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020B1 -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20B1
KR102286020B1 KR1020200141547A KR20200141547A KR102286020B1 KR 102286020 B1 KR102286020 B1 KR 102286020B1 KR 1020200141547 A KR1020200141547 A KR 1020200141547A KR 20200141547 A KR20200141547 A KR 20200141547A KR 102286020 B1 KR102286020 B1 KR 10228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oiler
pipe
temperat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기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이종기
이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기, 이호준 filed Critical 이종기
Priority to KR102020014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여러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첫째, 난방수 및 급탕수를 공급/회수하기 위한 배관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둘째, 그럼에도 집합건물의 모든 세대에서는 고른 수압의 난방수/급탕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배관이 노후화 되더라도 배관을 교체하지 않고도 일정 수준의 수압을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는, 본 발명자가 창안한 총괄 자동 시스템이 채택된 것으로서, 보일러와 펌프 등에 투여되는 에너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로써 에너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에 비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설치작업과 유지관리사무 등에 투여되었던 비용은 이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NTERGRATED SYSTEM OF HOT WATER AND HEATING WA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 있어서, 온수를 비롯한 생활용수 공급시설과 냉난방시설은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적 요소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 온수와 난방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개별난방'과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그 대표방안으로 뽑을 수 있다.
개별난방은 각 세대마다 개별 보일러가 마련된 방식이고, 중앙난방은 공동 보일러를 통해 난방수와 급탕수를 생성한 후 이를 각 세대에 공급/회수하는 방식이다. 지역난방은 중앙난방에 비해 공동 보일러가 아닌 열병합발전소의 폐열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난방수와 급탕수를 각 세대에 공급/회수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중앙난방방식과 지역난방방식은 필연적으로 난방수 및 급탕수(온수)를 각 세대마다 공급/회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기계실과 집합건물의 각 세대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로써 배관작업과 유지관리라는 기술적 과제를 부담한다.
복잡하게 서로 연결된 배관작업과 그 유지관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기계실과 집합건물의 각 세대는 난방수와 급탕수를 각기 다른 공급관과 회수관을 통해 연결해야 했으므로, 이에 필요한 파이프라인만 하더라도 최소 4개의 배관이 필요하고, 이와 같이 많은 수의 배관은 설치적 측면과 유지관리적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누수점검에 있어서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경우 일반적 육안점검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므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제때에 제대로 인지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파이프라인 등 배관은 노후화 된다는 것이다. 노후화 된 배관은 수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위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만한 기술적 대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노후화 된 배관을 전면 교체하는 것 외엔 달리 마땅한 기술적 방안이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난방수배관과 급탕수배관은 이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배관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계실과 각 세대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이 노후화 될지라도, 각 세대에 공급되는 난방수/급탕수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방수와 급탕수가 통합배관을 통해 공급 및 회수될 경우 공급온수와 회수온수 간의 차압치(수압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방수/급탕수가 모든 세대에서 고른 수압으로써 공급 및 회수될 수 있게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일러와 펌프에 투여되는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라인의 누수여부를 자동점검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온수생성단계와 보일러화력조정단계와 온수공급/회수단계 및 펌프출력조정단계가 자동 제어될 수 있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보일러(160); 온수탱크(120); 펌프; 상기 보일러(160)와 상기 온수탱크(120)의 사이에서 열교환 연결되는 서브열교환기(110); 각 세대마다 구비되고 세대 내 난방배관(L4)과 열교환 연결되는 개별열교환기(260); 2개의 파이프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온수탱크(120)와 상기 개별열교환기(260) 및 상기 온수탱크(1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난방수공급관 및 난방수회수관; 2개의 파이프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온수탱크(120)와 세대 내 온수배관(L3) 및 상기 온수탱크(1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급탕수공급관 및 급탕수회수관;을 포함하는 투웨이 난방수/급탕수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공급관 및 상기 급탕수공급관은 단일의 공급관(140)으로 구현되고, 상기 난방수회수관 및 상기 급탕수회수관은 단일의 회수관(150)으로 구현되며, 상기 공급관(140)의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회수관(150)의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회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140) 및 상기 회수관(150)의 각 타단은 외부에 대해 폐쇄 연통된 구조이고, 일단은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되며 상기 개별열교환기(260)와 열교환 연결되는 세대분관(L1, L2)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대분관(L1, L2)은 세대 내 배설된 온수배관(L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내부에 일정량의 온수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보온챔버(2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세대분관은 온수유입관(L1)과 열교환관(L2)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입관(L1)의 일단은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온챔버(210)의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관(L2)의 일단은 상기 보온챔버(210)의 공간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상기 펌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버터 펌프로 이루어진 펌프유닛(130)이고,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Ts1);
