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647B1 -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47B1
KR102284647B1 KR1020210049119A KR20210049119A KR102284647B1 KR 102284647 B1 KR102284647 B1 KR 102284647B1 KR 1020210049119 A KR1020210049119 A KR 1020210049119A KR 20210049119 A KR20210049119 A KR 20210049119A KR 102284647 B1 KR102284647 B1 KR 10228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sns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정훈
Original Assignee
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훈 filed Critical 지정훈
Priority to KR102021004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를 어얼리어댑터(early adopter), 인플루언서(influencer), 일반 소비자, 후발 소비자 중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대상물들 중에서 상기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를 지시하는 타겟 광고 정보를 상기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쇠퇴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갯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후발 소비자로 분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ONLINE ADVERTISEMENT USING SNS USER'S ACTIV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광고는 광고주가 각종 광고 대상물을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거나 제시하는 행위 또는 그 정보를 의미한다. 온라인 광고는 메일 수신을 허용하는 소비자에게 광고 메일을 전송하는 다이렉트 메일 광고, 키워드를 통해 포털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나 물건을 검색하면, 검색 결과 상단에 광고 대상물이 노출되는 방식의 키워드 광고, 사용자가 주로 소비하는 컨텐츠와 시간적으로 중복되거나 공간적으로 인접한 곳에 광고 배너, 광고 동영상 등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광고 등이 있다.
한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가 대중화됨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계맺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중화에 발맞추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 전략이 주요한 마케팅 포인트로 자리잡고 있다.
종래의 SNS를 이용한 광고 기법은 주로 사용자의 SNS 활동에서 발견되는 사용자의 관심 주제 즉 토픽(Topic)을 추출하고, 추출된 토픽과 관련성이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광고 대상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화된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SNS 활동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광고 대상물을 찾는 것에 그치고 있어 광고 대상물이 되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357호(2014.12.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960호(2010.01.06.) 등록특허공보 제10-1302507호(2013.09.03.)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19호(2018.08.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를 어얼리어댑터(early adopter), 인플루언서(influencer), 일반 소비자, 후발 소비자 중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대상물들 중에서 상기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를 지시하는 타겟 광고 정보를 상기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SNS 활동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상기 컨텐츠의 수, 상기 컨텐츠의 내용,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한 시점, 구독자나 팔로워의 수,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수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복수의 광고주 단말들로부터 광고 대상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대상물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대상물 별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광고 대상물 별 라이프사이클을 이용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대상물 정보는,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시간에 따른 매출액이나 순이익,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종류,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명칭,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설명(descri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라이프사이클을 갖는 상기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사이클은,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및 쇠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광고 대상물이 되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을 구분하고, 구분된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광고 대상물의 현재 라이프사이클과 대응하는 사용자들로 사용자를 분류함으로써, SNS 상에서 제품의 현재 라이프사이클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들을 통해 광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과 대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가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미리 결정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은, 온라인 광고 서버(100), 광고주 단말(200), SNS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광고 서버(100), 광고주 단말(200), SNS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온라인 광고 시스템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광고주 단말(200)은, 온라인 광고 서버(100)를 통해 특정 광고 대상물을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단말로서, 광고 대상물 정보를 온라인 광고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물 정보는, 광고 대상물의 시간에 따른 매출액이나 순이익, 광고 대상물의 종류, 광고 대상물의 명칭, 광고 대상물의 설명(descri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대상물의 설명은 광고 대상물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는 텍스트(text)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SNS 서버(300)에 접속하여 SNS 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컨텐츠를 생성하여 SNS 서버(300)에 업로드하고, SNS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타겟 광고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SNS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제1 사용자 단말(410), 및 SNS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 단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410)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지칭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420)은 제2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 및 광고주 단말(2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SNS 서버(300)는,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유튜브(youtube)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로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들과 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들이 생성한 컨텐츠를 수신받아 다른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400)들이 생성한 컨텐츠의 내역, 소셜 네트워크 생성 관계 등에 기초하여 SNS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SNS 활동 정보를 온라인 광고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SNS 서버(300)와 연동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SNS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주 단말(200)과 연동하여 광고 대상물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SNS 활동 정보와 광고 대상물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열람하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타겟 광고를 지시하는 타겟 광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타겟 광고 정보를 SNS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광고는 컨텐츠를 생성한 제1 사용자의 제1 SNS 활동 정보와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의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대상물(예를 들어, 유형의 상품이나 무형의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광고하는 배너, 동영상, 링크(link),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다수의 광고주 단말(200)들로부터 수신한 광고 대상물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대상물 별 라이프사이클을 이용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는, 온라인 광고 서버(100) 내부의 저장 장치(160)에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온라인 광고 서버(100) 외부의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대상물들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제1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제1 사용자가 분류된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라이프사이클을 갖는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의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 중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에 맞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 대상물에 대한 광고를 제공함과 더불어, 광고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SNS 활동도 고려하여 최종적인 타겟 광고를 결정하기 때문에, 광고가 붙는 컨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고려한 타겟 광고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과 대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대상물이 되는 각종 유형의 상품이나 무형의 서비스들은 일정한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매출액이 성장하거나 쇠퇴하는 경향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품의 수명 주기 이론에 따르면,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는 판매와 수익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및 쇠퇴기 중 하나의 라이프사이클로 분류될 수 있다.
