1 롤러축(548)에서 상기 제1 센터블록(545)과 상기 제1 서브블록(546) 사이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547a,547b)은 상기 제1 룰러축과 상기 제1 롤러(541)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어링(547a,547b)은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롤러(541)는 상기 제1 베어링(547a,547b)의 외측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축(548)상에서 상기 제1 롤러(54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1 센터블록(545)과 상기 제1 서브블록(54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롤러(541)를 상기 제1 롤러축(548)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싶으면, 상기 롤러패널(563)을 분리한 후, 상기 제1 센터블록(545)의 측면에 상기 제1 서브블록(546)을 끼우고, 상기 제1 롤러(541)를 끼우는 순서로 배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 롤러(541)의 외측 둘레는 제1-1 돌출부(542), 제1-2 돌출부(544) 및 제1 함몰부(5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돌출부(542)는 상기 제1 롤러(541)의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2 돌출부(544)는 상기 제1 롤러(541)의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함몰부(543)는 상기 제1-1 돌출부(542) 및 상기 제1-2 돌출부(544)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돌출부(542)는 상기 제1-2 돌출부(544)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은 상기 제1 안마유닛(540)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경락을 안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은 제2 롤러축(558), 제2 센터블록(555), 제2 서브블록(556), 제2 롤러(551) 및 제2 베어링(557a,557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축(558)의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563)에 제2 연결구(558a)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터블록(555)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롤러축(558)의 중앙부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블록(556)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롤러축(558)에서 상기 제2 센터축의 양측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롤러(551)는 상기 제2 롤러축(558)에서 상기 제2 서브블록(556)과 상기 롤러패널(563) 사이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557a,557b)은 상기 제2 룰러축과 상기 제2 롤러(551)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베어링(557a,557b)은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롤러(551)는 상기 제2 베어링(557a,557b)의 외측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롤러축(558)상에서 상기 제2 롤러(55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2 센터블록(555)과 상기 제2 서브블록(55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롤러(551)를 상기 제2 롤러축(558)상에서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싶으면, 상기 롤러패널(563)을 분리한 후, 상기 제2 센터블록(555)의 측면에 상기 제2 롤러(551)를끼우고, 상기 제1 서브롤러를 끼우는 순서로 배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2 롤러(551)의 외측 둘레는 제2-1 돌출부(552), 제2-2 돌출부(554) 및 제2 함몰부(5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돌출부(552)는 상기 제2 롤러(551)의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2 돌출부(554)는 상기 제2 롤러(551)의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함몰부(553)는 상기 제2-1 돌출부(552) 및 상기 제2-2 돌출부(554)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돌출부(552)는 상기 제2-2 돌출부(554)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롤러부재(500)가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할 때, 상기 롤러부재(500)는 사용자의 척추(S)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400)가 작동하면, 상기 가이드휠(530)이 상기 가이드라인(421)을 따라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라인(421)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진 라인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휠(530)은 굴곡진 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520)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핀(561)이 상기 승강대(5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터핀(561)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563)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안마유닛(540)과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은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약간씩 승강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먼저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이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 한 후에, 다음 상기 제1 안마유닛(540)이 재차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하게 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안마유닛(540)과 상기 제2 안마유닛(550) 사이의 간격(E1)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N1,N2) 사이의 간격(X)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4mm일 수 있으나,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이 사용자의 경락을 먼저 안마하고 지나가면, 다음 상기 제2 안마유닛(550)이 사용자의 경락을 재차 안마하여 1회 이동으로 중복되는 경락 안마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안마유닛(540)에서 한 쌍의 제1 롤러(541)의 제1-1 돌출부(542)간의 간격(E2)과 상기 제2 안마유닛(550)에서 한 쌍의 제2 롤러(551)의 제2-1 돌출부(552)간의 간격(E5)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2 간격은 52mm일 수 있고, E5 간격은 74mm일 수 있으나,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마유닛(540)에서 한 쌍의 제1 롤러(541)의 제1-2 돌출부(544)간의 간격(E3)과 상기 제2 안마유닛(550)에서 한 쌍의 제2 롤러(551)의 제2-2 돌출부(554)간의 간격(E6)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3 간격은 114.5mm일 수 있고, E6 간격은 136.5mm일 수 있으나,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는 척추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경락(M1,N1)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경락을 모두 안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간격들을 서로 다르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1 