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680B1 -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80B1
KR102284680B1 KR1020190178268A KR20190178268A KR102284680B1 KR 102284680 B1 KR102284680 B1 KR 102284680B1 KR 1020190178268 A KR1020190178268 A KR 1020190178268A KR 20190178268 A KR20190178268 A KR 20190178268A KR 102284680 B1 KR102284680 B1 KR 10228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shaft body
leaf spring
elastic means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335A (ko
Inventor
서한덕
김규정
김동원
구보희
조연호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브가 연결되는 샤프트바디;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의 조작 시, 상기 샤프트바디에 의하여 회전거동이 유도되고, 상기 노브의 조작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바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조작감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판스프링과 지지블록을 도입하여 노브의 조작 시, 판스프링의 회전 거동을 유도함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한 거동공간을 축소하고, 축소된 탄성수단의 거동공간만큼 샤프트바디의 지름을 증대시킴으로써 축의 강성 및 강도를 높여 내구성 및 강건화를 구현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Dial transmission with leaf springs}
본 발명은 조작감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판스프링과 지지블록을 도입하여 노브의 조작 시, 판스프링의 회전 거동을 유도함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한 거동공간을 축소하고, 축소된 탄성수단의 거동공간만큼 샤프트바디의 지름을 증대시킴으로써 축의 강성 및 강도를 높여 내구성 및 강건화를 구현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다이얼 타입 변속장치는 불렛과 C-링, 인장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불렛과 인장압축 스프링이 회전축 중심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불렛과 인장압축 스프링의 직선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회전축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얇아질 수 있고, 이렇게 회전축의 지름이 얇은 경우 회전축의 강성 및 강도는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회전축에 연결되는 노브는 변속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을 받는 구조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즉 노브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회전축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이 파손되는 경우 변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치명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노브에 작용하는 과다한 외력은 회전축이 편심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조작감을 저감시켜 사용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는 판스프링을 도입하여 노브 조작 시, 판스프링이 멈춤쇠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 경우 판스프링이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493호(2013.09.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작감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판스프링과 지지블록을 도입하여 노브의 조작 시, 판스프링의 회전 거동을 유도함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한 거동공간을 축소하고, 축소된 탄성수단의 거동공간만큼 샤프트바디의 지름을 증대시킴으로써 축의 강성 및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는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브가 연결되는 샤프트바디;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의 조작 시, 상기 샤프트바디에 의하여 회전거동이 유도되고, 상기 노브의 조작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바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고, 내측면부에 접촉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샤프트바디에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접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접촉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비변형 거동을 유도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거동을 유도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바디의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향해 절곡된 꺾임부와, 상기 꺾임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접하고, 슬라이드 거동이 원활히 이루질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된 만곡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샤프트바디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꺾임부를 지지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수단의 지지블록과 판스프링은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지지블록의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는 각각 상기 지지블록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블록의 제2 접촉부는 변속 시, 조작감을 유도하기 위한 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는 조작감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판스프링과 지지블록을 도입하여 노브의 조작 시, 판스프링의 회전 거동을 유도함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한 거동공간을 축소하고, 축소된 탄성수단의 거동공간만큼 샤프트바디의 지름을 증대시킴으로써 축의 강성 및 강도를 높여 내구성 및 강건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의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 간소화가 가능하고,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기존 변속장치에 비하여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의 판스프링과 지지블록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조작감을 생성한 후, 자력에 의하여 노브가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탄성수단의 배치구조에 의하여 노브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복원이 이루어짐으로써 변속 조작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변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변속장치의 샤프트바디와 판스프링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변속장치의 탄성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변속장치의 탄성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는 하우징(10)과, 노브(N)가 연결된 샤프트바디(20) 및 변속장치의 조작감을 생성하고, 자력에 의하여 샤프트바디(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은 상부에 노브(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샤프트바디(20)와 탄성수단(30)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0A)과, 중간하우징(10B) 및 하부하우징(10C)으로 구성되고, 각 하우징(10)에는 결합부가 구비도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0A)과 중간하우징(10B)은 샤프트바디(20)를 수용 및 장착을 위한 수용부(11)가 구비되고, 중간하우징(10B)은 탄성수단(30)의 지지블록(31)이 고정되어 하부하우징(10C)에 장착된다.
