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032B1 -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 Google Patents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1032B1 KR102281032B1 KR1020200087890A KR20200087890A KR102281032B1 KR 102281032 B1 KR102281032 B1 KR 102281032B1 KR 1020200087890 A KR1020200087890 A KR 1020200087890A KR 20200087890 A KR20200087890 A KR 20200087890A KR 102281032 B1 KR102281032 B1 KR 102281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water
- plate
- planter
-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중 내리는 자연강우만으로 일정 수위를 채워지게 하면서 토양을 통한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수분 및 영양이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하나의 급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급수와 일정 수위 이상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구조를 최대한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that forms a water reservoir in a non-core terrain, and more particularly, it fills a certain water level with only natural rainfall that falls throughout the year, while stably providing moisture and nutrition to the soil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by capillary action through the soil. It is related to a planter that forms a non-center-type water reservoir that enables plant growth by supplying this, and at the same time, allows wat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drainage above a certain water level through a single water supply and drain port,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will be.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식재기반이 없는 장소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기를 때에는 내부에 흙을 담을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고, 하단 중앙에는 통수공이 형성되는 화분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when growing plants such as flowers or trees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natural planting base, a flowerpot with an upper part opened to contain soil inside and a water hole formed in the lower center is used a lot.
화분의 경우 물을 주면 일부는 토양이 머금게 되지만 대부분의 수분은 화분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통수공을 통해 화분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관수시기를 놓치게 되면 식물이 고사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flowerpot, if you water it, some of the soil will be retained, but most of the moisture will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lowerpot through the water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flowerpot, which is inconvenient to water frequently, and if you miss the watering time the plant will wither.
특히, 식물의 종류와 크기 및 화분의 크기 등에 따라 급수 주기와 급수량이 모두 달라 화분에 물주기가 가장 어려운 난제이다.In particular, watering the pots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because the watering cycle and watering amount are both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plant and the size of the pot.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도심에 화단을 조성한 후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해 이틀에 한번은 살수차를 동원하여 관수를 해주어야 하였으므로 관수에 필요한 물, 관수를 위한 인력, 관수 차량 등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었으며, 관수차량으로 인한 교통의 방해, 관수시 교통사고의 위험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After the flower bed was built in the city center according to the general method, it was necessary to irrigate it once every two days for plant growth, so it required a lot of money and time such as water required for irrigation, manpower for irrigation, and irrigation vehicle.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obstruction of traffic due to irrigation vehicles and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during irrigation.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한 등록실용신안 제0453742호(2011.05.17.)의 녹지 조성용 식생상자 구조체에서는 함체 형상의 방수커버 위쪽에 식생상자가 위치되도록 하면서 배수판의 하부로부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심지를 이용하여 배수판 하부에 채워지는 물이 식생상자에 공급되도록 한 바 있다.In the vegetation box structure for green space composi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53742 (2011.05.17.) elect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drainage plate using a non-woven wick from the bottom of the drainage plate while allowing the vegetation box to be positioned above the housing-shaped waterproof cover It was made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lower part was supplied to the vegetation box.
또한, 배수판에는 식생상자가 얹혀지게 하기도 하지만 배수판의 상부면으로 부직포를 깔고 직접 흙을 채워 식물이 식재되기도 한다.In addition, although a vegetation box is placed on the drainage plate, a nonwoven fabric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plate and plants are planted by directly filling the soil.
하지만 배수판 하부로 일정 수위로 급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 별도의 급수관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판 하부로부터 배수판 상부로는 복수의 심지를 사용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여전히 외부로부터 급수차를 이용하여 2주에 1회 정도의 급수가 필요하고, 심지가 건조해지면 급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plate at a certain water level, water is usually artificially supplied using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ing is required about once every two weeks using a water wheel from the plant, and when the wick is dry, water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the plants di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연 조건에서 일정 수위로 채워지는 물에 의해서 별도의 외부 급수 없이도 안정적으로 식물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er that forms a water storage in a non-core type that enables stable plant growth without separate external water supply by water filled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under natural conditions.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배수판으로부터 수조의 바닥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다공형 기둥에 채워지는 흙을 통해 항상 안정적으로 식물 생육에 필요한 급수와 양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on-center type water storage so that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are always stably provided through the soil filled in a plurality of porous columns formed at a height from the drainage plate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planter.