상기 회수관(15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Ts2);
상기 제1 및 제2압력센서(Ts1, Ts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그 '차압치'를 산출하고, 상기 '차압치'가 상기 '설정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이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온수순환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상기 보일러(160)는 인버터 보일러이고,
상기 보일러(160)에서 생성된 열원(스팀, 온수 등)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Ts1);
상기 회수관(150)을 지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Ts2);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Ts1, Ts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그 '온도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차값'이 미리 저장된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보일러(160)가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온도차값'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보일러(1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온수순환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Ts3)가 더 포함되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제3온도센서(Ts3)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보일러화력정보'에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응하는 '보일러 화력치'를 검출한 다음, 그 화력치에 따라 상기 보일러(160)의 화력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500) 또는/및 스피커(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누수값'과 일치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해당 누수구간을 표시 또는/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브열교환기(110)의 수는 집합건물과 동수이거나 1 : 3이고,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 사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 간의 압력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압밸브(17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0)와 온수탱크(120) 및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온도센서(Ts1, Ts2, Ts3, Ts4)를 활성화하는 단계;
b) 미리 저장된 '보일러화력정보'에서 상기 제3온도센서(Ts3)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와 상응하는 '보일러 화력치'를 검출하고, 그 화력치에 따라 상기 보일러(160)를 가동하는 단계;
c) 상기 제4온도센서(Ts4)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 온도}가 미리 저장된 '적정온도'와 같거나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을 가동하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Ts1, Ts2)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 간의 '온도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차값'이 미리 저장된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보일러(160)가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온도차값'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보일러(1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0)와 온수탱크(120)와 펌프유닛(130) 및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 간의 '차압치'를 산출하고,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설정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이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차압치'가 상기 '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0)와 온수탱크(120)와 펌프유닛(130) 및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누수값'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해당 누수구간을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수 및 급탕수를 공급/회수하기 위한 배관의 수를 종래에 비해 절반 이상 줄일 수 있고, 그럼에도 집합건물의 모든 세대에서는 고른 수압으로 난방수/급탕수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배관이 노후화 되더라도 배관교체작업 없이 수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순환제어부에 의한 총괄 자동 제어체계에 따라, 난방수/급탕수에 적합한 온수생성단계, 보일러화력조정단계, 온수공급/회수단계, 펌프출력조정단계가 상황에 맞도록 적절히 자동 제어되는 "온수순환모드" 그리고, 배관의 누수여부를 실시간 자동점검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수모니터링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와 펌프 등에 투여되는 에너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로써 에너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에 비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설치와 유지관리사무에 소요되었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100)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대온수/난방유닛(200)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개략적 제어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온수순환모드(S200)의 상세 제어흐름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누수모니터링모드(S300)의 상세 제어흐름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누수구역화면출력단계(S330)에 관한 출력화면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100)의 시스템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100)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100)’은 이를 간략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이라 약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전기적·통신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물리적 구성과 주요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서브열교환기유닛(110), 온수탱크(120), 펌프유닛(130), 보일러(160), 디스플레이(500), 스피커(600) 및 다수의 감지센서들이 온수순환제어부(300)를 중심으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란, 파이프라인{후술할 공급관(140) 및 회수관(150)} 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와, 외부온도와 수온을 감지하는 4개의 온도센서 즉, 제1 내지 제4온도센서(Ts1, Ts2, Ts3, Ts4)를 말한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을 총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핵심적 구성요소이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가 총괄 자동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소스데이터(Source data)인 설정정보DB(310)와 연계 내지 연동된다(도 1 참조).