이 경우 탄성수단(30)의 지지블록(31)의 고정을 위해 중간하우징(10B)에는 탄성수단(30)의 지지블록(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치부(13)가 형성되는데, 안치부(13)의 측부에는 안치돌기(13a)가 구비되고, 안치부(13)의 내부에는 고정돌기(15)가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블록(31)에는 안치부(13)의 안치돌기(13a)와 고정돌기(15)에 대응되도록 안치홈(31c)과 고정공(31b)이 형성되어 지지블록(31)이 안치부(1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바디(20)는 중간하우징(10B)의 수용부(11)에 장착되고, 노브(N)가 연결되어 변속을 위해 노브(N)를 회전시키는 경우 노브(N)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바디(20)는 원통형상의 이루어진 바디와, 바디 내부에는 노브(N)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25)가 형성된 샤프트(21)가 구비된다. 또한 바디의 하부에는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장착부(23)가 구비되는데, 장착부(23)에는 볼트홀(23a)이 형성되고,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 일단에는 볼트홀(23a)에 대응되는 관통홀(33c)이 형성되어 볼트(B) 체결됨으로써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이 샤프트바디(20)의 장착부(23)에 고정된다.
이 경우 장착부(23)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고, 최소 2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판스프링(33)의 장착지점을 다수로 확보하여 다양한 배치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샤프트바디(20)의 바디 하단에는 돌출된 연장부(29)가 형성되는데, 이 연장부(29)에는 지지돌기(27)가 형성되어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 거동 시, 판스프링(33)의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지지돌기(27)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은 판스프링(33)의 거동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30)은 하우징(10), 즉 중간하우징(10B)에 장착되는 지지블록(31)과, 샤프트바디(20)의 장착부(23)에 결합되는 판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먼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다이얼 타입 변속장치는 불렛과 C-링, 인장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불렛과 인장압축 스프링이 회전축 중심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불렛과 인장압축 스프링의 직선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회전축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얇아질 수 있고, 이렇게 회전축의 지름이 얇은 경우 회전축의 강성 및 강도는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회전축에 연결되는 노브(N)는 변속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을 받는 구조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즉 노브(N)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회전축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이 파손되는 경우 변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치명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노브(N)에 작용하는 과다한 외력은 회전축이 편심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조작감을 저감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수단(30)으로 판스프링(33)과, 판스프링(33)의 거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록(31)을 도입하여 노브(N)의 조작 시,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이 샤프트바디(20)에 의하여 노브(N)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탄성수단(30)의 설치 공간을 줄이고, 이를 통하여 샤프트바디(20)의 지름을 확장함으로써 샤프트바디(20)의 강성 및 강도를 높이는 강건한 구조를 도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30)의 지지블록(31)은 중간하우징(10B)의 안치부(13)에 안착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31)의 양단부에는 중간하우징(10B)의 안치부(13)의 안치돌기(13a)에 삽입되는 안치홈(31c)이 형성되고, 지지블록(31)의 몸체에는 안치부(13)의 고정돌기(15)가 끼워지는 고정공(31b)이 형성되어 지지블록(31)이 중간하우징(10B)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지지블록(31)의 내측에는 접촉면부가 형성되는데, 이 접촉면부의 일측부에는 판스프링(33)의 비변형 거동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접촉부(31A)가 형성되고, 접촉면부의 타측부에는 판스프링(33)의 탄성거동을 유도하기 위한 제2 접촉부(31B)가 형성된다.
즉 지지블록(31)의 제1 접촉부(31A)는 대략 일정한 곡률을 갖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판스프링(33)의 거동 시, 판스프링(33)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 않도록 단순히 판스프링(33)의 회전만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지지블록(31)의 제2 접촉부(31B)는 미세하게 내측으로 돌출된 산부(31a)가 형성되어 있어 노브(N)의 조작 시, 판스프링(33)이 산부(31a)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조작감을 생성하고, 동시에 판스프링(33)의 탄성변형을 유도하여 노브(N)로부터 조작력이 제거되는 경우 판스프링(33)이 탄성을 발휘하여 자력으로 샤프트바디(20) 및 노브(N)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은 샤프트바디(20)의 장착부(23)에 결합되고, 단부가 지지블록(31)의 접촉면부, 즉 제1 접촉부(31A)와 제2 접촉부(31B)에 접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판스프링(33)의 일단부에는 관통홀(33c)이 형성되어 있어 장착부(23)의 볼트홀(23a)에 볼트(B) 체결에 의하여 고정된다.