한편, 본 발명은 수조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구에 연결된 점적호스를 통해 인근에 있는 화초에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외부로부터는 수조에만 급수하기만 하면 보다 광범위한 식물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water supply to nearby plants through a drip hose connected to a drain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while only watering the water tank from the outside to enable more extensive plant growth.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lanter forming a water reservoir.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부가 빈 박스형이며, 일측의 측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급배수홀을 형성하는 플랜터 바디; 상기 플랜터 바디의 급배수홀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판면에는 일정 높이로 토양이 채워지며, 판면에는 토양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직경으로 복수의 배수홀을 형성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판면에서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한 관통홀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플랜터 바디의 바닥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하면서 측면에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배수판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The planter for forming a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n empty box-type inside while opening upward, and on one side of the planter, a water supply and drain hole is provided to penetr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to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ing planter body; a drain plate to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 hole of the planter body, the plate surface to be filled with soil to a certain height, and the plate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with a diameter that prevents the soil from passing through; It is formed in a height fr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to be vertically penetrat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drain pla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and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b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ide surfac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llars to support the drain plate.
상기 플랜터 바디의 급배수홀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최소한 20~30cm의 측면에 형성하면서 직경은 2.5~5cm로 형성한다.The water supply and drain hole of the planter body is formed on the side with a height of at least 20 to 30 cm from the bottom and a diameter of 2.5 to 5 cm.
상기 배수판의 배수홀은 1~8mm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배수홀간은 1~5cm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The drain hole of the drain plate is made to have a diameter of 1 to 8 mm, and the drain hole is spaced apart by an interval of 1 to 5 cm.
상기 기둥은 내경이 3~20cm로 형성하고,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는 1~8mm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illar is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of 3 to 20 cm, and the inlet formed on the side has a diameter of 1 to 8 mm.
상기 플랜터 바디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와 사이즈로서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다리를 형성하거나 바퀴가 부착되도록 하여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planter body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size so as to protrude downward to form legs or to attach wheels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플랜터 바디의 바닥면측 저면에는 배수관을 형성하고, 배수관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배수관의 단부에는 점적호스가 연결되도록 한다.A drain pip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lanter body on the bottom side, the drain pipe is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and a drip hos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ain pipe.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는 자연 환경 조건에서 일정 수위 이상으로 저장한 빗물에 의해 별도의 급수 없이도 식물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planter forming the non-centering water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nables plants to safely grow without separate watering by rainwater stored above a certain water level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나 기타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둥에 채워지는 토양을 타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제작 및 유지 관리비를 절약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by stably supplying water by a capillary phenomenon riding on the soil filled in the pillars without using a nonwoven fabric or other auxiliary materials.
특히, 본 발명은 급수 수위와 토양이 얹혀지는 배수판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과 함께 원활한 공기 순환에 의해서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 in which air of a certain height can flow between the water supply level and the drain plate on which the soil is placed, so that it can grow more healthy by smooth air circulation together with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서 배수판에 기둥이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한 확대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서 기둥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서 배수관에 점적호스가 연결되게 하는 구조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서 배수판의 상부와 기둥의 내부로 토양이 채워지도록 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서 배수판의 하부로 채워지는 물을 기둥을 통해 배수판 상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에 의해 식물이 활착되도록 한 사용상태 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nter forming a water reservoir of a non-cor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er