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735B1 -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735B1
KR102281735B1 KR1020200176582A KR20200176582A KR102281735B1 KR 102281735 B1 KR102281735 B1 KR 102281735B1 KR 1020200176582 A KR1020200176582 A KR 1020200176582A KR 20200176582 A KR20200176582 A KR 20200176582A KR 102281735 B1 KR102281735 B1 KR 10228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rbine
rotating body
moving
turbin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준
최승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01D25/162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는, 터빈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터닝기구; 상기 회전체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터빈의 고정체와 접촉함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이동량과 접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APPARATUS MEASURING INTERNAL CLEARANCE OF TURBINE}
본 발명은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 케이싱이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체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함으로써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 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빈(turbine)은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회전 기관으로, 터빈은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turbine casing) 및 회전체인 터빈 로터(turbine rotor)를 포함한다. 터빈 로터는 터빈 샤프트(turbine shaft) 및 터빈 샤프트에 결합된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한다.
터빈의 에너지 손실 및 기계적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간극 조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예에 따르면,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간극은 필러 게이지(Feeler gauge), 두께 게이지(thickness gauge), 테이퍼 게이지(Taper gauge) 등과 같은 측정 게이지를 통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측정 게이지가 터빈의 Tops Off상태에서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의 좌우측 간극(즉, 빈 공간)에 끼워져 그 간극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측정 게이지를 이용하기 어려운 하부 간극의 경에는 연납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고정체인 Labyrinth packing 위에 적당한 두께의 납선을 깔아놓고 그 위에 터빈 로터를 한번 안착한 후에 분리함으로써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의 간극만큼 연납이 찍히고 남아 있는 부분을 측정하는 비교 측정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터빈의 Tops Off 상태에서만 측정이 가능하고 Tops On 상태에서는 그 측정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Tops-off 상태는 터빈 케이싱의 상부케이싱 또는 상부케이싱과 관련된 부품들을 제거한 상태를 지칭하고, Tops-on 상태는 터빈 케이싱의 상부케이싱 또는 상부 케이싱과 관련된 부품들을 장착한 상태를 지칭한다. 또한 연납을 이용한 측정방법의 경우 측정의 정밀도가 매우 낮으며 두께게이지 및 테이퍼 게이지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측정값의 차이가 심한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예에 따르면,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간극은 ERAG(Electronic Radial Alignment Gauge) 등과 같은 반경측정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지만, ERAG 등에 의한 측정방식은 필러게이지 등과 동일하게 Tops-Off 상태에서만 측정 가능하며, Tops-On 상태에서는 측정이 어렵다. 또한, Labyrinth Packing이 제거된 Packing Hook 부위를 측정하므로 Packing과 관련한 Tooth의 높이, 형상 변형, 마모 등의 요소가 반영되지 않아 최종 운전상태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한다. 그리고, 360° 전체 원주방향에 대한 간격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며 ERAG 장비에 줄자를 연결하여 줄자의 눈금을 확인하면서 좌·우·하, 3점(Point, 하부 180°영역)에 대한 간격을 측정하므로 측정지점의 마모·손상·변형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외에, 가상의 터빈 로터를 이용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간극을 측정방식이 있으며, 가상의 터빈 로터를 이용한 간극 측정방식은, Piano Wire를 이용한 측정방식, Laser를 이용한 측정방식, Dummy shaft를 이용한 측정방식 등이 있다.
