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94B1 -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 Google Patents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94B1
KR102281394B1 KR1020190059181A KR20190059181A KR102281394B1 KR 102281394 B1 KR102281394 B1 KR 102281394B1 KR 1020190059181 A KR1020190059181 A KR 1020190059181A KR 20190059181 A KR20190059181 A KR 20190059181A KR 102281394 B1 KR102281394 B1 KR 10228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leg
legs
top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909A (ko
Inventor
전치홍
Original Assignee
전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치홍 filed Critical 전치홍
Priority to KR102019005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 사각 또는 원형의 판상의 가구 상판(10)과, 상기 가구 상판(10) 하부면에 볼트결합되고, 가구 상판(10) 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공(24)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합부(2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4)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30)가 상단에 매설된 다수의 가구 다리(100)에 있어서, 상기 가구 다리(100)의 상단에 매설된 체결나사(30) 직하 외주연에 조임공(1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조임공(120) 내경은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가구용 다리를 회전시켜 가구다리가 가구상판에 조립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가구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견고하며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가구 상판을 튼튼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구 다리의 나사 풀림이 방지되고, 재조립의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별한 공구 내지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부속품 없이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구 다리를 가구 상판에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가구 상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Furniture legs with fastening holes}
본 발명은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방식의 가구용 다리에 조임공을 형성하여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별도의 도구를 조임공에 끼움결합하여 가구용 다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가구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견고하며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가구 상판을 튼튼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테이블, 소파, 의자 및 책상 등의 가구에는 이들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다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다리가 구비된 가구는 다리의 고정력이나 바닥의 수평도에 따라 본체의 지탱에 따른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른 가구의 일예로서 테이블을 살펴보면 사각 또는 원형 등으로 구성된 테이블의 상판이 구성되고, 상판 하부에 통상 4개의 다리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블용 다리의 결합구조는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다리가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사용이 편리한 상판의 높이를 가지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 또는 원통형의 기둥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면상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다리가 맞대져 고정되는 다리고정부와 테이블 상판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판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브라켓의 다리고정부와 상판고정부에는 각각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다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리의 상부면에 고정브라켓의 다리고정부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다리고정부에 형성된 고정공과 다리의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여줌으로써 상호 고정시켜 준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판고정부를 테이블의 상판 하부 모서리부에 맞댄 상태에서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해줌으로써 최종적으로 다리가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다리에 고정브라켓을 미리 고정시킨 뒤 다시 고정브라켓을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테이블로부터 다리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브라켓도 테이블의 상판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다리의 교환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을 이용한 다리의 결합방법은 많은 부품수와 함께 조립의 어려움이 따르고, 전문기술이 없으면 사실상 다리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소비자가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 과거에는 접착식으로 가구 상판과 결합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로 제품을 출시하거나 일체로 구성하여 출시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다리가 일체로 구성된 가구는 부피가 커 유통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어 최근에는 다소 전문인력이 필요하더라도 가구상판과 다리를 분리하여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소비자가 조립이 보다 용이하도록 브라켓으로 결합하는 다리의 형태보다 다리 상부에 나사를 매설한 후 회전하여 가구 본체(T)에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나사가 매설된 다리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임의 한계가 있어 다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고자 하여도 마땅히 공구로 조임을 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단순히 소비자의 힘에 의해 나사를 조임하여 가구상판과 다리를 조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단순히 자신의 힘으로 다리 상부에 매립된 나사를 가구 상판에 결합하여 회전하여 조임하여 구성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가구 다리의 조임이 4개가 일률적으로 조여지지 않아 사용과정에서 나사풀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로는 나사풀림으로 인한 재조립의 문제가 있고, 셋째로는 가구 상판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넷째로는 공구를 사용할 수 없어 가구 다리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19398호, 등록일자 2003년 06월 28일.