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662B1 -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662B1
KR102282662B1 KR1020170099050A KR20170099050A KR102282662B1 KR 102282662 B1 KR102282662 B1 KR 102282662B1 KR 1020170099050 A KR1020170099050 A KR 1020170099050A KR 20170099050 A KR20170099050 A KR 20170099050A KR 102282662 B1 KR102282662 B1 KR 10228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gps
coordinates
identification code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679A (ko
Inventor
김기덕
이병옥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주)로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피아 filed Critical (주)로드피아
Priority to KR102017009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30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code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IoT 단말,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위치 정보를 이전 시점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데이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DATA TRANSMISSION SYSTEM FOR LOCATION-BASED SERVICE ADVANCE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되는 GPS 위치 좌표를 간소화하여 전송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 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즉,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사람의 조작 없이도 다른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GPS 기술과 사물 인터넷을 결합하여 실시간 주차장에서의 주차 공간 정보, 반려 동물의 위치 정보, 주변 시설 정보 제공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다양한 기기들과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통신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게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데이터의 전송에 손실되는 문제등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통신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하고 빠르게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등록특허 제10-0701773호(2007.03.3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되는 GPS 위치 좌표를 간소화하여 전송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IoT 단말,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IoT 단말은, 상기 GPS 위치 좌표에서 각각의 좌표의 자리 값에 대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위 서버는, 상기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이 GPS 위치 좌표 값 중에서 어느 자리값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에서 해당 자리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현재 시점의 GPS 위치 좌표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좌표를 의미하는 식별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은, 블랙박스, IP 카메라 및 영상 녹화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위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위치 정보를 이전 시점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데이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IoT 단말(100)과 측위 서버(200)를 포함하며,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IoT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며 IoT 네트워크 또는 무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IoT 단말이나 또는 측위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oT 단말(100)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하거나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단말(100)은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한 GPS 위치 좌표를 저장하거나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IoT 단말(100)은 처음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GPS 위치 좌표를 전달하고, 그 후에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추출한 후, 변경된 위치 좌표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IoT 단말(100)은 블랙박스, IP 카메라 및 영상 녹화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IoT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IoT 단말(100)은 수신한 GPS 위치 좌표 이외에도 연동되는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위 서버(200)는 IoT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GPS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변경된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경우,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에서 변경된 위치 좌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측위 서버(200)는 IoT 단말(100)의 GPS 위치 좌표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면서 수신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00)는 IoT 단말(100)의 GPS 위치 좌표를 업데이트하면, 다른 IoT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외에도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IoT 단말의 GPS 위치 좌표를 간호화한 전송 데이터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IoT 단말(100)은 최초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GPS 위치 좌표를 측위 서버(200)로 전송하여, IoT 단말(100)과 측위 서버(200)는 최초 GPS 위치 좌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IoT 단말(100)은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한다(S210).
그리고 IoT 단말(100)은 GPS 위치 좌표에서 각각의 좌표의 자리 값에 대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추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위치 좌표는 위도값와 경도값으로 표시되는데,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은 위도값(35.241456), 경도값(125.124013)이고 현재 시점에서의 GPS 위치 좌표 값이 위도값(35.241804), 경도값(125.123893)으로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GPS 위치 좌표는 고도값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도값과 경도값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상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과 현재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값인 경우 0으로 표시하고 다른 값인 경우, 해당 값을 표시하면, 변경된 위도 값은 00.000456에서 00.000804로 변경되었고 경도 값은 000.004010에서 000.003890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IoT 단말(100)은 이전 시점의 위도 값과 경도값에서 변경된 00.000804와 000.003890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IoT 단말(100)은 이와 같이, 변경된 위도값(804)와 경도값(389)를 추출할 때, 추출된 값들이 변경된 GPS 위치 좌표의 어느 자리 값에 해당되는 지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IoT 단말(100)은 위도 값으로 804와 804의 좌표 자리값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경도값으로 389와 389의 좌표 자리값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코드는, 위도 값과 경도 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좌표 자리값뿐 아니라 해당 값이 위도값을 나타내는 지 경도 값을 나타내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oT 단말(100)은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현재 시점의 GPS 위치 좌표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좌표를 의미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IoT 단말(100)은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220).
한편, IoT 단말(100)은 기 설정된 전송 순서에 따라 추출된 좌표값과 식별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위도값(804), 식별 코드, 경도값(389), 식별 코드와 같이, 전송 순서가 기 설정된 경우, 식별 코드가 위도 값과 경도 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지 않고도 전송된 순서에 따라 해당 값이 위도값을 나타내는 지 경도 값을 나타내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IoT 단말(100)과 측위 서버(200)는 기 설정된 전송 순서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경된 위치 좌표값 및 식별 코드의 전송 순서는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측위 서버(200)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한다(S230).
측위 서버(200)는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추출된 좌표 값이 GPS 위치 좌표 값 중에서 어느 자리값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에서 해당 자리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측위 서버(200)는 업데이트 된 IoT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기 저장하고,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주변 건물 안내, 교통 정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IoT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위치 정보를 이전 시점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데이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IoT 단말 200: 측위 서버