가상의 터빈 로터를 이용한 측정방식은 Tops-On/Off의 상태 변화에 따른 고정체의 중심 변화량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가 아닌 가상의 매개물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Sag 등 실제 터빈 로터와의 차이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터빈 로터를 사용함에 따라 실제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그리고, 측정부위가 Packing 등과 같은 밀봉 부품의 첨단부분이 아닌 Packing Hook 부분을 측정하므로 Packing 및 Spill Strip등에서 발생하는 실제 간극은 확인이 어렵다. 그러므로 가상의 터빈 로터를 활용한 정렬기법은 Tops-on/off 변화량을 산출하거나 부품의 교체등 위치변화가 큰 경우에 초벌 정렬용으로 사용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터빈 케이싱이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체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접촉을 검출함으로써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 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는, 터빈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터닝기구; 상기 회전체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터빈의 고정체와 접촉함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이동량과 접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터빈 케이싱이고, 상기 회전체는 터빈 샤프트 및 상기 터빈 샤프트에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이며, 2개의 저널부가 상기 터빈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터빈 샤프트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페데스탈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아래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사이에 배치된 제1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 및 상기 제2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어링 페데스탈의 내주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제2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와 회전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제1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는 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2서포트를 관통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제2서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위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된 제2서포트; 상기 제2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서포트 및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제3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 및 상기 제2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 및 상기 제3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트는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를 가지고, 각 레그는 상기 베이스, 상기 제3서포트, 및 상기 제2서포트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각 레그의 상단이 상기 제2서포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제1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와 회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유닛은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한 중공형 플런저를 가진 중공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바디는 상기 제3서포트에 수용되고, 상기 중공형 플런저는 상기 레그가 관통하는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는 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3서포트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3서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닝기구는 회전체에 장착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검출부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의 제1전극 및 상기 고정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전기와이어와, 상기 전류센서의 제2전극 및 상기 회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기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검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의 접촉을 알려주도록 구성된 접촉 알림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체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닝기구에 의해 상기 터빈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터빈 샤프트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이 회전체인 블레이드 및 터빈 샤프트에 대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터빈의 내부 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빈의 내부간극을 설계값에 대응하도록 적절히 교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체의 위치를 상하/좌우 4 방향으로 조정하고, 회전체가 고정체와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를 개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회전체와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이 정밀하게 측정됨으로써 고정체에 대한 회전체의 상대적인 최적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 및 블레이드의 위치를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 내에서 최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내부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의 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의 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터빈 케이싱의 일측이 수직 키부재에 의해 일측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터빈 케이싱의 타측이 수평 키부재에 의해 타측 지지부에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빈(1)은 터빈 케이싱(2)과, 터빈 케이싱(2) 내에 위치한 블레이드(3, 4)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케이싱(2)은 상부 케이싱(2a) 및 하부 케이싱(2b)으로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케이싱(2)은 다양한 지지구조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고정체일 수 있다.
