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19B1 -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19B1
KR102283319B1 KR1020200179666A KR20200179666A KR102283319B1 KR 102283319 B1 KR102283319 B1 KR 102283319B1 KR 1020200179666 A KR1020200179666 A KR 1020200179666A KR 20200179666 A KR20200179666 A KR 20200179666A KR 102283319 B1 KR102283319 B1 KR 10228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fied asphalt
weight
parts
asphal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섭
김연태
이지익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08L95/005Aqueous compositions, e.g.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6 ~ 75 중량부; 계면활성제 0.3 ~ 4 중량부; pH 조절제 0.5 ~ 3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1~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시함으로써, 부착력이 높고, 양생 속도가 빠르며, 장기 공용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ODIFIED EMULSIFYING ASPHAL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 코트 재료로 사용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경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50 중량부 내외가 혼합된다.
또한 상온 재활용 아스콘 제조용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경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2 ~ 65 중량부가 혼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의 함량이 적음에 따라, 부착력이 낮다는 점, 양생 속도가 느리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부착력이 높고, 양생 속도가 빠르며, 장기 공용성능이 우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6 ~ 75 중량부; 계면활성제 0.3 ~ 4 중량부; pH 조절제 0.5 ~ 3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1~0.3 중량부;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4암모늄 화합물(Quaternary ammonium), 아민(Amine), 디아미노프로판(Diaminopropane), 탈로우알킬(Tallowalkyl)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을 160 ~ 170℃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물을 55 ~ 65℃로 가열하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형성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대하여 상기 실리카계 안정재료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형성하는 2차 혼합단계; 가열된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과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고, 70 ~ 90℃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으로서, 기층, 보조기층 또는 하부 포장체의 상면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택 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택 코트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부 포장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방법으로서,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표면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층에 대하여 골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으로서, 상온에서 순환골재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온에서 상기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을 포설하거나, 상기 순환골재 재생혼합물과 신규 아스콘을 혼합하여 포설하여 포장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부착력이 높고, 양생 속도가 빠르며, 장기 공용성능이 우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2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방법의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6 ~ 75 중량부; 계면활성제 0.3 ~ 4 중량부; pH 조절제 0.5 ~ 3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1 ~ 0.3 중량부;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택 코트 재료의 경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50 중량부 내외가 혼합되고, 상온 재활용 아스콘 제조용 재료의 경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2 ~ 65 중량부가 혼합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6 ~ 75 중량부가 혼합되므로,(고함량이므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의 함량이 종래에 비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혼합물)을 살포하는 경우라도, 실질적으로 더욱 많은 양의 유화 아스팔트 성분이 살포되는 결과가 되어 우수한 부착력을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물의 함량이 적으므로 양생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다만,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의 함량이 많아짐으로 인한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0.3 ~ 4 중량부; pH 조절제 0.5 ~ 3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1 ~ 0.3 중량부;를 추가로 혼입한다.
계면활성제는 기름인 아스팔트와 물이 분산될 수 있도록 계면을 활성하는 역할(친수, 친유기 성질이 있어 아스팔트 입자끼리 달라붙어 덩어리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배합의 경우, 제4암모늄 화합물(Quaternary ammonium), 아민(Amine), 디아미노프로판(Diaminopropane), 탈로우알킬(Tallowalkyl)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PH 조절제는 위 계면활성제가 물에 중화되도록 사용하는 성분이고, 실리카계 안정재료는 유화 아스팔트의 점도를 증가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이해 이루어진다.
먼저,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을 160 ~ 170℃로 가열한다.
물을 55 ~ 65℃로 가열하고,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약 15분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후, 1차 혼합물에 대하여 실리카계 안정재료를 약 15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유화액)을 형성한다.
가열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과 2차 혼합물(유화액)을 Colloid mill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70 ~ 90℃로 냉각시킨 후, 보관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 내용 및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70 중량부, 계면활성제 2 중량부, pH 조절제 1.8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2 중량부 및 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계면활성제로는 제4암모늄 화합물(Quaternary ammonium)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은 종래의 택 코트에 사용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이고, 비교예 2는 종래의 상온 재활용 아스콘 제조용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이다.
첫째, 표 1은 증발잔류분 시험결과이다.
Figure 112020138812795-pat00001
증발잔류분 시험이란,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에서 물을 증발시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의 함량을 평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2에 비해 증발잔류분(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 2는 공용성 시험결과이다.
Figure 112020138812795-pat00002
DSR과 BBR은 모두 아스팔트의 장기 공용성능을 평가하는 시험방법을 의미한다.
DSR은 고온 성능 평가 시험(아스팔트의 고온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 시험)이고, BBR은 저온 성능 평가 시험(아스팔트의 저온 균열 저항성 평가 시험)이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2에 비해 DSR, BBR 모든 시험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유화 아스팔트의 경우 아스팔트의 장기 성능을 평가하는 PG grade가 64 ~ 22 또는 70 ~ 22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G grade가 76 ~ 22이므로, 장기 공용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의 조성물의 활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택 코트(tack coat)로 활용할 수 있다.
