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254B1 -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 Google Patents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254B1
KR102284254B1 KR1020200141082A KR20200141082A KR102284254B1 KR 102284254 B1 KR102284254 B1 KR 102284254B1 KR 1020200141082 A KR1020200141082 A KR 1020200141082A KR 20200141082 A KR20200141082 A KR 20200141082A KR 102284254 B1 KR102284254 B1 KR 10228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pronunciation
magnetic sensor
shap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한재원
김혜주
Original Assignee
이호영
한재원
김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한재원, 김혜주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20014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구강 모형;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는 자력 발생부;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며, 상기 자력 발생부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센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EDUCATIONAL APPARATUS FOR LEARNING PRONUNCIATION}
본 발명은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소리를 낼 때 발음기관의 조음작용을 그대로 문자로 반영하였기에 글자와 소리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문자이다. 그러나 기존의 한글 학습법은 이러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자음과 모음의 결합원리를 이용한 한글 교육을 하는 학습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글자의 형태만을 학습할 뿐, 소리의 발음원리나 그 글자의 모양의 기원이나 소리의 특성과 글자 모양의 연관 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지 않아 글자의 형태를 암기하는 한글 학습 방법에 불과하다.
즉,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인 한글에 대응되는 발음 기관을 제대로 학습하는 한글 학습 방법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원리를 제시하는 학습법과 교재가 존재하나, 글자모양의 형태만을 게시하고 있을 뿐 자음 및 자음에 대응되는 발음 기관과 조음작용을 제대로 한글 학습 방법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에 처음 한글을 배우는 아동 및 외국인을 위해, 해례본에 나와 있는데 한글의 창제원리를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문자학습법의 문제점이 제시되어 자음과 모음의 원리를 가르치는 학습 및 교재가 나오고 있으나, 자음이 소리가 날 때 반응하는 발음기관과 조음작용을 본 따 만든 기본 글자에서 소리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획 또는 병서, 조합한 한글의 창제원리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는 학습 및 교재는 전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리를 낼 때 특정발음기관 또는 조음작용 그리고 소리의 특성이, 문자형태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직관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는 한글을 정확하고 쉽게 배울 수 있는 발음 학습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구강 모형;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는 자력 발생부;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며, 상기 자력 발생부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센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모형은: 사람의 입천장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천장 모형; 사람의 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혀 모형; 사람의 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술 모형; 및 사람의 기도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기도 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모형은: 사람의 윗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윗입술 모형; 및 사람의 아랫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아랫입술 모형을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혀 모형 중 상기 입천장 모형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상기 혀 모형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혀 모형 중 혀 끝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자력 발생부; 상기 혀 모형 중 혀 몸통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자력 발생부; 상기 혀 모형 중 혀 뿌리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3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아랫입술 모형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4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잇몸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자기 센서;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센 입천장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자기 센서;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여린 입천장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3 자기 센서; 및 상기 윗입술 모형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4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1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2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마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이고, 상기 제2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마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3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4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4 자기 센서에 의해 제5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입술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5 자기장 세기는: 상기 입술 모형의 형상이 입술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4 자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구강 모형; 사용자로부터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발음 신호 생성 요청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발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강 모형을 동작 시키도록 구성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모형은: 사람의 입천장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천장 모형; 사람의 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혀 모형; 사람의 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술 모형; 및 사람의 기도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기도 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모형은: 사람의 윗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윗입술 모형; 및 사람의 아랫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아랫입술 모형을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발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천장 모형, 상기 혀 모형 및 상기 입술 모형을 동작 시키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잇몸소리 중 파열음, 잇몸소리 중 마찰음,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 및 입술소리 중 파열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는 소리를 낼 때 특정발음기관 또는 조음작용 그리고 소리의 특성이, 문자형태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직관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는 한글을 정확하고 쉽게 배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한글 발음 방법 중 자음 발음을 위한 조음방법 및 조음위치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10)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음 학습 교구(10)는 구강 모형(100), 자력 발생부(200), 자기 센서(300) 및 발음 신호 생성부(400)를 포함한다.