터빈 샤프트(5)가 터빈 케이싱(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터빈 샤프트(5)의 양단부는 터빈 케이싱(2)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저널부(6, 7)가 터빈 케이싱(2)으로부터 돌출한 터빈 샤프트(5)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저널부(6, 7)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2개의 베어링 페데스탈(8a, 8b; bearing pedestal)이 터빈 샤프트(5)의 양단부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저널부(6, 7)는 베어링 페데스탈(8a, 8b)에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미도시)이 각 베어링 페데스탈(8a, 8b)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각 저널부(6, 7)는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베어링 페데스탈(8a, 8b, bearing pedestal)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3, 4)는 터빈 샤프트(5)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블레이드(3, 4)는 터빈 케이싱(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블레이드(3)가 터빈 샤프트(5)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블레이드(4)가 터빈 샤프트(5)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블레이드(3) 및 복수의 제2블레이드(4)는 터빈 샤프트(5)를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블레이드(3)는 고압 터빈블레이드(high pressure turbine blade)일 수 있고, 제2블레이드(4)는 중압 터빈블레이드(intermediate pressure turbine blade)일 수 있으며, 도 1은 고압 터빈블레이드 및 중압 터빈블레이드가 터빈 샤프트(5)를 통해 연결된 HIP 터빈(High-intermediate turbine)을 예시한다. 터빈 샤프트(5)의 제1저널부(6)는 제1블레이드(3)에 인접할 수 있고, 터빈 샤프트(5)의 제2저널부(7)는 제2블레이드(4)에 인접할 수 있다. 커플링(9)이 제2저널부(7)에 제공될 수 있고, 커플링(9)을 통해 다른 터빈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내부간극'은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 및 각 블레이드(3, 4)와,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 사이의 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은 수직방향을 따라 한정된 제1내부간극(t1) 및 제2내부간극(t2), 수평방향을 따라 한정된 제3내부간극(t3) 및 제4내부간극(t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제1내부간극(t1)은 각 블레이드(3, 4)의 외주면 상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상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고, 제2내부간극(t2)은 각 블레이드(3, 4)의 외주면 하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하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고, 제3내부간극(t3)은 각 블레이드(3, 4)의 외주면 좌측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좌측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고, 제4내부간극(t4)은 각 블레이드(3, 4)의 외주면 우측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우측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내부간극(t1)은 터빈 샤프트(5)의 외주면 상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상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고, 제2내부간극(t2)은 터빈 샤프트(5)의 외주면 하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하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으며, 제3내부간극(t3)은 터빈 샤프트(5)의 외주면 좌측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좌측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고, 제4내부간극(t4)은 터빈 샤프트(5)의 외주면 우측단과 터빈 케이싱(2)의 내주면 우측단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10)는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이 회전체인 블레이드(3, 4) 및 터빈 샤프트(5)에 대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터빈의 내부간극을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빈의 내부 간극을 설계값에 대응하도록 적절히 교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10)는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터닝기구(11, turning device)와, 회전체인 블레이드(3, 4) 및 터빈 샤프트(5)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2)와, 회전체가 이동기구(12)에 의해 이동할 때 회전체가 고정체와 접촉함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13)와, 이동기구(12)에 의한 회전체의 이동량과 접촉 검출부(13)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하는 제어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닝기구(11)는 회전체의 일부인 터빈 샤프트(5)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기어(21)와, 회전기어(21)에 치합된 구동기어(22)와, 구동기어(2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어(21)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널부(7)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기어(21)는 커플링(9)에 인접할 수 있다. 구동기어(22)는 회전기어(2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회전기어(21)는 5RPM 이하의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23)의 작동은 제어기(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2개의 이동기구(12)가 2개의 베어링 페데스탈(8a, 8b)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베어링 페데스탈(8a, 8b)에 장착된 베어링을 분리한 후에, 각 이동기구(12)가 그에 대응한 베어링 페데스탈(8a, 8b)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1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12)는 베어링이 분리된 베어링 페데스탈(8a, 8b)의 내주면과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동기구(12)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기구(12)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의 아래에 배치된 베이스(31)와, 베이스(31) 및 터빈 샤프트(5)의 각 저널부(6, 7) 사이에 배치된 제1서포트(32)와, 제1서포트(32) 위에 위치한 제2서포트(33)와, 제1서포트(3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34)과, 제2서포트(3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3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베어링 페데스탈(8a, 8b)의 내주면에 부합하도록 곡률진 저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베이스(31)는 베어링 페데스탈(8a, 8b)의 내주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서포트(32)는 각 저널부(6, 7)의 저면 및 베이스(3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제1서포트(32)는 각 저널부(6, 7)의 아래에 위치함과 더불어 베이스(31)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서포트(32)는 수직이동유닛(34)에 의해 수직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제1서포트(32)의 이동은 베이스(3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가이드부(31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서포트(32)는 수직으로 돌출한 2개의 돌출부(32a)를 가질 수 있고, 2개의 돌출부(32a)는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제2서포트(33)는 제1서포트(32) 및 각 저널부(6, 7) 사이에 배치될 수 잇고, 이에 제2서포트(33)는 각 저널부(6, 7)의 아래에 위치함과 더불어 제1서포트(32)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서포트(33)는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러그(33a)를 가질 수 있다. 