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424B1 -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424B1
KR102284424B1 KR1020200072425A KR20200072425A KR102284424B1 KR 102284424 B1 KR102284424 B1 KR 102284424B1 KR 1020200072425 A KR1020200072425 A KR 1020200072425A KR 20200072425 A KR20200072425 A KR 20200072425A KR 102284424 B1 KR102284424 B1 KR 10228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uging
flow path
compressed air
air flow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하
박상하
박주하
Original Assignee
박소하
박상하
박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하, 박상하, 박주하 filed Critical 박소하
Priority to KR102020007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13Arc cutting, gouging, scarfing or desur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5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 B23K9/326Purge gas rings, i.e. 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inside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e.g. pipes,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7Means for transporting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우징작업을 수행하는 가우징토치에 구비되어, 가우징작업시 용융된 금속부위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은 가우징봉이 인출되는 바디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전단에는 복수의 분사구가 배열 형성된 분사노즐체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면 내측에 형성되며, 공기유로의 상단에 연통되어 공기유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Nozzle system for Gouging torch}
본 발명은 가우징작업을 수행하는 가우징토치에 구성되어 가우징봉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우징(gouging)이란 소재의 표면에 홈이 생기도록 ‘둥글게 파낸다’라는 뜻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우징 작업이란 모재(작업물)의 소정 구간을 용융시켜 따내는 작업이나, 용접 작업 후 불량하게 용접된 부분이나 필요 이상으로 용접된 부분의 비트를 녹여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우징 작업은 양극(+)을 형성한 가우징봉(카본 전극봉)과 음극(-)을 형성한 모재에 국부적으로 아크를 발생시켜 목적하는 부분을 용융시킴과 함께,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용융된 금속을 불어냄으로써 모재의 일부를 파내어 가우징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우징 작업의 품질이나 작업효율성을 위해서는 용융된 금속 부위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정확하고 강하게 분사되어 용융된 금속을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가우징토치는 노즐부가 단순히 압축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만 구성되어 있어, 압축공기의 공급과정에서 압력손실이 발생함과 함께 압축공기가 집중되지 않고 비산되도록 토출됨으로써 용융된 금속을 고압으로 강하게 불어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우징작업의 품질이 저하되고 작업효율성 또한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337647호 : 자동 가우징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하여 고압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고압의 압축공기가 용융된 금속부위에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가우징 작업의 품질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가우징작업을 수행하는 가우징토치의 바디프레임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우징봉이 인출되는 바디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전단에는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노즐체와,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되며, 공기유로의 상단에 연통되어 공기유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로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공급로는 분사노즐체의 수직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이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분사구는 복수로 이루어져 반원 범위 내에서 원호 형태로 배열되며, 각각의 압축공기 토출방향이 배열된 분사구들의 중심쪽으로 집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에 의하면,
에어공급로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환형의 공기유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압력손실이 최소화된 고압 상태로 용융 부위에 집중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융된 금속을 일방향으로 강하게 불어내어 깨끗하고 미려한 가우징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우징작업의 품질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분사위치를 가우징작업의 방향 등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음과 함께, 상호간에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 유지보수 또한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가우징토치에 설치된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을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시스템의 측단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체의 분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로와 에어공급로의 연통구성을 정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워드관체의 구성을 평편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체의 정면부분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우징작업을 수행하는 가우징토치에 구비되어, 가우징작업시 용융된 금속부위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이 적용되는 가우징토치의 구성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가우징토치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일 뿐으로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공지된 다양한 구성의 적용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우징토치(300)는 기본적으로 외형을 이루는 바디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프레임(310)의 내부에는 가우징작업시 소모되는 만큼 가우징봉(G)을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휠(320)과, 가우징봉(G)으로 전기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블럭(330)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310)은 가우징봉(G)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출구(311)와 입구(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입구(312)를 통해 가우징봉(G)이 바디프레임(310) 내부로 인입된 후 출구(311)를 통해 전방의 모재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구동휠(320)은 가우징봉(G)의 하면부에 물리면서 