forming a water reservoir of the non-cor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mai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lumn is connected to a drainage plate in a planter forming a non-center type wat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llar in a planter forming a water reservoir of a non-cor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drip hose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in a planter forming a non-core type wat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il is fill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late and the inside of the column in the planter forming the non-center type wat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part of a planter forming a water storage of a non-cor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late through a column of water fil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age plate;
8 is a photograph of a state of use in which plants are activated by a planter that forms a water reservoir of a non-center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in some cases, the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의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nter for forming a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er for forming a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는 플랜터 바디(10)와 배수판(20)과 기둥(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As illustrated, the planter forming the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본 발명의 플랜터 바디(10)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부가 빈 박스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측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급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급배수홀(11)이 형성된다.The
급배수홀(11)은 플랜터 바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최소 20cm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30cm보다는 작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25cm의 높이이다.The water supply and
급배수홀(11)은 외부로부터의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성이므로 2.5~5cm의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3cm이다.Since the water supply and
급배수홀(11)은 바닥면으로부터 채워지는 수위를 결정하게 되므로 그 이상으로 유입되는 물은 모두 오버 플로에 의해 배출되도록 한다.Since the water supply/
급배수홀(11)은 측면의 한 곳 또는 두 곳 정도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보다 많은 측면에 형성되게 하여 복수의 플랜터 바디(10)의 측면간 밀착되게 설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급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The water supply/
한편 플랜터 바디(10)는 바닥면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하향 돌출되는 다리(12)가 상호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밀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플랜터 바디(10)에 다리(12)나 바퀴를 형성하게 되면 설치면으로부터 플랜터 바디(10)가 일정 높이 이격되는 상태가 되므로 지게차를 이용한 운반이 가능하다.When the
플랜터 바디(10)에서 내부에는 급배수홀(11) 상부의 위치에 평판의 배수판(20)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배수판(20)에는 판면에 일정 직경의 배수홀(21)이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며, 배수홀(21)은 배수판(20)의 상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밑으로 빠지지 않는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이때, 배수판(20)에 형성되는 배수홀(21)은 직경이 1~8mm로 형성되도록 하고, 배수홀(21)간 간격은 1~5cm로 형성하지만 가장 바람직한 직경은 3cm이다.At this time, the
즉 배수판(20)의 상부에 채워지는 토양은 상호 뭉치는 점착성이 있어 배수홀(21)을 통해 빠지지 않게 되므로 배수판(20)에는 더 이상 부직포를 깔지 않아도 된다.That is, since the soil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배수판(20)은 외주면이 플랜터 바디(10)의 내주면으로 직접 용접에 의해 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플랜터 바디(10)의 내주면에 도 3에서와 같이 ㄱ자형 또는 ㄴ자형의 걸림판(13)이 부착되도록 하여 걸림판(13)에 외주연 하단부가 안착되게 할 수가 있다.The
배수판(20)에는 하부로 일정 높이의 기둥(30)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A
본 발명의 기둥(30)은 도 4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관통되거나 상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둥(30)은 배수판(20)의 판면에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22)의 주연부에 상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하단은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배수판(20)을 지지하도록 한다.The
즉, 배수판(20)은 별도의 지지물 없이도 배수판(20)에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둥(30)들에 의해서 플랜터 바디(10)의 내부에서 배수판(20)이 일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한다.That is, the
각 기둥(30)에는 배수판(20)의 상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동시에 채워지도록 하며, 기둥(30)의 주면에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복수의 유입구(31)가 형성되도록 한다.Soil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기둥(30)은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에 의한 모세관 현상을 통해 배수판(20)의 상부에 채워지는 토양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배수판(20) 상부로 충분한 높이로 수분을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둥(30)의 내경은 10c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기둥(30)에 형성되는 유입구(31)는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배수판(20)에 형성되는 배수홀(21)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The
한편, 본 발명의 플랜터 바디(1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관(14)을 형성하고, 배수관(14)은 밸브(15)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배수관(14)은 잠겨져 있도록 하고, 플랜트 바디(10)의 바닥 청소를 위해서 또는 주위에 급수가 필요한 화단이나 식물에 급수를 위해서는 밸브(15) 조작에 의해 배수관(14)이 개방되도록 하며, 특히 주위의 화단이나 식물에의 급수를 위해서는 점적호스(40)가 연결되도록 한다.Th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lanter for forming the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간단히 플랜터 바디(10)의 배수판(20) 상부로 배양토인 토양(50)이 채워지도록 하여 토양(50)에 식물을 식재하기만 하면 어디에서나 설치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ywhere simply by planting plants in the