제2서포트(33)는 수평이동유닛(35)에 의해 수평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36)가 제2서포트(33)의 러그(33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각 롤러(36)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와 회전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2서포트(33)는 롤러(36)들을 통해 저널부(6, 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직이동유닛(34)은 제1서포트(32)를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수직이동유닛(34)은 제1서포트(32)를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일 수 있고, 수직이동유닛(34)은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이동유닛(35)은 제2서포트(33)를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수평이동유닛(35)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35a)와, 리드스크류(35a)에 치합되는 너트(35b)와, 리드스크류(35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트(32)의 돌출부(32a)들은 리드스크류(35a)의 양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35a)의 양단이 제1서포트(32)의 돌출부(32a)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서포트(33)는 리드스크류(35a)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너트(35b)가 제2서포트(33)의 관통홀에 고정됨으로써 너트(35b)는 제2서포트(3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35c)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이에 리드스크류(35a)가 구동모터(35c)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너트(35b) 및 제2서포트(33)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촉 검출부(13)는 이동기구(12)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 및/또는 블레이드(3, 4)가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과 접촉함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검출부(13)는 전류센서(13a)와,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을 전류센서(13a)의 제1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전기와이어(13b)와,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 및/또는 블레이드(3, 4)를 전류센서(13a)의 제2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기와이어(13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 및/또는 블레이드(3, 4)가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과 접촉할 때, 전류센서(13a)가 전류의 흐름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체 및 고정체의 접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10)는 접촉 검출부(13)에 접속된 접촉 알림기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알림기구(14)는 접촉 검출부(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촉 검출부(13)에 의해 회전체 및 고정체의 접촉이 검출될 때 이를 음향 또는 빛 등과 같은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로 외부에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검출부(13)는 전류센서를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접촉 검출부(13)는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을 접촉 알림기구(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전기와이어(13b)와,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 및/또는 블레이드(3, 4)를 접촉 알림기구(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기와이어(1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센서가 생략되더라도, 회전체가 고정체와 접촉할 경우, 전류가 제1전기와이어(13b) 및 제2전기와이어(13c)를 통해 접촉 알림기구(14)로 흘러갈 수 있고, 접촉 알림기구(14)는 회전체 및 고정체의 접촉신호를 제어기(15)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10)는 이동기구(12)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체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센서(16a, 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6a, 16b)가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센서(16a, 16b)는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블루투스 타입의 다이얼 게이지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6a, 16b)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의 위에 위치한 제1센서(16a) 및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의 측면에 위치한 제2센서(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6a)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즉, 터빈 샤프트(5)의 수직 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센서(16b)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즉, 터빈 샤프트(5)의 수평 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체가 이동기구(12)에 의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접촉 검출부(13)에 의해 회전체가 고정체와 접촉함이 검출될 때, 복수의 센서(16a, 16b)는 회전체의 이동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10)는 터닝기구(11)에 의해 터빈 샤프트(5)가 회전할 때, 터빈 샤프트(5)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스토퍼(16, 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이 축선방향 스토퍼(16, 17)가 터빈 샤프트(5)의 양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축선방향 스토퍼(16)가 터빈 샤프트(5)의 제1저널부(6)와 인접한 일단을 터빈 샤프트(5)의 축선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축선방향 스토퍼(17)가 터빈 샤프트(5)의 제2저널부(7)와 인접한 타단을 터빈 샤프트(5)의 축선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축선방향 스토퍼(17)는 커플링(9)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11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112)는 회전체인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기구(112)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위에 배치된 베이스(131)와,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서포트(132)와, 제1서포트(132)에 연결되고 베이스(131) 및 저널부(6, 7)의 위에 배치된 제2서포트(133)와, 제2서포트(133) 및 베이스(131) 사이에 배치된 제3서포트(134)와, 제1서포트(132) 및 제2서포트(133)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135)과, 제3서포트(1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13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 위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부재(131c)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지지될수 있다. 베이스(131)는 수직 상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131a)를 가질 수 있고, 한 쌍의 돌출부(131a)는 이격될 수 있다.
