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133B1 -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133B1
KR102285133B1 KR1020140193304A KR20140193304A KR102285133B1 KR 102285133 B1 KR102285133 B1 KR 102285133B1 KR 1020140193304 A KR1020140193304 A KR 1020140193304A KR 20140193304 A KR20140193304 A KR 20140193304A KR 102285133 B1 KR102285133 B1 KR 102285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ice
thermoelectric module
tra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3225A (en
Inventor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133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2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수냉블럭; 및 상기 수냉블럭에 연결되는 공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isclosed are a cooling device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configured to transfer heat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 water cooling block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n air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may include.

Description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모듈에 의해서 냉각이 이루어지며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수냉과 공냉으로 냉각하여 냉각효율을 높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device that is cooled by a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cooled by water cooling and air cooling to increase cooling efficiency,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it's about

냉각장치는 냉각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A cooling device is a device that cools. Such a cooling device may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so that cooling can be achieved. That is, cooling may be achiev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이외에, 냉각장치는 열전모듈을 사용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열전모듈은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의 일측은 냉각측이 되고 타측은 가열측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의 냉각측에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device may be cooled by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a cooling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a heating side. In addition, cooling may be performed on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한편, 열전모듈의 가열측으로 열전달이 계속 이루어져서 가열측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다다르면, 열전모듈의 가열측으로부터 냉각측으로의 열전달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 transfer continues to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ide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side to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므로, 열전모듈을 사용하여 계속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continue cooling u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it is necessary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종래, 이를 위해서 열전모듈의 가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로가 형성된 방열부재를 접촉되도록 연결시켰다. 또한, 방열부재에 냉각팬이 구비되도록 하였다.Conventionally, for this purpose, a heat dissipation member having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connected to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so as to be in contact. In addition, a cooling fan was provided o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그리고, 냉각팬이 구동되도록 하여 방열부재의 공기유동로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의 가열측으로부터 방열부재에 전달된 열이 공기에 전달되어 열전모듈의 가열측이 냉각되도록 하였다.Then, the cooling fan was driven to allow air to flow in the air flow path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ccordingly,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is transferred to the air, so that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cooled.

그러나, 이러한 공냉방식으로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는 것은 열전달량이 작은 경우에는 효과가 있으나, 열전달량이 큰 경우에는 효과가 크지 않았다.However, cooling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this air cooling method is effective when the heat transfer amount is small, but is not effective when the heat transfer amount i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recognition of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열전모듈을 사용하는 냉각장치의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a cooling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공냉 뿐만 아니라 수냉으로도 냉각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by water cooling as well as air cooling.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각장치는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 열전모듈의 가열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수냉블럭; 및 수냉블럭에 연결되는 공냉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configured to transfer heat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 water cooling block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n air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공냉부는 수냉블럭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방열부재; 및 방열부재에 구비되는 냉각팬; 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cooling unit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and a cooling fan provided i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수냉블럭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및 유입구와 유출구에 연결되는 수냉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cooling block may have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 outle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cooling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그리고, 상기 수냉블럭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냉각팬을 구동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cooling fan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방열부재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에 따라, 냉각팬을 구동하여 공냉부에 의해서만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수냉블럭에 물을 공급하여 수냉블럭에 의해서만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공냉부와 수냉블럭 모두에 의해서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he controller drives a cooling fan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nly by the air cooling unit, or supplies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and heats the thermoelectric module only by the water cooling block. The side may be cooled, or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cooled by both the air cooling unit and the water cooling block.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측에 연결되는 냉각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oling member connected to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냉각부재는 열전모듈의 냉각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냉각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member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cooling uni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수냉블럭과 연결부가 열전모듈의 가열측과 냉각측에 각각 접촉되게 연결되면서 열전모듈이 주위와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cooling block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and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respectively, a heat insulating member to insul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from the surroundings;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단열부재에는 열전모듈과 연결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module and a connection portion inserted therein.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 전술한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의 냉각부재에 포함되는 냉각부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er body; the aforementioned cooling device; and a tray member containing water to submerge the cooling unit included in the cooling member of the cooling device;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트레이부재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공급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물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y member may be formed with a water supply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is connected.

