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124B1 -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124B1
KR102284124B1 KR1020190176827A KR20190176827A KR102284124B1 KR 102284124 B1 KR102284124 B1 KR 102284124B1 KR 1020190176827 A KR1020190176827 A KR 1020190176827A KR 20190176827 A KR20190176827 A KR 20190176827A KR 102284124 B1 KR102284124 B1 KR 10228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odule
camera
image acquisitio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982A (ko
Inventor
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124B1/ko
Priority to US17/067,197 priority patent/US11368627B2/en
Priority to CN202011521043.6A priority patent/CN113055561B/zh
Publication of KR2021008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전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전방으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Apparatus for obtaining imag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ule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와 같은 전자기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도 축소되기 쉽다. 반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적 및/또는 터치감지 면적은 전자기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는 외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전자기기 외부에 대한 이미지 획득 통로를 필요로 하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적 및/또는 터치감지 면적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통로로 인해 더욱 축소되기 쉽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10,331,260
전자기기에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통로와 디스플레이 부재 및/또는 터치센서 부재가 서로 오버랩될 경우,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면적 및/또는 터치감지 면적을 넓힐 수 있으나,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은 디스플레이 부재 및/또는 터치센서 부재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적 및/또는 터치감지 면적이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통로를 오버랩하도록 넓어지더라도 이미지를 원활히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전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전방으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방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선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선에 의해 가려지는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 또는 호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1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부터 상기 제3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2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적 및/또는 터치감지 면적이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통로를 오버랩하도록 넓어지더라도 이미지를 원활히 획득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전자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의 목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제1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제1 이미지에서 미획득 영역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g는 도 2c의 복수의 분할 영역에 도 3a 내지 도 3f의 복수의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합성 영역이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목표 이미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b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전자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0a)는, 디스플레이 패키지(90) 및 카메라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키지(90)는 디스플레이 부재(9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91) 및/또는 터치 센서 부재(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91)는 글래스(glass)와 같이 투명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키지(90)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 부재(92)는 전방(예: +z방향)으로 전자기기 사용자 등의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선(8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 부재(92)는 각각 터치 여부 및/또는 깊이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센서 픽셀(pixel)이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선(82)은 상기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른 값을 가지는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93)는 전방(예: +z방향)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으며, 전선(8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재(93)는 각각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여부 및/또는 색상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픽셀(pixel)이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는 전선(83)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감지 신호는 전자기기(200a)의 어플리케이션 부재에 의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부재(93)로 전달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재(93)는 OLED와 같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구현되어 휘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후방(예: -z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획득 통로가 전방(예: +z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투명한 부분에 후방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전선(82, 83)의 일부분은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통로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제1 이미지는 전선(82, 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90) 전방의 목표 이미지 중 전선(82, 83)에 오버랩되는 영역은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획득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100) 및 전자기기(200a)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키지(90)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디스플레이 패키지(90)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100) 및 전자기기(200a)는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크기 축소 없이도 제1 및 제2 이미지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키지(90) 전방의 목표 이미지를 더욱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키지(90)는 전방으로 카메라 모듈(110)이 드러나지 않도록 카메라 모듈(110)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키지(90)는 카메라 모듈(110)에 후방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에 위치한 홀(hole)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a) 사이즈 대비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유효 디스플레이 면적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이후의 이미지 획득 횟수는 3번 이상일 수 있으며, 제3 및/또는 제4 이미지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횟수는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전선(82, 83)의 복잡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0b)는 터치 센서 부재가 생략된 디스플레이 패키지(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전자기기(200c)는, 구동기(120) 및/또는 프로세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20) 및 프로세서(130)는 각각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의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120)는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120)는 카메라 모듈(110)에 구비된 렌즈를 수평방향(예: x방향 및/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카메라 모듈(110)을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0)은 주변의 자기장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예: 자석 또는 전자석 포함)될 수 있으며, 구동기(120)는 카메라 모듈(110) 주변을 향하여 출력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10)은 주위의 자기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의 위치 및/또는 카메라 모듈(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예: 홀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기(120)는 상기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피드백(feedback)받는 제어 구조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제어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제3 및/또는 제4 이미지를 더 획득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제2, 제3 및 제4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이미지는 전자기기의 어플리케이션 부재로 전달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부재(9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이미지 중 전선(82, 83)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제2 이미지 중 상기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되는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제3 및/또는 제4 이미지를 더 획득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이미지 중 전선(82, 83)에 의해 가려진 제1, 제2 및/또는 제3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제2, 제3 및/또는 제4 이미지 중 제1, 제2 및/또는 제3 미획득 영역에 각각 오버랩되는 제1, 제2 및/또는 제3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를 저장하고, 카메라 모듈(110)의 제1 이미지 획득 여부와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에 기반하여 제1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구동기(120)는 제1 카메라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제3 및/또는 제4 이미지를 더 획득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의 제2 및/또는 제3 이미지 획득 여부와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에 기반하여 제2 및/또는 제3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구동기(120)는 제2 및/또는 제3 카메라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는 디스플레이 패키지(90)의 전선(82, 83)의 복잡도와, 디스플레이 패키지(90)와 카메라 모듈(110) 간의 이격 거리와, 카메라 모듈(110)에 구비된 렌즈 특성과, 구동기(120)의 카메라 모듈(110) 구동 방식(예: 자기장 방식), 전자기기(200c)에 요구되는 합성 이미지 획득 시간(예: 1/30초)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이 제1 이미지 획득 이전에 획득한 선(pre) 이미지에 기반하여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 이미지로부터 상기 선 이미지에 포함된 전선(82, 83)의 두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두께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구동기(12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전선(82, 