도입기는, 제품을 개발하고, 개발된 제품이 시장에 처음 소개되어 서서히 매출액이 증가하는 시기(단 순이익은 없거나 증가하지 않을 수 있음)일 수 있다. 성장기는 시장에서 제품 소비가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함과 더불과 순이익도 증가하는 시기일 수 있다. 성숙기는, 제품이 많은 고객에게 이미 소비되었거나 전파되어 매출액의 성장이 정체되거나 경쟁업자가 증가함에 따라 마케팅 비용이 증가되어 매출액이나 순이익이 유지 또는 감소되기 시작하는 시기일 수 있다. 쇠퇴기는 성숙기 이후에 해당 제품이 경쟁에서 도퇴되어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감소하는 시기일 수 있다.
이처럼, 광고 대상물이 되는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들은 도입기를 거쳐 쇠퇴기에 도달하는 라이프사이클을 갖는 경향성이 크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하여 광고 대상물을 결정함으로써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에 가장 최적화된 컨텐츠 제공자에게 타겟 광고를 붙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물이 도입기에 해당하는 경우, 아직 시작 초기 단계로서 어얼리어댑터에 의해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고, 어얼리어댑터를 통해 광고되었을 때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대상물이 성장기에 이른 경우, 인플루언서에 의해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고, 가장 전파력과 파급력이 높은 인플루언서를 통해 광고되었을 때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그러나, 광고 대상물이 성숙기에 이른 경우 이미 어느정도 많은 사람에게 해당 제품이 알려진 경향이 크므로 어얼리 어댑터나 인플루언서를 통한 광고 효과를 얻기 보다는 대중적인 일반 소비자층을 통해 광고되었을 때 얻는 광교 효과가 크며, 일반 소비자층에 의해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제품이 쇠퇴기에 이른 경우, 일반 소비자층에서도 대다수 제품을 소비하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층보다는 후발 소비자층을 통해 광고되었을 때 얻는 광고 효과가 크며, 후발 소비자층에 의해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이 도입기인 경우, 어얼리 어댑터가 생산한 컨텐츠에 타겟 광고를 부가하고,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이 성장기인 경우, 인플루언서가 생산한 컨텐츠에 타겟 광고를 부가하고,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이 성숙기인 경우, 일반 소비자가 생산한 컨텐츠에 타겟 광고를 부가하고,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이 쇠퇴기인 경우, 후발 소비자가 생산한 컨텐츠에 타겟 광고를 부가함으로써 타겟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컨텐츠를 업로드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SNS 서버(300)로부터 제1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SNS 활동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의 수, 컨텐츠의 내용, 컨텐츠를 업로드한 시점, 구독자나 팔로워의 수, 제1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수와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를 어얼리어댑터(early adopter), 인플루언서(influencer), 일반 소비자(normal consumer), 및 후발 소비자(Laggard) 중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기준으로 도입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를 업로드한 갯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제1 사용자를 어얼리 어댑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광고 대상물이 도입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온라인 광고 서버(100)가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구독자나 팔로워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사용자를 인플루언서로 분류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의 업로드 시점 또는 제1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기준으로 쇠퇴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열람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제1 사용자를 후발 소비자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광고 대상물이 쇠퇴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온라인 광고 서버(100)가 후술하는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어얼리 어댑터, 인플루언서, 및 후발 소비자로 분류되지 않은 경우, 일반 소비자로 분류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분류된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어얼리어댑터로 분류된 경우, 미리 등록된 광고 대상물들 중에서, 라이프사이클이 도입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인플루언서로 분류된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성장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일반 소비자로 분류된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성숙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후발 소비자로 분류된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쇠퇴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120 이전에,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다수의 광고주 단말(200)들로부터 수신한 광고 대상물 정보를 기초로,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미리 결정하고, 광고 대상물 별 라이프사이클을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성되는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는 광고주 단말(200)들로부터 실시간으로 광고 대상물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갱신(update)될 수 있다.