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473B1 -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 Google Patents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473B1
KR102285473B1 KR1020200054518A KR20200054518A KR102285473B1 KR 102285473 B1 KR102285473 B1 KR 102285473B1 KR 1020200054518 A KR1020200054518 A KR 1020200054518A KR 20200054518 A KR20200054518 A KR 20200054518A KR 102285473 B1 KR102285473 B1 KR 10228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groove
connection ring
dispos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김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권 filed Critical 김태권
Priority to KR102020005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nnection ring comprising: an attachment panel in a shape of a plate; a connection panel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iddle, having first rotation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nel to be able to rotate; a cover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nel and having a second rotation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groove and form a rotation space in the shape of a polygon; and a handle grasped by a user, and having a rotating rod with a polygonal section arranged at both ends, wherein the rotating rod is arranged in the rotation space and the longer width of the sec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rotation space. As configur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o enable a finger of a user to be inserted, thereby enabling the safe carry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o enable the portable terminal to rot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various angles, thereby enab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used from various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a us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ld easily on a predetermined desk or a wall using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연결 고리{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Portable connecting ring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본 발명은 휴대 연결 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고, 책상, 벽면, 차량 등의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 연결 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nection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so that a user can stably carry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stably moun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 desk, wall, vehicle, etc. It's about the link.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DMB(Digital multimeadia broadcasting)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mart phone, a tablet, etc. that a user carries and uses, and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wireless communication. .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TV시청, 영화감상 등의 부가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mer,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watching TV and watching movies can be use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편리하게 보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적절한 각도로 유지시켜 주시하게 된다. In order to conveniently view an image using such a portable terminal,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to keep an eye on it.

휴대단말기를 통해 TV시청, 영화감상 등을 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In order to watch TV or watch a movie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video out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mus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user can see it well. you have to lean on it somewhere.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user is directly holding it by h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te for a long time because it puts a strain on the shoulder and wrist.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10-1062557호를 예시할 수 있다.As the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10-1062557 can be exemplif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nnection ring configured to fit a user's finger and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afely carried.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수직축과 수평축 방향으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휴대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에 배치되는 회전 로드가 회전할 때 일정 각도마다 걸림감이 느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손잡이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휴대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nnecting ring tha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rotate the portable terminal at various angl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nnection ring that allows the user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handle so that the user feels a sense of being caught at every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ating rod disposed on the handle rotates.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휴대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책상 또는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predetermined desk or wall using a portable connection r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의 부착판; 중앙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외주 양측으로는 제1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판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외주 양측으로는 상기 제1 회전홈과 연결되어 다각형의 회전 공간을 이루는 제2 회전홈이 형성되는 커버;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 공간 상에 배치되며, 단면의 장폭이 상기 회전 공간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의 회전 로드가 배치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shaped attachment plate; a connection plate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first rotation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a cov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having second rotation groove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to form a polygonal rotation space; and a handle gripped by a user and disposed on the rotational space at both ends, and a polygonal cross-section rotating rod having a long width of a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tational space is disposed. It provides a mobile connection ring comprising a.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벽면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cuboid-shaped cradle disposed on a wall surface or a dashboard of a vehicle.

상기 거치대의 배면 또는 하면은, 상기 벽면 또는 상기 대시 보드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이룰 수 있다.The rear or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ay form an attachment surfac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r the dashboard.

상기 삽입홈은, 입구에서 저부로 진행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from the entrance to the bottom a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삽입 및 이탈 시 상기 손잡이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caught on the handle when the insertion and departure of the handle.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탄성 로드와, 상기 탄성 로드의 상단에서 상기 삽입홈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may include an elastic r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elastic ro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부착판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는 일면으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제공될 수 있다.The attachment plate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that is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s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연결판은, 상기 부착판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The connecting plate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the attachment plate.

상기 연결판의 일면으로는, 상기 부착판이 배치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의 중심 둘레를 따라, 중심에서 외주를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onal irregularities formed with an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ttachment plate is disposed, and formed along a periphery of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groove,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periphery.