제1서포트(132)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1서포트(132)는 저널부(6, 7)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V"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서포트(132)는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132a)를 가질 수 있고, 각 레그(132a)는 베이스(131), 제3서포트(134), 및 제2서포트(133)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레그(132a)의 상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각 레그(132a)의 수나사부는 너트(133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각 레그(132a)의 상단은 제2서포트(13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서포트(132)는 한 쌍의 레그(132a)를 통해 베이스(131), 제3서포트(134), 및 제2서포트(133)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37)가 제1서포트(1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각 롤러(137)는 터빈 샤프트(5)의 저널부(6, 7)와 회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서포트(132)는 롤러(137)들을 통해 저널부(6, 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서포트(133)는 베이스(131)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제2서포트(133)는 저널부(6, 7)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2서포트(133)는 너트(133a) 및 레그(132a)들을 제1서포트(1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서포트(132) 및 제2서포트(133)는 수직이동유닛(135)에 의해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서포트(134)는 제2서포트(133)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3서포트(134)는 제1서포트(132)의 레그(132a)들을 통해 제2서포트(13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서포트(134)는 베이스(131)의 상면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3서포트(134)는 수평이동유닛(136)에 의해 베이스(131)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이동유닛(135)은 제2서포트(133)를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수직이동유닛(135)은 실린더 바디(135a)와, 실린더 바디(135a)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한 중공형 플런저(135b)를 가진 중공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형 플런저(135b)는 레그(132a)가 관통하는 중공부를 가질 수 있고, 실린더 바디(135a)는 제3서포트(134) 내에 수용 내지 매립될 수 있다. 제2서포트(133)가 수직이동유닛(135)에 의해 수직방향(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서포트(132)는 제2서포트(133)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널부(6, 7)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이동유닛(136)은 제3서포트(134)를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수평이동유닛(136)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136a)와, 리드스크류(136a)에 치합되는 너트(136b)와, 리드스크류(136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6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의 돌출부(131a)들은 리드스크류(136a)의 양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36a)의 양단이 베이스(131)의 돌출부(131a)에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3서포트(134)는 리드스크류(136a)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리드스크류(136a)는 제3서포트(134)를 관통할 수 있다. 너트(136b)가 제3서포트(134) 내에 고정되고, 너트(136b)의 나사홀이 제3서포트(134)의 관통홀에 정렬됨으로써 너트(136b)는 제3서포트(134)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136c)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이에 리드스크류(1356)가 구동모터(136c)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너트(136b) 및 제3서포트(134)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3서포트(13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서포트(133) 및 제1서포트(132), 및 저널부(6, 7)는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61, 162)가 제2서포트(133)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센서(161, 162)는 LVDT, 블루투스 타입의 다이얼 게이지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61, 162)는 제2서포트(133)의 위에 위치한 제1센서(161) 및 제2서포트(133)의 측면에 위치한 제2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61)는 제2서포트(133)의 수직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2서포트(133)가 제1서포트(1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서포트(132)의 수직 이동량 및 저널부(6, 7)의 수직 이동량(즉, 터빈 샤프트(5)의 수직 이동량)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제2센서(162)는 제2서포트(133)의 수평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2서포트(133)가 제1서포트(1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서포트(132)의 수평이동량 및 저널부(6, 7)의 수평 이동량(즉, 터빈 샤프트(5)의 수평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빈 케이싱(2)의 일측은 일측 지지부(41)에 지지될 수 있고, 수직 키부재(51)가 터빈 케이싱(2)의 상부 케이싱(2a) 및 일측 지지부(41)의 상면에 개재됨으로써 터빈 케이싱(2)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키부재(51)의 갯수를 조절하거나 수직 키부재(51)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터빈 케이싱(2)의 수직위치는 일측 지지부(41)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터빈 케이싱(2)의 타측은 타측 지지부(42)에 지지될 수 있고, 타측 지지부(42)는 터빈 케이싱(2)을 향해 돌출한 결합부(43)를 가질 수 있으며, 터빈 케이싱(2)의 하부 케이싱(2b)은 결합부(43)가 결합되는 결합홈(2c)을 가질 수 있다. 