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49B1 -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49B1
KR102283349B1 KR1020177034855A KR20177034855A KR102283349B1 KR 102283349 B1 KR102283349 B1 KR 102283349B1 KR 1020177034855 A KR1020177034855 A KR 1020177034855A KR 20177034855 A KR20177034855 A KR 20177034855A KR 102283349 B1 KR102283349 B1 KR 10228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gun
bolt stop
stop member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462A (ko
Inventor
이와오 이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마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마루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마루이
Publication of KR2018001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5/00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 F41A5/32Energy accumulator systems, i.e. systems for opening the breech-block by energy accumulated during barrel or gas piston recoil
    • F41A5/34Energy accumulator systems, i.e. systems for opening the breech-block by energy accumulated during barrel or gas piston recoil with spring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34Magazine safeties
    • F41A17/36Magazine safeties locking the gun automatically in a safety condition when the magazine is empty or remo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7Reciprocating conveyors, i.e. conveyors pushing a plurality of ammunition during the feeding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5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 F41B11/56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the magazine also housing a gas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41B11/64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having a piston effecting a compressor stroke during the firing of each shot
    • F41B11/642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having a piston effecting a compressor stroke during the firing of each shot the piston being spring operated
    • F41B11/643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having a piston effecting a compressor stroke during the firing of each shot the piston being spring operated the piston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the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78Bolt buffer or recuperator means
    • F41A3/82Coil spring buf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볼트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볼트 스톱 부재에 반복적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극히 파손되기 어렵고,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총 본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총의 조작에 따라 후퇴하면서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축압력의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와, 전진하고 있는 볼트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를 구비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장치에 대하여, 볼트 스톱 부재(62)는, 전진하는 볼트(29)와 계합하는 계합 수단(59)을 갖고, 상기 계합 수단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작용하는 완충 수단(7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본 발명은, 총 본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총의 조작에 따라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와, 상기 전진 중인 볼트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을 구비한 볼트 스톱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총의 조작에 따라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를 갖는 총에는, 볼트 스톱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모의총으로는 가스 블로백식의 총이 해당되고, 실탄을 발사하는 총(이하, 실총이라고 함)으로는 자동 장전식 총이 해당된다. 이들 타입의 총에서는 볼트의 전진에 의하여 탄환을 장전하기 때문에 볼트가 볼트 스톱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와 같은 충돌, 정지 동작은, 탄환을 다 발사했을 때에 매번 반복된다.
따라서, 볼트가 충돌할 때마다 볼트 스톱에 큰 충격이 가해져, 금속 피로를 일으키기 쉽고, 최악의 경우에는 볼트 스톱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다. 볼트 스톱의 파손은, 그것이 즉시 발사 불능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적다고 해도 문제가 되는 사항이다. 이 문제는 실총에 있어서도 지적되는 것이지만, 실총을 본떠 디자인되는 모의총에도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하여 개선책이 있을지 여부는 현시점에 있어서 파악할 수 없다.
