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206B1 - Tablet holder - Google Patents

Tablet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206B1
KR102298206B1 KR1020190158429A KR20190158429A KR102298206B1 KR 102298206 B1 KR102298206 B1 KR 102298206B1 KR 1020190158429 A KR1020190158429 A KR 1020190158429A KR 20190158429 A KR20190158429 A KR 20190158429A KR 102298206 B1 KR102298206 B1 KR 10229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ablet
pen
bas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8876A (en
Inventor
오창선
이성일
권경호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19015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206B1/en
Publication of KR2021006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태블릿(10)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110)와 상기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121)가 상면에 구비되는 베이스(120)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130)와 상기 스탠드(130)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141)와 상기 스탠드(130)의 타단을 상기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1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태블릿의 거치가 용이하고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로우며, 태블릿의 화면 보호가 용이하여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ablet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 120) and a stand 130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120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er 110, and one end of the stand 130 being rotatable to the base 120 It includes a first hinge part 141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and a second hinge part 142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to the holder 110 .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in that it is easy to mount the tablet, angle adjustment and position fixation are free, and it is easy to protect the screen of the tablet, so that it is easy to use the tablet while going out.

Description

태블릿 거치대{TABLET HOLDER}Tablet holder {TABLET HOLDER}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t holder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tablet.

태블릿은 스마트폰보다 큰 화면으로 인터넷을 하거나 어플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태블릿은 큰 화면을 가지며 다양한 활용도 때문에 학습과 독서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학습전용 태블릿으로 많이 사용된다.Tablets have a larger screen than smartphones, so you can surf the Internet or install and use applications. Tablets have a large screen and are often used as a learning-only tablet by adding applications optimized for learning and reading because of their various uses.

태블릿은 충격과 스크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끼워서 사용한다. 케이스는 태블릿의 보호기능 외에도 태블릿을 소정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tablet is used in a case to protect it from shocks and scratches.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tablet, the case provides the ability to view the tablet from an upright angle.

그런데, 케이스는 태블릿의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롭지 않고, 태블릿을 케이스에 끼워 접은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지거나 태블릿의 모서리와 측면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ase is not free to adjust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table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tton is pressed while the tablet is inserted into the case and folded, or it is difficult to protect the corners and sides of the tablet.

따라서 최근에는 태블릿을 장착하여 책상 등에 앉아 태블릿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태블릿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Therefore, recently, a tablet cradl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tablet can be used while sitting on a desk.

그런데 종래의 태블릿 거치대는 태블릿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태블릿을 사용한 후에는 태블릿 거치대에서 태블릿을 탈착시키고 다시 케이스에 끼워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ablet hold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ively mount the table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ablet must be detached from the tablet holder and stored again in the case after using the tablet.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84390호(2017.08.25 등록)Patent Document 1: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484390 (Registered on Aug. 25,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태블릿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 holder that helps users to use the tablet more conveniently by mounting the tabl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블릿을 장착하여 태블릿 거치,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롭고, 태블릿 보호가 용이하여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한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 holder that allows the tablet to be mounted, angle adjustment and position fixation are free, and the tablet can be easily protected so that it is easy to use the tablet while going ou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블릿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와 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을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for inserting a tablet and a base, and a st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er; and a first hinge part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tand to the base and a second hinge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tand to the holder.

상기 홀더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를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이 상기 제2 힌지부로 연결된다.and a third hinge part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to pivot the holder, and the third hing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are connected by the second hinge part.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까지 상기 홀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hinge part enables the holder to rotate from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to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상기 홀더는 태블릿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홀더는 양측에 상기 태블릿의 이면을 노출시키는 요입슬릿이 형성된다.The holder supports the back surface and the edge of the tablet, and the holder is formed with a concave slit exposing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t on both sides.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홀더를 접었을 때 상기 금속판과 상기 자석이 자력을 작용시켜 벌어지지 않는다.The base includes a metal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built into the tablet, so that when the holder is folded on the base, the metal plate and the magnet do not open by applying a magnetic force.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이 형성된다.The base has a pe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touch pen on its upper surface.

상기 펜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터치펜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accommodated in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protrudes upward and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상기 펜수납홈의 주변에 상기 태블릿의 화면과 상기 터치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screen of the tablet and the touch pen are provided around the pen receiving groove.

상기 펜수납홈은 입구 폭의 양측에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이 상기 펜수납홈의 바닥면 및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The pen accommodating gro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touch pen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while the inclined portions of the touch pen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entrance width.

상기 펜수납홈은 터치펜의 펜몸체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의 경사부 및 터치펜 끝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수용부의 경사 각도(α)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다.The pen accommodating groove includes a straight-line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pen body of the touch pen, and an incline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inclination part of the touch pen and the tip of the touch pen as the width of the entrance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ation accommodating part. (α) is smaller than the angle (β)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ouch pen.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상기 터치펜 끝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다.The vertical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to the bottom surface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point where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ouch pen contacts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to the tip of the touch pen.

상기 홀더 또는 상기 베이스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태블릿의 전원연결구멍을 닫는다.The holder or the base includes a power connection hole, and when the tablet is mounted on the holder, the holder closes the power connection hole of the tablet.

상기 홀더는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태블릿은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된다.The holder ha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and when the tablet is mounted on the holder, the tablet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서 펼쳤을 때 적어도 상기 손잡이와 맞닿는 부분에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판을 포함한다.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t leas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andle when unfol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includes an anodized aluminum plate.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된다.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n anti-slip pad is provided on the handle.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면에 돌기가 구비된다.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본 발명은 3단 힌지를 적용하여 태블릿이 장착되는 홀더를 베이스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를 베이스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function that can be viewed by standing the holder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base by rotating the holder on which the tablet is mounted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the base by applying a three-stage hing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베이스가 겹쳐져서 태블릿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베이스에 구비된 돌기부가 태블릿의 화면과 베이스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하며, 베이스에 포함된 금속판이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되어 베이스와 홀더가 겹쳐져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태블릿이 보호되어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table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holder and the base overlap, and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base prevents the screen of the tablet from contacting the base to prevent scratches and impacts on the screen, and the metal plate included in the base It is attached to the magnet built into the tablet to prevent the base and holder from overlapping and unfolding, so the tablet is protected and it is easy to use the tablet while going out.