또한, 상기 트레이부재는 트레이부재에 물이 담기고 냉각되어 냉각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위치와, 냉각부에 생성된 얼음이 냉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Also, the tray member may rotate between an ice-making position in which water is placed in the tray member and cooled to generate ice in the cooling unit, and an ice-removing position in which the ic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cooling unit.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 아래의 제빙기본체에는 냉수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d water storage unit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ice maker under the cooling device.

또한, 상기 트레이부재의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에 담기어 냉각된 물이 트레이부재가 탈빙위치로 회전하여 냉수저장부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cooled by being put in the tray member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may be supplied and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by rotating the tray member to the ice-removing position.

그리고, 상기 냉수저장부에 저장된 냉각된 물이 트레이부재의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에 공급되어 냉각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may be supplied to the tray member at an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to generate ice in the cooling unit.

또한, 상기 냉수저장부에는 펌프가 연결되며, 펌프에는 냉수공급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냉수공급관의 타측은 트레이부재 위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one sid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other sid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may be located on the tray member.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재에는 트레이부재에 담긴 물에 파동이 발생하도록 선회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d, the tray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ivoting member so as to generate a wave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공냉 뿐만 아니라 수냉으로도 냉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cooled by water cooling as well as air cool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모듈을 사용하는 냉각장치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8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ooling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illustr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will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related components among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peration in each embodiment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extended numbers.

냉각장치chiller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열전모듈(200), 수냉블럭(300) 및, 공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200 , a water cooling block 300 , and an air cooling unit 400 .

열전모듈(200)은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가 인가되면 열전모듈(200)의 일측은 냉각되어 냉각측이 되고 열전모듈(200)의 타측은 가열되어 가열측이 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200)에 역방향의 전기가 인가되면 전술한 냉각측은 가열되고 가열측은 냉각될 수 있다.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when electricity is applied,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may be cooled to become a cooling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may be heated to become a heating side. In addition, when electricity in a revers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the aforementioned cooling side may be heated and the heating side may be cooled.

열전모듈(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is possible as long as heat is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electricity is applied.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200)은 직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열전모듈(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shape.

또한, 열전모듈(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100)에 2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장치(100)에 포함되는 열전모듈(2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wo thermoelectric modules 200 may be included in the cool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 However, the number of thermoelectric modules 200 included in the cooling device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is possible.

수냉블럭(300)은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냉블럭(300)에는 유입구(310)와 유출구(320) 및 수냉유로(330)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be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An inlet 310 , an outlet 320 , and a water cooling passage 330 may be formed in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는 연결관(TC)에 의해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에 유입될 수 있다.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by a connection pipe TC. According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유로(330)가 전술한 유입구(310)에 연결되도록 수냉블럭(3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에 유입된 물은 수냉유로(330)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수냉유로(330)를 유동하는 물과 열전모듈(200)의 가열측과의 열교환, 즉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으로부터 수냉유로(330)를 유동하는 물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이 냉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may be formed in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o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inlet 310 . Accordingl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flow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 And,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and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that is, by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to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the thermoelectric module ( 200) may be cooled on the heating side.

수냉블럭(300)의 수냉유로(330)는 유입구(310) 이외에 유출구(32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냉유로(330)을 유동한 물은 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320 in addition to the inlet 310 .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320 .

수냉유로(330)는, 예컨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수냉유로(33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동하면서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지그재그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may have a 'C' shape, for example. However, the shape of the water cooling flow path 3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s long as it has a shape capable of cooling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by receiving heat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while water flows, a zigzag shape, etc. Any shape is possible.