상기 설정정보DB(310)에 관하여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상기 설정정보DB(310)에 수록된 구성요소들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설정정보DB(310)에는 '보일러화력정보', '적정온도정보', '설정온도차정보', '설정압력정보', '설정시간정보' 및 '누수값정보'가 수록된다. 상기 '보일러화력정보'에는 상기 보일러의 화력치(보일러의 세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적정온도정보'에는 상기 온수탱크(120)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가 난방수/급탕수에 적합한 수온인지 여부 판단을 위한 "적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설정온도차정보'에는 상기 보일러(160)의 화력치를 조절할지 여부 판단을 위한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설정압력정보'에는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펌프의 세기)를 자동 조절할지 여부 판단을 위한 "설정압력"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설정시간정보'에는 특정 시간이 "설정시간"으로 저장되고, 상기 "설정시간"마다 제3온도센서(Ts3)에서 감지된 외부온도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에 수신된다. 상기 '누수값정보'에는 파이프라인의 두 지점{후술할 공급관(140), 회수관(150)} 간의 "차압치"(수압차)가 현저하여 해당 파이프라인에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볼만한 수치값이 "누수값"으로 설정 저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보일러(160), 서브열교환기유닛(110), 온수탱크(120), 펌프유닛(130), 집합건물의 각 세대마다 구비되는 다수의 세대온수/난방유닛(200) 및 상기 온수탱크(120)와 상기 다수의 세대온수/난방유닛(200)을 연결하는 단일의 공급관(140) 및 상기 다수의 세대온수/난방유닛(200)과 상기 펌프유닛(130)과 상기 온수탱크(120)를 연결하는 단일의 회수관(150) 그리고,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을 연결하는 차압밸브(17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의 각 일측 말단은 상호간 연통된다.
상기 서브열교환기유닛(110)은 복수의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는 각자의 온수탱크(120)와 연결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펌프유닛(130)은 다수의 펌프(131, 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온도센서(Ts1)는 상기 보일러(160)와 상기 복수의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라인(161, 163) 중에서 스팀 등으로 구현되는 '열원'이 상기 복수의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로 향하는 파이프라인(16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온도센서(Ts2)는 상기 회수관(150) 중 상기 펌프유닛(130)과 상기 온수탱크(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온도센서(Ts3)는 외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4온도센서(Ts4)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수탱크(120) 내에 위치함으로써 그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1압력센서(Ps1)는 상기 공급관(140) 중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출력단(도면부호 미도시)과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압력센서(Ps2)는 상기 회수관(150) 중 상기 펌프유닛(130)의 전단(입력측)과 인접한 부위에 위치한다.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의 사이에는 이들(140, 150) 간의 "차압치(수압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압밸브(170)가 연결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대온수/난방유닛(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온수/난방유닛(200)은 보온챔버(210)와, 개별열교환기(260)와, 난방수분배기(270)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챔버(210)는 내부가 폐색된 원통상이고, 이(210)는 그 내부에 일정량의 온수를 보온 저장함은 물론, 수압을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상술하면, 상기 보온챔버(2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합건물에 입상된 상기 공급관(140)의 외경 상에 브래킷(Bracket) 등 결속수단을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도면부호 미도시)는 2개의 파이프라인과 연통된다. 즉,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 공간부(도면부호 미도시)는 파이프라인으로 구현되는 온수유입관(L1)을 통해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되고, 열교환관(L2)을 통하여서는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열교환관(L2)은 상기 개별열교환기(260)를 경유함으로써 상기 개별열교환기(260)와 열교환 후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L2) 중 상기 개별열교환기(260)의 전단(입력측) 또는 후단(출력측) 소정 부위에는 세대 내 욕실 또는/및 주방에 급탕수(사용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배설된 온수배관(L3)과 연결(분기)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유닛(130)이 가동되면, 상기 온수탱크(120)에 저장된 온수가 상기 공급관(140)을 통해 집합건물의 높이방향으로 상승하고, 이는 다시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된 상기 온수유입관(L1)을 통해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온챔버(210) 내에는 일정량의 온수가 수용 저장되었다가, 상기 보온챔버(210)와 연결된 상기 열교환관(L2)을 통해 상기 개별열교환기(260)를 경유한 다음 회수관(150)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120)로 피드백(환수) 된다. 상기 보온챔버(210)의 외부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온수를 보온상태로 보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2중 단열재(235)가 구성된다.