선행 기술을 조사하면,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7200호의 발명에는, 트리거가 당겨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계지 부재와, 총신을 따라 전진할 때, 장탄실에 대한 탄환 공급과 탄환의 발사가 가스압에 의하여 행해지는 상태로 이루어짐과 함께, 가스압이 공급되어 후퇴로 바뀌고, 총신을 따라 후퇴할 때, 장탄실에 대한 탄환 공급을 위한 준비 상태로 이루어짐과 함께, 가스압이 배출되어 전진으로 바뀌는 진퇴 볼트와, 진퇴 볼트에 마련되며, 그 전진에 의하여 제1 위치를 취하는 계지 부재에 당접하여 진퇴 볼트를 대기 위치로 유지하는 전방 당접부와, 돌출부를 갖고 진퇴 볼트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어서, 돌출부가 제1 위치를 취하는 계지 부재에 당접하여 진퇴 볼트를 중간 정지 위치로 유지하는 가동 레버 부재를 구비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완구총에서는, 계지 부재라고 불리는 볼트 스톱에 당접함으로써 볼트의 전진이 저지되지만, 계지 부재는 축에 의하여 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전진하고 있는 볼트가 당접할 때의 충격은, 직접적으로 계지 부재에 가해지게 되고, 볼트의 질량은 비교적 큰 점에서, 그 충격이 볼트 스톱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견디지 못해, 종래의 볼트 스톱과 마찬가지로 머지않아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97200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된 것으로, 그 과제는, 볼트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볼트 스톱 부재에 반복적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극히 파손되기 어렵고,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탄환이 전부 소진된 것을 검출하고, 매거진을 교환하여 재장전할 때에 볼트 스톱 부재를 볼트와의 계합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다시 장전 레버(차징 핸들)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볼트의 전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총 본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총의 조작에 따라 후퇴하면서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축압력의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와, 전진하고 있는 볼트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를 구비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장치로서, 볼트 스톱 부재는, 전진하는 볼트와 계합하는 계합 수단을 갖고, 상기 계합 수단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작용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볼트 스톱 장치를 적용하는 총은, 가스 건 등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모의총을 주된 대상으로 하여 상정되고 있다. 그러나, 압축 가스를 사용하는 모의총도 화약의 연소에 의한 가스를 사용하는 실총도, 가스를 블록하는 볼트를 갖는 점에 있어서 변함은 없고, 따라서, 실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런 종류의 총에는, 이른바 단사 전용총과 연사, 단사 전환식의 총이 있으며, 실시형태는 후자의 총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전자의 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볼트 스톱 부재는, 전진하는 볼트와 계합하는 계합 수단을 갖고, 상기 계합 수단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최소 한도의 구성 요건으로서, 볼트 스톱 부재 및 이것에 작용하는 완충 수단이 있으면, 본 발명이 성립된다는 취지이며, 이들 이외의 요건을 본 발명에 부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총 본체가, 총의 조작에 따라 장탄부에 공급되는 탄환의 유무를 검출하는 탄환 소진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탄환 소진 검출 수단은, 탄환 소진을 검출함으로써, 볼트 스톱부를 구성하는 볼트 스톱 부재를 볼트가 전진 후진하는 궤도 내에 돌출시켜, 계합 수단에 의한 계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즉, 연사, 단사 전환식의 총에서는, 연사로 발사하면 탄환의 감소가 빨라 매거진의 교환이 많아져 볼트 스톱이 걸리는 빈도가 증가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충격의 완충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또, 볼트 스톱 부재를 구성하는 볼트 스톱 부재가, 총 본체 측에 마련된 축이 배치되는 전후 방향의 긴 구멍을 갖고, 상기 긴 구멍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계합 수단은 볼트에 마련된 계합부와 볼트 스톱 부재에 마련된 계합 상대부로 이루어지고, 볼트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계합이 확실히 이루어짐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또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볼트의 충격을 완충 수단에 의하여 흡수, 완화할 수 있어, 볼트 스톱 부재에 반복적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극히 파손되기 어렵고,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환이 전부 소진된 것을 검출하고, 매거진을 교환하여 재장전할 때에 볼트 스톱 부재를 볼트와의 계합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다시 장전 레버(차징 핸들)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볼트의 전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를 적용한 가스 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상술한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술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최종 탄환의 발사 전 상태, B는 최종 탄환의 발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상술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볼트가 최대한 후퇴한 상태, B는 볼트가 전진을 개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상술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볼트 