돌출부(542)와 상기 제2-1 돌출부(552)가 이동하는 기준선(P1.P2)은 내측 경락(M1,M2)을 안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돌출부(544)와 상기 제2-2 돌출부(554)가 이동하는 기준선(P3.P4)은 외측 경락(N1,N2)을 안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541)에서 상기 제1-1 돌출부(542)와 상기 제1-2 돌출부(544) 사이의 간격(E7)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M1,N1)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551)에서 상기 제2-1 돌출부(552)와 상기 제2-2 돌출부(554) 사이의 간격(E8)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M1,N1)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7, E8의 간격은 62.5mm일 수 있으나,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1 돌출부(542)와 상기 제2-1 돌출부(552)가 이동하는 기준선(P1.P2)은 내측 경락(M1,M2)에 대한 안마 영역을 넓히면서 안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돌출부(544)와 상기 제2-2 돌출부(554)가 이동하는 기준선(P3.P4)은 외측 경락(N1,N2)에 대한 안마 영역을 넓히면서 안마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신체 크기에 따라 척추 부위에 배열된 경락들의 위치가 약간씩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치수관계를 형성함으로서, 사용자마다의 경락 위치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경락 위치가 다르더라도, 충분히 안마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1 돌출부(542)의 직경(F1)과 상기 제1-2 돌출부(544)의 직경(F2)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1 돌출부(542)의 직경(F1)이 상기 제1-2 돌출부(544)의 직경(F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직경 차이는 사용자의 척추 부위 형상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등 형상은 척추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갈수록 약간씩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다. 상기 제1-1 돌출부(542)는 척추에 더 인접한 경락(M1,M2)을 안마하고, 상기 제1-2 돌출부(544)는 상대적으로 척추에서 더 멀어진 경락(N1N2)을 안마하므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2 돌출의 직경을 상기 제1-1 돌출부(542)의 직경보다 작게 한 것이다. 이러한 직경 차이로 인해 사용자는 큰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 충분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1 직경은 50.2mm일 수 있고, F2 간격은 46.8mm일 수 있으나, 이는 설계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6에 개시된 상기 제1,2 안마유닛(540,550)의 간격(E4)은 162mm일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제1,2 안마유닛(540,550)의 설계사양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선(220)과 상기 안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전원모듈, 온열제어모듈 및 안마제어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열선(220) 또는 상기 안마부(3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온열제어모듈은 상기 열선(220)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온열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열선(220)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열치료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안마제어모듈은 상기 구동모터(410)를 구동하여 상기 롤러부재(500)가 상기 수용홈(230)에서 승강되고, 이동홈(240)을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형성된 경락을 안마하게 하는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안마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410)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롤러부재(500)가 이동하며 안마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 상기 온열제어모듈 및 상기 안마제어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러에 버튼 또는 다이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에 소프트웨어 앱을 설치하고 앱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매트(100)는 상기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며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 경락을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신체 크기 차이로 인해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 위치가 다르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충분한 안마를 실행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척추 질환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완화하거나 또는 예방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안마매트
200:매트부 210:매트몸체
220:열선 230:수용홈
240:이동홈
300:안마부
400:이동가이드부재 410:구동모터
420:가이드프레임 421:가이드라인
430:타이밍벨트 431:벨트지지봉
440:제1 풀리 441:구동축
450:제2 풀리 451:풀리브라켓
452:제2 풀리축 460:가이드레일
461:이동베이스
500:롤러부재 510:이동블록
511:힌지브라켓 512:힌지축
513:절개홈 514:벨트고정패널
520:승강대 522:롤러축홈
523:관통홀 524:링크피스
530:가이드휠 531:휠축
540:제1 안마유닛 541:제1 롤러
542:제1-1 돌출부 543:제1 함몰부
544:제1-2 돌출부 545:제1 센터블록
546:제1 서브블록 547a,547a:제1 베어링
548:제1 롤러축 550:제2 안마유닛
551:제2 롤러 552:제2-1 돌출부
553:제2 함몰부 554:제2-2 돌출부
555:제2 센터블록 556:제2 서브블록
557a,557b:제2 베어링 558:제1 롤러축
560:롤러지지유닛 561:센터핀
563:롤러패널
600:커버부재 610:가이드커버
620:모터커버

Claims (16)

  1.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롤러부재에 있어서,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하는 제1 안마유닛;
    상기 제1 안마유닛과 다른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경락을 안마하는 제2 안마유닛; 및
    상기 제1 안마유닛과 상기 제2 안마유닛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패널 및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의 중앙측을 연결하는 센터핀을 포함하는 롤러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에 고정되는 제1 롤러축, 상기 제1 롤러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블록, 상기 제1 롤러축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서브블록, 상기 제1 롤러축에서 상기 제1 센터블록과 상기 제1 서브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축과 상기 제1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축에서 상기 제1 센터블록과 상기 제1 서브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제1 롤러의 위치를 변경하며,
