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259B1 -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259B1
KR102283259B1 KR1020200167500A KR20200167500A KR102283259B1 KR 102283259 B1 KR102283259 B1 KR 102283259B1 KR 1020200167500 A KR1020200167500 A KR 1020200167500A KR 20200167500 A KR20200167500 A KR 20200167500A KR 102283259 B1 KR102283259 B1 KR 10228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ignal
output
unit
biometric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엠
Priority to KR102020016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259B1/ko
Priority to US17/120,625 priority patent/US202201807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s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03Anatomical models specially adapted to simulate circulation of bodily flu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는 피교육자 또는 인체 모형부에 부착되는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인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모형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출력 양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출력 양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와 표시부 각각에 출력 및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System for experience educating vital signs and cardiopulmonary}
본 발명은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에 대한 체험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과 공학분야 사이의 학문적 방법론, 개념, 기술, 기기 등을 상호교환 및 응용함으로 두 학문분야의 발전을 도모하는 의공학은 '의용생체공학', '의학공학', '의료공학', '의료전자공학'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지칭되고 있으며, 고도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요구하는 각종 첨단 전자/통신기술이 접목되는 의료장비의 발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의공학의 주요 연구분야를 응용되고 있는 전자/통신기술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생체신호처리, 의학영상처리 및 분석, 의료기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생체역학, 생체재료, 재활공학, 인공장기, 의료정보, 진단보조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자/통신기술관련 교육장비는 의학관련 전자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신규수요와 시장의 증가추세에 있으나, 최근 전자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해당 교육분야에서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로 속도가 빠름에도 현실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교육기자재는 매우 낙후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자/통신기술분야에 따라 교육장비도 각 분야에 맞는 최신의 제품으로의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교육실습 시스템은 교육대상인 생체신호측정센서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생체신호측정분야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교육대상 및 과정의 변동에 따라 매번 신규 실습시스템을 구매해야 하는 비용상의 부담이 있었다.
또한, 시스템이 일체형 구성됨에 따라 문제 발생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아 수리작업이 복잡하고 장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각종 회로의 업그레이드 및 사양 교체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7448호
본 발명은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측정부에 구비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로 측정된 피교육자의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부가 출력하거나 표시부가 표시할 수 있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부에 구비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인체 모형부에 부착하면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부가 출력하거나 표시부가 표시할 수 있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는 피교육자 또는 인체 모형부에 부착되는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인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모형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출력 양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출력 양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와 표시부 각각에 출력 및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출력 양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출력 양식 정보에 대응하여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부와 표시부 각각에 출력 및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는 상기 인체의 심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체 모형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심장의 이완과 수축을 묘사하도록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하는 심장 모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는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신호 측정부에 구비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로 측정된 피교육자의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부가 출력하거나 표시부가 표시함으로써, 피교육자 자신의 생체 신호에 대한 직접 측정을 체험 교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신호 측정부에 구비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인체 모형부에 부착하면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부가 출력하거나 표시부가 표시함으로써, 생체 신호 측정 방법에 대해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와 심폐소생술 교보재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혈압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와 심폐소생술 교보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를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와 심폐소생술 교보재(200)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의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2)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의 인체 모형부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 중 혈압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3)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0)와 심폐소생술 교보재(2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 인체 모형부(120), 프로세서(130), 심장 모형부(140), 표시부(150), 출력부(160), 입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피교육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피교육자에 부착되는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피교육자의 인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는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일 수 있다.
이때,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는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심전도 생체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는 3개로 구성되어, 피교육자의 양팔과 다리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는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2)일 수 있다.
이때,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2)는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2)는 피교육자의 손가락 끝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는 혈압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혈압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3)일 수 있다.