스톱 부재의 최대 전진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 B는 완충 스프링에 의하여 긴 구멍의 범위에서 볼트 스톱 부재가 후퇴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가스 건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볼트를 수동으로 후퇴시킨 상태, B는 수동 조작으로 탄환이 장전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가스 건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탄환이 발사된 상태, B는 볼트가 후퇴를 개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가스 건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볼트에 의하여 해머를 코킹하고 있는 상태, B는 피스톤이 후퇴를 개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가스 건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볼트가 최대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 B는 볼트가 전진함과 함께 탄환이 장탄부에 공급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는 모든 총에 적용되는 것이며, 가스 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가스 건의 개략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에 모의총(G)으로서 예시되어 있는 것은 블로백식 가스 건이다. 도시한 모의총(G)은 총 본체의 중앙부에 발사 장치부(10)를 구비하고, 총 본체(10)의 전부(前部)에 배럴부(11), 총 본체의 하부에 매거진부(22), 총 본체의 후부에 블로백용 볼트(29)를 위한 가동체부(3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배럴부(11)에는 장탄부(12)가 후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장탄부(12)에 장전되는 탄환(B)을 향하여, 발사 장치부(10)에 마련된 차압 밸브 기구(20)를 통하여 가스가 분사되고, 그 결과, 탄환(B)이 발사된다. 발사 장치부(10)에는 피스톤 기구부(15)가 있으며, 피스톤 기구부(15)는 배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13)과, 피스톤(13)의 이동 공간의 역할을 하는 실린더(14)를 갖고 있다. 피스톤(13)은, 탄환(B)에 대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부(16)를 선단부에 갖고, 또한 실린더(14)의 폐색단부를 향한 개구를 후단부에 갖는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3)에는, 내외를 통하는 가스 유입구(17)가 전단부쪽의 하부에 개구하고 있으며, 가스 유입구(17)의 부근에 상기의 차압 밸브 기구(20)가 마련되어 있다. 차압 밸브 기구(20)는 선단부의 노즐부(16)와의 사이에 배치된 차압 밸브(18)와, 차압 밸브(18)의 전진 후퇴가 가능한 밸브실(19)과, 밸브실 내에 배치된 반환 스프링(21)을 갖는다. 차압 밸브(18)는, 그 외경이 밸브실(19)의 내경에 대하여 미끄럼 끼워맞춤 정도의 치수차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차압 밸브(18)는 선단부 측이 개구하고, 후단부 측이 폐쇄된 통형 밸브로 이루어지며, 그 둘레면에 가스 통공(18a)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반환 스프링(21)에 의하여 후퇴하여 장탄부(12)에 있는 탄환(B)을 발사시키고, 그 후에도 계속해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전진하여 밸브를 폐쇄함과 함께, 가스 흐름을 실린더(14)에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체의 작동 방향이 변하기 때문에, 차압 밸브라고 칭한다. 가스 흐름은 실린더(14)에 유도되어, 블로백 동작에 이용된다.
가스는, 매거진부(22) 내의 가스 탱크(23)에 충전되어 있으며, 그곳으로부터 후술하는 트리거 조작에 따라, 개폐 밸브 기구(25)를 통하여 피스톤 기구부(15)에 공급된다. 개폐 밸브 기구(25)는, 가스 탱크(23)로부터 피스톤 기구부(15)에 도달하는 가스 유로(24), 가스 유로(24)의 개폐를 위하여 마련된 개폐 밸브(26)를 갖고, 가스 유로단부의 유출구(27)로부터 가스를 유입구(17)로 유출시킨다. 또한, 개폐 밸브(26)는, 트리거 조작에 의하여 작동하는 후술하는 해머(40)에 의하여 타압(打壓)되도록, 외부에 노출된 밸브축(26a)을 갖고 있다.
피스톤 기구부(15)에 있어서, 피스톤(13)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리턴 스프링(28)에 의하여 후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리턴 스프링(28)은 전단부가 피스톤 측의 부재(59a)에, 후단부가 실린더 측의 부재(59b)에 장착되어 있다. 볼트(29)는, 모의적인 리코일 쇼크를 체감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질량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시형태의 볼트(29)는 전후로 가늘고 긴 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4)는, 볼트(29)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실린더(14)의 질량은 볼트(29)에 더해지게 된다.
상기 볼트(29)의 후방에는 가동체부(30)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체부(30)는 총 본체에 장착된 케이싱(30c)과, 그 내부에 배치된 가동축(30a)을 갖고 있다. 가동축(30a)은 케이싱(30c)의 내부에서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축머리(30b)에서 볼트(29)의 후단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1은 버퍼 스프링을 나타내고 있으며, 버퍼 스프링(31)은 가동축(30a)을 전진 방향으로 부세하고, 그로써 최종적으로는 피스톤 기구부(15)를 발사 준비 상태로 두도록 작용한다. 또, 버퍼 스프링(31)은 볼트(29)를 후퇴 동작 시에 저지하여, 리코일 쇼크 종료 시의 충격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발사 장치부(10)의 작동을 위하여, 트리거(32)가 마련되어 있다. 트리거(32)는 두 부재 32A, 32B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트리거 부재(32A)는 조작부, 또 트리거 부재(32B)는 피조작 부재이다. 이들 두 부재 32A, 32B는 축(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트리거 스프링(34)에 의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35는 디스커넥터이며, 트리거 부재(32A)에 동축으로 마련되어 연사, 단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셀렉터(36)에 의하여 제어된다.