상기 부착판은, 상기 연결판에 접하는 일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 로드와,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상기 연결판에 접하는 일면으로 배치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요철에 걸리는 단부에 걸리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tachment plate includes a connecting rod that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an elast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disposed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hooked on the end caught in the rotation irregularities.

상기 제1 연결홈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s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2 연결홈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The central axes of the second connection grooves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1 회전홈과 상기 제2 회전홈의 내주면 상에는 단부가 상기 회전 로드의 모서리에 접하는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될 수 있다.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rotation groove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protrusions having an end contacting an edge of the rotation rod may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회전 공간 상에는 윤활유가 충진될 수 있다.Lubricating oil may be filled on the rotation space.

상기 손잡이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may include polycarbon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하여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afely carried.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수직축과 수평축 방향으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로드가 회전할 때 일정 각도마다 걸림감이 느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손잡이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rotate the portable terminal at various angl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handle so that a sense of engagement is felt at each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ating rod rotates.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휴대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책상 또는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a desk or wall using a mobile connection r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판의 저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의 B-B 선의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로드가 연결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커버의 저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회전홈, 제2 회전홈 및 회전 로드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회전홈, 제2 회전홈 및 회전 로드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D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배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sectional view along BB line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rotating groove, the second rotating groove and the rota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rotating groove, the second rotating groove and the rota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0 .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100)는 부착판(110), 연결판(120), 커버(130) 및 손잡이(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late 110 , a connection plate 120 , a cover 130 , and a handle 140 .

부착판(11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ttachment plate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부착판(110)은 휴대단말기(미도시)의 배면으로 배치된다. 이때,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는 부착판(110)의 일면으로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를 배치하여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부착판(110)의 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ttachment plate 11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not shown). At this time, an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10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or a double-sided tape is disposed so tha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ttachment plate 110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aintained.

부착판(110)은 연결 로드(112), 탄성편(114), 걸림부(154)를 더 포함한다. The attachment plate 110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rod 112 , an elastic piece 114 , and a locking part 154 .

연결 로드(11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부착판(110)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연결 로드(112)는 후술하는 연결판(120)의 연결홀(124)에 삽입되어 부착판(110)과 연결판(12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The connecting rod 112 is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The connection rod 11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24 of the connection pl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attachment plate 110 and the connection plate 1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로드(112)는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와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necting rod 112 includes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and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단면 형태가 반원형인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는 평탄한 면이 서로 대향하며 부착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are formed in the form of rod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have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의 길이와 형태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s and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are preferably identical to each other.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는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가 연결홀(122)에 삽입된 후, 연결홀(122)의 내주에 걸리어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After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22,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are caught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hole 122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The inserted state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is maintained.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는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 각각의 단부 측면에서 소정 직경의 반구 형태로 돌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는 제1 및 제2 단위 연결 로드(112A, 112B) 각각의 단부로 진행하며 돌출 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는 대략적으로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protrude in a hemisphe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from the end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proce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connecting rods 112A and 112B, respectively,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is reduce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have an approximately right-angled triangular cross-section.

탄성편(114)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단부에는 후술하는 돌기(116)가 돌출된다. The elastic piece 114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 protrusion 116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from an end thereof.

돌기(116)는 탄성편(114)의 단부에 연결판(120)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회전 요철(126)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16)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16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14 toward the connecting plate 120 and to be caught by the rotation irregularities 126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116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탄성편(114)은 후술하는 연결판(120)이 연결 로드(11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단부에 돌출된 돌기(116)가 회전 요철(126)과의 접촉에 따라 상하로 진동하며 사용자가 연결판(120)의 회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onnecting pl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around the connecting rod 112 , the protrusion 116 protruding from the end vibrat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rotation concavo-convex 126 , and the user to know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여기서, 탄성편(114)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부착판(110)의 중심점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서 '∩'형상으로 절곡된 홀을 형성한다. 여기서, 홀 내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형상의 플레이트를 탄성편으로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piece 114 is formed as follows. That is, a hole bent in a '∩' shap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Here, a '∩'-shaped plate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hole may be used as an elastic piece.

또한, 탄성편(114)은 부착판(110)의 중심점에서 동일한 거리에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114 may b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편(114)이 한 쌍으로 구비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piece 114 is provided as a pair, but the nu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연결판(12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부착판(1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connecting plate 120 has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판의 저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의 B-B 선의 선단면도이다.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연결판(12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연결판(12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부착판(1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connecting plate 120 is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10 .