또한, 본 발명은 키보드 및 터치펜이 구비되어 태블릿의 조작이 용이하고, 펜수납홈이 구비되어 터치펜의 수납이 용이하며, 펜수납홈이 터치펜 끝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므로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eyboard and a touch pen to facilitate operation of the tablet, a pen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to facilitate storage of the touch pen, and the pen receiving groove is structured to prevent damage to the tip of the touch pen. can be safely stored.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어린이들이 잡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하고 이동하기 편리하고, 손잡이의 하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베이스와 높이를 맞추므로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 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formed in a thin thickness so that it is easy for children to hold and move, so it is convenient to hold and mov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를 구성하는 스탠드의 이면에 아노다이징처리된 알루미늄판을 덫댄 구조로 되므로, 스탠드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nodized aluminum plate is trapp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constituting the hinge unit, the rigidity of the stand is reinforc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펼쳐 각도 조절한 상태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펼쳐 각도 조절한 상태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홀더를 뒤집어 홀더가 스탠드의 이면측에 배치되게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홀더를 세로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을 보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에 터치펜이 수납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터치펜 끝이 펜수납홈의 바닥과 내벽에 닿지 않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에 배치되는 러버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ablet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tablet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tablet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turned over and folded so that the holder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st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rotated vertically.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tablet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tablet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plan view showing a pen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pen is accommodated in a pen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tip of the touch pen does not touch the bottom and inner wall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ubber disposed in a pen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 베이스(120) 및 스탠드(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ablet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110 , a base 120 , and a stand 130 .

홀더(110)는 태블릿(10)이 장착된다. 태블릿(10)은 전면에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이 구비된다. 태블릿(10)은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태블릿(10)은 학습과 독서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제작한 학습전용 태블릿일 수 있다. The holder 110 is mounted with the tablet 10 . The tablet 10 is provided with a screen providing a touch function on the front side. The tablet 10 refers to a small portable computer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The tablet 10 may be a learning-only tablet manufactured by adding an application optimized for learning and reading.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태블릿(10)은 화면이 제공된 부분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이면으로 지칭한다. 또한, 홀더(110)는 태블릿(10)이 장착되는 면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이면으로 지칭한다. 베이스(120)는 키보드가 구비된 면을 상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하면으로 지칭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tablet 10,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screen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back side. In addition, the holder 110 refers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ablet 10 is mounted as a front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is referred to as a back surface. The base 120 refers to the surface on which the keyboard is provided as the upper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as the lower surface.

홀더(110)에는 태블릿(10)의 이면과 모서리가 끼움 결합식으로 장착된다. 홀더(110)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태블릿(10)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태블릿(10)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holder 110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and the edge of the tablet 10 in a fitting manner. The holder 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is formed in a shape to support the back surface and corners of the tablet 10 so that the screen of the tablet 10 is exposed.

홀더(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져 태블릿(10)이 장착되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holder 1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홀더(110)는 양측에 태블릿(10)의 측면과 이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요입슬릿(111)이 형성된다. 요입슬릿(111)은 태블릿(1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홀더(110)의 양측에 파여진 홈이다. 사용자는 요입슬릿(111)을 통해 노출되는 태블릿(10)의 양측 및 이면 부분을 잡고 당김에 의해 태블릿(10)을 홀더(110)에서 분리하기 용이하다. 요입슬릿(111)은 외관을 고려하여 홀더(110)의 양측에서 이면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파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older 110 is formed with a concave slit 111 exposing a portion of the sid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t 10 on both sides. The concave slit 111 is a groove cut on both sides of the holder 110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tablet 10 .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tablet 10 from the holder 110 by holding and pulling the both sides and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t 10 exposed through the concave slit 111 . The concave slit 111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is dug into a semicircular shape on both sides of the holder 110 in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홀더(110)는 태블릿(10)의 볼륨버튼 및 락버튼 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113)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개방부(113)는 홀더(110)의 상측에 파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구성된다.The holder 110 further includes an opening 113 exposing the volume button and the lock button of the tablet 10 . In the embodiment, the opening 113 is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r more grooves dug i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110 .

베이스(120) 및 스탠드(130)는 홀더(110)를 지지하여 태블릿(10)을 소정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base 120 and the stand 130 support the holder 110 to provide a function of standing the tablet 1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viewing it.

홀더(110)는 베이스(120)에 스탠드(130)로 연결되어, 책상, 테이블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이 바닥에 지지된다. The holder 110 is connected to the base 120 by a stand 130 , and may be stably supported on a desk, a table, or the like. The base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ickness, and its low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loor.

베이스(120)는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121)가 상면에 구비된다.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은 베이스(120)의 키보드(121)와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se 120 is provided with a keyboard 121 capable of operating the tablet 10 mounted on the holder 110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the tablet 10 may be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keyboard 121 of the base 120 .

홀더(110)는 전원연결단자(미도시)를 구비하고,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은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된다. 전원연결단자는 홀더(110)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The holder 110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and 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the tablet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under the holder 110 .

홀더(110)에 구비된 전원연결단자와 베이스(120)를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블은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키보드(121)와 홀더(110)에 장착되는 태블릿(10) 간에 데이터를 이동시키거나 충전회로를 통해 태블릿(10)을 충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회로는 전원연결홀(도 2의 도면 부호 122)과 전원연결단자를 연결된다.It may include an internal cable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 The internal cable may provide a function of moving data between the keyboard 121 provided on the base 120 and the tablet 10 mounted on the holder 110 or charging the tablet 10 through a charging circuit. The charging circuit is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hole (reference numeral 122 in FIG. 2 ) and a power connection terminal.