세대 내 욕실 또는/및 주방에 구비된 온수밸브(미도시)가 세대원 등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경우, 상기 보온챔버(210) 내에 수용 저장된 온수가 상기 열교환관(L2)과 상기 온수배관(L3)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온수밸브(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온수밸브(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급탕수(사용온수)의 응답성은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왜냐하면, 상기 온수밸브(미도시)를 통해 최초 배출되는 냉수는 상기 온수배관(L3) 내에 정체된 극히 소량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급탕수(사용온수)가 배출되기까지의 지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급탕수(사용온수)가 배출되기까지 낭비되었던 물(냉수)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경은 상기 온수유입관(L1)과 상기 열교환관(L2)의 각 내경에 비해 1.5배 내지 1.65배로 함이 좋고,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 용적은 각 세대별 평수(넓이)에 따라 달리 적용함이 좋다(전용면적에 따라 내부 용적이 규격화 된 제품을 사용함이 바람직함). 왜냐하면, 상기 공급관(140)이 노후화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해 상기 공급관(140)에 작용하는 수압이 낮아질 경우, 종래에는 이들 배관을 전부 교체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그와 같은 교체 없이도 세대 내에 공급되는 온수의 수압을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온챔버(210)와 상기 온수유입관(L1) 및 상기 열교환관(L2) 간에는 "베르누이 효과"로 인해 수압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 단면적은 상기 온수유입관(L1)과 상기 열교환관(L2)의 단면적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유입관(L1)과 상기 열교환관(L2)에 비해 큰 압력이 작용하나, 상기 보온챔버(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의 유속은 상기 온수유입관(L1)보다 느려진다. 그런데, 온수가 상기 보온챔버(210)에서 상기 열교환관(L2)으로 유출될 때의 유속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온수유입관(L1)과 상기 열교환관(L2)에는 비교적 작은 압력이 작용하고, 이들(L1, L2) 내부를 지나는 온수의 유속은 상기 보온챔버(210)의 유속보다 빨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온챔버(210)를 각 세대의 입수전단에 추가 배치 구성하는 것만으로도 세대 내에 유입되는 온수의 유속을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L2)을 빠르게 유동하는 온수는 상기 개별열교환기(260)를 경유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관(L2)를 지나는 온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세대 내 난방이 이루어제 된다. 상기 개별열교환기(260)에는 난방배관(L4)이 경유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개략적 제어흐름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 가동 명령을 입력하면(S100),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온수순환모드(S200)와 누수모니터링모드(S300)를 동시에 활성화 한다. 즉,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온수순환모드(S200)를 활성화함으로써 온수생성단계(S210),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 온수공급/회수단계(S220) 및 펌프출력조정단계(S240)를 순차적·연속적·반복적으로 프로세스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온수순환모드(S200)의 상세 제어흐름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고, 상기 누수모니터링모드(S300)의 상세 제어흐름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 온수순환모드(S2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온수순환모드(S200)의 상세 제어흐름도이다. 상기 온수순환모드(S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위주로 하되, 그 순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온수생성단계(S210), 온수공급/회수단계(S220), 펌프출력조정단계(S240) 및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기로 한다.