공냉부(400)는 수냉블럭(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냉부(400)는 방열부재(410)와 냉각팬(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oling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The air cooling unit 400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410 and a cooling fan 420 .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410)는 수냉블럭(300)에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냉블럭(300)으로부터 방열부재(410)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may be connected to contact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Accordingly,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

방열부재(410)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로(411)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면서 방열부재(410)로부터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방열부재(410)가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flow paths 411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 In addition,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10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while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may be cooled by air.

방열부재(410)의 구성과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냉블럭(300)에 접촉되도록 연결되어 수냉블럭(300)으로부터 방열부재(410)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성과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and shape is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o transfer heat from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 even is possible

냉각팬(420)은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420)의 구동에 의해서 공기가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방열부재(410)로부터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로의 열전달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oling fan 420 may be provided o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as shown in FIGS. 1 and 3 . By driving the cooling fan 420 , air can flow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can be adjusted. Accordingly, heat transfer from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10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may be better achieved.

냉각팬(4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열부재(410)에 구비되어 공기가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도록 하며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fan 4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provided i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so that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 Any well-known configuration is possible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는 전술한 수냉블럭(30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와 물공급원에 연결된 연결관(TC)에 구비되는 공급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수냉블럭(30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llo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bove-described water cooling block 3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pply valve (not shown) provided in 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and the connection pipe TC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open the supply valve by an electric signal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또한, 제어부는 전술한 공냉부(400)의 냉각팬(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냉각팬(42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며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oling fan 420 of the above-described air cooling unit 400 . And,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cooling fan 420 by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s in the air flow path 411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can be adjusted.

이러한 제어부는 방열부재(410)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에 따라, 공냉부(400)에 의해서만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수냉블럭(300)에 의해서만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또는 공냉부(400)와 수냉블럭(300) 모두에 의해서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This control unit cools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only by the air-cooling unit 400, or heats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only by the water cooling block 300,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he side may be cooled, or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may be cooled by both the air cooling unit 400 and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이를 위해서, 제어부는 방열부재(410)나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방열부재(410)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경우에는, 냉각팬(420)을 구동하여 공냉부(400)에 의해서만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or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or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relatively low, the control unit drives the cooling fan 420 to heat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only by the air cooling unit 400 . can cool the side.

즉,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으로부터 수냉블럭(300)에 전달된 열이 냉각팬(420)의 구동에 의해서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에 전달되어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이 냉각될 수 있다.That is,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is transferred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420 . The heating side of the module 200 may be cooled.

또한,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방열부재(410)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가 비교적 중온인 경우에는,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수냉블럭(300)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수냉블럭(300)에 의해서만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relatively medium, the control unit opens the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hereby providing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Only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can be cooled.

즉,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으로부터 수냉블럭(300)에 전달된 열이 수냉블럭(300)의 수냉유로(330)를 유동하는 물에 전달되어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이 냉각될 수 있다.That is,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is transferred to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so that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cooled. can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방열부재(410)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가 비교적 고온인 경우에는, 냉각팬(420)을 구동하고 수냉블럭(300)에 물을 공급하여, 공냉부(400)와 수냉블럭(300) 모두에 의해서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relatively high, the control unit drives the cooling fan 420 an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to supply water to the air cooling unit ( 400 ) and 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즉,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으로부터 수냉블럭(300)에 전달된 열은 수냉블럭(300)의 수냉유로(330)를 유동하는 물과 냉각팬(420)의 구동에 의해서 방열부재(410)의 공기유동로(411)를 유동하는 공기에 전달되어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냉각할 수 있다.That is,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i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33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and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by driving the cooling fan 420 . ) may be transferred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411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이에 의해서, 방열부재(410)나 외기의 온도에 따라 열전모듈(200)의 가열측을 적절하게 냉각하여 냉각장치(10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device 100 may be increased by appropriately cooling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ccording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10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member 500 as shown in FIGS. 1 to 3 .