홀더(110) 또는 베이스(120)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한다. The holder 110 or the base 120 includes a power connection hole.

실시예는, 베이스(120)의 후면 일측에 전원연결홀(도 2의 도면 부호 122)이 구비된다.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된다.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되면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충전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 power connection hole (reference numeral 122 in FIG. 2 ) is provided on one rear side of the base 120 . A charging jack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hole 122 . When the charging jack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hole 122 , the tablet 10 mounted on the holder 110 can be charged.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홀더(110)는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닫는다. 이는 태블릿 거치대(100)의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된 상태에서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에 추가로 충전잭을 연결하는 경우 심각한 태블릿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에는 충전잭을 연결할 수 없도록, 홀더(110)가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막도록 된다.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the holder 110 closes the power connection hole 11 of the tablet 10 . This is because, when the charging jack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hole 11 of the tablet 10 while the charging jack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hole 122 of the tablet holder 100, serious damage to the tablet may occur. Therefore, 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the holder 110 blocks the power connection hole 11 of the tablet 10 so that the charging jack cannot be connected to the tablet 10 .

베이스(120)는 상면 일측에 락버튼(123)이 구비된다. 락버튼(123)은 태블릿(10)의 충전을 위해 태블릿(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ON/OFF 버튼일 수 있다. 또는 락버튼(123)은 홀더(110)에 장착되는 태블릿(10)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전원버튼일 수 있다. The base 120 is provided with a lock button 123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lock button 123 may be an ON/OFF button that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vely blocking power supplied to the tablet 10 for charging the tablet 10 . Alternatively, the lock button 123 may be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tablet 10 mounted on the holder 110 .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져, 태블릿(10)을 소정 각도에서 세워서 볼 수 있다. In the tablet holder 100 , the holder 110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 and the tablet 10 can be viewed by sta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져서 태블릿(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는 태블릿(10)과 태블릿 거치대(100)를 한번에 일체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태블릿(10)을 가지고 다니면서 이용가능하다. 그런데,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지면 그 사이에 배치된 태블릿(10)의 화면이 베이스(120)와 접촉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동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t holder 100 overlaps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so that the tablet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is allows the tablet 10 and the tablet cradle 100 to be easily carried integrally at o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tablet 10 while going out. However, when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overlap, the screen of the tablet 10 disposed therebetwee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se 120 to cause a scratch, and an impact may occur during movement.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20)는 상면에 복수 개의 돌기부(124)가 구비된다. To prevent this, the base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on the upper surface.

돌기부(124)는 키보드(1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ar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the keyboard 121 interposed therebetween.

돌기부(124)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한다. 또한 돌기부(124)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터치펜(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한다. The protrusion 124 prevents the screen of the tablet 10 from contacting the bas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are overlapped, thereby preventing the screen from being scratched and impacted. In addition, the protrusion 124 prevents the screen of the tablet 10 from contacting the touch pen 20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are overlapped, thereby preventing scratches and impacts on the screen.

돌기부(124)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진 형상이며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124 has a rounded edge and may be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실시예에서 돌기부(124)는 키보드(121)를 사이에 두고 일측(후방측)에 2개가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전방측)에 3개가 구비된다. 돌기부들(124)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two protrusions 124 are provided on one side (rear side) with the keyboard 12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ree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front side). The protrusions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uniform intervals so that the screen of the tablet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can be st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are overlapped.

더욱이,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구비된 돌기부(124)는 후술할 터치펜(도 8b의 도면부호 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Moreover, the protrusion 124 provided around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functions to prevent the touch pen (reference numeral 20 in FIG. 8B )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creen of the tablet 1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후술할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2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돌기부(124)를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펜수납홈(126)의 양측에 구비된 2개가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20 accommodated in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upward and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touch pen 20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creen of the tablet 10 , a protrusion 124 is provided around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wo touch pens 20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serve to prevent contact with the screen of the tablet 10 .

더 나아가, 키보드(121)의 앞쪽에 구비된 3개가 펜수납홈(126)의 양측에 구비된 2개와 상호 작용하여,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키보드(121)와 태블릿 화면이 접촉되는 것도 방지한다. Furthermore, the thre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keyboard 121 interact with the two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so that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overlap the screen of the tablet 10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and the base 120 are stably spaced apart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keyboard 121 and the tablet screen.

베이스(120)는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125)을 포함한다. 금속판(125)은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금속판(125)은 베이스(120)에서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자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20)는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대응되는 부분을 금속판(125)으로 형성하여,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120)에 홀더(110)를 접었을 때, 금속판(125)은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자력을 작용시켜 베이스(120)에 대해 홀더(11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The base 120 includes a metal plate 12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15 built into the tablet 10 . The metal plate 125 prevents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from overlapping each other. The metal plate 125 may be embedded in a position capable of exerting a magnet and magnetic force built into the tablet 10 in the base 120 . Alternatively, the base 120 may be formed with a metal plate 125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15 built into the tablet 10 so that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do not overlap and open. When the holder 110 is folded on the base 120 , the metal plate 125 acts with the magnet 15 built in the tablet 10 and magnetic force to prevent the holder 110 from being opened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

베이스(120)는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126)이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은 키보드(121)의 후방측에 구비한 두 돌기부(124)의 사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은 베이스(120)의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하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펜수납홈(12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ase 120 has a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in which the touch pen 20 can be accommodated on its upper surface.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to be recessed between the two protrusions 124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keyboard 121 .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accommodates the touch pen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and withdraws it when necessary to facilitate us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to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탠드(130)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스탠드(130)는 베이스(120)와 홀더(110)의 이면을 연결하므로, 홀더(110)의 두께를 고려하여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드(130)는 두께에 비해 폭이 넓은 슬림한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stand 130 is a structure supporting the holder 110 by connecting it to the base 120 . Since the stand 130 connects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 it is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ximately L-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older 110 . The stand 130 is configured in a slim design with a wide width compared to its thickness so that the holder 110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base 120 .