<온수생성단계(S210)>
온수순환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라 온수순환모드(S200)가 시작되면,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온수생성단계(S210)를 프로세스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보일러(160)를 제외한 구성요소 즉,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감지센서(Ps1, Ps2, Ts1, Ts2, Ts3, Ts4)와 나머지 구성요소들(110, 120, 130)을 활성화 한다. 이에 따라, 제3온도센서(Ts3)를 통해 감지된 외부온도(감지신호)는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에 수신되고,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설정정보DB(310)의 '보일러화력정보'에서 상기 외부온도와 상응하는 '보일러 화력치'(화력의 세기)를 검출한다(S211, S212).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검출된 보일러 화력치로써 보일러(160)를 가동한다(S213).
이로써, 상기 온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서브열교환기(111)와 열교환작용을 통해 가열되기 시작된다. 이때, 제4온도센서(Ts4)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120) 내의 수온이 감지되고 그 감지신호는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에 수신된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수신한 감지온도(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가 설정정보DB(310)의 '적정온도정보'에 저장된 "적정온도"(예컨대, 98℃)보다 높거나 같을지 여부를 판단한다(S214).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위 판단단계(S214)의 결과가 부정이면(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인 98℃보다 낮으면)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를 프로세서 하고, 그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인 98℃ 이상이면) 온수공급/회수단계(S220)를 프로세스 한다.
<온수공급/회수단계(220)>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펌프유닛(130)에 제어명령을 발하고, 상기 펌프유닛(130)은 제어명령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프(131 또는/및 133)을 작동시킴으로써(S221), 온수공급/회수단계(220)가 개시된다.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펌프출력조정단계(S240)를 프로세스 한다.
<펌프출력조정단계(240)>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는 공급관(140)과 회수관(150)을 지나는 온수의 압력(수압)을 감지하고, 그 각각의 감지신호는 이를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에 송출한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제1압력센서(Ps1)를 통해 감지된 감지압력치에서 제2압력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압력치를 차감함으로써 두 지점 간의 "차압치"를 산출한 다음, 상기 "차압치"가 설정정보DB(310)의 '설정압력정보'에 저장된 "설정압력(예컨대, 15psi)"보다 클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241), 펌프출력조정단계(240)의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위 단계(S241)의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차압치"가 "설정압력" 15psi보다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에 펌프의 출력을 1단계 높일 것을 명령하고, 상기 펌프유닛(130)의 명령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프(131 또는/및 133)의 출력은 1단계 높아지게 된다(S242). 상기한 단계(S241)의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차압치"가 "설정압력" 15psi보다 작아질 때까지), 상기 펌프(131 또는/및 133)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때 위 단계(S242)에서 펌프(131 또는/및 133)가 작동정지 상태일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펌프유닛(130)을 통해 펌프(131 또는/및 133)의 작동을 제일 낮은 단계의 출력치로 가동(ON)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반면, 위 단계(S241)의 판단결과가 부정이면(산출된 "차압치"가 "설정압력" 15psi보다 작을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차압치"가 상기 "설정압력"보다 작을지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S243). 위 단계(S243)의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차압치"가 "설정압력" 15psi보다 작을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펌프유닛(130)에 펌프(131 또는/및 133)의 출력치를 1단계 낮출 것을 명한다(S244). 이때 위 단계(S244)에서 펌프의 출력치가 최저단계일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펌프유닛(130)을 통해 펌프의 작동을 정지(OFF) 시킨다.