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이 선정되고 나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선정된 광고 대상물들 중에서,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2 SNS 활동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열람 내역, 컨텐츠 생성 내역 등을 기초로 제2 사용자가 열람하거나 생성한 컨텐츠와 관련된 종류, 명칭, 및 설명(description) 중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대상물 정보와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을 타겟 광고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2 사용자가 열람하거나 생성한 컨텐츠의 내용을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종류, 명칭 또는 설명을 갖는 광고 대상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는, 자연어 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 또는 알고리즘인 파이썬의 NTLK(Python NLTK), 샌포드의 코어NLP(Sanford CoreNLP), 아파치의 오픈NLP(Apache OpenNLP), 마이크로소프트의 튜링((Turing), 또는 BERT, GPT-2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결정된 타겟 광고를 지시하는 타겟 광고 정보를 SNS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SNS 서버(300)는 타겟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타겟 광고를 결합시키고, 타겟 광고가 결합된 컨텐츠를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420)이 열람할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단말(420)에 타겟 광고가 결합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타겟 광고 정보를 SNS 서버(300)로 전송한 후에, SNS 서버(300)로부터 타겟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생성량을 기초로 광고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도 2에서 어얼리 어댑터는 도입기에서 컨텐츠 생성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며, 인플루언서는 성장기에서 컨텐츠 생성량이 증가하고, 일반 소비자는 성숙기에서 컨텐츠 생성량이 증가하고, 후발 소비자는 쇠퇴기에서 컨텐츠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가진다.
따라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타겟 광고 정보의 광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들별로 타겟 광고와 대응하는 컨텐츠 생성량의 변화 추이를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43994703-pat00001
수학식 1에서, a, b, c는 어얼리어댑터로 분류된 사용자들이 도입기에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변화 추이를 2차식으로 회귀 분석하였을 때 얻어지는 회귀 분석 계수들로서, 하나 이상의 도입기에 속하는 광고 대상물을 이용하여 미리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며, k1, k2, k3, k4는 타겟 광고가 결합된 컨텐츠를 생산한 제1 사용자가 속한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되는 가중치로서, k1 내지 k4 중 세개는 같은 값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같은 값보다 10배 이상 큰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어얼리어댑터인 경우, k1은 k2, k3, k4보다 10배 이상 큰 값으로 설정되고, k2 내지 k4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인플루언서인 경우, k2는 k1, k3, k4보다 10 배 이상 큰 값으로 설정되고, k1, k3, k4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일반 소비자인 경우 k3는 k1, k2, k4보다 10배 이상 큰 값으로 설정되고, k1, k2, k4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후발 소비자인 경우 k4는 k1, k2, k3보다 10배 이상 큰 값으로 설정되고, k1, k2, k3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수학식 1에 따른 컨텐츠 생성량과 제1 사용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생성량을 서로 비교하여 차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분값을 광고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되는 차분값은 이론적으로 수학식 1에 따라 예상되는 컨텐츠 생성량과 실제 컨텐츠 생성량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광고주로서는 차분값이 크다면 아직 광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광고를 조금 더 지속할 필요성이 높고, 차분값이 작다면 광고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다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확대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타겟 광고의 효과를 광고주에게 피드백해줄 수 있어 광고주로서는 현재 광고 형태를 유지할지 다른 사용자로 광고 타겟을 변경할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가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미리 결정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마다 라이프사이클을 결정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고주 단말(200)들로부터 수신한 광고 대상물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대상물마다 라이프사이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의 매출액 성장 추이에 따라 각각 다른 경향성을 보이는 매출액 곡선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출액의 최대값과 대응하는 변곡점을 포함하는지 여부와 선형 근사화를 통한 선형 근사 기울기를 이용하여 라이프사이클을 최대한 신속하게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물 정보는, 광고 대상물의 시간에 따른 매출액이나 순이익, 광고 대상물의 종류, 광고 대상물의 명칭, 광고 대상물의 설명(descri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 정보에 포함된 광고 대상물의 시간에 따른 매출액을 이용하여 매출액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S200).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생성된 매출액 곡선이 매출액의 최대값과 대응하는 변곡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10).