냉각부재(500)는 냉각모듈(200)의 냉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재(500)가 냉각될 수 있다. 냉각부재(5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200)에 대응되도록 2개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부재(5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cooling side of the cooling module 200 . Accordingly, 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cooled. As shown in FIG. 2 , the number of cooling members 500 may be two to correspon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However, the number of cooling members 5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is possible.

냉각부재(500)는 연결부(510)와 냉각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10)는 열전모듈(200)의 냉각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10)는, 예컨대, 직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5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전모듈(200)의 냉각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cooling member 5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510 and a cooling part 520 . The connection part 510 may be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The connection part 51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example. However,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5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또한, 냉각부(520)는 연결부(5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520)는 단부가 둥근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부(5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5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Also, the cooling unit 520 may extend from the connection unit 510 . The cooling unit 5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rounded end. However, the shape of the cooling unit 5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extend from the connection unit 510 .

냉각부(520)는 연결부(510)에 각각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부(520)에 구비되는 연결부(5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Two cooling units 52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connection units 510 . However,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units 510 provided in the cooling unit 5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is possible.

이러한 냉각부(520)는, 예컨대 후술할 바와 같이 물에 잠길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200)이 작동되면 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unit 520 may be submerged in water, 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operated, the water may be cool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w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0)는 단열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member 600 .

단열부재(600)는 수냉블럭(300)과 냉각부재(500)의 연결부(510)가 열전모듈(200)의 가열측과 냉각측에 각각 접촉되게 연결되면서 열전모듈(200)이 주위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600 is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5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and the cooling member 500 is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and the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respectively, so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insulated from the surroundings. can do.

이에 의해서, 열전모듈(200)은 수냉블럭(300)과, 냉각부재(500)하고만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열전모듈(200)에 전기가 인가되면, 냉각부재(500)로부터 수냉블럭(300)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냉각부재(500)는 냉각되고 수냉블럭(300)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200)에 역방향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냉각부재(500)는 가열되고 수냉블럭(300)은 냉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can exchange heat only with the water cooling block 300 and the cooling member 500 . For exampl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ooling member 500 to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so that the cooling member 500 is cooled and the water cooling block 300 can be heated. In addition,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heated and the water cooling block 300 may be cooled.

단열부재(600)는 단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부재(600)를 이루는 단열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열이 이루어지는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600 may b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6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이러한 단열부재(600)에는 삽입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610)에는 열전모듈(200)과, 냉각부재(500)의 연결부(510)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삽입부(610)는 열전모듈(200)과 연결부(5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An insertion part 610 may b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600 .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nd the connection part 510 of 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610 . To this end, the insertion part 61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nd the connection part 510 .

그러나, 삽입부(6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전모듈(200)과, 냉각부재(500)의 연결부(510)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6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nd the connection part 510 of the cooling member 500 are inserted.

또한, 삽입부(610)의 개수는 열전모듈(200)과 냉각부재(500)의 연결부(510)와 대응되는 2개일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610)의 개수는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arts 610 may be two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s 510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nd the cooling member 500 . However, the number of the insertion units 610 may be any number.

제빙기ice machine

이하, 도4 내지 도1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7은 도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

또한,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는 제빙기본체(20), 전술한 냉각장치(100) 및, 트레이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 mak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er main body 20 , the aforementioned cooling device 100 , and a tray member 30 .

제빙기본체(20)에는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냉각장치(100) 등이 구비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100) 아래의 제빙기본체(20)에는 냉수저장부(21)가 형성될 수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장치(1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저장부(21)에 저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7 , the ice making body 20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cooling device 100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are to be provided. In addition, a cold water storage unit 21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main body 20 under the cooling device 100 . Accordingly, water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100, that is, cold water, may be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as shown in FIG. 10 .

그리고, 냉수저장부(21) 옆의 제빙기본체(20)에는 얼음저장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100)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얼음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storage unit 22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body 20 next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 the ice I made by the cooling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22 .