연결판(120)의 일면 중앙으로는 부착판(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부착판(110)의 직경과 두께에 대응하는 직경과 깊이를 갖는 배치홈(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치홈(122)의 중심점은 연결판(120)의 중심점과 일치한다. An arrangement groove 122 having a diameter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attachment plate 1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0 so that the attachment plate 110 can be disposed. Here, the center point of the arrangement groove 122 coincides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그리고, 연결판(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커버 연결부(123)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ver connecting portion 1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커버 연결부(123)는 배치홈(122)에 배치된 부착판(11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The cover connection part 123 prevents the edge of the attachment plate 11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12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연결판(120) 상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배치홈(122)에 의해, 연결판(120)의 배면으로는 배치홈(122)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5)는 후술하는 커버(130)와 결합될 수 있다. Due to the arrangement groove 122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120 to a predetermined depth, a protrusion 125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arrangement groove 12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 The protrusion 125 may be coupled to a cover 130 to be described later.

연결판(120)의 중심점 상에는 연결 로드(112)가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연결홀(124)이 형성된다. A connection hole 124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to which the connection rod 112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central point of the connection plate 120 .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로드가 연결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도 5를 참조하면, 부착판(110) 상에 돌출된 연결 로드(112)의 단부가 연결홀(124)을 통과하면, 제1 및 제2 고정 돌기(113A, 113B)가 각각 연결판(120)에 걸리어 부착판(110)과 연결판(1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end of the connection rod 112 protruding on the attachment plate 11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24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113A and 113B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connection plate 120 . ) so that the attachment plate 110 and the connection plate 120 are rotatably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다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3 .

배치홈(122)의 내측으로는 회전 요철(126)이 형성된다.Rotation unevenness 126 is formed inside the arrangement groove 122 .

회전 요철(126)은 배치홈(122)의 중심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세레이션(serration)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rotation irregularities 126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erration in which a plurality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groove 122 .

즉, 회전 요철(126)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고, 배치홈(122)의 중심에서 외주를 향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 요철(126)은 배치홈(122)의 중심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That is, the rotation concavo-convex 126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from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groove 122 toward the outer periphery. In addition, a plurality of rotation irregularities 126 are arranged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groove 122 .

회전 요철(126)은 연결판(120)의 회전 시, 상단으로 돌기(116)가 걸리어, 탄성편(114)이 진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걸림감을 느끼도록 한다. When the rotation concavo-convex 126 rotates the connecting plate 120 , the protrusion 116 is hooked to the upper end, and the elastic piece 114 vibrates so that the user feels a certain sense of being caught.

연결판(120)의 일면의 가장 자리 양측에는 후술하는 회전 로드(142)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제1 회전홈(128A)이 형성된다. A first rotational groove 128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20 so that a rotation rod 14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posed.

제1 회전홈(128A)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중심축은 연결판(120)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연결판(120) 양측의 제1 회전홈(128A)의 중심축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 central axis is formed to face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rotation grooves 128A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12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제1 회전홈(128A)은 후술하는 제2 회전홈(138B)과 결합되어, 손잡이(140)의 회전 로드(142)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is coupled to a second rotation groove 138B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rotation space in which the rotation rod 142 of the handle 140 can rotat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회전홈(128A)의 내주면 상에는 제1 회전홈(128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다.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protrusio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연결판(120)의 일면 외주 측에는 소정 깊이와 폭을 갖는 고정홈(129)이 형성된다. 고정홈(129)에는 후술하는 고정 돌기(134)가 삽입되어 연결판(120)과 커버(130)의 고정 위치와 고정 상태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A fixing groove 129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A fixing protrusion 134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9 to maintain the fixing position and the fixing state of the connecting plate 120 and the cover 130 .

커버(13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버(130)의 직경은 연결판(120)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Here, the diameter of the cover 130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late 120 .