기층, 보조기층 또는 하부 포장체(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등)(10)의 상면에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택 코트층(11)을 형성하고, 그 택 코트층의 상면에 신규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부 포장체(아스팔트 포장체)(12)를 형성할 수 있다.(도 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택 코트로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양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혼합물)을 살포하는 경우라도, 실질적으로 더욱 많은 양의 유화 아스팔트 성분이 살포되는 결과가 되어 우수한 부착력을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물의 함량이 적으므로 양생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공용중인 아스팔트 도로포장(20)의 표면에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보강층(21)을 형성하고, 그 보강층(21)에 대하여 골재(chip seal, 포그실 등)(22)를 살포함으로써,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도 2)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장기 공용성능을 증대함과 아울러, 빠른 양생 속도로 인하여 시공 후 조기 교통개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온 재활용 아스콘 제조용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온에서 순환골재(재생골재)와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러한 순환골재 재생혼합물만을 포설하거나, 그 순환골재 재생혼합물과 신규 아스콘을 혼합하여 포설하여 포장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의 강도(마샬안정도, 간접인장강도, 동적안정도 등)가 증가하므로, 순환골재를 사용함에 불구하고 우수한 포장체를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하부 포장체 11 : 택 코트층
12 : 상부 포장체 20 : 아스팔트 도로포장
21 : 보강층 22 : 골재

Claims (6)

  1.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 66 ~ 75 중량부;
    계면활성제 0.3 ~ 4 중량부;
    pH 조절제 0.5 ~ 3 중량부;
    실리카계 안정재료 0.1~0.3 중량부;
    물;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4암모늄 화합물(Quaternary ammonium), 아민(Amine), 디아미노프로판(Diaminopropane), 탈로우알킬(Tallowalkyl)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을 160 ~ 170℃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물을 55 ~ 65℃로 가열하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형성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대하여 상기 실리카계 안정재료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형성하는 2차 혼합단계;
    가열된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고형분과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고, 70 ~ 90℃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으로서,
    기층, 보조기층 또는 하부 포장체의 상면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택 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택 코트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부 포장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
  5. 제1항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방법으로서,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표면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층에 대하여 골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표면처리방법.
  6. 제1항의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으로서,
    상온에서 순환골재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온에서 상기 순환골재 재생혼합물을 포설하거나, 상기 순환골재 재생혼합물과 신규 아스콘을 혼합하여 포설하여 포장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0200179666A 2020-12-21 2020-12-21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66A KR102283319B1 (ko) 2020-12-21 2020-12-21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66A KR102283319B1 (ko) 2020-12-21 2020-12-21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319B1 true KR102283319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666A KR102283319B1 (ko) 2020-12-21 2020-12-21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4663A (zh) * 2021-09-24 2022-01-04 陕西交通建设养护工程有限公司 一种冷再生用乳化沥青选择方法
KR102652599B1 (ko) * 2022-12-23 2024-04-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분저항성 및 박리저항성이 개선된 칩씰용 개질 유화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761A (ja) * 2002-07-10 2004-03-25 Toa Doro Kogyo Co Ltd アスファルト乳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4686A (ko) * 2008-12-24 2010-07-02 최문선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761A (ja) * 2002-07-10 2004-03-25 Toa Doro Kogyo Co Ltd アスファルト乳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4686A (ko) * 2008-12-24 2010-07-02 최문선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4663A (zh) * 2021-09-24 2022-01-04 陕西交通建设养护工程有限公司 一种冷再生用乳化沥青选择方法
KR102652599B1 (ko) * 2022-12-23 2024-04-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분저항성 및 박리저항성이 개선된 칩씰용 개질 유화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319B1 (ko) 고형분 고함량 유화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280305B2 (en) Stable emulsions for producing polymer modified asphalt
US20120022182A1 (en) Asphalt compositions including a disperion of microgels dispersed in an oil
US20220315766A1 (en) Biobased asphalt rejuvenating emulsion
CN109650781B (zh) 一种中低温温拌高摩阻薄层罩面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CN108948753B (zh) 一种温拌高粘改性沥青及其制备和应用
AU2019203217A1 (en) Hot applied tack coat
US20180171147A1 (en) Age 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for treating roadway substrates
CN101784612A (zh) 沥青乳液底漆组合物及使用方法
US20180371251A1 (en) Latexes containing polyphosphoric acid for asphalt modification
CN108975760B (zh) 一种用于酸性集料沥青混合料改性的增强剂及应用
KR101630835B1 (ko) 습윤면 적용과 시공현장 쿠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고유동성 매스틱 아스팔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EP3775050A1 (en) Dual emulsion system for asphalt rejuvenation
CN104151844A (zh) 一种阳离子型乳化改性沥青及在板式无砟轨道中的应用
WO2012160554A1 (en) Modified hot-mix asphalt with anti-rutt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564168B (zh) 一种改性沥青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40216640A1 (en) Method for making cold-process bituminous mix
KR20120115658A (ko) 저교통량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수공법
KR101424759B1 (ko) 중온 저소음 아스팔트용 첨가제 및 첨가제가 포함된 중온 저소음 아스팔트혼합물
CN109534725A (zh) 一种超薄铺装高模量沥青混合料、制备方法及其评价方法
JP3935061B2 (ja) 舗装用アスファルト乳剤組成物
Zhang et al. An asphalt emulsion modified by compound of epoxy resin and styrene-butadiene rubber emulsion
CN103755225A (zh) 一种改性沥青混合料及制备方法
CN110591399A (zh) 高粘高软化点的改性乳化沥青及其制备方法
CN113045248B (zh) 一种用于长大纵坡的功能复合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