스탠드(130)는 일단이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탠드(130)의 일단과 타단을 베이스(120)와 홀더(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One end of the stand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12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er 110 . It includes an angle adjusting means 140 for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to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respectively.

각도조절수단(140)은 스탠드(130)를 홀더(110)와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110)를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거나,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게 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means 140 rotates the stand 130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so that the holder 110 overlaps the base 120, or the holder 110 is the base. It can be erected and laid down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120).

각도조절수단(140)은 제1 힌지부(141), 제2 힌지부(142) 및 제3 힌지부(143)를 포함한다. The angle adjusting means 140 includes a first hinge part 141 , a second hinge part 142 , and a third hinge part 143 .

제1 힌지부(141)는 스탠드(130)의 일단을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힌지부(142)는 스탠드(130)의 타단을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의 이면에 구비되고 홀더(110)를 각도 조절 없이 제자리에서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힌지부(143)에 스탠드(130)의 타단이 제2 힌지부(142)로 연결된다.The first hinge part 141 rotatably connects one end of the stand 130 to the base 120 . The second hinge part 142 rotatably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to the holder 110 . The third hinge part 143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and allows the holder 110 to rotate 90 degrees in place without adjusting the angle.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hinge part 143 by the second hinge part 142 .

제1 내지 제3 힌지부(143)로 구성되는 3단 힌지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three-stage hinge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hinge parts 143 may rotate the holder 110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

실시예에서, 제1 힌지부(141)는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제1 힌지공(141a)과 스탠드(130)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 힌지축(141b)을 포함하며, 스탠드(130)의 일단의 제1 힌지축(141b)이 베이스(120)의 제1 힌지공(141a)에 결합된 구조로 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hinge part 141 includes a first hinge hole 141a provided in the base 120 and a first hinge shaft 141b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one end of the stand 130, and the stand ( The first hinge shaft 141b of one end of the 130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first hinge hole 141a of the base 120 .

실시예에서, 제2 힌지부(142)는 제3 힌지부(143)에 돌출 형성된 축부(143a)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 힌지축(142a)과 스탠드(130)의 타단 양측에 요입 형성된 제2 힌지공(142b)을 포함하며, 스탠드(130)의 타단의 제2 힌지공(142b)에 축부(143a)의 제2 힌지축(142a)이 결합된 구조로 된다.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hinge part 142 includes a second hinge shaft 142a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haft part 143a protruding from the third hinge part 143 and a second hinge shaft 142a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 It includes two hinge holes 142b,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hinge shaft 142a of the shaft portion 143a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hole 142b of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 결합된 구조에서, 제1 힌지축(141b)은 제1 힌지공(141a)에 틸팅 결합되거나, 프리 스탑 힌지(free stop hinge)을 적용하여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서 회전되는 어느 각도에서나 고정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inge shaft 141b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hole 141a, the first hinge shaft 141b is tilted to the first hinge hole 141a, or a free stop hinge is formed. By application, the first hinge shaft 141b may be fixed at any angle rotated in the first hinge hole 141a.

제2 힌지축(142a)이 제2 힌지공(142b)에 결합된 구조에서, 제2 힌지축(142a)은 제2 힌지공(142b)에 틸팅 결합되거나, 프리 스탑 힌지를 적용하여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서 회전되는 어느 각도에서나 고정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hinge shaft 142a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hole 142b, the second hinge shaft 142a is tilted to the second hinge hole 142b, or a free stop hinge is applied to the first hinge The shaft 141b may be fixed at any angle rotated in the first hinge hole 141a.

실시예에서,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의 이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판형 피봇힌지로 구성되어, 홀더(110)가 제3 힌지부(14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3 힌지부(143)의 이면에는 제2 힌지축(142a)이 구비된 축부(143a)가 돌출 형성되어 스탠드(13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third hinge part 143 is composed of a disk-shaped pivot hinge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so that the holder 110 has the third hinge part 143 as the central axis. can be rotated A shaft portion 143a provided with a second hinge shaft 142a is protru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third hinge portion 143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may be coupled thereto.