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102호, 공개일자 2017년01월09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나사가 다리 상단에 매립되어 가구 상판에 회전하여 결합하는 가구 다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가구 다리의 나사 풀림이 방지되며, 재조립의 수고를 할 필요가 없고, 공구 없이도 길이가 긴 막대만으로도 가구 다리의 조임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가구 다리의 풀림으로 인한 가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샤프트가 형성된 드라이버나 주변의 길이가 긴 막대 또는 젓가락과 같은 공구가 아닌 소품으로 가구 다리를 가구 상판에 조임이 가능하여 특별한 공구 내지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부속품 없이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구 다리를 가구 상판에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가구 상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데 용이한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는 사각 또는 원형의 판상의 가구 상판(10)과, 상기 가구 상판(10) 하부면에 볼트결합되고, 가구 상판(10) 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공(24)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합부(2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4)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30)가 상단에 매설된 다수의 가구 다리(100)에 있어서, 상기 가구 다리(100)의 상단에 매설된 체결나사(30) 직하 외주연에 조임공(1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조임공(120) 내경은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공(120)은 "-" 또는 "+" 형으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임공(120) 내경에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되어 가구 다리(100)를 가구 상판(10) 하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의 나사공(24)에 나사결합하여 조임시, 상기 가구 다리(100)의 조임공(120) 내주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부싱(20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싱(200)은 상기 조임공(120)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요철(21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공(120)에 억지끼움결합되면서 다수의 요철(210)에 의해 조임공(120) 내주연에 침투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리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방식의 가구용 다리에 조임공을 형성하여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별도의 도구 내지는 소품을 활용하여 조임공에 끼움결합하고, 이를 통해 가구용 다리를 회전시켜 가구다리가 가구상판에 조립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가구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견고하며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가구 상판을 튼튼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구 다리의 나사 풀림이 방지되고, 재조립의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별한 공구 내지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부속품 없이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구 다리를 가구 상판에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가구 상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저면전체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부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전체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저면전체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부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전체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는 사각 또는 원형의 판상의 가구 상판(10)과, 상기 가구 상판(10) 하부면에 볼트결합되고, 가구 상판(10) 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공(24)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합부(2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4)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30)가 상단에 매설된 다수의 가구 다리(100)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공(120)이 관통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공(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 다리(100)의 상단에 매설된 체결나사(30) 직하 외주연에 관통형성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공(120) 내경은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 내지는 작업자가 가구 상판과 가구 다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최초 가구 상판(10) 하부에 결합된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4)에 가구 다리(100)의 상단에 매립형성된 체결나사(30)를 대응한다.