커버(130)는 연결판(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연결판(120)에 결합된다. The cover 13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0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120 .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커버의 저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6 .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30)의 중앙으로는 돌출부(12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돌출부(125)의 높이와 직경에 대응하는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6 and 7 , an insertion groove 13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nd diameter of the protrusion 12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130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125 .

커버(130)의 일면의 가장 자리 양측에는 제1 회전홈(128A)에 대응하는 제2 회전홈(138B)이 형성된다. 커버(130)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회전홈(138B)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cond rotation groove (138B)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cover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es of the second rotation grooves 138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130 coincide with each other.

제2 회전홈(138B)의 크기와 형태는 제1 회전홈(128A)의 크기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rotation groove (138B)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커버(130)가 연결판(120)에 결합되면, 제1 회전홈(128A)과 제2 회전홈(138B)은 소정의 회전 공간을 이루고, 제1 회전홈(128A)과 제2 회전홈(138B)에 의해 이루어진 회전 공간 상에는 후술하는 손잡이(140)의 회전 로드(142)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over 13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120,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138B) form a predetermined rotation space,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 The rotational rod 142 of the handle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the rotational space formed by the 138B.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커버(130)의 외주 일면 가장자리로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고정 돌기(134)가 돌출된다. 고정 돌기(134)는 연결판(120)의 고정홈(129)에 삽입되어 커버(13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A fixing protrusion 13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dge of the cover 130 .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9 of the connecting plate 120 so that the coupled state of the cover 130 is maintained.

이를 위해, 고정 돌기(134)의 폭과 높이는 고정홈(129)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ixing protrusion 134 preferably correspond to the width and depth of the fixing groove 129 .

또한,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ver 130 is preferably manufactured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즉, 커버(130)는 예를 들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커버(130)가 완성된 후, 삽입홈(132)의 저면에 사용자의 얼굴 사진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사진을 배치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때 마다 자신이 배치한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That is, the cover 130 may be manufactured using,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polycarbonate or transparent plastic. After the cover 130 is completed, if a user's face picture or a user's desired picture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132, the user can enjoy the picture placed by the user every time the mobile terminal is used. .

손잡이(140)는 휴대단말기(1)의 휴대 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또한, 손잡이(140)는 휴대단말기를 소정 위치에 배치할 때, 휴대단말기가 소정 각도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The handle 140 is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carried. In addition, the handle 140 allow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손잡이(14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반원 형태의 링 형상으로, PC( 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재질을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다. The handle 140 has a semicircular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ncludes a PC (polycarbonate) material. Polycarbonate is a kind of thermoplastic plastic, an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elf-extinguishing properties, and transparency.

손잡이(140)의 양단부에는 제1 회전홈(128A)과 제2 회전홈(138B)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 공간으로 배치되는 회전 로드(142)가 배치된다. Rotating rods 142 disposed in a rotational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rotational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onal groove 138B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140 .

회전 로드(142)는 소정의 길이와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로드로서, 손잡이(140)의 양단부에서 손잡이(14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The rotating rod 142 is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is disposed from both ends of the handle 140 toward the inside of the handle 140 .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회전홈, 제2 회전홈 및 회전 로드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rotating groove, the second rotating groove and the rota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로드(142)는 단면이 정사각형인 사각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홈(128A)과 제2 회전홈(138B)이 이루는 회전 공간은 단면이 정사각형 형태이고, 회전 공간의 장폭은 회전 로드(142) 단면의 장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회전 공간의 4변에는 회전 로드(142)의 모서리가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rotating rod 1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o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The rotation space formed by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138B has a square cross section, and the long width of the rotation space corresponds to the long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 rod 142 .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corners of the rotation rod 142 are in contact with the four sides of the rotation spac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로드(142)가 회전할 때 일정 각도마다 회전 로드(142)의 모서리가 회전 공간의 변에 접하며 걸림감이 느껴져, 사용자는 손잡이(14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rotation rod 142 rotates, the edge of the rotation rod 142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otation space at certain angles and a sense of jamming is felt,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rotation of the handle 140 . there is.

여기서, 회전 로드(142)와 제1 회전홈(128A) 및 제2 회전홈(138B) 내주면의 마모를 방지하고, 회전 로드(14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회전홈(128A) 및 제2 회전홈(138B)과 회전 로드(142) 사이에는 소정의 윤활유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order to prevent wea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42 and the first rotating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ng groove 138B, and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142, the first rotating groove 128A)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lubricating oil is filled between the second rotation groove 138B and the rotation rod 142 .