제1 힌지부(141)는 베이스(120)에 대해 스탠드(130)의 일단을 90도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힌지부(142)는 스탠드(130)의 타단에 대해 홀더(110)를 180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를 스탠드(130)에 대한 각도 조절 없이 제자리에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힌지부(143)는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피봇(Pivot) 기능을 제공한다.The first hinge part 141 may rotate one end of the stand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within a 90 degree angle range. The second hinge part 142 may rotate the holder 110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within a 180 degree range. The third hinge part 143 may rotate the holder 110 90 degrees in place without adjusting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stand 130 . The third hinge unit 143 provides a pivot function that allows the screen to be view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rotating the screen by 90 degre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41)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한다.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블릿(10)의 화면을 보면서 키보드 조작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hinge part 141 makes the holder 110 stan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 In the state of FIG. 2 , the user may operate the keyboard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tablet 10 .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41)는 회전에 의해 홀더(110)가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한다. 도 3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며, 태블릿(10)은 홀더(110)와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보호된다. 이때, 베이스(120)에 내장된 금속판(125)은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력을 발휘하여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진 상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120)에 구비된 돌기부(124)가 베이스(120)와 태블릿(10)의 화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태블릿(10)을 충격이나 스크레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hinge part 141 causes the holder 110 to overlap the base 120 by rotation. In the state of FIG. 3 , the user can move with the tablet holder 100 on which the tablet 10 is mounted, and the tablet 10 is protected between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 At this time, the metal plate 125 embedded in the base 120 exerts an adhesive force with the magnet embedded in the tablet 10 to prevent the overlapping state of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from being opened.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124 provided on the base 120 prevents the screen of the base 120 and the tablet 10 from being in close contact, the tablet 10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or scratch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142)는 홀더(110)를 스탠드(130)의 전면측에 배치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를 뒤집어 홀더(110)가 스탠드(130)의 이면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힌지부(142)는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 내에서 홀더(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hinge part 142 places the holder 110 on the front side of the stand 130 or, as shown in FIG. 4 , turns the holder 110 over to the holder 110 .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stand 130 . To this end, the second hinge part 142 is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at the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130 . ) can be rot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태블릿(10)은 키보드를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태블릿(10)은 키보드(121)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2 , the tablet 10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keyboard can be seen at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130 , and as shown in FIG. 4 , the holder ( In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11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 the tablet 10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keyboard 12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세우면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2 , at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130 , the stand 130 is mov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art 141 . When it is rotated and erected, the holder 110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으면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3 , at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130 , the stand 130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art 141 . When folded,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overlap.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으면 태블릿(10)의 화면이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는 태블릿(10)의 화면에 터치펜(20)을 이용하여 필기 등을 할 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4 , in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110 touches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 the stand 130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art 141 . When folded, the screen of the tablet 10 faces upward. This makes it convenient to use when taking notes using the touch pen 20 on the screen of the tablet 10 .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의 일단을 회전시켜 세우면 홀더(110)가 폴딩된(뒤로 뒤집어진) 상태로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이 상태는 사용자가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태블릿(10)의 화면을 보여주면서 학습 내용을 설명할 때 용이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holder 110 is folded ( upside down) and sta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This state is easy when the user explains the learning content while showing the screen of the tablet 10 to another us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를 잡고 제3 힌지부(도 2의 도면 부호 143)를 기준으로 홀더(110)를 90도 회전시키면 태블릿(10)의 화면이 가로에서 세로로 변경되어 책 등을 읽을 때 유용하다. As shown in FIG. 5 , when holding the holder 110 and rotating the holder 110 by 90 degrees based on the third hinge part (reference numeral 143 in FIG. 2 ), the screen of the tablet 10 changes from horizontal to vertical It is useful when reading a book, etc.

도 2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포함하고 알루미늄판은 아노다이징처리된 것이다. 스탠드(130)는 일단과 타단이 베이스(120)와 홀더(110)에 대해 각각 회전하여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접고 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스탠드(130)는 홀더(110)와 태블릿(1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일단과 타단 측에 하중이 가해져 파손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스탠드(130)의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덫대거나 스탠드(130)를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하여 강성을 높이도록 한다. The stand 130 shown in FIG. 2 includes an aluminum plate on the back side, and the aluminum plate is anodized. The stand 130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holder 110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by rota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stand 130 supports the load of the holder 110 and the tablet 10, the load is appli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herefore, an aluminum plate is trapp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or the stand 130 is made of an aluminum plate to increase rigidity.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20), 스탠드(130) 및 홀더(110)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그리고, 스탠드(130)의 이면에만 알루미늄판을 덫대고 아노다이징처리하여 스탠드(130)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the base 120, the stand 130 and the holder 110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aluminum plate is trapped only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and anodized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stand 130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이스(120)의 일측에 손잡이(150)가 구비된다. 손잡이(150)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손잡이(150)는 베이스(120)의 후면측 대략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 a handle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20 . The handle 150 allows the user to easily grip and move the tablet holder 100 on which the tablet 10 is mounted. The handle 15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ide of the base 120 .

손잡이(150)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51)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 패드(151)는 베이스(120)와 마주하는 손잡이(150)의 내측 위치에 고무 재질을 덫대어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An anti-slip pad 151 is provided on the handle 150 . In the embodiment, the non-slip pad 151 is formed to prevent slipping by trapping a rubber material at an inner position of the handle 150 facing the base 120 .

베이스(120)와 손잡이(150)의 사이 빈공간을 통해 스탠드(130)의 일단이 베이스(120)에 제1 힌지부(141)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탠드(130)의 일단은 손잡이(150)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되고 90도까지만 회전 가능하다. 손잡이(150)의 내측에 포함된 미끄럼 방지 패드(151)는 스탠드(130)의 회전 과정에서 스탠드(130)의 이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One end of the stand 130 is connected to the base 120 by the first hinge part 141 through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ase 120 and the handle 150 . Therefore, one end of the stand 130 is limited in its rotation range by the handle 150 and is rotatable up to 90 degrees. The anti-slip pad 151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handle 150 also serves to protect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and 130 .

손잡이(150)는 베이스(120)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베이스(120)의 경우 키보드(121)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회로 등을 내장해야 하므로 일정 두께가 요구된다. 그러나 손잡이(150)의 경우 어린이들이 잡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들이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20)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The handle 150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base 120 . In the case of the base 120, the keyboard 121 is provided and a charging circuit and the like must be built-in therein, so a certain thickness is re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handle 150,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at of the base 120 so that children can easily grip it because it is often held and moved by childre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150)는 하면에 베이스(120)와 높이를 맞추기 위한 돌기(153)가 구비된다. 이는 베이스(120)를 바닥에 놓는 경우 손잡이(150)의 하면 돌기(153)가 바닥에 닿아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만약 손잡이(150)의 하면에 돌기(153)가 없는 경우 바닥에 닿는 높이차가 발생하므로 손잡이(150)가 눌러져 베이스(120)가 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6 and 7, the handle 15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53 for matching the height with the base 120 on the lower surface. This is to bala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150 when the base 120 is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protrusion 153 touches the floor. If there is no protrusion 15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150 , a height difference in contact with the floor occurs, so that the handle 150 is pressed and the base 120 is lifted may occur.