제빙기본체(20)의 구성과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각장치(100)가 구비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는 구성과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ice-making main body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ell-known configuration and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and shape in which the space in which the cooling device 100 is provided can be provided.

냉각장치(1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cooling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트레이부재(30)에는 도8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길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에 냉각장치(100)의 냉각부재(500)에 포함되는 냉각부(520)가 잠길 수 있다.The tray member 30 may contain water as shown in FIGS. 8 and 11 . In addition, the cooling unit 520 included in the cooling member 500 of the cooling device 100 may be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

이에 따라, 냉각장치(100)의 열전모듈(200)이 구동되면, 냉각부재(500)가 냉각되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가 잠긴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가 되거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52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of the cooling device 100 is driven, the cooling member 500 is cooled, so that the water in which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is submerged may be cooled. According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may become cold water as shown in FIG. 9 or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as shown in FIG. 12 .

트레이부재(3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부재(30)의 물공급부(31)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공급관(TWA)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물공급관(TWA)을 통해 트레이부재(30)의 물공급부(31)에 공급되어 트레이부재(30)에 담길 수 있다.A water supply part 31 may be formed in the tray member 30 as shown in FIG. 5 . One end of a water supply pipe (TWA)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rt 31 of the tray member 30 . And, as shown in FIG. 8 ,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31 of the tray member 3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WA and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

물공급관(TWA)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전술한 냉각장치(100)의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다른 물공급원일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관(TWA)에 연결된 물공급원은 수냉블럭(300)의 유입구(310)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같은 물공급원일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WA may be a different water supply source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of the cool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However, 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WA may be the same water supply source as 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inlet 310 of the water cooling block 300 .

트레이부재(30)는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트레이부재(30)의 일측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를 회전시키는 모터(MO)와 연결되는 모터연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부재(30)의 타측에는 제빙기본체(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member 30 may rotate between an ice-making position and an ice-removing position. To this end, a motor connection part 32 connected to a motor MO for rotating the tray member 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member 30 as shown in FIG. 5 . In addition, a rotation shaft 33 rotatably provided to the ice-making main body 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member 30 .

그러나, 트레이부재(30)가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ay member 30 rotates between the ice-making position and the ice-removing 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is possible.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담길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물공급관(TWA)에 의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트레이부재(30)에 공급되어 담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장치(100)의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가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에 잠길 수 있다. 이외에, 후술하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에는 제빙기본체(20)의 냉수저장부(21)에 저장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공급될 수도 있다.In the ice-making position, the tray member 30 may be filled with wat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by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pipe TWA,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tray member 30 and contained therein. Accordingly,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of the cooling device 100 may be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 In addition, the cool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of the ice-making main body 20, that is, col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tray member 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hown in FIG. 11 .

그리고, 트레이부재(30)의 제빙위치에서 냉각장치(100)의 열전모듈(200)가 구동되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52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And,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of the cooling device 100 is driven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30, the tray member 30 as shown in FIG. 9 by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 can be cooled. Also, as shown in FIG. 12 ,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

냉각부(520)에 얼음(I)의 생성이 완료되면, 트레이부재(3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O)에 의해서 탈빙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은 제빙기본체(20)의 냉수저장부(2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520)에 생성된 얼음(I)의 아래에는 트레이부재(30)가 없게 된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ice I in the cooling unit 520 is completed, the tray member 30 may be rotated to the ice removing position by the motor MO as shown in FIG. 13 . According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may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of the ice-making main body 20 . And, there is no tray member 30 under the ice I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

이러한 상태에서, 열전모듈(200)에 역방향의 전기가 인가되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가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와 얼음(I)의 접촉면이 녹을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520)에 생성된 얼음(I)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낙하하여 냉각부(5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electricity in a revers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heated.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and the ice I may be melted. Also, the ice I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may fall by its own weight and be separated from the cooling unit 520 as shown in FIG. 13 .