트리거 부재(32A)는, 상술한 해머(40)를 코킹 상태로 계지한다. 37은 코킹 상태로 유지하는 트리거 측의 계지부, 38은 마찬가지로 해머 측의 계지부를 나타낸다. 39는 해머 스프링으로, 코킹 시에 축압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리거(32A)를 조작하면, 계지부(37, 38)의 계합이 해제되므로 해머 스프링(39)의 축압도 해방되어, 해머(4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해머(40)는, 코킹 시에 시어(sear)(41)와의 계합 상태에 놓인다. 시어(41)에는 스프링(42)이 작용하고 있으며, 해머(40)의 코킹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해머(40)는 실린더(14)의 후퇴에 의하여 코킹된다. 이로 인하여, 실린더(14)의 후단부의 하부에, 캠 형상의 계합 돌기부(43)가 마련되어 있으며, 해머(40)에는 계합 돌기부(44)가 축지지되어 있다. 부호 45는 해머(40)의 타압부이며, 노커(46)를 통하여 밸브축(26a)을 구동한다. 47은 볼트 돌기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어(41)를 시어 스프링(42)에 저항하여 회전시켜, 코킹 상태에 있는 해머(4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48은 장전 레버(차징 핸들)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린더(14)의 전측에 계합하는 조작에 의하여 후퇴시켜, 해머(40)를 코킹할 수 있다. 돌기부(44, 47)는 단순한 돌기부나 롤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는, 도 2에 상세하게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스 건은, 완충 장치의 주요부가 총 본체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편의상, 도 2, 도 4~도 6에서는 총 본체도 도 1 등과는 반대로 우측을 향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는, 총의 조작에 따라 축압되고, 버퍼 스프링(31)의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29)와, 상기 전진하고 있는 볼트(29)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62)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특히, 실시형태의 것은 탄환 소진 검출 수단(51)의 작동에 의하여, 볼트(29)가 전진 후퇴하는 궤도(X) 내에 볼트 스톱 부재(62)를 돌출시키는 구성을 갖고, 완충 수단(70)을 이용하여, 전진으로 바뀐 볼트(29)와 상기 볼트 스톱 부재(62)가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매거진부(22)에 장전되어 있는 최후의 탄환(B)이 발사된 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매거진부(22) 내에 장비되고 탄환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던 팔로어 스프링(57)이 그 탄발력에 의하여 신장되면, 그에 따라 상승하는 팔로어(53)가 마련되어 있다. 팔로어(53)는 팔로어 레버(53a)를 갖고, 상기 레버(53a)는 팔로어 링크(54)의 일단부(54a)와 계합하여, 탄환 소진 검출 수단(51)의 전단(前段) 부분을 구성한다.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탄환 소진 검출 수단(51)은, 축부(54b)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팔로어 링크(54)와 중간 링크(55)를 더 갖고 있다.
팔로어 링크(54)의 타단부(54c)는, 중간 링크(55)의 일단부(55a)와 계합하고 있으며, 팔로어 링크(54)와 중간 링크(55)는, 각각 축부(54b, 55b)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중간 링크(55)의 타단부(55c)는 볼트 스톱부(60)와의 사이의 중계 부재(61)의 일단부(61a)와 계합하여, 볼트 스톱부(60)를, 볼트(29)가 전진 후진하는 궤도(X) 내에 돌출시킨다. 팔로어 링크(54)와 중간 링크(55)는, 탄환 소진 검출 수단(51)과 볼트 스톱부(60)를 연락하는 링크 기구(56)를 구성한다.
상기 중계 부재(61)는, 볼트 스톱 부재(62) 등과 함께 볼트 스톱부(60)를 구성한다. 중계 부재(61)의 일단부(61a)는, 상기 중간 링크(55)의 타단부(55c)와 계합하고, 중계 부재(61)의 타단부(61b)는, 볼트 스톱 부재(62)와 홈부(62a)에서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탄환 소진 검출 수단(51)이 탄환 소진을 검출하면, 장탄부(12)에 배치된 탄환(B)이 다 발사되었다는 탄환 소진 정보가 링크 기구(56)에 의하여 볼트 스톱부(60)까지 차례로 전달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 부재(61)는 총 본체의 좌우에 걸쳐지는 부재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좌측의 축(61c)에 의하여 총 본체 측에 축지지되어,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하여 우측의 부분(도 2에 크랭크 형상으로 나타나 있음)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중계 부재(61)는, 축(61c)의 상부에 위치하여 총 본체 좌측에 나타나는 조작부(61d)를 갖고, 하부에는 스프링(61e)이 작용하고 있으며, 중계 부재(61)를 정위치로 되돌리고, 또한 후술하는 볼트 스톱 부재(62)를 눌러 내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볼트 스톱 부재(62)에는 전후 방향의 긴 구멍(62b)이 형성되어, 축(65)에 의하여 총 본체 측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볼트 스톱 부재(62)는 긴 구멍(62b) 내에 있어서의 스트로크양만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구성의 결과, 링크 기구(56)에 의하여, 중계 부재(61)를 통하여, 볼트 스톱 부재(62)의 계합 상대부(62c) 측이 상승하여, 볼트(29)가 전진 후진하는 궤도(X) 내에 돌출 가능해진다.
