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29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0929B1 KR102280929B1 KR1020200120232A KR20200120232A KR102280929B1 KR 102280929 B1 KR102280929 B1 KR 102280929B1 KR 1020200120232 A KR1020200120232 A KR 1020200120232A KR 20200120232 A KR20200120232 A KR 20200120232A KR 102280929 B1 KR102280929 B1 KR 102280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eller
- leading edge
- vacuum cleaner
- hub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3—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leading edge of a rotor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를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서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전기제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진공청소기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먼지분리장치, 먼지분리장치에 의하여 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 및 먼지분리장치와 연결되고,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흡입유닛이 동작하면, 먼지를 함유한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먼지분리장치에 의하여 먼지 및 공기로 분리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진공흡입유닛을 거쳐서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진공흡입유닛은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 차원에서, 임펠러의 제조방법으로 사출성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임펠러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임펠러의 사출성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언더컷 형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를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서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허브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리딩에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 1영역 및 상기 모서리부에 연결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영역 및 상기 제 2영역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를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 인접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의 사출과정에서 상기 리딩에지에 언더컷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딩에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허브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리딩에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리딩에지의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딩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임펠러의 사출성형과정에서 리딩에지에 발생할 수 있는 언더컷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임펠러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임펠러의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흡입유닛이 포함하는 임펠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흡입유닛이 포함하는 임펠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210)는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타입, 본체와 흡입노즐이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 핸디 타입 및 로봇청소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청소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일 실시예로써 핸디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본체(52), 흡입유닛(200) 및 집진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2)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그릴 형태의 제 1배기부(56), 손잡이(62) 및 전원버튼(65)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52)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200)와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52)의 배면부에는 제 1배기부(56)와 반대되는 위치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그릴 형태의 제 2배기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52)의 배면부에는 제 2배기부(58)의 상부에 제 2접속단자(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52)의 하단에는 롤러(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52)의 하부에는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100)가 장착되는 사이클론 장착공간(미도시)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방식에 한정하지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공청소기(1)가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체(52)는 흡입구(63), 롤러(114), 입구 가스켓(미도시), 출구 가스켓(미도시) 및 리브(69)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63)는 스틱 본체(14)의 개구(4) 및 사이클론 입구(11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입구 가스켓은 흡입구(63)와 사이클론 입구(110)의 결합부위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흡입구(63)의 원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출구 가스켓은 사이클론 장착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유닛(200)의 흡기구(251)의 주변에 설치되어 필터유닛(70)과 본체(52)의 결합부위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롤러(114)는 흡입구(6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롤러(114)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진공청소기(1)의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바닥과 진공청소기(1)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리브(69)는 흡입구(63)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진공청소기(1)를 장착공간(3)에 장착 시 스틱 본체(14)의 개구(4)에 삽입되어 흡입구(63)와 개구(4)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진공청소기(1)를 기울여 흡입구(63)를 바닥면에 접촉시킬 경우, 바닥면과 흡입구(63) 사이의 이격 공간을 줄여, 흡입유닛(200)의 흡입력이 바닥까지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피청소면의 먼지흡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먼지통(102), 커버부재(104), 필터유닛(70) 및 사이클론통(107)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102)은 투명재질로 구성되며, 일 측에 필터유닛(7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4)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며 먼지통(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04)는 진공청소기(1)의 사이클론 장착공간(미도시)에 장착될 경우 진공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클론통(107)은 먼지통(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통(102)의 내부공간을 원심분리챔버(S1)과 먼지수용챔버(S2)로 구획할 수 있다. 사이클론통(107)의 중심에는 중앙파이프(108)가 구비되어 있고, 사이클론통(107)과 중앙파이프(108) 사이에는 사이클론 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106)가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분리 가능하도록 스틱 본체(14)에 결합될 수 있다.
