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778B1 -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778B1
KR102281778B1 KR1020200016348A KR20200016348A KR102281778B1 KR 102281778 B1 KR102281778 B1 KR 102281778B1 KR 1020200016348 A KR1020200016348 A KR 1020200016348A KR 20200016348 A KR20200016348 A KR 20200016348A KR 102281778 B1 KR102281778 B1 KR 10228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display
user
processor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훈
정영진
Original Assignee
나성훈
정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훈, 정영진 filed Critical 나성훈
Priority to KR102020001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 배너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a) 프로세서가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 내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고 영역이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DISPLAY METHOD OF WEB PAGE FOR SCROLL BANNER}
본 발명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할 때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 배너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이미 일상화되었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 광고 노출시키는 다양한 광고 기법이 있다. 하지만, 웹 페이지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광고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여 광고 내용에 대한 반감을 일으킨다. 따라서, 종래 웹 페이지에 광고를 노출시킴에 있어서 사용자의 반감을 줄이고, 웹 페이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 표시 방법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5200호 (2013.09.25)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 배너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a) 프로세서가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 내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고 영역이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이 아래 방향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d) 상기 사용자의 아래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이 위 방향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d) 상기 사용자의 위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할 때 스크롤 배너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의 참고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 아래, 상단, 하단"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반드시 PC에서만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지 않고,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저장 매체를 이하 메모리부라 호칭하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의 참고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에서, 프로세서가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운받은 웹 페이지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웹 페이지에는 광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2가지 광고 정보(110, 120)가 포함된 예시이다. 본 명세서에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의 차이점을 종래 웹 페이지 표시 방법과 비교하기 위해서, 제1 광고 정보(110)은 종래 웹 페이지 표시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고, 제2 광고 정보(12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다.
다음 단계 S20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롤 입력에 따른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번호 '200'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나타낸다. 웹 페이지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보다 큰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웹 페이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 (f)까지 순서는 스크롤 입력 방향이 아래 방향인 경우이며, 반대로 도 3의 (f)에서 (a)까지 순서는 스크롤 입력 방향이 위 방향인 경우이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입력 방식은 키보드의 화살표 방향키, 마우스의 휠 버튼 등 다양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30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 내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 영역이란, 웹 페이지 내 광고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광고 정보(120)를 나타내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영역이 광고 영역에 해당한다. 광고 영역의 크기는 300*250, 336*280, 300*600, 320*480 등등 다양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웹페이지 생성할 때 광고 정보를 표시할 광고 영역의 가로/세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광고 영역에 도달했는지 여부란,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가 되어야 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스크롤 입력이 아래 방향인 경우 제2 광고 정보(120)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곧 노출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점이 본 명세서에서 광고 영역에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
다음 단계 S40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고 영역이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먼저 종래 방법에 따른 웹 페이지 내 광고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은 아래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도 3의 (a)에서 상기 웹 페이지 내 제1 광고 정보(110)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이 화면 아래 부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3의 (b)과 같이 광고 영역의 상단이 먼저 노출되고, 도 3의 (c)와 같이 광고 영역의 하단까지 순차적으로 완전 노출된 후, 도 3의 (d)와 같이 광고 영역이 다시 상단부터 화면이 위 방향으로 소멸되어 완전히 화면 밖으로 사라지게 된다. 즉, 종래 방법에 따른 웹 페이지 내 광고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입력 방향과 동일하게 광고 정보가 차례대로 노출되었다가 차례대로 소멸된다.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웹 페이지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고 영역이 스크롤 표시된다는 점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라 제2 광고 정보(120)가 어떻게 표시되는지 설명하겠다. 먼저 도 4의 (a)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광고 정보(120)에 해당하는 광고 영역에 도달 이후이다. 이때, 종래 방법과 달리, 광고 영역의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비교하면서 함께 살펴보면,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표시되어 점차 상단 영역으로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영역이 완전 노출된 경우, 도 4의 (e) 및 (f)와 같이, 스크롤 입력에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다음 단계 S40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 내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소멸 영역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멸 영역이란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도달하여, 스크롤 입력에 따라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 밖으로 밀려나가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4의 (f)는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상단에 도달한 상태이다.
다음 단계 S5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아래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g)를 살펴보면, 광고 영역의 상단은 남아 있되, 하단 영역의 일부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h)와 같이 완전 소멸될 수 있다.
도 4의 (a)부터 (h)까지는 스크롤 입력이 아래 방향인 예시이므로, 스크롤 입력이 위 방향인 예시는 반대로 (h)부터 (a)까지로 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이 위 방향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위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a) 프로세서가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 내 상기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고 영역이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이 아래 방향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의 아래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하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 방향이 위 방향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의 위 방향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광고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고 영역의 상단부터 스크롤 소멸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페이지 표시 방법.
  6. 컴퓨터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016348A 2020-02-11 2020-02-11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KR10228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48A KR102281778B1 (ko) 2020-02-11 2020-02-11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48A KR102281778B1 (ko) 2020-02-11 2020-02-11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778B1 true KR102281778B1 (ko) 2021-07-23

Family

ID=7715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48A KR102281778B1 (ko) 2020-02-11 2020-02-11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7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200A (ko) 2012-03-17 2013-09-25 소을덕 광고사용자 제공정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150035100A (ko) * 2013-09-27 2015-04-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05192A (ko) * 2014-07-03 2016-01-14 이승학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광고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106787A (ko) * 2016-03-14 2017-09-22 쿠팡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19026A (ko) * 2018-02-07 2018-02-22 주식회사 카카오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200A (ko) 2012-03-17 2013-09-25 소을덕 광고사용자 제공정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150035100A (ko) * 2013-09-27 2015-04-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05192A (ko) * 2014-07-03 2016-01-14 이승학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광고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106787A (ko) * 2016-03-14 2017-09-22 쿠팡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19026A (ko) * 2018-02-07 2018-02-22 주식회사 카카오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544B1 (en) HTML pop-up control
US9417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1668398B1 (ko)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입력 커맨드로 번역
US20050114791A1 (en) Cueing mechanism that indicates a display is able to be scrolled
EP2282259B1 (en) User interface method used in web browsing,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090158221A1 (en) Device feature manipulation based on presented content
US20150268838A1 (en) Methods, systems, electronic device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media for behavior based user interface layout display (build)
US201402790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mobile advertising content
US20090003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rowser by using image
US10878175B2 (en) Portlet display on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150089443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 window
TW201606631A (zh) 利用關聯指示器及浮動選單列的關聯選單
US9154578B2 (en) Display device with scaling of selected object images
KR20030097820A (ko)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한 장치들 상에디스플레이된 조화 이미지들
JP2013543201A (ja) 画面外の目に見えるオブジェクトの表面化
EP2455873A2 (en)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in a portable terminal
US20180143842A1 (en) Dynamic relocation of graphical digital content
EP244224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29432B2 (en) Progressive page transition feature for rendering e-books on computing devices
US8443299B1 (en) Rendering text in a brew device
KR102087896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391456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Web-Browser
KR102281778B1 (ko) 스크롤 배너의 웹 페이지 표시 방법
US202300638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me-dependent hyperlink presentation
US200300904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