도 8에서는 회전 공간의 단면 형태가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회전 로드 단면의 장폭과 회전 공간 단면의 폭이 서로 대응된다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FIG. 8 , the cross-section of the rotational space has a square shape, but if the long width of the cross-section of the rotational rod and the width of the cross-section of the rotational space correspond to each other,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회전홈, 제2 회전홈 및 회전 로드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rotating groove, the second rotating groove and the rotat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로드(142)는 단면이 정사각형인 사각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9 , the rotating rod 1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o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그리고, 제1 회전홈(128A)과 제2 회전홈(138B)의 내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고, 돌기의 단부는 회전 로드(142)의 모서리에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And, the first rotation groove (128A)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138B)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rojection at regular interval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the end of the projection is made in a form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rotation rod (142) can be known

거치대(15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벽면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 상부면 등에 배치되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손잡이(140)가 삽입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cradle 150 is disposed on a vertical wall or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the handle 14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so tha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intained.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D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ure 10.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치대(15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10 and 11 , the holder 15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거치대(150)의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손잡이(140)가 삽입되는 삽입홈(152)이 형성된다. An insertion groove 152 into which the handle 140 is inserted is form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150 to the lower portion.

삽입홈(152)은 소정의 깊이를 갖고, 거치대(15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며 손잡이(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원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ertion groove 152 has a predetermined depth, progresses from one side of the holder 150 to the other side, and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le 140 .

삽입홈(152)은 저부에서 입구로 진행하며 휴대단말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152)의 입구 일측으로는 소정의 걸림부(154)가 배치된다. The insertion groove 152 proceeds from the bottom to the inlet and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a predetermined locking part 15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152 .

걸림부(154)는 손잡이(140)가 삽입홈(152)에 삽입 및 이탈시에 전후로 탄성 이동하며, 손잡이(140)에 걸린다. The locking portion 154 elastically moves back and forth when the handle 140 is inserted into and releas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52 , and is caught by the handle 140 .

걸림부(154)는 탄성 로드(154A)와 걸림 돌기(154B)를 포함한다. The locking part 154 includes an elastic rod 154A and a locking protrusion 154B.

탄성 로드(154A)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삽입홈(152)의 일측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로드(154A)는 거치대(150)의 배면을 향하는 삽입홈(152)의 일측 중간에 배치된다. The elastic rod 154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52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rod (154A)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52)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150).

걸림 돌기(154B)는 탄성 로드(154A)의 상단에서 삽입홈(152)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154B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rod 154A toward the insertion groove 152 at a predetermined height.

걸림부(154)는 거치대(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거치대(15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삽입홈(152)의 입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54)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정의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locking part 15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er 150 , and may be disposed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52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older 150 . The locking part 154 may be made of a predetermined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걸림부(154)는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The locking part 154 may be manufactured as follow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5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홈(152)이 형성되고, 삽입홈(152)의 거치대(15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한다. 여기서, 삽입홈(152)을 기준으로 거치대(150)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150)의 몸체 중간에 일정 간격으로 절개 부위를 형성하면, 형성된 절개 부위의 사이에 탄성 로드(154A)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an insertion groove 152 is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holder 150 , and the insertion groove 152 penetrates from one side of the holder 150 to the other side. Here, when inci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iddle of the body of the holder 150 disposed in the rear of the holder 15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groove 152, the elastic rod 154A will be formed between the formed incisions. can