83)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에 기반하여 결정된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 이미지로부터 상기 선 이미지에 포함된 전선(82, 83)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개수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이후의 이미지 획득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82, 83)이 격자 구조일 경우의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는 전선(82, 83)이 1차원적 구조일 경우의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의 2배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전선(82, 83)이 격자 구조일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이미지 획득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전선(82, 83)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횟수만큼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순차적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구동기(120)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150)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0b)는,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구동기(120) 및 프로세서(130)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IC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의 배선을 통해 구동기(120) 및/또는 프로세서(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의 목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제1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2b의 제1 이미지에서 미획득 영역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310a)는 획득 영역(31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목표 이미지(300a)는 제1 이미지(310a)의 미획득 영역(31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획득 영역(311a)은 미획득 영역에 의해 n개(n은 자연수)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C1, C2, C3, C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g는 도 2c의 복수의 분할 영역에 도 3a 내지 도 3f의 복수의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합성 영역이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1 이미지(320a)는 획득 영역(321a)과 미획득 영역(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이미지(320a)의 획득 영역(32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1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1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R1, R2, R3, R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우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2 이미지(330a)는 획득 영역(331a)과 미획득 영역(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이미지(330a)의 획득 영역(33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1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1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L1, L2, L3, L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좌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3-1 이미지(340a)는 획득 영역(341a)과 미획득 영역(34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우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좌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1 이미지(340a)의 획득 영역(34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2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UL1, UL2, UL3, UL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좌상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3-2 이미지(350a)는 획득 영역(351a)과 미획득 영역(35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좌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우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2 이미지(350a)의 획득 영역(35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2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UR1, UR2, UR3, UR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우상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4-1 이미지(360a)는 획득 영역(361a)과 미획득 영역(36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좌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우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1 이미지(360a)의 획득 영역(36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3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3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DR1, DR2, DR3, DR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우하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4-2 이미지(370a)는 획득 영역(371a)과 미획득 영역(372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우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키지의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은 좌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2 이미지(370a)의 획득 영역(371a) 중 일부 영역은 제1 이미지의 제3 미획득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3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DL1, DL2, DL3, DL4)은 복수의 분할 영역의 좌하측에 합성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합성 이미지(390a)는 복수의 분할 영역(C1, C2, C3, C4), 제1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R1, R2, R3, R4, L1, L2, L3, L4),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UL1, UL2, UL3, UL4, UR1, UR2, UR3, UR4), 제3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DL1, DL2, DL3, DL4, DR1, DR2, DR3, DR4)이 합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목표 이미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310b)는 획득 영역(3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목표 이미지(300b)는 제1 이미지(310b)의 미획득 영역(3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2 이미지(320b)는 획득 영역(321b)과 미획득 영역(3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미지(320b)의 획득 영역(321b)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이미지(310b)의 미획득 영역(312b)에 오버랩될 수 있으므로, 합성 이미지는 제1 이미지(310b)와 제2 이미지(320b)의 합성에 따라 목표 이미지(300b)에 더욱 유사해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이 획득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310c)는 획득 영역(311c)과 미획득 영역(31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획득 영역(312c)은 1차원적 구조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이미지(320c)는 획득 영역(321c)과 미획득 영역(32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1차원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의 이미지 획득 횟수는 복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의 획득 이미지에 전선이 포함(S90)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따른 전자기기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 또는 호출(S110)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선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선에 의해 가려지는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따른 전자기기는, 카메라 모듈의 제1 이미지를 획득(S120)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1 방향 이동을 제어(S13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따른 전자기기는, 카메라 모듈의 제2 이미지를 획득(S140)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2 방향 이동을 제어(S15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따른 전자기기는, 카메라 모듈의 제3 이미지를 획득(S160)할 수 있으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S17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내 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에 의해 저장될 수 있으며,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82, 83: 전선
90: 디스플레이 패키지(display package)
91: 디스플레이 커버 부재
92: 터치 센서 부재
93: 디스플레이 부재
100: 이미지 획득 장치
110: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120: 구동기
130: 프로세서(processor)
140: 컨트롤러(controller)
150: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
200: 전자기기
300: 목표 이미지(target image)
310: 제1 이미지
311: 획득 영역
312: 미획득 영역
320: 제2-1 이미지
330: 제2-2 이미지
340: 제3-1 이미지
350: 제3-2 이미지
360: 제4-1 이미지
370: 제4-2 이미지
390: 합성 이미지
C1, C2, C3, C4: 복수의 분할 영역
R1, R2, R3, R4, L1, L2, L3, L4: 제1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
UL1, UL2, UL3, UL4, UR1, UR2, UR3, UR4: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
DL1, DL2, DL3, DL4, DR1, DR2, DR3, DR4: 제3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

Claims (21)

  1. 전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전방으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이동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방향으로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이후에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방향으로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이후에 제3 이미지를 더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에 의해 가려진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각각 가려지지 않도록 이동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제1및 제2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1 및 제2 카메라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기;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3 방향으로의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이후에 제4 이미지를 더 획득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 중 하나는 나머지에 대해 사선인 이미지 획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는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터치 센서 부재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미획득 영역은 상기 전선에 의해 가려진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이전에 선(pre)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상기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에 기반하여 결정된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이전에 선(pre)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상기 전선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횟수만큼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이미지 획득 장치.