볼트(29)에는 계합 수단(59)의 일방으로서 계합부(29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계합부(29a)는, 계합 수단(59)의 타방으로서 상기 볼트 스톱 부재(62)에 마련되어 있는 계합 상대부(62c)와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실시형태의 상기 계합부(29a)와 계합 상대부(62c)는, 볼트(29)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구성하는 경사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계합부(29a)와 계합 상대부(62c)의 경사는, 볼트 스톱 부재(62)가 전후 방향의 긴 구멍(62b)에서 축(65)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부(29a)와 계합 상대부(62c)를 직각으로 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계합의 불안정을 해소하여 확실화를 도모하려는 의도이다.
상기 볼트 스톱부(60)에는 완충 수단(70)이 작용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완충 수단(70)은, 완충 링크(67)와, 총 본체 측의 장착부(66)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도입된 완충축(68) 및 완충 스프링(69)을 갖고 있다. 상기 완충 링크(67)는 축(67b)에 의하여 총 본체 측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볼트 스톱 부재(62)의 전부 계합부(62d)에 계합하고, 타단부는 완충축(68)의 선단부에 계합한다. 따라서, 볼트(29)의 전진에 따른 충돌 시에 볼트 스톱부(62)가 총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충격이 완충 수단(70)에 전달된다.
또한, 중계 부재(61)와 볼트 스톱 부재(62)는, 총구로부터 총대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29)가 전진할 때에 볼트 스톱부(60)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부재(62)와 충돌하지만, 중계 부재(61)는 볼트(29)에 접촉하지 않는 형상이며, 볼트 스톱 부재(62)가 최대 이동 시에도 접촉하지 않는 형상이기 때문에, 중계 부재(61)에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볼트 스톱 부재(62)는 긴 구멍(62b)에서 축(65)과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긴 구멍(62b)의 길이를 최대 한도로서 이동 가능하다. 최대 이동 시, 볼트 스톱 부재(62)의 홈부(62a)에, 중계 부재(61)의 타단부(61b)가 더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에 있어서, 최종 탄환(B)이 장탄부(12)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4A), 탄환(B)이 발사되어, 매거진부(22)의 탄환(B)이 비게 되면, 볼트(29)가 후퇴를 개시하고, 팔로어(53)가 팔로어 스프링(57)의 탄발력에 의하여 장탄부(12)의 후방 부근의 최고 위치까지 상승하여, 팔로어 레버(53a)와 계합하는 팔로어 링크(54)의 일단부(54a)가 밀어 올려진다(도 4B). 이 밀어 올림에 따른 동작은, 팔로어 링크(54)로부터 중간 링크(55) 및 중계 부재(61)를 통하여 볼트 스톱 부재(62)에까지 전달된다.
볼트(29)가 최대한 후퇴한 상태가 되면(도 5A), 팔로어(53)는 최고 위치까지 상승을 완료하고, 상기 링크 기구(56)의 전달 작용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62)의 작동이 완료된다. 그 결과, 볼트 스톱 부재(62)는 축(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부 측이 중계 부재(61)에 의하여 밀어 올려지고,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계합 상대부(62c)는, 볼트(29)가 전진 후진하는 궤도(X) 내에 돌출된다. 볼트(29)는, 후퇴에 따라 축압된 버퍼 스프링(31)의 탄발력을 받아 전진으로 바뀌고, 계합부(29a)와 계합 상대부(62c)가 경사부에서 계합한다(도 5B).