타측 지지부(42)의 결합부(43)는 체결구를 통해 하부 케이싱(2b)의 결합홈(2c)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수평 키부재(52, 53)가 결합부(43)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결합부(43)의 양측은 결합홈(2c)에 대해 일정 간극(s1, s2)으로 개별적으로 이격될 수 있가. 2개의 수평 키부재(52, 53)가 결합부(43) 및 결합홈(2c) 사이의 간극(s1, s2)에 개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각 수평 키부재(52, 53)가 그에 대응하는 간극(s1, s2) 내에서 위치조절됨으로써 터빈 케이싱(2)의 수평위치는 타측 지지부(42)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빈 케이싱(2)의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는 수직 키부재(51) 및 수평 키부재(52, 53)를 통해 지지부(41, 42)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터빈 케이싱(2)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체가 이동기구(12, 112)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회전체 및 고정체의 접촉여부가 접촉 검출부(13)에 의해 검출될 때, 제어기(15)는 센서(16a, 16b, 161, 162)에 의해 측정된 회전체의 이동량 및 접촉 검출부(13)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함으로써 터빈(1)의 내부간극이 측정될 수 있다.
제어기(15)에 의해 측정된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이 설계된 내부간극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고정체인 터빈 케이싱(2)의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를 수직 키부재(51) 및 수평 키부재(52, 53)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고정체의 위치가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은 설계된 내부간극과 동일해지도록 교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내부간극(t1) 및 제2내부간극(t2)이 각각 5mm로 설계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기(15)에 의해 제1내부간극(t1)이 3mm이고, 제2내부간극(t2)이 7mm인 것으로 측정될 경우,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수직방향 내부간극은 수직 상향으로 대략 2mm정도의 편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수직 키부재(51)의 갯수 또는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터빈 케이싱(2)의 수직 위치를 수직 하향으로 2mm정도 낮춤으로써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수직방향 내부간극을 설계치에 맞출 수 있다.
예컨대, 제3내부간극(t3) 및 제4내부간극(t4)이 각각 5mm로 설계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기(15)에 의해 제3내부간극(t3)이 3mm이고, 제3내부간극(t3)이 7mm인 것으로 측정될 경우,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수평방향 내부간극은 수평 좌측으로 대략 2mm정도의 편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수평 키부재(52, 5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터빈 케이싱(2)의 수평 위치를 수직 우측으로 2mm정도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수평방향 내부간극을 설계치에 맞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터빈 2: 터빈 케이싱
3, 4: 블레이드 5: 터빈 샤프트
6, 7: 저널부 8a, 8b: 베어링 페데스탈
11: 터닝기구 12: 이동기구
13: 접촉 검출부 14: 접촉 알림기구
15: 제어기 16, 17: 축선방향 스토퍼
21: 회전기어 22: 구동기어
23: 구동모터 31: 베이스
32: 제1서포트 33: 제2서포트
34: 수직이동유닛 35: 수평이동유닛
36: 롤러 112: 이동기구
131: 베이스 132: 제1서포트
133: 제2서포트 134: 제3서포트
135: 수직이동유닛 136: 수평이동유닛
137: 롤러

Claims (18)

  1. 터빈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터닝기구;
    상기 회전체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터빈의 고정체와 접촉함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이동량과 접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페데스탈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기구는,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아래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사이에 배치된 제1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 및
    상기 제2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터빈 케이싱이고, 상기 회전체는 터빈 샤프트 및 상기 터빈 샤프트에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이며,
    2개의 저널부가 상기 터빈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터빈 샤프트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페데스탈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제2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와 회전접촉하도록 구성된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유닛은 상기 제1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인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는 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2서포트를 관통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제2서포트에 결합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9. 터빈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터닝기구;
    상기 회전체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
    상기 회전체가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터빈의 고정체와 접촉함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이동량과 접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회전체 및 고정체 사이의 내부간극을 연산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위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된 제2서포트;