또한, 사용자는 삽입홈(152)을 기준으로 거치대(150)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150)의 몸체 중간을 일정폭으로 절개한 후, 별도로 제작된 탄성 로드(154A)를 절개된 곳에 배치하여 걸림부(154)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uts the middle of the body of the holder 15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older 150 based on the insertion groove 152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n places a separately manufactured elastic rod 154A in the incised place. The arrangement of the locking part 154 may be ma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림부(154)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art 15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삽입홈(152)으로 손잡이(140)가 삽입될 때, 걸림 돌기(154B)에 손잡이(140)의 일측이 접한다. 손잡이(140)를 계속적으로 삽입하면, 걸림 돌기(154B)가 뒤로 밀리며 탄성 로드(154A)가 거치대(150) 배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손잡이(140)가 삽입홈(152)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탄성 로드(154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When the handle 1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2, one side of the handle 140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54B. When the handle 140 is continuously inserted, the locking protrusion 154B is pushed back and the elastic rod 154A move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holder 150 . After the handle 14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2, the elastic rod 154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후, 손잡이(140)를 삽입홈(152)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걸림부(15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reafter, when the handle 14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52 , the locking part 154 operates as follows.

삽입홈(152) 저부에 위치한 손잡이(140)를 삽입홈(152)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손잡이(140)는 걸림 돌기(154B)에 걸린다. 이때, 손잡이(140)를 삽입홈(152) 상단으로 계속적으로 이동시키면, 걸림 돌기(154B)가 뒤로 밀리며 탄성 로드(154A)가 거치대(150) 배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손잡이(140)가 삽입홈(152)에서 이탈되면 탄성 로드(154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When the handle 1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152 is moved upward along the insertion groove 152 , the handle 140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54B.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140 is continuously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152 , the locking protrusion 154B is pushed back and the elastic rod 154A move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holder 150 . When the handle 14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52, the elastic rod 154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리고, 소정의 거치 예정 부위에 거치대(15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부착면(156A, 156B)이 설정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surfaces 156A and 156B are set so that the cradle 150 can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mounting area.

제1 부착면(156A)은 거치대(150)가 소정의 수직면에 배치될 때, 수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거치대(150)의 배면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56A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150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vertical surface when the holder 150 is disposed on a predetermined vertical surface.

제2 부착면(156B)은 거치대(150)가 소정의 수평면에 배치될 때, 수평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거치대(150)의 하면으로 배치된다. The second attachment surface 156B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150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horizontal surface when the holder 150 is disposed on a predetermined horizontal surface.

제1 및 제2 부착면(156A, 156B) 상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배치될 수 있다. An adhesive may be applied or a double-sided tap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surfaces 156A and 156B.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100)는 부착판이 휴대단말기(1)의 배면에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12 , in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ttachment plate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140)를 파지하여 휴대단말기(1)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portable terminal 1 by gripping the handle 140 .

또한, 손잡이(140)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 또는 소정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140 may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or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휴대단말기(1)를 수직 벽면 상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대(150)를 다음과 같이 배치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to be placed on a vertical wall, the cradle 150 is arranged as follow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연결 고리의 배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obile connecti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평판을 벽면인 것으로 상정하고, 휴대단말기(1)의 배면에 배치되는 휴대 연결 고리는 손잡이(140)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Here, in order to avoid the complexity of the drawings, it is assumed that a rectangular flat plate is a wall surface, and only the handle 140 is illustrated as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

사용자는 제1 부착면(156A)을 이용하여 거치대(150)를 소정의 벽면 상에 부착한 상태에서, 거치대(150)의 삽입홈(152)에 손잡이(140)의 일측을 삽입하면, 휴대단말기(1)는 거치대(1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user inserts one side of the handle 140 into the insertion groove 152 of the holder 150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150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wall surface using the first attachment surface 156A, the mobile terminal (1) maintains the fixed state to the cradle (15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하여 휴대단말기의 안전한 휴대가 가능하고, 휴대단말기의 배면으로 부착되어 수직축과 수평축 방향으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휴대 연결 고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책상 또는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safely carri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a desk or wall using a mobile connection r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휴대 연결 고리
110: 부착판 120: 연결판
130: 커버 140: 손잡이
150: 거치대
100: cell link
110: attachment plate 120: connection plate
130: cover 140: handle
150: cradle

Claims (15)