배수판(20)의 상부로 토양(50)을 채우게 되면 토양(50)은 배수판(20)에 연결된 복수의 기둥(30)들 내부에도 자연스럽게 채워지게 된다.When the
이렇게 배수판(20)과 기둥(30)에 토양(50)이 채워지게 하고, 배수판(20)의 하부에 도 7에서와 같이 일단 급배수홀(11)의 높이만큼 물이 채워지게 하면 복수의 기둥(30)들에 형성한 복수의 유입구(31)들을 통해 내부로 물이 흡수되며, 기둥(30)의 내부로 흡수된 물은 기둥(30)에 이미 채워진 토양(50)을 통한 모세관현상에 의해 배수판(20)의 상부로 충분한 높이까지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다.When the
이렇게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토양(50)에 심어진 식물들이 생육되며, 한번 공급된 급수량이면 이후부터는 자연 강우에 의해서 식물 생육이 가능하다.Plants planted in the
즉, 자연 강우에 의해 식물에 필요한 급수량은 수위가 20cm이므로 바닥면으로부터 20~30cm 부위에 급배수홀(11)이 형성되도록 하면 별도의 급수가 없이도 식물을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키울 수가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water level required for plants by natural rainfall is 20 cm, i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holes 11 are formed in the
비가 오게 되면 토양(50)을 통해 흡수되고, 배수판(20)의 배수홀(21)을 하부로 떨어지게 되게 배수판(20) 하부에서의 수위가 급배수홀(11)의 높이 이상이 되면 물은 급배수홀(11)을 통해 오버 플로되므로 필요한 양만큼만 저장하게 되며, 수면으로부터 배수판(20)의 사이는 항상 대기 중에 있게 되므로 비록 식물 뿌리가 배수판(20)의 배수홀(21)을 통해 하부로 자라게 되더라도 배수판(20)의 하부는 공기층으로 이루어지므로 뿌리는 그 즉시 말라 고사하게 되므로 더 이상 하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배수판(20)의 상부에서만 머물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한다.When it rains, it is absorbed through the
이렇게 본 발명의 플랜터는 부직포와 같은 어떠한 부자재도 사용하지 않고도 관형의 기둥(30)을 통해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토양(50)을 통해 배수판(20)의 상부측 토양(50)에 전달되게 하여 식물 생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보다 경제적인 설치와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배수판(20)의 하부에는 항상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어 배수판(20) 상부의 토양(50)으로 공기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보다 건강한 식물 생육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water through the
특히, 본 발명은 플랜터 바디(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배수관(14)을 형성하게 되면 이 배수관(14)에 도 5에서와 같이 점적호스(40)를 연결하여 인근에 위치한 화단에도 급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즉, 도심 공원이나 가로수를 관리하게 되면 일정 주기로 급수해야할 위치를 순회하면서 각 식물에 급수를 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플랜트를 이용하게 되면 굳이 순회를 하지 않고 본 발명의 플랜트에만 급배수홀(11)을 통해 일정 주기로 급수를 하게 되면 점적호스(40)에 의해서 인근의 화단에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좀더 쉬운 화단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when managing a city park or street tree, water must be supplied to each plant while circulating the location to be watered at a certain period. However, if the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water supply and
이렇게 본 발명은 자연 강우 만으로도 충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쉬운 식물 생육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점적호스(40)를 연결하여 인근에 조성된 화단에도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넓은 범위의 화단에 일일이 급수를 하지 않고 본 발명의 플랜터에만 공급하면 보다 넓은 범위를 급수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 매우 쉬운 관리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table and easy plant growth management by allowing sufficient water supply only with natural rainfall,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플랜터 바디
11 : 급배수홀 12 : 다리
13 : 걸림판 14 : 배수관
15 : 밸브
20 : 배수판
21 : 배수홀 22 : 관통홀
30 : 기둥
31 : 유입구
40 : 점적호스
50 : 토양10 : Planter body
11: water supply and drainage hole 12: bridge
13: catch plate 14: drain pipe
15: valve
20: drain plate
21: drain hole 22: through hole
30: pillar
31: inlet
40: drip hose
50: soil
Claims (6)
상기 플랜터 바디(10)의 급배수홀(11) 상부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고, 판면에는 일정 높이로 토양이 채워지며, 판면에는 토양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직경으로 복수의 배수홀(21)을 형성하는 배수판(20);
상기 배수판(20)의 판면에서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한 관통홀(22)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플랜터 바디(10)의 바닥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하면서 측면에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복수의 유입구(31)가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배수판(20)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기둥(30);을 포함하되,
상기 플랜터 바디(10)의 급배수홀(11)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최소한 20~30cm의 측면에 형성하면서 직경은 2.5~5c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It has an empty box shape inside so that it opens upward, and an air layer is formed on one side while allow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and the water level to be filled from the bottom is determined, and the water flowing beyond that is to overflow. a planter body 10 for forming a supply/drain hole 11 to be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diameter from the bottom surface;
To be provid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 hole 11 of the planter body 10, the plate surface is filled with soil to a certain height, and the plate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21 with a diameter such that the soil does not pass through. a drain plate 20;
It is formed at a height fr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 to be vertically penetrat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drain plate 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pillars 30 to support the drain plate 20 by forming the inlet 31 in the form of a tubular shape; including,
The plan for forming a water reservoir in the non-core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and drain hole 11 of the planter body 10 is formed on the side with a height of at least 20 to 30 cm from the floor and a diameter of 2.5 to 5 cm. place.