구강 모형(100)은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자력 발생부(200)는 구강 모형(100)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된다. 자기 센서(300)는 구강 모형(100)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며, 자력 발생부(200)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자기 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구강 모형(100)은 입천장 모형(110), 혀 모형(120), 입술 모형(130) 및 기도 모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천장 모형(110)은 사람의 입천장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혀 모형(120)은 사람의 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입술 모형(130)은 사람의 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기도 모형(140)은 사람의 기도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입술 모형(130)은 윗입술 모형(131) 및 아랫입술 모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윗입술 모형(131)은 사람의 윗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아랫입술 모형(132)은 사람의 아랫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자력 발생부(200)는 혀 모형(120) 중 입천장 모형(110)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 센서(300)는 입천장 모형(110)중 혀 모형(120)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력 발생부(200)는 제1 자력 발생부(210), 제2 자력 발생부(220), 제3 자력 발생부(230) 및 제4 자력 발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력 발생부(210)는 혀 모형(120) 중 혀 끝 영역(121)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2 자력 발생부(220)는 혀 모형(120) 중 혀 몸통 영역(122)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3 자력 발생부(230)는 혀 모형(120) 중 혀 뿌리 영역(123)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4 자력 발생부(240)는 아랫입술 모형(132)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자기 센서(300)는 제1 자기 센서(310), 제2 자기 센서(320), 제3 자기 센서(330) 및 제4 자기 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센서(310)는 입천장 모형(110) 중 잇몸 영역(111)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2 자기 센서(320)는 입천장 모형(110) 중 센 입천장 영역(112)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3 자기 센서(330)는 입천장 모형(110) 중 여린 입천장 영역(113)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4 자기 센서(340)는 윗입술 모형(131)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한글 발음 방법 중 자음 발음을 위한 조음방법 및 조음위치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 교구(10) 중 입천장 모형(110), 혀 모형(120) 및 입술 모형(13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자음 발음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조음방법은 안울림 소리와 울림 소리를 포함한다.
안울림소리는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를 말하며, 울림소리는 성대를 진동시키며 내는 소리를 말한다. 안울림소리는 파열음, 파찰음 및 마찰음을 포함한다. 파열음은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히 폐쇄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를 말하고, 파찰음은 폐쇄를 형성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완전히 파열하지 않고 조금씩 개방해서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내는 소리를 말하고, 마찰음은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 내는 소리를 말한다.
조음위치는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및 목청소를 포함한다. 입술소리(순음)는 두 입술을 맞대고 내는 소리를 말하고, 잇몸소리(치조음)는 혀 끝 영역을 잇몸 부위에 대거나(파열음) 근접해(마찰음) 내는 소리를 말하고,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는 혀 몸통 영역을 센 입천장 부위에 대고 내는 소리를 말하고,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는 혀 뿌리 영역을 여린 입천장 부위에 대고 내는 소리를 말하고, 목청소리(후음)는 성대 사이의 목청에서 내는 소리를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자력 발생부(200)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세기를 자기 센서(300)를 통해 센싱함으로써 입술, 입천장 및 혀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발음 신호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발음 신호 생성부(4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1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2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마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또한, 제2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마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3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3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4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4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의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제4 자기 센서(340)에 의해 제5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입술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5 자기장 세기는 입술 모형(130)의 형상이 입술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4 자기 센서(340)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비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4 자기 센서(340)에 의해 제5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비음 중 입술소리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비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6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비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6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비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비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7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여린입천장소리 중 비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7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여린입천장소리 중 비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유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에 의해 제8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유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8 자기장 세기는 혀 모형(120)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유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제1 자기 센서(310) 내지 제3 자기 센서(330)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을 말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음 학습 교구(10)는 기 저장된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500)는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음 학습 교구(10)는 기 저장된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1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교구(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음 학습 교구(10)는 구강 모형(100), 발음 신호 생성부(400), 입력부(700) 및 동작부(800)를 포함한다.
구강 모형(1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동일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입력부(700)는 사용자로부터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잇몸소리 중 파열음 발생 시의 구강 모형(100)의 형상을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700)를 통해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한다.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입력부(700)에 의해 입력된 발음 신호 생성 요청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700)를 통해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한 경우, 발음 신호 생성부(400)는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동작부(800)에 전달할 수 있다.
동작부(800)는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된 발음 신호에 대응하여 입천장 모형(110), 혀 모형(120) 및 입술 모형(130)을 동작 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예를 들어, 발음 신호 생성부(400)로부터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입천장 모형(110), 혀 모형(120) 및 입술 모형(130)을 동작 시킴으로써 잇몸소리 중 파열음 발생 시의 구강 모형(100)의 형상으로 변화시킨다.