매출액 곡선이 변곡점을 포함하지 않을 때,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매출액 곡선을 선형 근사화함으로써 제1 선형 근사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S220).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산출된 제1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지 결정하고(S222), 제1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매출액 곡선과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도입기로 결정할 수 있다(S226).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1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1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 매출액 곡선과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성장기로 결정할 수 있다(S224).
한편, 매출액 곡선이 변곡점을 포함할 때,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매출액 곡선에서 변곡점 이후의 기울기를 선형 근사화함으로써 제2 선형 근사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산출된 제2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음수인지 결정하고(S214), 제2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음수인 경우, 매출액 곡선과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쇠퇴기로 결정할 수 있다(S216).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제2 선형 근사 기울기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음수가 아닌 경우, 매출액 곡선과 대응하는 광고 대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성숙기로 결정할 수 있다(S218). 이때, 제2 임계값도 음수일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은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으로서, 제1 임계값을 작게 결정할수록 도입기로 분류되는 광고 대상물이 많아지고, 성장기로 분류되는 광고 대상물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음수인 제2 임계값을 작게 결정할수록, 쇠퇴기로 분류되는 광고 대상물이 줄어들고, 성숙기로 분류되는 광고 대상물이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광고 대상물의 매출액 곡선을 최대한 단순화시켜 도 4에 따른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라이프사이클을 결정하기 때문에, 광고 대상물마다 각기 다른 경향성을 보이는 매출액 곡선을 일률적으로 수학적 알고리즘에 따라 분류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서버(100)는, 푸쉬 서버(push server), 게이트웨이 서버(gateway server), 네임 서버(name server) 등의 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온라인 광고 서버 200: 광고주 단말
300: SNS 서버 400: 사용자 단말
410: 제1 사용자 단말 42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

  1.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복수의 광고주 단말들로부터 광고 대상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대상물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대상물마다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및 쇠퇴기를 포함하는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라이프사이클을 이용하여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를 어얼리어댑터(early adopter), 인플루언서(influencer), 일반 소비자, 후발 소비자 중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열람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제2 SNS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대상물들 중에서 상기 제2 SNS 활동 정보를 기초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를 지시하는 타겟 광고 정보를 상기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SNS 활동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상기 컨텐츠의 수, 상기 컨텐츠의 내용,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한 시점, 구독자나 팔로워의 수,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수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물 정보는,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시간에 따른 매출액이나 순이익,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종류,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명칭, 및 상기 광고 대상물들의 설명(description)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상기 라이프사이클을 갖는 상기 광고 대상물들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프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쇠퇴기에 해당하는 광고 대상물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대상물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업로드한 갯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후발 소비자로 분류하는, 온라인 광고 서버.