이후, 체결나사(30)를 나사공(24)에 나사결합한 후, 가구 다리(100)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나사공(24)에 체결나사(30)가 나사선을 따라 나사결합하여 가구다리(100)가 가구상판(10)과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 가구다리(100)를 파지하여 회전하면서 나사공(24)에 체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사용과정에서 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가구 다리 외주연에 관통형성된 조임공(120)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 형태의 소품을 끼움결합하고, 이후,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조임공(120) 외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 형태의 소품의 외연을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구 다리(100) 전체가 회전하도록 하여 더 조임한다. 따라서, 가구 다리(100)가 다리결합부(22)에 불량체결이나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손에 의한 체결한계로 인한 유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히 나사의 풀림없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조임공(120)은 가구 다리(100)의 체결나사가 형성된 상단 아래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구 다리(100)의 하단측에 가깝게 형성되면 가구 다리(100)의 체결나사(30)의 중심축선과 이격되어 나사체결의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가급적 조임공(120)은 체결나사(30)의 바로 아래측의 외주연측에 형성하여 체결나사(30)의 중심축선의 변동이 심하지 않은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조임공(120)의 형태는 가구다리 외주연 일측에서 수평하게 관통형성되는 "-" 형상 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관통되는 부분이 서로 직교되게 관통되도록 "+"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 형상은 막대형상의 도구가 끼움되어 "-" 형상의 조임공(120) 좌우로 양단이 돌출되도록 하고,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좌우로 돌출된 막대형상의 도구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나사(30)의 중심축선에서 편심되어 회전하지 않고 중심축선상에서 회전하여 체결이 견고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 형태는 4방향에서 막대형상의 도구를 끼움결합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체결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임공(120) 내경에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되어 가구 다리(100)를 가구 상판(10) 하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의 나사공(24)에 나사결합하여 조임시, 목재의 특성상 금속재의 드라이버가 끼움되어 회전시킬 때 조임공(120) 내주연을 파손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가구 다리(100)의 조임공(120) 내주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금속재의 부싱(200)이 도 2 내지 도 4와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싱(200)은 금속재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연성의 플라스틱제로 형성하여 가구 다리의 파손방지와 함께 도구의 손상도 방지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싱(20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공(120)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요철(21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공(120)에 억지끼움결합되면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요철(210)에 의해 조임공(120) 내주연에 침투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통상 금속재의 경우 목재와의 이질감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많고, 금속재의 경우 마찰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요철을 형성하여 조임공(120) 내주연에 억지끼움결합되면서 요철이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부싱이 조임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막대형상의 도구를 끼움결합하여 회전시, 외력 발생으로 인하여 조임공(120) 내주연의 목재재질과 부싱의 금속재 재질간의 이격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요철(210)을 통해 가구다리의 조임공(120)에 부싱(200)이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부싱(200)을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할 수도 있는 데. 이 때는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의 탄성력이 있어 목재재질의 조임공(120)과 부싱(200) 간의 이격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부싱의 외주연에 요철이 없어도 억지 끼움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의 경우 계속적인 외력 발생으로 인한 피로도가 증가하여 파손될 수 있는 문제와 변형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고무의 재질선정은 가구 다리의 분해조립의 빈도에 따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야외활동이나 캠핑 등과 같이 이동이 잦아 가구다리를 분해조립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가구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선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고, 가정이나 식당에서 한 번 위치선정이 되면 계속해서 사용되는 가구의 경우에는 금속재 부싱으로 선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 다리는 도 2 및 도 4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프레임(20)이 결합된 가구 상판(10)을 선반이나 바닥에 놓는다. 이 때, 하부프레임(20)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고,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체결나사(30)가 상단에 매립형성된 가구 다리(100)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체결나사(30) 일단이 다리결합부(22)의 나사공(24)에 대응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가구 다리(100)를 손으로 잡아 회전하면서 나사체결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다리를 다리결합부(22)의 나사공(24)에 체결나사(30)를 통해 가구 다리(100)를 1차 결합한 후, 가구 다리(100)에 의해 가구상판(10)을 지탱하도록 견고히 고정하도록 길이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형태의 도구를 가구 다리(100) 외주연에 관통형성된 조임공(120)에 끼움결합한다. 여기서, 부싱(200)이 조임공(12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싱(200)의 중심공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형태의 도구를 끼움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임공(120)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긴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형태의 도구 양단이 가구 다리(100) 외주연 외측으로 돌출되면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양손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구다리가 회전하면서 체결나사(30)가 나사공(24)에 나사체결되면서 더욱 견고히 고정결합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양손 또는 한 손으로 드라이버 또는 막대형태의 도구를 회전하여도 조임공(120)의 좌우측에 드라이버 또는 막대형태의 도구가 대칭되게 접하여 외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체결나사(30)의 중심축선에서 편심되지 않고 회전하게 된다. 