    상기 제2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서포트 및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제3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 및 상기 제2서포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유닛; 및
    상기 제3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는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를 가지고, 각 레그는 상기 베이스, 상기 제3서포트, 상기 제2서포트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각 레그의 상단이 상기 제2서포트에 고정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제1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터빈 샤프트의 저널부와 회전 접촉하도록 구성된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유닛은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한 중공형 플런저를 가진 중공형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는 상기 제3서포트에 수용되고, 상기 중공형 플런저는 상기 레그가 관통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는 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3서포트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3서포트에 결합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4.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터닝기구는 회전체에 장착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5.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부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의 제1전극 및 상기 고정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전기와이어와, 상기 전류센서의 제2전극 및 상기 회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기와이어를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6.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의 접촉을 알려주도록 구성된 접촉 알림기구를 더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7.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체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18.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터닝기구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체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KR1020200176582A 2020-12-16 2020-12-16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KR10228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82A KR102281735B1 (ko) 2020-12-16 2020-12-16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82A KR102281735B1 (ko) 2020-12-16 2020-12-16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735B1 true KR102281735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82A KR102281735B1 (ko) 2020-12-16 2020-12-16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7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903A (ja) * 1994-11-30 1996-06-11 Hitachi Ltd ロータ回転受台装置
KR101371259B1 (ko) * 2012-11-13 2014-03-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보일러 주 급수펌프의 인너 배럴 간극 점검 및 조정 장치
JP2018036093A (ja) * 2016-08-30 2018-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リアランス計測装置およびクリアランス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903A (ja) * 1994-11-30 1996-06-11 Hitachi Ltd ロータ回転受台装置
KR101371259B1 (ko) * 2012-11-13 2014-03-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보일러 주 급수펌프의 인너 배럴 간극 점검 및 조정 장치
JP2018036093A (ja) * 2016-08-30 2018-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リアランス計測装置およびクリアランス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04911A1 (zh) 一种调心滚动轴承性能试验装置及刚度测试方法
JP4878175B2 (ja) バランス検査装置
CN211178310U (zh) 一种发动机转子综合测量平台
US20100171269A1 (en) Monitoring of a Sealing Arrangement, Particularly of a Gas Compressor or Gas Expander
WO2002077475A1 (en) Gauge and process for adjusting bearings
CN104596402A (zh) 电机定子端盖止口与定子铁芯同轴度检测装置
US9109872B2 (en) Calibration device for measurement gauges of the diameter and other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cylinders
KR102281735B1 (ko) 터빈의 내부간극 측정장치
US88199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ylinders
US5099585A (en) In-process machine gage
KR20140034078A (ko) 터보머신으로부터 내부 케이싱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가이드
KR100723757B1 (ko) 진원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433854B1 (ko) 연주기 세그먼트 롤 베어링 틈새 검사장치
KR101371259B1 (ko) 보일러 주 급수펌프의 인너 배럴 간극 점검 및 조정 장치
JP2019020359A (ja) 検知機構
KR101855044B1 (ko) 베어링 예압 조절장치
CN113820469B (zh) 一种球管相贯焊缝检测设备
JP5332941B2 (ja) 内周面検査装置の測定ヘッド
CN104655077A (zh) 带左、右限位器的电力行业汽轮机主轴轴承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2523900B (zh) 一种测量涡轮泵轴向力的装置
CN109443160B (zh) 机匣内环形槽的外直径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11651534U (zh) 一种蜂窝密封结构快速测量装置
CN114674200B (zh) 一种测量花键偏斜角的结构及测量方法
CN104613910B (zh) 带照明灯的电力行业汽轮机主轴轴承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6346391B (zh) 一种列车轮对轴向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