KR1020210049119A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28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19A KR102284647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26A KR102242934B1 (ko) 2020-11-13 2020-11-13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19A KR102284647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26A Division KR102242934B1 (ko) 2020-11-13 2020-11-13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647B1 true KR102284647B1 (ko) 2021-07-30

Family

ID=7574314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26A KR102242934B1 (ko) 2020-11-13 2020-11-13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19A KR102284647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18A KR102274915B1 (ko) 2020-11-13 2021-04-15 제품의 수명주기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1A KR102274914B1 (ko) 2020-11-13 2021-04-15 어얼리어댑터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3A KR102284648B1 (ko) 2020-11-13 2021-04-15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8A KR102284659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들 중 후발 소비자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5A KR102284650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들 중 일반 소비자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26A KR102242934B1 (ko) 2020-11-13 2020-11-13 Sns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18A KR102274915B1 (ko) 2020-11-13 2021-04-15 제품의 수명주기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1A KR102274914B1 (ko) 2020-11-13 2021-04-15 어얼리어댑터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3A KR102284648B1 (ko) 2020-11-13 2021-04-15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8A KR102284659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들 중 후발 소비자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0210049125A KR102284650B1 (ko) 2020-11-13 2021-04-15 Sns 사용자들 중 일반 소비자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242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35B1 (ko) * 2021-08-11 2022-08-01 강유 상품 사용 주기에 따라 결정된 광고 주기에 기초하여 광고 대상 상품을 광고하는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597595B1 (ko) * 2023-01-13 2023-11-03 (주) 포테이토프로젝트 디지털 골프 잡지를 발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960A (ko) 2008-06-26 2010-01-06 (주)이와이드플러스 광고매체 중앙 관리 시스템
KR20100043449A (ko) * 2008-10-20 2010-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퇴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507B1 (ko) 2011-04-11 2013-09-03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Sns를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137357A (ko) 2012-03-02 2014-12-02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사용자 그룹으로의 타겟팅 광고
KR101888919B1 (ko) 2017-12-18 2018-08-16 주식회사 디너의여왕 사용자 영향력 기반의 광고 마케팅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960A (ko) 2008-06-26 2010-01-06 (주)이와이드플러스 광고매체 중앙 관리 시스템
KR20100043449A (ko) * 2008-10-20 2010-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퇴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507B1 (ko) 2011-04-11 2013-09-03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Sns를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137357A (ko) 2012-03-02 2014-12-02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사용자 그룹으로의 타겟팅 광고
KR101888919B1 (ko) 2017-12-18 2018-08-16 주식회사 디너의여왕 사용자 영향력 기반의 광고 마케팅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티스토리블로그, "제품수명주기 이론 (PLC전략, Product Life Cycle)" (2019.10.19.) <URL: https://mbanote2.tistory.com/3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648B1 (ko) 2021-07-30
KR102284659B1 (ko) 2021-07-30
KR102284650B1 (ko) 2021-07-30
KR102242934B1 (ko) 2021-04-20
KR102274915B1 (ko) 2021-07-07
KR102274914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610B2 (en) Utiliz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performance and generate improved digital design assets
CN105320766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1703233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Design Transformations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Activity Data
US20170061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ervice platform
Tuarob et al. Fad or here to stay: Predicting product market adoption and longevity using large scale, social media data
US8442849B2 (en) Emotional mapping
US201601887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tically synthesizing multiple sources of data for providing a recommendation
US20160140627A1 (en) Generating high quality leads for marketing campaigns
US201602533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tically adjus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ntent data as behavioral data changes
JP6023129B2 (ja) 抽出装置、抽出方法及び抽出プログラム
US9536002B2 (en) Digital consumer data model and customer analytic record
KR102155342B1 (ko) 다중파라미터 분석 기반 인플루언서 매칭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4647B1 (ko) Sns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장치
US201601885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xpert media content sessions
US20130325589A1 (en) Using advertising campaign allocation optimization results to calculate bids
Moe et al. Social media analytics
US20110225049A1 (en) Emoticlips
US20190102784A1 (en) Modeling sequential actions
US20210350202A1 (en) Methods and systems of automatic creation of user personas
KR102557299B1 (ko) 사용자를 위한 적합 마케팅 전략 수립 방법
US20140067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return
JP2022531410A (ja) デジタル人類学及び民族誌学システム
US20160148271A1 (en) Personalized Marketing Based on Sequence Mining
US20160104208A1 (en) Ad slot ownership for persistent creatives
CN113378043A (zh) 用户筛选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