    상기 제2 안마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패널에 고정되는 제2 롤러축, 상기 제2 롤러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블록,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센터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서브블록,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서브블록과 상기 롤러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축과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축에서 상기 제2 센터블록과 상기 제2 서브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롤러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1 돌출부,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2 돌출부 및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1-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돌출부는 상기 제1-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마유닛과 상기 제2 안마유닛 사이의 간격(E1)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 사이의 간격(X)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1-2 돌출부 사이의 간격(E7)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들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일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1 돌출부;
    타측부를 형성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2 돌출부; 및
    상기 제2-1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돌출부는 상기 제2-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 사이의 간격(E8)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서 척추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락들 사이의 간격(Y)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돌출부와 상기 제2-1 돌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서로 다른 경락을 안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1 돌출부는 상기 제1-1 돌출부에 대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돌출부와 상기 제2-2 돌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서로 다른 경락을 안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2 돌출부는 상기 제1-2 돌출부에 대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부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019810A 2021-02-15 2021-02-1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KR10228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10A KR102286216B1 (ko) 2021-02-15 2021-02-1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KR1020210067067A KR102562989B1 (ko) 2021-02-15 2021-05-2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10A KR102286216B1 (ko) 2021-02-15 2021-02-1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67A Division KR102562989B1 (ko) 2021-02-15 2021-05-2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216B1 true KR102286216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810A KR102286216B1 (ko) 2021-02-15 2021-02-1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KR1020210067067A KR102562989B1 (ko) 2021-02-15 2021-05-2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67A KR102562989B1 (ko) 2021-02-15 2021-05-25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6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47B1 (ko) 2022-06-15 2023-01-31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척추 안마매트용 롤링마사지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350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선영의료기 온열물리치료침대용 온열물리치료장치시트
KR102138204B1 (ko) * 2020-06-02 2020-07-28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척추 마사지기용 롤링마사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521Y1 (ko) * 2003-09-22 2003-12-11 (주) 오케이메디젠 온열도자 승하강장치
KR101832281B1 (ko) * 2017-05-10 2018-02-27 (주)에이치케이 롤링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온열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350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선영의료기 온열물리치료침대용 온열물리치료장치시트
KR102138204B1 (ko) * 2020-06-02 2020-07-28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척추 마사지기용 롤링마사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47B1 (ko) 2022-06-15 2023-01-31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척추 안마매트용 롤링마사지 어셈블리
WO2023244010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척추 안마매트용 롤링마사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82A (ko) 2022-08-24
KR102562989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55B1 (ko) 베드형 물리치료 장치
CN101919774B (zh) 经穴指压按摩床
KR20010007647A (ko) 자동 온열 치료장치
KR102286216B1 (ko) 롤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매트
KR20090123029A (ko) 침대형 온열 치료기
KR100839125B1 (ko) 발 마사지기
KR100960220B1 (ko) 마사지 장치
KR200302771Y1 (ko) 온열치료기
KR20160064868A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회전복합형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101570868B1 (ko) 안마강도가 조절되는 롤링베드
KR20020082949A (ko) 척추 경혈용 지압장치
KR100567191B1 (ko)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20060132151A (ko) 마사지 겸용 온열치료기
KR20060042367A (ko)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 장치
KR200197270Y1 (ko) 온열치료장치
KR100317231B1 (ko) 온열치료용 의자
KR200278120Y1 (ko) 온열치료기
KR200371378Y1 (ko) 안마침대의 안마기
KR200308223Y1 (ko) 마사지겸용 온열치료기
KR20130132682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온열 치료기
KR200230945Y1 (ko) 회전식 온열치료도자를 갖는 온열 치료기
KR200234341Y1 (ko)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 장치
KR200279578Y1 (ko) 온열 치료기
KR100561967B1 (ko)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CN210542275U (zh) 一种康复保健理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