이와 같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얼음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제빙기본체(20)에 형성된 얼음저장부(22)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ce I separated from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may be moved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22 formed in the ice making body 20 by an ice guide (not shown). there is.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의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30)에 담기어 열전모듈(200)과 냉각부재(500)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가 탈빙위치로 회전하여 냉각장치(100) 아래의 냉수저장부(21)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the water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and the cooling member 500 after being put in the tray member 30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30,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tray member 30 rotates to the ice-removing position to be supplied to and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under the cooling device 100 .

이 경우에는,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는 얼음(I)이 생성되지 않아도 된다.In this case, the ice I does not need to b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

이와 같이, 냉수저장부(21)에 저장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트레이부재(30)의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30)에 공급되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ol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that is,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member 30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30, and the ice (I) is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 can be created.

이를 위해서, 냉수저장부(21)에는 펌프(P)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P)에는 냉수공급관(TCW)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공급관(TCW)의 타측은 트레이부재(30) 위에 위치할 수 있다.To this end, a pump P may b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 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TCW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P. And, the other sid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TCW) may be located on the tray member (30).

또한, 냉수공급관(TCW)은 제빙기본체(20)에 형성된 냉수공급로(23)에 연결되어 펌프(P)에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P)와 냉수공급로(23) 사이에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supply pipe (TCW)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P) by being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ath (23) formed in the ice making main body (20), and an on/off valve (V) between the pump (P) and the cold water supply path (23) ) may be provided.

이러한 구성에서, 펌프(P)를 구동하고 개폐밸브(V)를 개방하면, 냉수저장부(21)에 저장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펌프(P)와 개폐밸브(V) 및 냉수공급로(23)를 통해 냉수공급관(TCW)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는 냉수공급관(TCW)을 유동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에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ump (P) is driven and the on/off valve (V) is opened, the cool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that is, cold water is the pump (P) and the on/off valve (V) and the cold water supply path ( 23) through the cold water supply pipe (TCW). In addition, the cold water may flow through the cold water supply pipe TCW and be supplied to the tray member 30 as shown in FIG. 11 .

이와 같이, 트레이부재(30)에 냉수저장부(21)에 저장된 냉수를 공급한 후, 열전모듈(200)을 구동하여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면, 더 빠른 시간 내에 얼음(I)이 냉각부(520)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에너지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supplying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to the tray member 30 , the thermoelectric module 200 is driven to generate ice I in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 By doing so, the ice I can b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within a shorter time. And, thereby,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한편, 트레이부재(30)에는 선회부재(40)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선회부재(40)의 선회에 의해서 트레이부재(30)에 담긴 물에 파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에 파동이 발생하면 물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 투명한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y member 30 may be provided with a turning member 40 to be pivotable. A wave may occur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 by the turning of the turning member 40 . In this way, when a wave occurs in the water,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removed. In addition, transparent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

이를 위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부재(40)에는 자석(MG)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회부재(40)의 자석(MG)에 대응되는 제빙기본체(20)에는 전자석(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magnet MG may be provided in the turning member 40 as shown in FIG. 5 . In addition, an electromagne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magnet MG of the turning member 40 .

그리고, 전자석에 선회부재(40)의 자석(MG)의 자력과 같은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거나, 다른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거나, 또는 같은 방향의 자력과 다른 방향의 자력을 번갈아 주기적으로 인가하면, 선회부재(40)가 선회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gnetic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magnet MG of the turning member 40 is periodically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a magnetic force in a different direction is periodically applied, or a magnetic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nd a magnetic force in a different direction are alternately periodically applied. When applied to, the turning member 40 can pivot.

그러나, 선회부재(40)가 선회하도록 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부재(30)를 회전하도록 하는 전술한 모터(MO)와 이에 연계되는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선회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for turning the turning member 40 to tu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known such as turning by the above-described motor MO for rotating the tray member 30 and a gear (not shown) connected thereto. Any configuration is possible.