베이스(120)의 하면에 지지러버(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러버(127)는 베이스의 하면 가장자리 4곳에 구비되어 베이스(120)를 책상, 테이블 등에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A support rubber 12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20 . The support rubber 127 is provided at four lower edges of the base, so that the base 120 can be stably seated on a desk, table, etc. without impact.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펜수납홈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en receiving gro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B .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은 베이스(12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에는 터치펜(20)이 삽입된다. 터치펜(2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펜몸체(21)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펜 끝(22)의 팁과 팁에서 펜몸체(21)를 연결하는 경사부(23)를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As shown in FIGS. 8A and 8B ,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concavely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 The touch pen 20 is inserted into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touch pen 2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pen body 21 held by the user, a tip of the touch pen tip 22 that is touched, and an inclined portion 23 connecting the pen body 21 from the tip.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a width that can accommodate the touch pen 20 .

펜수납홈(126)의 양단측(126a)은 단부를 향하여 폭이 점점 좁아지고 경사진 구조로 된다.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의 펜몸체(21)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126b)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20)의 경사부(23) 및 터치펜 끝(22)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126a)를 포함한다.Both end sides 126a of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have a narrower and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end.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has a straight accommodating part 126b in which the pen body 21 of the touch pen 20 is accommodated, and the entranc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so that the inclined part 23 of the touch pen 20 and the touch and an inclined accommodating portion 126a in which the pen tip 22 is accommodated.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내벽 또는 바닥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내벽 또는 바닥면에 닿지 않는 구조는 터치펜 끝(22)의 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에 닿으면 터치펜 끝(22)이 손상되고 터치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has a structure such that the tip 22 of the touch pen does not touch the inner wall or bottom surface of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while the touch pen 20 is accommodated in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126 . The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pen tip 22 does not touch the inner wall or bottom surfa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to protect the tip of the touch pen tip 22 . When the touch pen tip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touch pen tip 22 is damaged and the touch is not recognized.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의 양측(예: 도 8a의 A-A'점, B-B'점)에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inclined portion 23 of the touch pen 20 is in contact with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width (eg, points A-A' and B-B' in FIG. 8A ). In one state, the touch pen tip 22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or the wall surfa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이를 위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경사 수용부(126a)의 경사 각도(α)는 터치펜(20)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의 양측(C-C'점)에 접촉되고, 펜몸체(21)가 경사 수용부(126a)로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단부 내벽에 닿지 않는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A ,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inclination receiving part 126a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inclination part of the touch pen 20 .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23 of the touch pen 20 is in contact with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at both sides (point C-C') of the entrance width, and the pen body 21 is moved to the inclined receiving portion 126a. Since it is impossible to move, the tip 22 of the touch pen does not touch the inner wall of the end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또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bottom surface is from the contact point where the inclined portion 23 of the touch pen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tip 22 of the touch pen. is formed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경사 수용부(126a)에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ℓ1)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A-A')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m1)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는 터치펜 끝(22)이 경사 수용부(126a)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B , in the inclined receiving portion 126a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vertical length ℓ1 from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uch pen 20 is ) of the inclined portion 2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m1 from the contact point A-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touch pen tip 22 . This prevents the tip of the touch pen 22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accommodating part 126a.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직선 수용부(126b)에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ℓ2)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B-B')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m2)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는 터치펜 끝(22)이 직선 수용부(126b)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C , in the straight receiving portion 126b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vertical length ℓ2 from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bottom surface is the length of the touch pen 20 . The inclined portion 2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m2 from the contact point B-B' in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the tip 22 of the touch pen. This prevents the tip of the touch pen 22 from tou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ight receiving portion 126b.

이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어 터치펜(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고, 더불어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에 삽입되는 길이에 비해 펜수납홈(126)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어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23 of the touch pen 20 is in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touch pen 20 , and the inclined portion 23 of the touch pen 20 is The depth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length inserted into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so that the tip of the touch pen 22 does not contact the bottom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이 터치펜(20)의 펜몸체(21)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중간부분에서 펜몸체(21)의 직경에 대응된다. 이로 인해, 터치펜(20)은 펜수납홈에 수납시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펜수납홈(126)에 수납될 수 있다. 이는 터치펜(20)이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has a relatively small entrance width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pen body 21 of the touch pen 20 and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pen body 21 in the middle portion. For this reason, the touch pen 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by pressing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stor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This serves to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of the touch pen 2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상기한 이유로, 실시예는 펜수납홈(126)에서 터치펜(20)의 펜몸체(21)가 삽입되는 부분에 터치펜 끝(22)을 삽입하더라도, 일차적으로 터치펜(20)의 펜몸체(21)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 폭에 걸리므로, 과도함 힘으로 누르지 않는 이상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다. For the above reasons, in the embodiment, even when the tip 22 of the touch pen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where the pen body 21 of the touch pen 20 is inser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pen body of the touch pen 20 is primarily Since the inclined portion 23 of 21 is caught by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tip of the touch pen 22 does not touch the bottom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unless it is pressed with excessive force.

도 9b 및 도 9c에서 펜수납홈(126)의 폭방향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 것이 목적이므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 구조이면, 펜수납홈(126)의 폭방향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9b and 9c, the width direction cross-section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is that the touch pen tip 22 does not touch the bottom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if the touch pen tip 22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touch the bottom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pen The width direction cross-s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26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한편, 도 8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펜수납홈(126)에 터치펜(20)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60)가 배치된다. 탄성지지부(160)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터치펜(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8B and 10 , an elastic support unit 160 for supporting the touch pen 20 is dispos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The elastic support unit 16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tably support the touch pen 20 .