즉, 드라이버 또는 막대형태의 도구를 조임공(120)에 관통하여 양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지 않고, 어느 한 측만 끼움되게 하여 회전하면 가구 다리에 전달되는 외력이 어느 한 측으로만 치우치기 때문에 편심되어 회전하게 되어 체결나사(30)가 나사공(24)에 체결시 중심축선이 벗어난 상태로 체결되어 체결나사(30)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등의 체결불량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가구 다리의 체결이 견고히 이루어지지 않아 가구 상판의 유동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다리가 결합된 가구상판을 원상태로 뒤집어 가구다리가 지면에 닿으면 이후 드라이버 또는 긴 막대형태의 도구를 조임공(120)에 끼움결합하여 지면과 수평을 조정할 수 있어 가구 설치도 보다 빠르게 설치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은 누구나 손쉽게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때문에 별도의 숙련된 기술없이도 보다 빠르고, 견고하게 가구다리의 조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가구 상판 20 : 하부프레임
22 : 다리결합부 24 : 나사공
30 : 체결나사 100 : 가구 다리
120 : 조임공 200 : 부싱
210 : 요철

Claims (4)

  1. 사각 또는 원형의 판상의 가구 상판(10)과, 상기 가구 상판(10) 하부면에 볼트결합되고, 가구 상판(10) 하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공(24)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합부(2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4)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30)가 상단에 매설된 다수의 가구 다리(100)에 있어서,
    상기 가구 다리(100)의 상단에 매설된 체결나사(30) 직하 외주연에 조임공(1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조임공(120) 내경은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임공(120)은 "-" 또는 "+" 형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조임공(120) 내경에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되어 가구 다리(100)를 가구 상판(10) 하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20)의 다리결합부(22)의 나사공(24)에 나사결합하여 조임시, 상기 가구 다리(100)의 조임공(120) 내주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샤프트가 긴 드라이버 또는 길이가 긴 형태의 막대, 젖가락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부싱(200)이 결합되며, 상기 부싱(200)은 상기 조임공(120)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요철(21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공(120)에 억지끼움결합되면서 다수의 요철(210)에 의해 조임공(120) 내주연에 침투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9181A 2019-05-21 2019-05-21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KR10228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1A KR102281394B1 (ko) 2019-05-21 2019-05-21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1A KR102281394B1 (ko) 2019-05-21 2019-05-21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09A KR20200133909A (ko) 2020-12-01
KR102281394B1 true KR102281394B1 (ko) 2021-07-23

Family

ID=7379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81A KR102281394B1 (ko) 2019-05-21 2019-05-21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360A (ja) * 2005-03-31 2006-10-19 Toyota Motor Corp 工具ホルダ
JP2013256997A (ja) * 2012-06-13 2013-12-26 Kyoshin Sangyo Kk 支柱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439A (ja) * 1992-10-07 1994-04-26 Toyota Motor Corp ラック軸支持構造
JP3543836B2 (ja) * 1994-03-05 2004-07-21 共栄工業株式会社 家具の脚取付構造
KR0138285Y1 (ko) * 1996-12-30 1999-04-01 조금환 책상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H11198827A (ja) * 1998-01-13 1999-07-27 Koyo Seiko Co Ltd ラックストッパ
KR200319398Y1 (ko) 2003-04-10 2003-07-10 손희건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KR20170000102U (ko) 2015-06-30 2017-01-09 서성철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360A (ja) * 2005-03-31 2006-10-19 Toyota Motor Corp 工具ホルダ
JP2013256997A (ja) * 2012-06-13 2013-12-26 Kyoshin Sangyo Kk 支柱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09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396B2 (en) Chair construction
US20170000258A1 (en) Leg assembly
US7404607B2 (en) Easy assembly barstool
KR102281394B1 (ko) 조임공이 형성된 가구용 다리
KR102283655B1 (ko) 조립식 가구
KR101960251B1 (ko) 다용도 테이블
US6070941A (en) Knock down Windsor chair
US4113312A (en) Bench
CN218528281U (zh) 一种床架的安装结构及床架
US4917378A (en) Portable indoor/outdoor lounge swing
US6869245B2 (en) High strength detachable cylinder-to-plate joint for tables, furniture, and other static structures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EP2005860B1 (en) Furnishing element
US11118617B1 (en) Table leg attachment
KR102173966B1 (ko) 식탁
KR20200004219A (ko) 목재 및 철재구조물의 결합용 체결구
KR0138285Y1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375637Y1 (ko) 가구용 바닥 서포트
KR102649763B1 (ko) 가구용 프레임 조립체
CN215532942U (zh) 家具脚
KR200497022Y1 (ko) 벤치
KR102367070B1 (ko)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KR200388252Y1 (ko) 식탁용 다리지주의 체결수단
CN211821552U (zh) 滚筒架的升降锁紧机构
US6929096B1 (en) Stringer/shelf fram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