Claims (10)

  1.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IoT 단말,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은,
    상기 GPS 위치 좌표에서 각각의 좌표의 자리 값에 대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생성하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현재 시점의 GPS 위치 좌표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좌표를 의미하는 식별 코드를 전송하며, 블랙박스, IP 카메라 및 영상 녹화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서버는,
    상기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이 GPS 위치 좌표 값 중에서 어느 자리값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에서 해당 자리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IoT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면,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비교하여 변경된 좌표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좌표값,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위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GPS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은,
    상기 GPS 위치 좌표에서 각각의 좌표의 자리 값에 대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생성하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와 현재 시점의 GPS 위치 좌표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좌표를 의미하는 식별 코드를 전송하며, 블랙박스, IP 카메라 및 영상 녹화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서버는,
    상기 변경된 GPS 위치 좌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좌표 값이 GPS 위치 좌표 값 중에서 어느 자리값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기 저장된 이전 시점의 GPS 위치 좌표 값에서 해당 자리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상기 추출된 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99050A 2017-08-04 2017-08-04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50A KR102282662B1 (ko) 2017-08-04 2017-08-04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50A KR102282662B1 (ko) 2017-08-04 2017-08-04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79A KR20190015679A (ko) 2019-02-14
KR102282662B1 true KR102282662B1 (ko) 2021-07-29

Family

ID=6536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50A KR102282662B1 (ko) 2017-08-04 2017-08-04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1619B (zh) * 2020-08-17 2023-12-01 深圳华大北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近距离通信网络的定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628A (ja) * 2015-05-08 2016-12-15 スズキ株式会社 位置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205B1 (ko) * 2015-02-23 2019-01-18 울랄라랩 주식회사 통신 신호체계 변경을 통한 iot 단말기의 전원(배터리) 성능제어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628A (ja) * 2015-05-08 2016-12-15 スズキ株式会社 位置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79A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3716A1 (en)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US9395189B2 (en) Indoor structure inference using points of interest
KR102226022B1 (ko) 포지셔닝 방법 및 장치
KR20130091908A (ko)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286169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장치, 위치 측정 방법 및 핑거프린트 정보 수집 방법, 핑거프린트 서버 및 그의 위치 제공 방법
KR101399668B1 (ko) 제스처 제어형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위치 특정 정보 취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395604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無線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TWI422263B (zh)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systems
CN102829788A (zh) 一种实景导航方法和实景导航装置
US2015034123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articles for location parameter reporting and processing
TWI768225B (zh) 記錄有路徑引導程式之電腦可讀取的記錄媒體、路徑引導裝置及路徑引導系統
JP5274192B2 (ja) 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サーバおよび位置推定方法
KR20190059120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20160132045A (ko) 전자기기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60111193A (ko)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모바일 리워드 앱을 이용한 디지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82662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15628B2 (en) Method for estimating a distance from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s, server and system
KR20130068463A (ko)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역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7033A (ko) 영상인식을 이용한 항법정보 갱신 장치 및 그 방법
JP6435640B2 (ja) 混雑度推定システム
KR101298071B1 (ko)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KR101831250B1 (ko) 고정단말과 이동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5641B1 (ko) 측정정보 활용 시스템, 사용자 참여 기반의 측정정보 활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72762A (ko) 장소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834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농기계에 대한 제스쳐 제어의 권한을 부여 또는 이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