탄성지지부(160)는 펜수납홈(126)의 중앙에 배치되어 펜수납홈(126)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elastic support unit 16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and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160)는 펜수납홈(126)과 연통되는 안착부(161)를 포함하고,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 실시예서,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이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높이 m만큼 더 돌출된다As shown in FIG. 10 , the elastic support part 160 includes a seating part 161 communicating with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and the touch pen 20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61 has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art of the touch pen 20 .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unit 160 . In the embodiment, the touch pen 20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61 protrudes more by a height m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60 .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의 외주 일부가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면,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을 잡고 탈착시키기 용이하다.Whe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20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61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60 , it is easy to hold and detach the touch pen 20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의 외주 일부가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므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을 경우, 터치펜(20)과 태블릿(10)의 화면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돌기부(도 1의 도면부호 124)가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구비된다.Since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20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61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60 , when the tablet holder is folded, the touch pen 20 and the screen of the tablet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reference numeral 124 in FIG. 1 ) is provided around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안착부(161)의 양측에 요입된 형상이고 상부로 개구된 홈부(163)가 더 구비된다. 홈부(163)는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을 잡고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된다. 터치펜(20)은 홈부(16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주 일부가 약간 더 돌출되고 사용자는 터치펜(20)을 파지하기 용이하다.Groove portions 163 having a concave shape and opening upwards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61 . The groove part 163 makes it easy to hold and detach the touch pen 20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20 slightly more protrudes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163 , and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touch pen 20 .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탠드(130)의 일단을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141)와 스탠드(130)의 타단을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142)와, 홀더(110)를 회전하여 태블릿(10)의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볼 수 있도록 피봇 기능을 제공하는 제3 힌지부(143)를 포함한다. The tablet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hinge part 141 that rotatably connects one end of the stand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130 to the holder 110 so as to be rotatable. It includes a second hinge part 142 that connects, and a third hinge part 143 that rotates the holder 110 to provide a pivot function so that the screen of the tablet 10 can be view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제1 내지 제3 힌지부(141,142,143)로 구성되는 3단 힌지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110)를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거나,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게 할 수 있다.The three-stage hinge consisting of the first to third hinge parts 141, 142, and 143 rotates the holder 110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so that the holder 110 overlaps the base 120, or the holder (110) can be erected and laid down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져, 태블릿(10)을 소정 각도에서 세워서 볼 수 있다. 1 and 2, in the tablet holder 100, the holder 110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and the tablet 10 can be viewed by sta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가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여, 사용자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다. 이때, 태블릿(10)은 홀더(110)와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보호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 the holder 110 overlaps the base 120 so that the user can move with the tablet holder 100 on which the tablet 1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tablet 10 is protected between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120)에 구비된 돌기부(124)가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 및 터치펜(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0)에 구비된 금속판(125)이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되어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In a state where the holder 110 and the base 120 are overlapped, the protrusion 124 provided on the base 120 prevents the screen of the tablet 10 from contacting the base 120 and the touch pen 20, so that the screen It can prevent scratches and impacts. In addition, the metal plate 125 provided on the base 120 is attached to the magnet built into the tablet 10 so that the base 120 and the holder 110 do not overlap and open.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홀더(110)가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닫는다. 따라서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된 상태에서,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에는 충전잭을 연결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t holder 100 , when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the holder 110 closes the power connection hole 11 of the tablet 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istake in connecting the charging jack to the power connection hole 11 of the tablet 10 while the tablet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10 .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탠드(130)의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덫대거나 스탠드(130)를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하여 강성을 높이므로,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blet holder 100 traps an aluminum plat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130 or increases the rigidity by manufacturing the stand 130 with an aluminum plate, damage to the hing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손잡이(150)를 전체 두께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어린이들이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손잡이(150)의 하면에 돌기(153)를 형성하여 베이스(12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이는 태블릿 거치대(100)가 바닥에 균형있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태블릿 거치대(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ablet holder 100 forms the handle 150 relatively thin compared to the overall thickness so that children can easily grip it, and the base 120 by forming a protrusion 15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150 .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This allows a user to stably use the tablet holder 100 by allowing the tablet holder 100 to be balanced on the floor.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베이스(120)의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1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서 꺼내어 사용하고 보관하기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tablet holder 100 is provided with a pen receiving groove 126 in which the touch pen 20 can be accommod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0 . Therefore, it is easy for the user to use and store the touch pen 20 by taking it out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when necessary.

또한,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수납할 때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 또는 내벽에 닿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또는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터치펜 끝(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in a structure such that the tip 22 of the touch pen does not touch the bottom or inner wall of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when the touch pen 20 is accommod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pen tip 22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touch pen 20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or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touch pen 20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and taking it out. have.

또한, 펜수납홈(126)은 일측에 터치펜(20)의 펜몸체(21)를 약간만 돌출시키는 탄성지지부(160)를 구비한다. 따라서 펜수납홈(126)에서 터치펜(20)을 수납하고 꺼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portion 160 for slightly protruding the pen body 21 of the touch pen 20 on one side. Therefore, it is easier to accommodate and take out the touch pen 20 in the pen receiving groove 126 .