스틱 본체(14)는 상부에 손잡이부(16)와, 하부에 장착공간(3)이 마련된 항아리 형상의 중앙부(11)로 구분될 수 있다. 손잡이부(16)는 중앙부(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노즐조립체(2)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중앙부(11)에 형성된 장착공간(3)은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에 장착하거나 스틱 본체(14)에서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1에서 스틱 본체(14)를 A방향으로 바라보는 쪽이 스틱 본체(14)의 전면부이고, B방향으로 바라보는 쪽이 스틱 본체(14)의 배면부이다. 스틱 본체(14)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배기구멍으로 구성된 본체 배기부(20)가 형성될 수 있고, 그 하부에 투명한 패널로 구성된 본체 투명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2)는 스틱 본체(14)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노즐조립체(2)의 내부 공기유로(미도시)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조립체(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와 먼지 등은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를 통해 진공청소기(1)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2)는 하면에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저면 흡입구(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기 위한 원통형 브러시(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틱 본체(14)의 장착공간(3)에는 제 1접속단자(12)가 구비되고, 진공청소기(1)의 배면부에는 제 2접속단자(60)가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가 장착공간(3)에 장착될 경우, 제 1접속단자(12) 및 제 2접속단자(60)가 접촉되며, 이로 인해, 스틱 본체(14)와 진공청소기(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진공청소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본체(52)에 설치된 전원버튼(65)을 이용하여 본체(52) 내부에 설치된 흡입유닛(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의 흡입구(63) 및 롤러(114)를 청소하고자 하는 피청소면과 접촉시키고, 진공청소기(1)를 이동시키면서 외부공기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가동시키면 외부공기는 흡입구(63) 및 사이클론 입구(110)를 통해 집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사이클론 입구(110)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입구(63)를 통과한 공기는 이와 접촉된 사이클론 입구(110)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는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106)를 따라 회전되면서 원심분리챔버(S1)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사이클론통(107)의 상단을 넘어 먼지통(102)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진행방향의 변화없이 계속 상부로 직진하면서 사이클론통(107) 상부에 장착된 필터유닛(70)을 통과한다. 이 때,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미세먼지는 그릴부(71) 및 필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되고, 흡입유닛(200)을 통해 진공청소기(1)의 제 1배기부(56) 및 제 2배기부(58)로 배출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이하, '스틱형 청소기'라 칭한다), 사용자는 스틱 본체(14)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스틱형 청소기를 작동시킨 후, 스틱 본체(14)의 손잡이부(16)를 손으로 파지하여 스틱 본체(14)를 노즐조립체(2)에 대하여 기울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스틱 본체(14)를 적당하게 기울인 후 스틱형 청소기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는 노즐조립체(2),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를 통해 집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원심분리챔버(S1)에서 회전되고, 원심력에 의해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분리되어 먼지통(102)에 저장될 수 있다.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필터유닛(70)을 통과하면서 그릴부(71) 및 필터부재(미도시)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흡입유닛(200)을 통해 진공청소기(1)의 제 1배기부(56) 및 제 2배기부(58)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배기부(58)로 배출된 공기는 본체 배기부(20)를 통해 스틱 본체(14)의 전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입유닛이 포함하는 임펠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200)은 임펠러(210), 임펠러(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리턴채널(220), 모터(230), 모터(230)와 임펠러(210)를 연결하는 회전축(240), 임펠러(210) 및 리턴채널(220)을 커버하는 팬 커버(250) 및 모터(230)가 장착되는 모터 브라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0)는 모터 브라켓(260)에 장착되는 고정자(미도시) 및 고정자(미도시)에 의하여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회전자(2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40)은 회전자(232)에 삽입되고, 회전자(23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40)은 리턴채널(22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임펠러(21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자(232)가 회전하면 회전축(240) 및 임펠러(210)가 회전할 수 있다.
팬 커버(250)의 상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51)가 마련될 수 있다. 팬 커버(250)는 임펠러(210) 및 리턴채널(220)을 감쌀 수 있다.
모터 브라켓(260)은 팬 커버(25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커버(250)의 하부 테두리에는 단차(252)가 형성되고, 모터 브라켓(260)의 상부 테두리는 단차(252)에 결합될 수 있다.