  12. 전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방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방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해 가려진 미획득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전자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여부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이전에 선(pre)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구동기 중 하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해 가려진 영역의 두께에 기반하여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위치 이동 거리에 기반한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이전에 선(pre)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구동기 중 하나는 상기 선 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해 가려진 영역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역의 개수에 기반하여 카메라 움직임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 움직임 횟수에 기반한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2 방향 이동 이후에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3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3 방향 이동 이후에 제4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 중 하나는 나머지에 대해 사선인 전자기기.
  20.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의 전선 또는 터치 센서 부재의 전선에 의해 가려지는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 또는 호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1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부터 상기 제3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카메라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획득 위치의 제2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미지 중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획득 영역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미획득 영역은 상기 전선에 의해 가려진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90176827A 2019-12-27 2019-12-27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KR10228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27A KR102284124B1 (ko) 2019-12-27 2019-12-27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US17/067,197 US11368627B2 (en) 2019-12-27 2020-10-09 Image captur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control method
CN202011521043.6A CN113055561B (zh) 2019-12-27 2020-12-21 图像捕获装置、具有相机模块的电子设备以及相机模块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27A KR102284124B1 (ko) 2019-12-27 2019-12-27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82A KR20210083982A (ko) 2021-07-07
KR102284124B1 true KR102284124B1 (ko) 2021-07-30

Family

ID=765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27A KR102284124B1 (ko) 2019-12-27 2019-12-27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68627B2 (ko)
KR (1) KR102284124B1 (ko)
CN (1) CN113055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764A (ko) * 2021-07-09 2023-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68607A1 (ko)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260B1 (ko) 1998-12-30 2002-05-09 박종섭 정전기 보호회로의 트랜지스터의 설계방법
JP2003110983A (ja) 2001-09-28 2003-04-11 Canon Inc 撮像装置、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画像管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69896A (ko) 2008-12-17 2010-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구동 오토 포커싱 카메라 장치
CN104917993A (zh) * 2015-05-29 2015-09-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视频通讯终端
KR20160149945A (ko) * 2015-06-19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54960B1 (ko) * 2015-08-31 2022-01-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이미지 합성을 통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331260B2 (en) 2015-10-30 2019-06-25 Essential Products, Inc. Variable transparency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412316B2 (en) * 2016-06-09 2019-09-10 Google Llc Taking photos through visual obstructions
CN110024366B (zh) * 2017-07-07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摄像头的终端和拍摄方法
CN108810201B (zh) * 2018-06-04 2020-07-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利用电子装置拍摄照片的方法
CN109996002A (zh) * 2019-03-29 2019-07-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方法以及电子设备
CN110166600B (zh) * 2019-05-27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55561B (zh) 2023-05-26
CN113055561A (zh) 2021-06-29
US11368627B2 (en) 2022-06-21
KR20210083982A (ko) 2021-07-07
US20210203854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3047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TWI534661B (zh) 畫像辨識裝置及操作判定方法以及電腦程式
EP3721284A1 (en) Selective tracking of a head-mounted display
US20140256429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2284124B1 (ko) 이미지 획득 장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내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US118654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guide presentation method
EP2323414A2 (en) Display control program, library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75779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2028715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6163183A1 (ja) 没入型仮想空間に実空間のユーザの周辺環境を提示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27781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display control method
US20110154201A1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Reproducing Method
CN113568170A (zh) 虚拟图像生成系统及其操作方法
JP201711151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警告提示方法
US20190294314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device
US202300836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341126B2 (ja) 検出領域拡大装置、表示装置、検出領域拡大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24050696A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ガイド提示方法、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20105444A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JP6792253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00889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539251A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US2021031976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2016095557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701936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