바디프레임(310)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모터(321)에 축 결합이 되며, 그에 따라 구동모터(321)가 작동되면 회전되면서 가우징봉(G)에 전진 이송력을 제공함으로써, 가우징봉(G)이 출구(311)를 통해 일정속도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전극블럭(330)은 가우징봉(G)의 상면부에 접촉되어 가우징봉(G)으로 전기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가우징(G)이 양극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블럭(330)은 별도의 전극승강수단(340)에 지지되어, 가우징봉(G)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거나 또는 가우징봉(G)으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의 가우징토치(300)에 있어 가우징봉(G)이 인출되는 바디프레임(310)의 출구(311)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인출되는 가우징봉(G)을 따라 압축공기를 전방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체(100)와, 상기 분사노즐체(10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체(100)는 바디프레임(310)의 출구(311)에 설치되어 가우징토치(300)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분사노즐체(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형관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출구(311)를 관통한 가우징봉(G)이 내주면 안쪽의 공간을 통해 분사노즐체(1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노즐체(100)에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에어공급로(200)와 연통되면서 에어공급로(20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전방쪽으로 유통될 수 있게 하는 환형의 공기유로(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분사노즐체(100)의 전단에는 상기 공기유로(110)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가우징봉(G)을 따라 전방을 향해 토출시키는 복수의 분사구(120)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분사구(120)는 환형구조의 공기유로(110)를 따라 전체적으로, 즉 360°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반원 범위(180°범위) 이내에서 일정각을 이루는 원호 형태로 배열 형성됨으로써, 분사노즐체(100)를 통과해 인출된 가우징봉(G)의 일측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분사구(120)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우징작업의 방향 등에 따라 분사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사구(120)는 압축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최대한 전방을 향해 집중되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방향이 배열된 분사구들의 중심쪽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분사구(120)들의 토출방향이 배열의 중심을 향하도록 집중되면 토출된 압축공기가 비산되지 않고 용융된 금속부위에 집중적으로 분사되어 분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에어공급로(200)는 분사노즐체(10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관로이며, 바디프레임(310)의 전면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공급로(200)에는 압축공기가 제공되는 에어호스(도면 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호스커넥터(2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공급로(200)의 하단은 분사노즐체(100)의 공기유로(110) 상단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에어공급로(200)는 환형의 공기유로(110)에 연통됨에 있어서, 분사노즐체(100)의 수직중심선(L)으로부터 일측으로 일정간격 편심된 위치에서 공기유로(11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에어공급로(200)가 공기유로(110)에 편심되어 연통되면, 에어공급로(20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환형의 공기유로(110)로 유입될 때 양방향으로 분산 유입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집중되어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일방향으로 집중 유입된 압축공기는 공기유로(110)의 환형구조를 따라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유로(110)를 통해 유통되는 압축공기는 상호간의 간섭과 마찰에 의한 압력손실이 최소화되어 고압상태를 유지하면서 분사구(120)까지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은 공기유로(110)가 환형으로 형성되면서 에어공급로(200)가 편심되게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압축공기가 환형의 공기유로(110)를 따라 회전되면서 압력손실없이 복수의 분사구(1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렇게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는 복수의 분사구(120)를 통해 용융금속 부위에 집중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우징작업시 용융된 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불어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됨과 함께 미려하고 깨끗한 가우징홈을 형성함으로써 가우징작업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환형의 공기유로(110)와 복수의 분사구(120)를 포함하는 분사노즐체(100)는, 용이한 제조 및 설치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호간에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분사노즐체(100)는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플렌지부재(130)와, 인서트관체(140) 및 포워드관체(150)와, 커버캡(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재(130)는 바디프레임(310)의 출구(311)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이다.
플렌지부재(130)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프레임(310)의 출구(311)에 삽입되고, 후단측 외주면에는 볼트 체결을 통해 바디프레임(310)의 전면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판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재부(131)의 전단측 플렌지부재(130)의 외주면에는 커버캡(160)과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관체(140)는 플렌지부재(13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부분이다.
인서트관체(140)도 원형관의 형상을 가지되, 외경이 플렌지부재(13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전후방향의 길이는 플렌지부재(13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관체(140)의 후단에는 출구(31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마감테(1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감테(141)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링(14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관체(140)의 전단에는 플렌지부재(130)와의 동심유지를 위한 스페이서(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43)는 120°간격으로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관체(140)가 플렌지부재(130)의 내부에 동심구조로 삽입 설치되면, 도 2 및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인서트관체(140)의 외경과 플렌지부재(130)의 내경 상호간의 직경차이에 따라 인서트관체(140)의 외주면과 플렌지부재(1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에어공급로(200)와 연통되는 환형의 공기유로(110a)가 생성된다.