이때, 혈압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3)는 혈압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가압 모듈과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혈압 생체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혈압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3)는 피교육자의 팔에 부착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를 통해 피교육자로부터 생체 신호(예를 들어, 심전도 생체 신호,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혈압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예를 들어,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 혈압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세서(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를 구비하고,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센서를 구비하고, 혈압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혈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와 측정 방식은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즉,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로써 심전도 생체 신호,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혈압 생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 신호를 변환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심전도 생체 신호가 측정되면 심전도 생체 신호를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가 측정되면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혈압 생체 신호가 측정되면 혈압 생체 신호를 혈압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변환 모드를 설정하고, 생체 신호 변환 모드에 대응하여 생체 신호를 필터링 및 변조하고, 필터링 및 변조된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필터링 주파수 범위 정보를 확인하며 생체 신호 중에서 생체 신호 주파수가 필터링 주파수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하이 패스 필터 및 로우 패스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변환 모드는 생체 신호의 종류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생체 신호 변환 모드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생체 신호의 종류별로 필터링 주파수 범위 정보가 설정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진폭 변조 정보를 확인하며, 진폭 변조 정보가 나타내는 진폭 배율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의 생체 신호 진폭을 변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신호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변환 모드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생체 신호의 종류별로 나타내는 진폭 배율이 상이한 진폭 변조 정보가 설정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로 구성된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 신호를 상술된 방법으로 특정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되지 않은 생체 신호들에 대해 진폭을 변조할 수 있다.
이후,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필터링 및 변조가 완료된 생체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ADC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생체 신호 측정부(110)는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생체 신호 식별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0)로부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표시 모드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생체 신호의 종류별로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양식 정보가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표시 모드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출력 양식 정보가 나타내는 슬로프 그래프 양식, 막대 그래프 양식 및 숫자 양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50)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하나 이상으로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출력부(160)는 종이에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는 심전도 생체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장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60)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심장 모형부(140)는 인체의 심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체 모형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심장의 이완과 수축을 묘사하도록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심장 모형부(140)는 내부에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심박수 정보가 나타내는 심박수로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는 인체 모형부(120)의 생체 신호 측정 영역 중 생체 신호 측정 시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가 부착되는 인체 부위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는 피교육자에 의해 인체 모형부(120)의 영역 중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 시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가 부착되는 인체 부위인 팔과 다리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모형부(120)는 인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되면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모형부(120)는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신체 부위인 양팔뚝과 다리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신체 부위인 손가락 끝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 혈압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신체 부위인 팔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인체 모형부(120)는 각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체 모형부(120)는 각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버튼, 압력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모형부(120)는 심전도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신체 부위인 양팔뚝과 다리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심전도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가 부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버튼(121)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인체 모형부(120)는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의 부착이 감지되면, 해당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3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인체 모형부(120)로부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출력부(160)는 소형화된 프린트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표시 모드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생체 신호의 종류별로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 양식 정보가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는 생체 신호 교육을 위해 정상 건강 상태의 인체로부터 측정되어 변환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생체 신호 데이터의 일 예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표시 모드에 따라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 양식 정보가 나타내는 슬로프 그래프 양식, 막대 그래프 양식 및 숫자 양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인체 모형부(120)로부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신호 교육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신호 교육 정보에 포함된 생체 신호 측정 절차 정보,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측정 절차 정보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111, 112, 113)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절차를 교육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정보는 표시부(150) 표시되는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교육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 절차 정보와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심폐소생술 교육 모드로 전환되면,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는 심정지 상태의 인체로부터 측정되어 변환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심폐소생술 교육 모드로 전환되면,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정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입력부(170)는 심폐소생술 교보재(200)와 연결되어 