위 단계(S244)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설정정보DB(310)의 '설정시간정보'에 저장된 "설정시간"(예컨대, 3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0), 그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설정시간" 3시간이 경과된 경우) 온도생성단계(S210) 중 외부온도감지단계(S211)로 피드백 시키고, 그 판단결과가 부정이면("설정시간" 3시간이 경과되지 아니한 경우) 종료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자체 판단한 후(S260), 그 판단결과가 긍정이면 온수순환모드(S200)를 종료(S270)하고, 부정이면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로 피드백 시킨다.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
전술한 단계들(S214, S260)의 이후에는 보일러화력조정단계(S230)가 프로세스 된다. 이 단계(S230)가 개시 되면, 제1 및 제2온도센서(Ts1, Ts2)를 통해 감지된 각각의 감지온도가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에 송출된다.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제1온도센서(Ts1)의 감지온도(스팀 등 열원온도)에서 제2온도센서(Ts2)의 감지온도(온수탱크에 회수되기 직전의 온수온도)를 차감함으로써 "온도차값"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온도차값"이 설정정보DB(310)의 '설정온도차정보'에 저장된 "설정온도차(예컨대, 20℃)"보다 클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
위 단계(S231)의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온도차값"이 "설정온도차" 20℃보다 높은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보일러(160)의 화력치를 현재의 것보다 1단계 높인다(S232). 이때 위 단계(S232)에서 보일러(160)가 작동정지 상태일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보일러(160)를 제일 낮은 단계의 화력치로 가동(ON)할 것을 명한다.
반면, 위 단계(S231)의 판단결과가 부정이면("온도차값"이 "설정온도차" 20℃보다 낮을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보일러(160)의 화력치를 현재의 것보다 1단계 낮춘다(S234). 이때 위 단계(S234)에서 보일러(160)의 출력치가 최저단계일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보일러(160)을 작동정지(OFF) 시킨다. 위 단계(S234)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전술한 단계(S231)로 피드백 시킨다.
한편, 상기한 단계(S232)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온도차값"이 "설정온도차"보다 작을지 여부를 판단한다(S233). 위 단계(S233)의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온도차값"이 "설정온도차" 20℃보다 낮은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앞서 본 단계(S234)를 프로세스함으로써 보일러의 화력을 저감시킨다.
반면, 위 단계(S233)의 판단결과가 부정이면("온도차값"이 "설정온도차" 20℃보다 높을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그 전단계(S232)로 피드백 시킴으로써 보일러(160)의 화력치를 1단계 높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수모니터링모드(S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누수모니터링모드(S300)의 상세 제어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누수구역화면출력단계(S330)에 관한 출력화면예시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온수순환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라 누수모니터링모드(S300)가 시작되면,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앞서 산출된 "차압치"가 설정정보DB(310)의 '누수값정보'에 저장된 "누수값"(예컨대, "30psi 이상")과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위 단계(S310)의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차압치"가 "누수값" 30Psi 이상일 경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누수구역을 화면출력하고(S320), 스피커(60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게 함으로써 누수에 관한 경보를 실시한다(S330).
반면, 위 단계(S310)의 판단결과가 부정이면("차압치"가 "누수값" 30Psi 미만일 경우)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전술한 단계(S310)로 피드백 시킨다.
이후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종료명령이 입력됐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긍정이면 누수모니터링모드(S300)를 종료하고(S350), 부정이면 전술한 단계(S310)로 피드백 시킨다.
도 8에서는, 누수모니터링의 대상은 집합건물을 그 기본단위로 하고, 이들 집합건물이 단지별로 조성된 것으로 하였으며, 디스플레이(500)의 화면상에 누수여부를 출력함에 있어서는 누수판정(추정)된 해당 집합건물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표시방법을 예시하였다.