상기 배수판(20)의 배수홀(21)은 1~8mm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배수홀(21)간은 1~5cm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hole 21 of the drain plate 20 has a diameter of 1 to 8 mm, and the drain hole 2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1 to 5 cm.
상기 기둥(30)은 내경이 3~20cm로 형성하고,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31)는 1~8mm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ar 30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3 to 20 cm, and the inlet 31 formed on the side is a planter forming a non-core type water reservoir having a diameter of 1 to 8 mm.
상기 플랜터 바디(10)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와 사이즈로서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다리(12)를 형성하거나 바퀴가 부착되도록 하여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planter body 1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size so as to protrude downward to form a bridge 12 or to attach wheels to form a non-core type water storage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
상기 플랜터 바디(10)의 바닥면측 저면에는 배수관(14)을 형성하고, 배수관(14)은 밸브(15)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배수관(14)의 단부에는 점적호스(40)가 연결되도록 하는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ain pipe 1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10 on the bottom side, the drain pipe 14 is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15, and a drip hose 4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ain pipe 14 A planter that forms a water reservoir with a non-heavy terr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890A KR102281032B1 (en) | 2020-07-16 | 2020-07-16 |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890A KR102281032B1 (en) | 2020-07-16 | 2020-07-16 |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1032B1 true KR102281032B1 (en) | 2021-07-23 |
Family
ID=7715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890A KR102281032B1 (en) | 2020-07-16 | 2020-07-16 |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1032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7378Y1 (en) * | 1990-05-23 | 1992-10-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ircuit for controlling picture size when power is turned on and off |
KR200317083Y1 (en) * | 2003-03-12 | 2003-06-25 | 윤창희 | Attach flowerpot of a feed tank |
KR100750905B1 (en) * | 2006-03-27 | 2007-08-22 | 신현성 | Assembly type flower bed which is water supply it self |
KR200453742Y1 (en) | 2010-03-31 | 2011-05-23 | 박공영 | Vegetation box structure for greenery composition |
KR101225181B1 (en) * | 2012-06-22 | 2013-01-22 | 오준성 | Vegetation structure using porous sintered body |
-
2020
- 2020-07-16 KR KR1020200087890A patent/KR1022810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7378Y1 (en) * | 1990-05-23 | 1992-10-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ircuit for controlling picture size when power is turned on and off |
KR200317083Y1 (en) * | 2003-03-12 | 2003-06-25 | 윤창희 | Attach flowerpot of a feed tank |
KR100750905B1 (en) * | 2006-03-27 | 2007-08-22 | 신현성 | Assembly type flower bed which is water supply it self |
KR200453742Y1 (en) | 2010-03-31 | 2011-05-23 | 박공영 | Vegetation box structure for greenery composition |
KR101225181B1 (en) * | 2012-06-22 | 2013-01-22 | 오준성 | Vegetation structure using porous sintered bod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37283B1 (en) |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 |
JPWO2007063815A1 (en) |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
JP3200590U (en) | Wall planting base | |
JP5283024B2 (en) | Planting base | |
US20180064041A1 (en) | Growing system | |
JPH0499411A (en) | Device of culturing plant | |
US20020017055A1 (en) |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 |
KR200207813Y1 (en) |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
JP3581277B2 (en) |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
KR102281032B1 (en) | Planter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of wickless | |
JP3133512U (en) | Plant cultivation planter | |
JPH04135426A (en) | Method for irrigating cultivation pot and planter used therefor | |
JP5187752B2 (en) |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and double pipe unit used therefor | |
WO2018042570A1 (en) | Cultivation device,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and method for circulating nutrient solution | |
KR200475509Y1 (en) | Box Assembly for Planting | |
KR200473373Y1 (en) | Box Assembly for Planting | |
JP4535471B2 (en) | Water supply system | |
JP4785162B2 (en) | Tree planting equipment | |
CN207252303U (en) | It is a kind of foldable water-storing flower bed | |
KR200228643Y1 (en) | A Vase for automatic water supply | |
KR200220766Y1 (en) | A flowerpot capable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 |
KR200251469Y1 (en) | Water Tank Flower Case | |
JP2003009687A (en) | Plant tray provided with watering mat and bottom- watering planter integrated with water tank | |
KR101663865B1 (en) |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supporting member applied at the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inner member | |
KR20130040056A (en) |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and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