그리고 환형의 공기유로(110a)는 인서트관체(140) 후단에 형성된 마감테(141) 및 패킹링(142)에 의하여 후방이 기밀하게 폐쇄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전방쪽으로만 유통시키게 된다.
여기서, 인서트관체(140)의 외주면에는 에어공급로(200)의 연통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유도날개(14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날개(144)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일정 원호구간에 형성되어, 유입된 압축공기가 공기유로(110)를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쪽으로 유통되도록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포워드관체(150)는 인서트관체(140)의 전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커버캡(160)은 포워드관체(150)를 내부에 수용하여 플렌지부재(130)에 결합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포워드관체(15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인서트관체(140)에 대응하는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원형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캡(160)은 원형의 내주면을 가지면서 외형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경은 포워드관체(15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포워드관체(150)의 외주면에는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차단테(15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캡(160)의 내주면에는 차단테(151)를 지지하는 지지단(161)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테(151)와 지지단(161)은 포워드관체(150)의 외경과 커버캡(160)의 내경 차이에 대응되는 돌출 높이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상호간에 전후로 밀착이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테(151)의 일부분에는 공기유통을 위한 복수의 통기구(152)가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배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통기구(152) 각각의 전방에는 공기분사를 유도하는 복수의 분사유도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도홈(153)은 포워드관체(150)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 요입되면서 포워드관체(150)의 전단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분사유도홈(153)은 전방쪽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고, 배열의 중심쪽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분사유도홈(153)이 4개 형성된 경우 중앙쪽의 2개는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양 사이드쪽의 분사유도홈(153)은 중앙쪽을 향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포워드관체(150)의 후단에는 인서트관체(140)의 전단에 기밀하게 밀착이 가능하도록 패깅편(154)이 마련되고, 커버캡(160)의 후단 내측에는 플렌지부재(130)의 스크류부(132)에 대응하는 스크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워드관체(150)의 전면에는, 포워드관체(150)가 커버캡(160)에 수용된 상태에서 포워드관체(150)를 회전시켜 상기 분사유도홈(15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위치조정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포워드관체(150)와 커버캡(160)은, 포워드관체(150)가 커버캡(160)의 후단을 통해 커버캡(160)의 내부로 삽입 수용되고, 커버캡(160)은 포워드관체(150)를 수용한 상태에서 스크류부 상호간의 체결을 통해 플렌지부재(130)에 결합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면, 포워드관체(150)는 인서트관체(140)의 전단에 밀착되어 지지됨과 함께 차단테(151)가 커버캡(160)의 지지단(161)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의 위치는 고정되면서 회전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커버캡(160)의 내주면과 포워드관체(15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플렌지부재(130)와 인서트관체(140) 사이에 생성된 공기유로(110a)와 그대로 이어지는 환형의 공기유로(110b)가 추가로 생성된다.