100 :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110 : 열교환기유닛 111, 112, 113 : 서브열교환기
120 : 온수탱크
130 : 펌프유닛 131, 132 : 펌프
140 : 공급관 150 : 회수관
160 : 보일러 161, 163 : 파이프라인
170 : 차압밸브
Ts1 : 제1온도센서 Ts2 : 제2온도센서
Ts3 : 제3온도센서 Ts4 : 제4온도센서
Ps1 : 제1압력센서 Ps2 : 제2압력센서
200 : 세대온수/난방유닛
210 : 보온챔버 235 : 단열재
260 : 개별열교환기 270 : 난방수분배기
L1 : 온수유입관 L2 : 열교환관
L3 : 온수배관 L4 : 난방배관
300 : 온수순환제어부 310 : 설정정보DB
500 : 디스플레이 600 : 스피커
S100 : 시스템 가동 명령 입력
S200 : 온수순환모드 S210 : 온수생성단계
S220 : 온수공급/회수단계 S230 : 보일러화력조정단계
S240 : 펌프출력조정단계
S300 : 누수모니터링모드

Claims (10)

  1. 보일러(160); 온수탱크(120); 펌프; 상기 보일러(160)와 상기 온수탱크(120)의 사이에서 열교환 연결되는 서브열교환기(110); 각 세대마다 구비되고 세대 내 난방배관(L4)과 열교환 연결되는 개별열교환기(260); 2개의 파이프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온수탱크(120)와 상기 개별열교환기(260) 및 상기 온수탱크(1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난방수공급관 및 난방수회수관; 2개의 파이프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온수탱크(120)와 세대 내 온수배관(L3) 및 상기 온수탱크(1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급탕수공급관 및 급탕수회수관;을 포함하는 투웨이 난방수/급탕수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버터 펌프로 이루어진 펌프유닛(130)이고,
    상기 난방수공급관 및 상기 급탕수공급관은 단일의 공급관(140)으로 구현되고, 상기 난방수회수관 및 상기 급탕수회수관은 단일의 회수관(150)으로 구현되며, 상기 공급관(140)의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회수관(150)의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회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140) 및 상기 회수관(150)의 각 타단은 외부에 대해 폐쇄 연통된 구조이고, 일단은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되며 상기 개별열교환기(260)와 열교환 연결되는 세대분관(L1, L2)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대분관(L1, L2)은 세대 내 배설된 온수배관(L3)과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160)는 인버터 보일러이며,
    상기 보일러(160)에서 생성된 열원(스팀, 온수 등)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Ts1);
    상기 회수관(150)을 지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Ts2);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Ts1, Ts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그 '온도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차값'이 미리 저장된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보일러(160)가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6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온도차값'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보일러(1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온수순환제어부(300);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센서(Ts3);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제3온도센서(Ts3)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보일러화력정보'에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응하는 '보일러 화력치'를 검출한 다음, 그 화력치에 따라 상기 보일러(160)의 화력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량의 온수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보온챔버(2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세대분관은 온수유입관(L1)과 열교환관(L2)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입관(L1)의 일단은 상기 공급관(1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온챔버(210)의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관(L2)의 일단은 상기 보온챔버(210)의 공간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상기 회수관(15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Ps1);
    상기 회수관(15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Ps2);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그 '차압치'를 산출하고,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설정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이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차압치'가 상기 '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 수온을 감지하는 제4온도센서(Ts4)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제4온도센서(Ts4)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그 감지신호{상기 온수탱크(120) 내부 수온}가 미리 저장된 '적정온도'와 같거나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500) 또는/및 스피커(6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누수값'과 일치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해당 누수구간을 표시 또는/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의 수는 집합건물과 동수이거나 1 : 3이고,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 사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관(140)과 상기 회수관(150) 간의 압력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압밸브(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8. 제4항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와 온수탱크(120) 및 제1 및 제2 및 제3 및 제4온도센서(Ts1, Ts2, Ts3, Ts4)를 활성화하는 단계;
    b) 미리 저장된 '보일러화력정보'에서 상기 제3온도센서(Ts3)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와 상응하는 '보일러 화력치'를 검출하고, 그 화력치에 따라 상기 보일러(160)를 가동하는 단계;