볼트(29)가 더 전진하면, 볼트 스톱 부재(62)는 계합 수단(59)에 의하여 전방으로 연행되고, 축(65)은 배치되어 있는 긴 구멍(62b)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이동한다(도 6A). 볼트 스톱 부재(62)가 상기 이동을 하는 동안에, 그 전부 계합부(62d)가 계합하고 있는 완충 링크(67)를 일단부(67a)에 의하여 압압하고, 타단부(67c)에 의하여, 계합하고 있는 완충축(68)을 압압한다. 따라서, 볼트(29)의 전진에 따른 충돌 시에 볼트 스톱부(62)가 총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충격이 완충 수단(70)에 흡수되어, 볼트(29)는 완만하게 정지한다. 이어서, 완충 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62)가 후방으로 밀려 되돌아오고, 볼트(29)는 도 5B의 위치까지 후퇴하여, 완충 장치의 작동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의총(G)에 대하여,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장전 레버(48)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볼트(29)를 후퇴시켜, 해머(40)를 코킹 상태로 한다(도 7A의 상태). 장전 레버(48)를 놓으면 볼트(29)는 버퍼 스프링(31)에 의하여 전진하고, 그것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기구부(15)의 노즐부(16)에 의하여, 일발의 탄환(B)이 장탄부(12)에 장전된다(도 7B).
이어서, 트리거(32A)를 당겨 해머(40)가 작동하면 노커(46)를 통하여 밸브축(26a)이 밀려들어가, 개폐 밸브 기구(25)가 밸브를 개방하여, 압축 가스가 가스 유입구(17)에 유입된다. 압축 가스는, 차압 밸브 기구(20)의 가스 통구(18a)로부터 차압 밸브(18)의 내부에 유입되어, 탄환(B)에 분사되고, 그 결과, 탄환(B)은 배럴(11)로부터 발사된다(도 8A). 탄환 발사 후에도 계속해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차압 밸브(18)가 전진하여 차압 밸브 기구(20)가 밸브를 폐쇄함과 함께, 가스 흐름은 실린더(14)에 유도된다(도 8B).
가스 흐름의 실린더(14) 내로의 유입에 의하여 피스톤 기구부(15)가 볼트(29)와 함께 후퇴하고, 그 과정에서 해머(40)가 코킹된다(도 9A). 볼트(29)가 어느 정도 후퇴하면, 피스톤 스톱(50)과 함께 피스톤(13)이 후퇴를 개시하고, 또한 피스톤 리턴 스프링(28)에 의하여 볼트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도 9B).
볼트(29)는 피스톤 기구부(15)와 함께 최대 후퇴 위치까지 후퇴 후에 정지하고(도 10A), 모의총(G)의 조작자는, 이 사이에 볼트(29)의 질량의 이동에 따른 쇼크를 체감한다. 상기 후퇴 동작에 의하여 축압된 버퍼 스프링(31)이 해방되어, 볼트(29)가 전진으로 바뀌고, 그것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기구 선단부의 노즐부(16)에 의하여, 일발의 탄환(B)이 장탄부(12)에 장전된다(도 10B). 또한 볼트(29)의 돌기부(47)가 시어(41)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머(40)가 개방되어, 도 7B의 상태로 되돌아가 발사 동작이 반복된다(연사 모드). 단사 모드의 경우에는, 해머(40)가 디스커넥터(35)에, 계합부(35a, 40a)에 의하여 계합하여 정지한다. 그 계지는 트리거(32)를 되돌림으로써 분리되므로, 해머(40)는 트리거(32)에 계지되어 코킹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는, 볼트(29)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62)를 완충 수단(7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완충하여, 그 손상을 방지하고, 갑작스러운 작동 부전을 발생하지 않도록 총을 보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탄환(B)이 다 발사되었다는 탄환 소진을 검출하고, 매거진을 교환하여 재장전할 때에 볼트 스톱 부재(62)를 해제함으로써, 다시 장전 레버(차징 핸들)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는 기능이 유지된다.