트레이부재(3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회부재(40)의 선회에 의해서 트레이부재(30)로부터 넘친 물이 트레이부재(30)의 배수부(34)를 통해 제빙기본체(20)의 냉수저장부(21)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에 담기어 냉각부재(500)의 냉각부(52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를 제빙기본체(20)의 냉수저장부(21)로 공급할 때, 냉수가 배수부(34)를 통해 냉수저장부(21)로 공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drain part 34 may be formed in the tray member 30 . And, the water overflowing from the tray member 30 by the turning of the turning member 40 may be drained to the cold water storage part 21 of the ice making body 20 through the drain part 34 of the tray member 30 .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water cooled by the cooling unit 520 of the cooling member 500 after being put in the tray member 30 , that is, col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of the ice making body 20 . When supplying, col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1 through the drain unit 34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사용하면,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공냉 뿐만 아니라 수냉으로도 냉각할 수 있으며, 열전모듈을 사용하는 냉각장치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are used,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can be cooled not only by air cooling but also by water cooling,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can be increased. .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ol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the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is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onfigured.

10 : 제빙기 20 : 제빙기본체
21 : 냉수저장부 22 : 얼음저장부
23 : 냉수공급로 30 : 트레이부재
31 : 물공급부 32 : 모터연결부
33 : 회전축 34 : 배수부
40 : 선회부재 100 : 냉각장치
200 : 열전모듈 300 : 수냉블럭
310 : 유입구 320 : 유출구
330 : 수냉유로 400 : 공냉부
410 : 방열부재 411 : 공기유동로
420 : 냉각팬 500 : 냉각부재
510 : 연결부 520 : 냉각부
600 : 단열부재 610 : 삽입부
TWA : 물공급관 TCW : 냉수공급관
MO : 모터 MG : 자석
P : 펌프 TC : 연결관
V : 개폐밸브
10: ice maker 20: ice maker main body
21: cold water storage unit 22: ice storage unit
23: cold water supply path 30: tray member
31: water supply part 32: motor connection part
33: rotation shaft 34: drain part
40: turning member 100: cooling device
200: thermoelectric module 300: water cooling block
310: inlet 320: outlet
330: water cooling flow path 400: air cooling unit
410: heat dissipation member 411: air flow path
420: cooling fan 500: cooling member
510: connection 520: cooling unit
600: insulation member 610: insertion part
TWA : Water supply pipe TCW : Cold water supply pipe
MO : Motor MG : Magnet
P : Pump TC : Connector
V : on/off valve