    c) 상기 제4온도센서(Ts4)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 온도}가 미리 저장된 '적정온도'와 같거나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을 가동하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Ts1, Ts2)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 간의 '온도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차값'이 미리 저장된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보일러(160)가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6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온도차값'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보일러(16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보일러(1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3항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와 온수탱크(120)와 펌프유닛(130) 및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 간의 '차압치'를 산출하고,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설정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높이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이 작동 정지상태이면 이(130)를 가동시키는 반면, 상기 '차압치'가 상기 '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펌프유닛(130)의 출력치를 1단계씩 낮추거나 상기 펌프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따른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제어부(300)는,
    a) 사용자로부터 시스템 가동명령이 입력되면(S100), 보일러(160)와 서브열교환기(111, 112, 113, …)와 온수탱크(120)와 펌프유닛(130) 및 제1 및 제2압력센서(Ps1, Ps2)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차압치'가 미리 저장된 '누수값'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해당 누수구간을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00141547A 2020-10-28 2020-10-28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8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47A KR102286020B1 (ko) 2020-10-28 2020-10-28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47A KR102286020B1 (ko) 2020-10-28 2020-10-28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20B1 true KR102286020B1 (ko) 2021-08-04

Family

ID=7731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47A KR102286020B1 (ko) 2020-10-28 2020-10-28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11B1 (ko) * 2023-06-21 2024-02-06 곽병준 캐스케이드 보일러 연계형 열교환 패키지 구성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875A (ko) * 1997-11-07 1999-06-05 전주범 환수온도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비례제어방법
KR20020041505A (ko) * 2000-11-28 2002-06-03 이병욱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식 냉·난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6652B1 (ko) *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71557B1 (ko) * 2013-05-16 2014-12-12 (주)동호엔지니어링 태양열 및 중앙난방열을 이용한 아파트용 난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875A (ko) * 1997-11-07 1999-06-05 전주범 환수온도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비례제어방법
KR20020041505A (ko) * 2000-11-28 2002-06-03 이병욱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식 냉·난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1557B1 (ko) * 2013-05-16 2014-12-12 (주)동호엔지니어링 태양열 및 중앙난방열을 이용한 아파트용 난방시스템
KR101466652B1 (ko) *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11B1 (ko) * 2023-06-21 2024-02-06 곽병준 캐스케이드 보일러 연계형 열교환 패키지 구성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3489B (zh) 一种实现燃气热水器多机并联的方法及系统
KR101308915B1 (ko) 난방시스템 제어방법
CN105485941A (zh) 一种智能太阳能热水器
EP2584279A2 (en)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keeping facility for cooling and heating system provided with plurality of sensors
CN104832973B (zh) 主动式太阳能和co2空气热源泵联合采暖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86020B1 (ko) 난방수/급탕수 통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916447Y (zh) 供热分区分温分时控制系统
CN100458304C (zh) 双管式即开即用型太阳能热水器
CN206637866U (zh) 热水即开即用的太阳能热水系统
CN105605813A (zh) 一种新型太阳能热水器
KR102183459B1 (ko) 집합건물의 온수/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01069B1 (ko) 집단 난방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온도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770B1 (ko) 아파트용 중앙난방 시스템
CN201983463U (zh) 一种直热式热泵热水系统
CN104456972A (zh) 一种记忆型智能小型供热锅炉系统
KR101555959B1 (ko) 태양열 집열장치
CN100370192C (zh) 一种电热采暖机
KR102583364B1 (ko) 바이패스 기능을 이용한 온수 예열 기능을 갖는 세대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CN206555994U (zh) 一种省煤器水旁路系统
CN111156688A (zh) 一种双模双循环无垢热水器
CN108548208B (zh) 一种热水循环系统及控制方法
KR101188541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온수 시스템
KR20120092238A (ko) 에너지절약형 보일러 난방장치
KR20200016306A (ko) 급탕과 난방 복합시스템
CN204420287U (zh) 一种节水型冷热水阀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