즉 동작부(800)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조음 위치별로 입천장 모형(110), 혀 모형(120) 및 입술 모형(130)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700)를 통해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여 각 구성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구강 모형(100)의 형상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고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서는 이러한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사용자가 구강 모형(100)의 형상을 수동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서 서로 다른 발음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5 및 도 6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부(700)를 통해 발음 신호 생성 요청을 입력하면, 발음 신호 생성부(400)에서는 입력된 발음 신호 생성 요청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동작부(800)에서는 생성된 발음 신호에 따라 구강 모형(100)을 자동적으로 동작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발음 학습 교구
100: 구강 모형
110: 입천장 모형
111: 잇몸 영역
112: 센 입천장 영역
113: 여린 입천장 영역
120: 혀 모형
121: 혀 끝 영역
122: 혀 몸통 영역
123: 혀 뿌리 영역
130: 입술 모형
131: 윗입술 모형
132: 아랫입술 모형
140: 기도 모형
200: 자력 발생부
210: 제1 자력 발생부
220: 제2 자력 발생부
230: 제3 자력 발생부
240: 제4 자력 발생부
300: 자기 센서
310: 제1 자기 센서
320: 제2 자기 센서
330: 제3 자기 센서
340: 제4 자기 센서
400: 발음 신호 생성부
500: 스피커
600: 디스플레이부
700: 입력부
800: 동작부

Claims (15)

  1. 사람의 구강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구강 모형;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는 자력 발생부;
    상기 구강 모형에 기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며,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센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는:
    제1 자기 센서 내지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1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1 자기 센서 내지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2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잇몸소리 중 마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1 자기 센서 내지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3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1 자기 센서 내지 제3 자기 센서에 의해 제4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4 자기 센서에 의해 제5 자기장 세기가 감지된 경우, 입술소리 중 파열음에 해당하는 발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모형은:
    사람의 입천장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천장 모형;
    사람의 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혀 모형;
    사람의 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입술 모형; 및
    사람의 기도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기도 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 모형은:
    사람의 윗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윗입술 모형; 및
    사람의 아랫입술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아랫입술 모형을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혀 모형 중 상기 입천장 모형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상기 혀 모형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혀 모형 중 혀 끝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자력 발생부;
    상기 혀 모형 중 혀 몸통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자력 발생부;
    상기 혀 모형 중 혀 뿌리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3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아랫입술 모형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4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잇몸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자기 센서;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센 입천장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자기 센서;
    상기 입천장 모형 중 여린 입천장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3 자기 센서; 및
    상기 윗입술 모형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제4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교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이고,
    상기 제2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잇몸소리 중 마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센입천장소리 중 파찰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자기장 세기는:
    상기 혀 모형의 형상이 여린입천장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1 자기 센서 내지 상기 제3 자기 센서 각각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자기장 세기는:
    상기 입술 모형의 형상이 입술소리 중 파열음이 발생할 때의 형상일 때 상기 제4 자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세기의 집합인 발음 학습 교구.
  10. 제9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
  11. 제9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발음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발음 신호에 대응되는 발음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발음 학습 교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41082A 2020-10-28 2020-10-28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KR10228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82A KR102284254B1 (ko) 2020-10-28 2020-10-28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82A KR102284254B1 (ko) 2020-10-28 2020-10-28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254B1 true KR102284254B1 (ko) 2021-08-02

Family

ID=7731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082A KR102284254B1 (ko) 2020-10-28 2020-10-28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45A (ko) * 2022-02-11 2023-08-18 박종권 발음 교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264A (ja) * 2000-03-31 2001-10-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機械的発声装置
KR20180115639A (ko) * 2017-04-13 2018-10-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화의도표현을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 물리특성 기반시스템
KR20190057934A (ko) * 2017-11-21 2019-05-29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KR20200028237A (ko) * 2018-09-06 2020-03-16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발음 교정 및 언어 치료를 위한 구개운동 센싱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264A (ja) * 2000-03-31 2001-10-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機械的発声装置
KR20180115639A (ko) * 2017-04-13 2018-10-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화의도표현을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 물리특성 기반시스템
KR20190057934A (ko) * 2017-11-21 2019-05-29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KR20200028237A (ko) * 2018-09-06 2020-03-16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발음 교정 및 언어 치료를 위한 구개운동 센싱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45A (ko) * 2022-02-11 2023-08-18 박종권 발음 교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den Introduction to English phonetics
US5340316A (en) Synthesis-based speech training system
Howard et al. Learning and teaching phonetic transcription for clinical purposes
Engwall et al.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computer-based speech training system ARTUR based on early user tests
US20160321953A1 (en)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system utilizing three-dimensional multimedia and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method thereof
Wayland Phonetics: A practical introduction
KR102284254B1 (ko) 발음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장치
Nagamine Effects of hyper-pronunciation training method o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pronunciation
Cleghorn et al. Comprehensive articulatory phonetics: a tool for mastering the world's languages
KR20190057934A (ko)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Tuan Vietnamese EFL learners' difficulties with English consonants
JP2009525492A (ja) 英語音、および他のヨーロッパ言語音の表現方法と発音テクニックのシステム
JP2019512746A (ja) 音声学に基づいたハングル習得方法を実行する体系と学習教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記録媒体
Öster Computer-based speech therapy using visual feedback with focus on children with profound hearing impairments
JP2011070139A (ja) 語学学習教授ワークシステムの構築と語学学習教授方法(eskメソッドの指導法)
Messum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English articulatory setting
Amer An investigation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Arabic consonant and vowel sounds: A contrastive study with pedagogical implications
Smakman Pronunciation: Teach or ignore?
JPH1195653A (ja) 英語の発音習得方法
JP2908720B2 (ja) 合成を基本とした会話訓練装置及び方法
KR20150075502A (ko) 발음 학습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발음 학습 지원 방법
Zimarin Control and self-control of pronuncia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McCombs The Acoustic Properties of Vowels: A Tool for Improving Articulation and Comprehension of English.
Arai Science workshop with sliding vocal-tract model.
Toshkanov MASTERING PRONUNCIATION: COMMON CHALLENGES FACED BY ESL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