아울러 판스프링(33)은 지지블록(31)의 접촉면부를 향해 절곡된 꺾임부(33a)와, 꺾임부(33a)의 단부에 형성되어 지지블록(31)의 접촉면부에 접하고, 슬라이드 거동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해 곡선 형태로 형성된 만곡접촉부(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판스프링(33)은 대략 형상은 배치위치에 따라 'ㄱ'자 내지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꺾임부(33a)의 단부에 형성된 만곡접촉부(33b)가 제1 및 제2 접촉부(31A)(31B)에 접하여 슬라이드 거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판스프링(33)의 만곡접촉부(33b)가 지지블록(31)의 제1 접촉부(31A)에 접하여 이동하는 경우 판스프링(33)은 탄성변형 없이 거동을 하게 된다.
또한 판스프링(33)의 만곡접촉부(33b)가 지지블록(31)의 제2 접촉부(31B)를 접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탄성변형을 동반한 거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산부(31a)를 지나면서 조작감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노브(N)의 조작을 위한 조작력이 제거되는 경우 판스프링(33)은 탄성을 발휘하여 샤프트바디(20)와 노브(N)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33)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위치에 따라 'ㄱ'자 내지 'ㄴ'자 형태 이루어져 제2 접촉부(31B)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판스프링(33)이 틀어져 조작력 감소, 절도감 및 조작감이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프트바디(20)의 연장부(29)에 지지돌기(27)가 형성되어 꺾임부(33a)에 접하여 판스프링(33)의 거동 시, 서포트하도록 함으로써 도 5의 도시와 같이 판스프링(33)이 회전 거동을 하는 경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판스프링(33)이 틀어지거나 처짐 현상 없이 중심축방향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력을 유지하고, 절도감 및 조작감이 상쇄됨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30)을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하로 대칭되는 위치에 지지블록(31)과 판스프링(33)이 배치되고, 특히 지지블록(31)의 제1 접촉부(31A)와 제2 접촉부(31B)는 지지블록(31)의 중심을 기준을 동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블록(31)에서 제1 접촉부(31A)는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접촉부(31B)는 좌측에 배치되어 상하에 배치되는 판스프링(33)의 거동 시 상부에 배치된 판스프링(33)과 하부에 배치되는 판스프링(33)이 각각 제1 접촉부(31A)와 제2 접촉부(31B)를 따라 교차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판스프링(33)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회전하더라도 조작감과 복원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5의 (a) 도시와 같이 판스프링(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된 판스프링(33)은 제2 접촉부(31B)를 타고 이동하고, 하부에 배치된 판스프링(33)은 제1 접촉부(31A)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31B)에 의하여 조작감과 복원력이 유도된다.