팬 커버(250)의 하부 테두리는 모터 브라켓(260)의 상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210)는 바디(211), 바디(211)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1)의 중심부에는 허브(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방을 향하는 바디(211)의 돌출정도는 바디(211)의 중심부에서 바디(211)의 반경방향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즉, 허브(212)의 높이가 가장 높고, 허브(212)에서 멀어질수록 바디(211)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는 흡기구(25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급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동손실을 저감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바디(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허브(212)의 외면에서부터 바디(211)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바디(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경사지도록 바디(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비틀린 상태로 바디(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바디(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25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임펠러(210)를 통과하는 방향(A)으로 상류측에는 임펠러(210)의 입구(219a)가 마련되고, 하류측에는 임펠러(210)의 출구(219b)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서로 이격되어 유로(219)를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210)의 입구(219a)는 유로(219)의 시작점에 마련될 수 있고, 임펠러(210)의 출구(219b)는 유로(219)의 마침점에 마련될 수 있다.
유로(219)는 임펠러(210)의 입구(219a)에서 최소가 되고, 임펠러(210)의 출구(219b)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즉, 유로(219)는 바디(211)의 반경방향을 향할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유로(219)가 좁을수록 유동하는 공기의 풍속이 증가하고, 유로(219)가 넓을수록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10)의 입구(219a)에서는 흡기구(2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임펠러(210)의 출구(219b)에서는 많은 양의 공기를 하방으로, 즉, 리턴채널(2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임펠러(210)의 입구(219a)는 바디(211)의 상단부(211a)보다 흡기구(25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임펠러(210)를 통과하는 방향(A)으로 더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임펠러(210)의 입구(219a)보다 바디(211)의 상단부(211a)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211)의 상단부(211a)는 허브(212)의 상단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디(211)의 상단부(211a)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기구(251)를 통과한 공기가 곡선을 그리면서 임펠러(210)의 입구(219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바디(211) 상에 고정되는 결합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3a)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바디(2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결합부(213a)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리딩에지(214) 및 결합부(213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엔딩에지(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딩에지(LEADING EDGE)(214)는 임펠러(210)의 입구(219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딩에지(214)는 바디(211)의 상단부(211a), 즉 허브(212)에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리딩에지(214)는 허브(212)에서 허브(212)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엔딩에지(ENDING EDGE)(218)는 임펠러(210)의 출구(219b)를 형성할 수 있다.
엔딩에지(218)는 바디(2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리딩에지(214)는 고정부(214a) 및 모서리부(214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4a)는 허브(212)에 인접한 리딩에지(214)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모서리부(214b)는 허브(212)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리딩에지(214)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4a)는 결합부(213a)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모서리부(214b)는 허브(212)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부(214a)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리딩에지(214)는 허브(212)에 인접하도록 바디(2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4a) 및 허브(212)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리딩에지(214)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214b)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측면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217)는 리딩에지(214)의 모서리부(214b) 및 모서리부(214b)에 대응하는 엔딩에지(218)의 외측단부(218a)를 연결할 수 있다.