플레이트 형상의 부착판;
중앙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외주 양측으로는 제1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판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외주 양측으로는 상기 제1 회전홈과 연결되어 다각형의 회전 공간을 이루는 제2 회전홈이 형성되는 커버;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 공간 상에 배치되며, 단면의 장폭이 상기 회전 공간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의 회전 로드가 배치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홈과 상기 제2 회전홈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제1 회전홈과 상기 제2 회전홈과 일체를 이루고, 단부가 상기 회전 로드의 모서리에 접하는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 공간 상에는 윤활유가 충진되는 휴대 연결 고리.
plate-shaped attachment plate;
a connection plate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first rotation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a cov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having second rotation groove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to form a polygonal rotation space; and
a handle gripped by a user and disposed on the rotational space at both ends, a rotation rod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having a long width of a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tational space is disposed; including,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roove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The first rotary groove and the second rotary groove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end of the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corner of the rotary rod protrud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otary space is filled with lubricating oil.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벽면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and the mobile connection ring further includes a cuboid-shaped cradle disposed on a wall surface or a dashboard of a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배면 또는 하면은,
상기 벽면 또는 상기 대시 보드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이루는 휴대 연결 고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or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 mobile connection ring forming an attachment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wall or the dash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입구에서 저부로 진행하며 휴대단말기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연결 고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groove is
A mobile connection ring that proceeds from the entrance to the bottom and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bile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삽입 및 이탈 시 상기 손잡이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5. The method of claim 4,
A mobile connection ring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caught on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inserted and sepa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탄성 로드와,
상기 탄성 로드의 상단에서 상기 삽입홈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cking part,
an elastic ro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 mobile connection ring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ro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는 일면으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제공되는 휴대 연결 고리.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ment plate is
A mobile connection ring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that is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s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부착판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인 휴대 연결 고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plate is
A portable connection ring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ttachment pl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일면으로는,
상기 부착판이 배치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의 중심 둘레를 따라, 중심에서 외주를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요철을 더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9. The method of claim 8,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An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ttachment plate is dispose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groove, the mobile connection ring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ation irregularities form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peripher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상기 연결판에 접하는 일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 로드와,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상기 연결판에 접하는 일면으로 배치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요철에 걸리는 단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ttachment plate is
a connecting rod protru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An elast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disposed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late;
The mobile connection ring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rojection caught on the end caught on the rotational uneven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홈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휴대 연결 고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rotating groove is a mobile connection ring that coincides with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홈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휴대 연결 고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rotating groove is a mobile connection ring that coincides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연결 고리.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a mobile connection ring comprising polycarbonate.
KR1020200054518A 2020-05-07 2020-05-07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KR102285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18A KR102285473B1 (en) 2020-05-07 2020-05-07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18A KR102285473B1 (en) 2020-05-07 2020-05-07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473B1 true KR102285473B1 (en) 2021-08-03

Family

ID=7731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18A KR102285473B1 (en) 2020-05-07 2020-05-07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4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en)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101738615B1 (en) * 2015-11-20 2017-05-22 김정헌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phone
KR101777505B1 (en) * 2016-03-24 2017-09-11 김길호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KR101837311B1 (en)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20190052955A (en) * 2017-11-09 2019-05-17 아인베스트 주식회사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en)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101738615B1 (en) * 2015-11-20 2017-05-22 김정헌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phone
KR101777505B1 (en) * 2016-03-24 2017-09-11 김길호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KR101837311B1 (en)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20190052955A (en) * 2017-11-09 2019-05-17 아인베스트 주식회사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6201U (en) Protective case
US20170135234A1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US9144279B2 (en) Rugged cases for tablets
CN108604109B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prop-up function
US20130127308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452101B2 (en) Alignment structure
US10372167B1 (en) Transmission bas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185773A1 (en) High Density Docking Station
US2007021142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14990A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TW201304663A (en) Suppor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101960354B1 (en) Accessory having supporting function for handy terminal
KR102285473B1 (en)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JP2019053859A (en) Battery lid structure and portable terminal
KR20160063599A (en) Finger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US10185358B1 (en) Electronic tablet protective carrying case and display stand
KR101559317B1 (en) Protection Cover Case with Ringhandle for Mobile Device
CN210670869U (en) Equipment housing support structure
US10444790B1 (en) Electronic device carrying case and display stand
KR102371463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CN1728930A (en) Swing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is equipment
KR102298206B1 (en) Tablet holder
CN216165739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protective sleeve
CN221227601U (en) Electronic equipment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