Claims (17)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수냉블럭;
상기 수냉블럭에 연결되는 공냉부;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측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냉각부재; 및
상기 수냉블럭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과 냉각측에 각각 접촉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열전모듈이 주위와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에는 상기 열전모듈과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수냉블럭과 상기 단열부재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둘러싸이며, 상기 연결부의 측면은 상기 단열부재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하는 냉각장치.
a thermoelectric module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 water cooling block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 air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a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cooling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and
a heat insulating member configured to insul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from surroundings while the water cooling block and the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a heating side and a cool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respectively; includes,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connecting section are inserted,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surrounded by the water cooling block,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side of the connecting section is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member cooling system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부는
상기 수냉블럭에 접촉되도록 연결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에 구비되는 냉각팬;
을 포함하는 냉각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oling unit
a heat dissip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water cooling block; and
a cooling fan provided o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 cooling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블럭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에 연결되는 수냉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장치.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 outle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cooling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are formed in the water cooling bl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블럭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냉각팬을 구동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냉각장치.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and driving the cooling fan; A cool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열부재의 온도나 외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팬을 구동하여 상기 공냉부에 의해서만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상기 수냉블럭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수냉블럭에 의해서만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거나,
상기 공냉부와 수냉블럭 모두에 의해서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측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dissipation member o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or by driving the cooling fan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nly by the air cooling unit,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cooling block to cool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nly by the water cooling block,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he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by both the air cooling unit and the water cooling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빙기본체;
제1항에 기재된 냉각장치; 및
상기 냉각장치의 냉각부재에 포함되는 냉각부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기.
ice making body;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y member containing water to submerge the cooling unit included in the cooling member of the cooling device;
An ice mak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공급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물공급부가 형성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tray member has a water supply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는 상기 트레이부재에 물이 담기고 냉각되어 상기 냉각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위치와, 상기 냉각부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냉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빙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ray member has an ice-making position in which water is placed in the tray member and cooled to generate ice in the cooling unit, and an ice-removing position in which the ice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cooling unit. An ice machine that rotates betwee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 아래의 상기 제빙기본체에는 냉수저장부가 형성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cold water storage part is formed in the ice maker main body under the cool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의 제빙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부재에 담기어 냉각된 물이 상기 트레이부재가 탈빙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냉수저장부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water cooled by being immersed in the tray member at the ice 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is supplied to and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by rotating the tray member to the ice removing posi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저장부에 저장된 냉각된 물이 상기 트레이부재의 제빙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부재에 공급되어 상기 냉각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ol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tray member at an ice-making position of the tray member to generate ice in the cool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저장부에는 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펌프에는 냉수공급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냉수공급관의 타측은 상기 트레이부재 위에 위치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pump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one side of a cold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other sid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on the tray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에는 상기 트레이부재에 담긴 물에 파동이 발생하도록 선회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11, wherein the tray member is provided with a turning member pivotally to generate waves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KR1020140193304A 2014-12-30 2014-12-30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KR102285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04A KR102285133B1 (en) 2014-12-30 2014-12-30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04A KR102285133B1 (en) 2014-12-30 2014-12-30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225A KR20160083225A (en) 2016-07-12
KR102285133B1 true KR102285133B1 (en) 2021-08-05

Family

ID=5650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04A KR102285133B1 (en) 2014-12-30 2014-12-30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1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070B1 (en) * 2017-12-28 2022-08-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Cool water mat
KR102475600B1 (en) * 2020-11-05 2022-12-0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Ice 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2465060B1 (en) * 2021-02-17 2022-11-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king transparent ice cub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67B1 (en) * 2008-04-22 2010-10-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1175933B1 (en) * 2010-01-15 2012-08-22 주식회사 리빙케어 Cold Water Purifier For Under Sink Type Using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KR20120083127A (en) *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리빙케어 Ice manufacture assembly
KR20130026969A (en) * 2011-09-06 2013-03-14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225A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285133B1 (en) Cooling apparatus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KR101164158B1 (en)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US2009004985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7917564A (en) Cold water produces equipment and the water purifier with the equipment
US10047982B2 (en) Ice storage apparatus and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09254795A (en) Liquid temperature regulator
US8539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ice in an ice maker system
KR102186818B1 (en) Ice maker
KR101435107B1 (en) Water purifi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20120105186A (en) Ice m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d water and ice using the same
KR101675746B1 (en) Ice maker
KR101488112B1 (en) The dual of the frozen ice making and ice Machine
JP2011024626A (en) Liquid temperature adjuster
KR101463904B1 (en) Water Purifier and Hot/Cold Water Supplier with Ice-Making Unit Disposed on lower Part of Cold-Water Tank
JP3321624B2 (en) Cooling system
KR2016001225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ld water
KR20120076327A (en) Ice mak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fferent shape ices
KR20220037820A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2193470B1 (en) Ice maker
KR102226421B1 (en) Ice maker
JP3487982B2 (en) Cooling water circulation feeder for scientific equipment
KR20120033742A (en) Apparatus for making transparent ice
KR102195416B1 (en)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JP2004097418A (en) Blood circulation promo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