반대로 도 5의 (b) 도시와 같이 판스프링(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된 판스프링(33)은 제1 접촉부(31A)를 타고 이동하고, 하부에 배치된 판스프링(33)은 제2 접촉부(31B)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31B)에 의하여 조작감과 복원력이 유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는 노브(N)의 조작력, 즉 회전력이 샤프트바디(20)가 전달되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샤프트바디(20) 회전에 의한 마그넷의 자기장변화를 홀 센서에 의해 변속단, 즉 파킹(P), 후진(R), 중립(N) 및 드라이브(D)를 판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의 경우에는 탄성수단(30)에 의하여 변속 후, 샤프트바디(20)와 노브(N)가 탄성수단(3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복원 시 인식된 변속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는 조작감을 생성하기 위한 탄성수단(30)으로 판스프링(33)과 지지블록(31)을 도입하여 노브(N)의 조작 시, 판스프링(33)의 거동 공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회전거동을 유도하고, 탄성수단의 거동공간 축소로 샤프트바디(20)의 지름을 증대시켜 강성 및 강도를 높임으로써 내구성 및 강건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성수단(30)의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 간소화가 가능하고,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기존 변속장치에 비하여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30)의 판스프링(33)과 지지블록(31)이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N : 노브 B : 볼트
10 : 하우징
10A : 상부하우징 10B : 중간하우징
10C : 하부하우징
11 : 수용부 13 : 안치부
13a : 안치돌기 15 : 고정돌기
20 : 샤프트바디
21 : 샤프트 23 : 장착부
23a : 볼트홀 25 : 수납부
27 : 지지돌기 29 : 연장부
30 : 탄성수단
31 : 지지블록 31A : 제1 접촉부
31B : 제2 접촉부 31a : 산부
31b : 고정공 31c : 안치홈
33 : 판스프링 33a : 꺾임부
33b : 만곡접촉부 33c : 관통홀

Claims (7)

  1. 수용부(11)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수용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브(N)가 연결되는 샤프트바디(20); 및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샤프트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N)의 조작 시, 상기 샤프트바디(20)에 의하여 회전거동이 유도되고, 상기 노브(N)의 조작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바디(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30);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장착되고, 내측면부에 접촉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31)과,
    상기 샤프트바디(20)에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31)의 접촉면부에 접하는 판스프링(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31)은
    상기 접촉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33)의 비변형 거동을 유도하는 제1 접촉부(31A)와,
    상기 접촉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33)의 탄성거동을 유도하는 제2 접촉부(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3)은
    상기 샤프트바디(20)의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31)을 향해 절곡된 꺾임부(33a)와,
    상기 꺾임부(33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31)의 접촉면부에 접하고, 슬라이드 거동이 원활히 이루질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된 만곡접촉부(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바디(20)에는 상기 판스프링(33)의 꺾임부(33a)를 지지하여 상기 판스프링(33)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2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0)의 지지블록(31)과 판스프링(33)은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지지블록(31)의 제1 접촉부(31A)와 제2 접촉부(31B)는 각각 상기 지지블록(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31)의 제2 접촉부(31B)는 변속 시, 조작감을 유도하기 위한 산부(3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33)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KR1020190178268A 2019-12-30 2019-12-30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KR10228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68A KR102284680B1 (ko) 2019-12-30 2019-12-30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68A KR102284680B1 (ko) 2019-12-30 2019-12-30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35A KR20210085335A (ko) 2021-07-08
KR102284680B1 true KR102284680B1 (ko) 2021-08-02

Family

ID=7689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68A KR102284680B1 (ko) 2019-12-30 2019-12-30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281A (ja) * 2003-10-06 2005-04-28 Hosiden Corp 回転式レバ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93B1 (ko) 2012-10-05 2013-10-07 에스엘 주식회사 다이얼 타입의 변속 레버
KR20190119125A (ko) * 2017-03-10 2019-10-21 쿠스터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주차 복귀 회전 및 레버식 시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281A (ja) * 2003-10-06 2005-04-28 Hosiden Corp 回転式レバ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35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83430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JP6605574B2 (ja) 特に自動車用の制御要素
WO2001048773A1 (fr) Actionneur de commutateur de securite
MY144933A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KR102331623B1 (ko)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AU2003268823A1 (en) A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US7019732B2 (en) Joystick
US20110048153A1 (en) Joystick
US20100139341A1 (en) Lock device
KR102284680B1 (ko) 판스프링이 적용된 다이얼 변속장치
CA2276566A1 (en) Mortise lock
JP2014500921A (ja) ロックシステム内のロック要素又はアクチュエータ用の移動ロックユニット
US20060151985A1 (en) Rake design for steering column rake adjustment
CN101571729A (zh) 多方向输入装置
AU780995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554124B1 (ko) 차량용레버스위치의구조
US3444752A (en)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EP3170192B1 (en) Control device with limit switches
CN102713336A (zh) 加力装置
KR20060046375A (ko) 조작을 방지하는 조합식 자물쇠
CN108020426B (zh) 用于车辆的换档范围旋转传感器单元
WO2015105096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802410B1 (ko) 차량의 변속기어 시프트레버
AU2014216016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JP4539632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