심폐소생술 교보재(200)로부터 심폐 소생 데이터를 입력받고, 프로세서(130)는 심폐 소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거나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70)는 입력 단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체 상부(210) 형상을 형성된 심폐소생술 교보재(200)와 와이어(Y)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심폐 소생 데이터는 피교육자가 심폐소생술 교보재(200)에 심폐 소생술(피검자가 심장에 압력을 가하는 심폐소생술 또는 제세동기(220)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심폐소생술 교보재(200)에 입력되는 압력 및 전기자극 각각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는 심정지 상태의 인체에 심폐 소생술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해당 인체에서 측정되어 변환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일 예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심폐 소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폐가 소생되는 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심폐의 소생 정도에 대응하여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는 심전도 생체 신호, 산소포화도 생체 신호, 혈압 생체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소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심폐 소생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소생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심폐 소생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소생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심장 모형부(140)의 팽창 및 수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소생 기준은 단위 시간 당 심장 압박 횟수, 심장 압박의 평균 압력, 단위 시간 당 전기 자극 횟수, 전기 자극의 평균 전기 에너지량 각각이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성공과 실패의 예시를 피교육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100)의 상술된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80)에는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100: 복수의 생체 신호 측정 팩
200: 통신 모듈
300: 사용자 단말

Claims (6)

  1. 피교육자 또는 인체 모형부에 부착되는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를 통해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인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상기 생체 신호 측정 프로브가 부착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영역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 식별 정보와 함께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모형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출력 양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출력 양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와 표시부 각각에 출력 및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의 심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체 모형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심장의 이완과 수축을 묘사하도록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하는 심장 모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출력 양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출력 양식 정보에 대응하여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출력부와 표시부 각각에 출력 및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브 부착 감지 신호와 상기 생체 신호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심장 모형부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 교육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KR1020200167500A 2020-12-03 2020-12-03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KR10228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0A KR102283259B1 (ko) 2020-12-03 2020-12-03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US17/120,625 US20220180771A1 (en) 2020-12-03 2020-12-14 System for experience educating vital signs and cardiopulmon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0A KR102283259B1 (ko) 2020-12-03 2020-12-03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259B1 true KR102283259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00A KR102283259B1 (ko) 2020-12-03 2020-12-03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80771A1 (ko)
KR (1) KR102283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369A (ko) * 2012-06-29 2014-01-08 영상 조 교육용 다용도 생체 계측시스템
KR101417591B1 (ko) * 2013-02-08 2014-07-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측정모듈용 멀티스마트 교육실습 시스템
KR20140127448A (ko) 2013-04-24 2014-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탈식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KR20190001088A (ko) * 2017-06-26 2019-01-04 임경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369A (ko) * 2012-06-29 2014-01-08 영상 조 교육용 다용도 생체 계측시스템
KR101417591B1 (ko) * 2013-02-08 2014-07-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측정모듈용 멀티스마트 교육실습 시스템
KR20140127448A (ko) 2013-04-24 2014-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탈식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KR20190001088A (ko) * 2017-06-26 2019-01-04 임경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동영상 ‘뉴엠-건강관리 인체모형 교보재’(2020.05.2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0771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571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edical device training
US6273728B1 (en) Life support simulation system simulating human physiological parameters
AU20133178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emorrhage control training
US20030091968A1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11164483B2 (en) Medical simulator for the simulation of puncture operations
CN105225562A (zh) 一种全科医生培训考核系统及方法
Violant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Web-based interactive medical devices for educational purposes
Deutsch et al. Leveraging health care simulation technology for human factors research: closing the gap between lab and bedside
US11328624B2 (en) Medical sensors for clinical and training applications
KR102283259B1 (ko) 생체 신호 및 심폐소생술 체험 교육 장치
KR102274140B1 (ko) 생체 신호 측정 교육 시스템
CN105520723B (zh) 生命体征测量装置、生命体征显示方法和程序
CN205541521U (zh) 一种全科医生培训考核系统
JP2016194681A (ja) フィジカルアセスメント教育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フィジカルアセスメント教育サービス提供方法
Luo et al. Hap-pulse: A wearable vibrotactile glove for medical pulse wave rendering
CN209391918U (zh) 用于脉搏检测的可穿戴设备
Fuior et al. Intelligent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at Patient’s Home
Guzmán et al. UAOSIM-NIBP: An open-source, low-cost, blood pressure simulator
WO2020176012A1 (ru) Цифровой обучающ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к перспективным профессиям в области нейрофизиологии
RU2798405C1 (ru) Симуля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бследования брюшной полости c применением vr-симуляции на базе комплексной технологии тактильного трекинга
Donekal Chandrashekar Extended Reality Simulator for Advanced Training Life Support System
EA043774B1 (ru) Цифровой обучающ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к перспективным профессиям в области нейрофизиологии
CN117854349A (zh) 一种配套模拟训练系统
BR202019014112Y1 (pt) Simulador para estudo de patologias cardíacas
Sharma et al. Human‐Machine Interface Improving Quality of Patient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