그리고, 커버캡(160)의 지지단(161)과 포워드관체(150)의 외주면이 상호 밀착됨으로써,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포워드관체(150)의 외주면에 요입 형성된 복수의 분사유도홈(153)만 전방으로 노출이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분사구(120)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되는 복수의 분사구(120)는, 위치조정홈(155)에 드라이버 등을 끼워 포워드관체(150)를 회전시키면 위치의 변경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위치조정홈(155)을 이용한 포워드관체(150)의 회전을 통하여 간편하게 압축공기의 분사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에어공급로(200)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플렌지부재(130)와 인서트관체(140) 사이에 생성된 환형의 공기유로(110a) 및, 커버캡(160)과 포워드관체(150) 사이에 생성된 환형의 공기유로(110b)를 따라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유통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복수의 차단테(151)에 절개 형성된 통기구(152)를 통과하며,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분사유도홈(153)을 따라 배열의 중심쪽을 향하여 안내된 후, 최종적으로 복수의 분사구(120)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집중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분사노즐체(100)에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과 같이, 내부를 통과하여 인출되는 가우징봉(G)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봉받침대(170)와 봉지지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봉받침대(1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서트관체(140)의 하측 내주면에 결합 고정되며, 상면은 가우징봉(G)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봉지지대(180)는 출구(311) 상측의 바디프레임(310)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인서트관체(140)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받침대(170)와 봉지지대(180)는, 가우징봉(G)의 하부를 봉받침대(170)가 받쳐주면서 상부는 봉지지대(180)가 탄성 지지함으로써 가우징봉(G)이 유동없이 분사노즐체(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노즐시스템은 압축공기가 환형의 공기유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여 공급이 이루어짐과 함께 토출방향이 집중된 분사구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집중시켜 분사함으로써, 용융된 금속을 집중된 고압의 압축공기로 강하게 불어낼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가우징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100: 분사노즐체
110: 공기유로 120: 분사구
130: 플렌지부재 140: 인서트관체
150: 포워드관체 153: 분사유도홈
160: 커버캡 170: 봉받침대
180: 봉지지대 200: 에어공급로

Claims (4)

  1. 가우징작업을 수행하는 가우징토치(300)의 바디프레임(310)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우징봉(G)이 인출되는 바디프레임(310)의 출구(311)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환형의 공기유로(110)가 형성되고 전단에는 분사구(120)가 형성된 분사노즐체(100); 및
    상기 바디프레임(310)에 형성되며, 공기유로(110)의 상단에 연통되어 공기유로(11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로(20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공급로(200)는 분사노즐체(100)의 수직중심선(L)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공기유로(110)와 연통되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반원 범위 내에서 원호 형태로 배열되며, 각각의 압축공기 토출방향이 배열된 분사구들의 중심쪽으로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120)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KR1020200072425A 2020-06-15 2020-06-15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KR10228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25A KR102284424B1 (ko) 2020-06-15 2020-06-15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25A KR102284424B1 (ko) 2020-06-15 2020-06-15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424B1 true KR102284424B1 (ko) 2021-08-02

Family

ID=7731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425A KR102284424B1 (ko) 2020-06-15 2020-06-15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186B1 (ko) * 2009-12-29 2012-0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라즈마 가우징 토치
KR101337647B1 (ko) 2011-08-09 2013-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가우징 장치
KR20190078731A (ko) * 2017-12-27 2019-07-05 (주)아진웰텍 가우징 토치 및 이를 이용한 가우징 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186B1 (ko) * 2009-12-29 2012-02-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라즈마 가우징 토치
KR101337647B1 (ko) 2011-08-09 2013-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가우징 장치
KR20190078731A (ko) * 2017-12-27 2019-07-05 (주)아진웰텍 가우징 토치 및 이를 이용한 가우징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228A (en) Nozzle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metal workpieces
CA2231109C (en) Plasma arc torch
US7375302B2 (en) Plasma arc torch having an electrode with internal passages
JP2739522B2 (ja) プラズマアークトーチ及びプラズマアークトーチを用いてプラズマアークにより工作物を突き通し、次いで切断する方法
US5109150A (en) Open-arc plasma wire spray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07958A1 (en) Torch and Contact Tip for Gas Metal Arc Welding
US3604889A (en) Plasma-generating method and means
CA2586607A1 (en) Plasma arc torch having an electrode with internal passages
KR20080005946A (ko) 플라즈마 아크 토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개별 가스 젯의생성
CN2928355Y (zh) 一种用于铝合金激光填丝焊接的加工头
US7265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ooling of resistance welding cap
KR102284424B1 (ko) 가우징토치의 노즐시스템
US3649805A (en) Plasma generating method and means
KR102009199B1 (ko) 가우징 토치 및 이를 이용한 가우징 건
US3865173A (en) Art of casting metals
KR102295806B1 (ko) 자동 가우징작업용 가우징토치
CN110560805B (zh) 放电加工装置的放电加工单元
KR101837374B1 (ko) 용접토치용 전방분사 디퓨저
KR101837372B1 (ko) 용접토치용 디퓨저
CN106825869B (zh) 氩弧焊枪及具有该氩弧焊枪的装置
EP2098322A1 (en) Flushing device and method for a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102206791B1 (ko) 가스절감 기능을 갖는 아르곤 가스 용접토치 헤드
JPH06262367A (ja) プラズマ切断装置
JP3943226B2 (ja) レーザ加工装置のレーザ溶接ヘッド
JP2553897B2 (ja) 粉体プラズマ肉盛溶接用ト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