10 발사 장치부
11 배럴부
12 장탄부
13 피스톤
14 실린더
15 피스톤 기구부
16 노즐부
17 가스 유입구
18 차압 밸브
19 밸브실
20 차압 밸브 기구
21 반환 스프링
22 매거진부
23 가스 탱크
24 가스 유로
25 개폐 밸브 기구
26 개폐 밸브
27 유출구
28 피스톤 리턴 스프링
29 볼트
30 가동체부
31 버퍼 스프링
32, 32A, 32B 트리거
33 축
34 트리거 스프링
35 디스커넥터
36 셀렉터
37, 38 계지부
39 해머 스프링
40 해머
41 시어
42 시어 스프링
43 계합 돌기부
44 계합륜
45 타압부
46 노커
47 볼트 돌기부
48 장전 레버
51 탄환 소진 검출 수단
53 팔로어
54 팔로어 링크
55 중간 링크
56 링크 기구
57 팔로어 스프링
59 계합 수단
60 볼트 스톱부
61 중계 부재
62 볼트 스톱 부재
65 축
66 장착부
67 완충 링크
68 완충축
69 완충 스프링
70 완충 수단

Claims (3)

  1. 총 본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총의 조작에 따라 후퇴하면서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축압력의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와, 전진하고 있는 볼트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를 구비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장치로서,
    볼트 스톱 부재는, 전진하는 볼트와 계합하는 계합 수단을 갖고, 상기 계합 수단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작용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고,
    총 본체는, 총의 조작에 따라 장탄부에 공급되는 탄환의 유무를 검출하는 탄환 소진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탄환 소진 검출 수단은, 탄환 소진을 검출함으로써, 볼트 스톱 부재를 볼트가 전진 후진하는 궤도 내에 돌출시켜, 계합 수단에 의한 계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2. 총 본체에 전진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총의 조작에 따라 후퇴하면서 버퍼 스프링을 축압하고, 그 축압력의 해방에 의하여 전진하는 볼트와, 전진하고 있는 볼트를 정지시키는 볼트 스톱 부재를 구비한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장치로서,
    볼트 스톱 부재는, 전진하는 볼트와 계합하는 계합 수단을 갖고, 상기 계합 수단에 의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하여, 볼트 스톱 부재에 작용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고,
    볼트 스톱 부재는, 볼트와 완충 수단의 사이에 개재하는 볼트 스톱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총 본체 측에 마련된 축이 배치되는 전후 방향의 긴 구멍을 갖고, 상기 긴 구멍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 또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계합 수단은 볼트에 마련된 계합부와 볼트 스톱 부재에 마련된 계합 상대부로 이루어지고, 볼트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볼트 스톱 부재는, 볼트와 완충 수단의 사이에 개재하는 볼트 스톱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총 본체 측에 마련된 축이 배치되는 전후 방향의 긴 구멍을 갖고, 상기 긴 구멍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 또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계합 수단은 볼트에 마련된 계합부와 볼트 스톱 부재에 마련된 계합 상대부로 이루어지고, 볼트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구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KR1020177034855A 2015-05-12 2015-05-12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KR102283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3663 WO2016181507A1 (ja) 2015-05-12 2015-05-12 銃におけるボルトストップ緩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462A KR20180011462A (ko) 2018-02-01
KR102283349B1 true KR102283349B1 (ko) 2021-07-29

Family

ID=5724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855A KR102283349B1 (ko) 2015-05-12 2015-05-12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5912B2 (ko)
EP (1) EP3296682B1 (ko)
JP (1) JP6229082B2 (ko)
KR (1) KR102283349B1 (ko)
CN (1) CN107615002B (ko)
HK (1) HK1243479A1 (ko)
WO (1) WO2016181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955B1 (ko) * 2015-10-16 2022-02-14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마루이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WO2019013806A1 (en) * 2017-07-14 2019-01-17 Mustang Industrial Design, Inc. AUTOMATIC LOADING HAMMER FIREARM OPERATING IN REAL FIRE MODE OR TRAINING MODE
WO2019058526A1 (ja) * 2017-09-22 2019-03-28 株式会社東京マルイ カラ撃ち防止機能停止装置
EP3686544A4 (en) * 2017-09-22 2021-06-23 TOKYO MARUI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THE FIRING OF CARTRIDGE CASES IN AN ELECTRIC GUN
US10760862B2 (en) * 2018-10-09 2020-09-01 Daniel Defense, Inc. Bolt stop assemblies
RU2705410C1 (ru) * 2018-12-25 2019-11-07 Василий Михайлович Покаляе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жие с автоматикой на основе инер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US11029110B2 (en) 2019-04-05 2021-06-08 Smith & Wesson Inc. Magazine safety