상술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태블릿(10)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태블릿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책 단말기 등을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스마트폰이나 전자책 단말기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tablet holder 1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t 10 is mounted to help the user to use the tablet more conveniently. However, the tablet cradle 100 may be manufactured to a size capable of mounting a smart phone or an e-book terminal, etc., and may be applied to helping a smart phone or an e-book terminal to be used more conveniently.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in the specifica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태블릿 11: 전원연결구멍
20: 터치펜 21: 펜몸체
22: 터치펜 끝(팁) 23: 경사부
100: 태블릿 거치대 110: 홀더
111: 요입슬릿 113: 개방부
120: 베이스 121: 키보드
122: 전원연결홀 123: 락버튼
124: 돌기부 125: 금속판
126: 펜수납홈 127: 지지러버
130: 스탠드 140: 각도조절수단
141: 제1 힌지부 141a: 제1 힌지공
141b: 제1 힌지축 142: 제2 힌지부
142a: 제2 힌지축 142b: 제2 힌지공
143: 제3 힌지부 143a: 축부
150: 손잡이 151: 미끄럼 방지 패드
153: 돌기 160: 탄성지지부
161: 안착부 163: 홈부
10: Tablet 11: Power connection hole
20: touch pen 21: pen body
22: tip of the touch pen (tip) 23: inclined part
100: tablet holder 110: holder
111: concave slit 113: open part
120: base 121: keyboard
122: power connection hole 123: lock button
124: protrusion 125: metal plate
126: pen storage groove 127: support rubber
130: stand 140: angle adjustment means
141: first hinge portion 141a: first hinge hole
141b: first hinge shaft 142: second hinge portion
142a: second hinge shaft 142b: second hinge hole
143: third hinge portion 143a: shaft portion
150: handle 151: non-slip pad
153: protrusion 160: elastic support part
161: seating portion 163: groove portion

Claims (16)

태블릿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스탠드의 타단을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펜수납홈은 터치펜의 펜몸체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의 경사부 및 터치펜 끝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수용부의 경사 각도(α)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고,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상기 터치펜 끝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어,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 폭의 양측에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이 상기 펜수납홈의 바닥면 및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되는 태블릿 거치대.
a holder for inserting the tablet;
Base;
a st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er;
a first hinge part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tand to the base; and
a second hinge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tand to the holder;
includes,
The base is formed with a pen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ouch pen on the upper surface,
The pen accommodating groove includes a straigh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pen body of the touch pen is accommodated, and an incline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inclination part of the touch pen and the tip of the touch pen as the entrance width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inclination receiving part is smaller than the angle (β) of the inclination part of the touch pe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to the bottom is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ouch pen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pen receiving groove to the tip of the touch pen,
A tablet holder having a structure such that the tip of the touch pen does not touch the bottom surface and wall surface of the pen receiving groove while the inclined portions of the touch pen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entrance width of the pen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를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이 상기 제2 힌지부로 연결되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and includes a third hinge part for pivotally rotating the holder,
A tablet holder in which the third hing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까지 상기 홀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inge portion allows the holder to rotate from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nd to a position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touches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태블릿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홀더는 양측에 상기 태블릿의 이면을 노출시키는 요입슬릿이 형성된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supports the back surface and the edge of the tablet,
The holder is a tablet holder having a concave slit on both sides to expose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홀더를 접었을 때 상기 금속판과 상기 자석이 자력을 작용시켜 벌어지지 않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 metal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built into the tablet, and when the holder is folded on the base, the metal plate and the magnet do not open by applying a magnetic force to the tablet hol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터치펜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uch pen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groove protrudes upward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의 주변에 상기 태블릿의 화면과 상기 터치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8. The method of claim 7,
A tablet hold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ound the pen receiving groove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screen of the tablet and the touch p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또는 상기 베이스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태블릿의 전원연결구멍을 닫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or the base includes a power connection hole,
When the tablet is mounted on the holder, the holder is a tablet holder that closes the power connection hole of the tab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태블릿은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되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tablet is mounted on the holder, the tablet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서 펼쳤을 때 적어도 상기 손잡이와 맞닿는 부분에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판을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 tablet holder comprising an anodized aluminum plate at leas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andle when unfol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 tablet holder provided with an anti-slip pad on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면에 돌기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The handle is a tablet holder provided with a projection on the lower surface.
KR1020190158429A 2019-12-02 2019-12-02 Tablet holder KR102298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en) 2019-12-02 2019-12-02 Tablet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en) 2019-12-02 2019-12-02 Tablet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76A KR20210068876A (en) 2021-06-10
KR102298206B1 true KR102298206B1 (en) 2021-09-06

Family

ID=7637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en) 2019-12-02 2019-12-02 Tablet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20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21Y1 (en) 2014-05-23 2014-12-18 주식회사 시공교육 a Case for small portable computers
KR101591431B1 (en) 2014-09-23 2016-02-03 (주)밸류플러스 Case for a tablet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677B2 (en) * 1989-09-20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Electronics
JPH0354437U (en) * 1989-09-26 1991-05-27
KR100484390B1 (en) 2002-06-27 2005-04-20 조영길 Apparatus for combinbing assembly type furniture
KR200465932Y1 (en) * 2011-05-30 2013-03-18 (주)에이서브원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101341368B1 (en) * 2011-09-30 2013-12-13 최근식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21Y1 (en) 2014-05-23 2014-12-18 주식회사 시공교육 a Case for small portable computers
KR101591431B1 (en) 2014-09-23 2016-02-03 (주)밸류플러스 Case for a tablet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76A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141B1 (en) Protective case for folding screen phone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TWI498866B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720452B2 (en) Kickstan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069527B2 (en) Tablet support apparatus
KR200397129Y1 (en) stand for cellular phone case
TWI488563B (en) Peripheral input device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604109B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prop-up function
US20110038119A1 (en) Notebook computer
KR20120138429A (en) Cover case for portable device
US9179567B2 (en) Electronic device
TW201332417A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device
JP6821886B2 (en) Cylindrical biaxial hinges for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s with cylindrical biaxial hinges.
WO2012136076A1 (en) Tablet personal computer support
TW201304663A (en) Suppor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11278114B2 (en) Portable reading stand
US20120325987A1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KR20140007049A (e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JP2013011977A (en) Tablet computer case
US20060252385A1 (en) Hand-held input device having rotating mechanism
KR102298206B1 (en) Tablet holder
KR20120015749A (en) A case being easy to change an angle of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H1065356A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