JP7387144B2 (ja) 2019-09-24 2023-11-28 株式会社東京マルイ 玩具銃
RU200564U1 (ru) * 2020-07-07 2020-10-29 Сергей Борисович Епаров Стрелковое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1681U1 (ru) * 2020-09-02 2020-12-28 Сергей Борисович Епаров Редуктор стрелкового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о смещенным соплом
CN113654398B (zh) * 2020-11-10 2023-03-17 马常鸣 带空挂功能的电动弹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0183A (en) * 1965-02-12 1968-04-30 Armalite Inc Upper handguard fixedly mounted on barrel assembly by breechblock guide rods
US3563132A (en) * 1968-09-19 1971-02-16 Us Navy Grenade launcher
US4244273A (en) * 1978-12-04 1981-01-13 Langendorfer Plastics Corporation Rifle modification
GB8724995D0 (en) * 1987-09-11 1988-01-27 Victory Arms Co Ltd Breech locking system for self loading firearms
US4955812A (en) * 1988-08-04 1990-09-11 Hill Banford R Video target training apparatus for marksmen, and method
US5457901A (en) * 1994-01-12 1995-10-17 Gernstein; Terry M. Recoil absorption means for a shotgun
US5735070A (en) * 1996-03-21 1998-04-07 Vasquez; Eduardo C. Illuminated gun sight and low ammunition warning assembly for firearms
JP2960023B2 (ja) 1996-12-29 1999-10-06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連射型玩具銃
US6192780B1 (en) * 1999-03-29 2001-02-27 Bryan S. Schneider Forward receiver buffer
US6510778B1 (en) * 2000-12-28 2003-01-28 Custom Shooting Technologies, Inc. Automatic bolt hold-open assembly
US20040144012A1 (en) 2003-01-29 2004-07-29 Adams Joseph S. Combustion-gas-powered paintball marker
EP2010854A1 (en) * 2006-04-19 2009-01-07 Goodcart Pty Ltd. A bolt head locking arrangement for firearm weapons
US7694448B2 (en) * 2006-12-27 2010-04-13 Tokyo Marui Co., Ltd. Recoil shock device in toy gun
ITMI20071909A1 (it) * 2007-10-04 2009-04-05 Beretta Armi Spa Arma da fuoco con gruppo otturatore perfezionato
CH699667A2 (fr) * 2008-10-09 2010-04-15 Gamma Kdg Systems Sa Nouveau mecanisme de retard d'ouverture pour arme automatique.
US8117957B2 (en) * 2009-07-24 2012-02-21 Vladimir Loganchuk Breech device for a hand firearm
US9217614B2 (en) * 2011-02-11 2015-12-22 Jorge Pizano Firearm having an articulated bolt train with transversally displacing firing mechanism, delay blowback breech opening, and recoil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9082B2 (ja) 2017-11-08
CN107615002A (zh) 2018-01-19
EP3296682A4 (en) 2018-12-19
HK1243479A1 (zh) 2018-07-13
EP3296682B1 (en) 2021-03-24
JPWO2016181507A1 (ja) 2017-06-01
KR20180011462A (ko) 2018-02-01
WO2016181507A1 (ja) 2016-11-17
CN107615002B (zh) 2020-04-28
US10415912B2 (en) 2019-09-17
EP3296682A1 (en) 2018-03-21
US20180112942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349B1 (ko)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US4244273A (en) Rifle modification
CA2396031A1 (en) Pneumatic gun
EP2525185A1 (en) Pistol with firing mechanism that can easily be adapted to various modes of operation
KR102283347B1 (ko) 모의총에 있어서의 피스톤 기구의 완충 장치
CA2653036C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EP3371541B1 (en) Self-loading pistol with selective slide lock delaying the opening movement during firing but facilitating manual cocking.
US2785605A (en) Firing mechanism for automatic rifles
KR102362955B1 (ko) 총에 있어서의 볼트 스톱 완충 장치
US3225657A (en) Closed breech gun
EP3064882B1 (en) Toy gun
US3680433A (en) Semi-automatic shotgun having rotary and sliding breech block
US4016800A (en) Portable firearm with a retractable barrel
US3503299A (en) Air operated projectile firing apparatus
JP5567537B2 (ja) 給弾機構における装弾数切替え装置
RU2124173C1 (ru) Стрелков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JP2877805B1 (ja) ブローバック式ガスガンにおける弁装置
US1146984A (en) Firearm.
US20220136786A1 (en) Gun with a delay function
CN109073347B (zh) 仿真枪中的上膛指示装置
KR20240000471A (ko) 이중 발사 모드 반자동 권총
CZ306969B6 (cs) Utěsněný jednočinný revol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