리딩에지(214)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리딩에지(214)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리턴채널(220)은 디퓨져로 작용할 수 있고, 임펠러(210)에 의하여 흡입된 후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리턴채널(220)은 몸체부(221) 및 몸체부(221)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10)에서 토출된 공기는 복수의 베인(222)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팬 커버(250)는 리턴채널(2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브라켓(260)은 리턴채널(220)의 하부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임펠러(210)는 회전하고, 리턴채널(220)은 고정되어야 하므로, 리턴채널(220)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리턴채널(220)은 모터 브라켓(26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리턴채널(220)의 상면에는 임펠러(210)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 1수용홈(223)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수용홈(223)에는 임펠러(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24)가 수용되는 제 2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리턴채널(22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를 곡면 처리함으로써, 공기 흐름 방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에지(214)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딩에지(214)의 전부 또는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딩에지(214)는 임펠러(210)의 회전방향(Q)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딩에지(214)는 임펠러(210)의 회전방향(Q)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리딩에지(214)는 고정부(214a)에 연결되는 제 1영역(215) 및 모서리부(214b)에 연결되는 제 2영역(21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영역(216)은 제 1영역(215)보다 허브(21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영역(215)은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영역(216)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10)의 사출과정에서 리딩에지(214)에 언더컷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영역(216)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언더컷은 리딩에지(214)의 모서리부(214b)에 발생하기 쉬우므로 모서리부(214b)를 포함하는 제 2영역(216)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영역(215) 및 제 2영역(216)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영역(215) 및 제 2영역(216)이 모두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영역(215) 및 제 2영역(216)을 이루는 곡선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제 1영역(215) 및 제 2영역(216)이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임펠러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21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임펠러(210)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임펠러(210)의 바디(211) 및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형(미도시), 하형(미도시) 및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는 서로 결합하여 성형공간(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210)는 성형공간에 수지가 주입됨으로써 사출될 수 있다.
바디(21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13)는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는 상형 및 하형과 결합하여 성형공간을 형성한 후,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형 및 하형과 분리된다.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가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형 및 하형과 분리되는 과정에서 리딩에지(214)에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고정부(214a) 및 모서리부(214b)를 연결하는 리딩에지(214)가 직선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리딩에지(214)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가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궤도상에 놓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딩에지(214)의 제 2영역(216)에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딩에지(214)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을 포함하는 경우, 리딩에지(214)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00)의 회전 궤도 상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딩에지(214)에 언더컷이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진공청소기 2 : 노즐조립체
3 : 장착공간 4 : 개구
6 : 네크부 11 : 중앙부
12 : 제 1접속단자 14 : 스틱 본체
16 : 손잡이부 18 : 본체 투명부
20 : 본체 배기부 52 : 본체
56 : 제 1배기부 58 : 제 2배기부
60 : 제 2접속단자 62 : 손잡이
63 : 흡입구 65 : 전원버튼
69 : 리브 70 : 필터유닛
71 : 그릴부 100 : 집진장치
102 : 먼지통 104 : 커버부재
106 :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 107 : 사이클론통
110 : 사이클론 입구 114 : 롤러
200 : 흡입유닛 210 : 임펠러
211 : 바디 211a : 상단부
212 : 허브 213 : 블레이드
214 : 리딩에지 214a : 고정부
214b : 모서리부 215 : 제 1영역
216 : 제 2영역 217 : 측면부
218 : 엔딩에지 218a : 외측단부
219a : 입구 219b : 출구
220 : 리턴채널 221 : 몸체부
222 : 베인 223 : 제 1수용홈
224 : 지지부재 230 : 모터
232 : 회전자 240 : 회전축
250 : 팬 커버 251 : 흡기구
252 : 단차 260 : 모터 브라켓
2a : 저면 흡입구 219 : 유로
S1 : 원심분리챔버 S2 : 먼지수용챔버
108 : 중앙파이프 213a : 결합부
300 : 슬라이드 코어
3 : 장착공간 4 : 개구
6 : 네크부 11 : 중앙부
12 : 제 1접속단자 14 : 스틱 본체
16 : 손잡이부 18 : 본체 투명부
20 : 본체 배기부 52 : 본체
56 : 제 1배기부 58 : 제 2배기부
60 : 제 2접속단자 62 : 손잡이
63 : 흡입구 65 : 전원버튼
69 : 리브 70 : 필터유닛
71 : 그릴부 100 : 집진장치
102 : 먼지통 104 : 커버부재
106 :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 107 : 사이클론통
110 : 사이클론 입구 114 : 롤러
200 : 흡입유닛 210 : 임펠러
211 : 바디 211a : 상단부
212 : 허브 213 : 블레이드
214 : 리딩에지 214a : 고정부
214b : 모서리부 215 : 제 1영역
216 : 제 2영역 217 : 측면부
218 : 엔딩에지 218a : 외측단부
219a : 입구 219b : 출구
220 : 리턴채널 221 : 몸체부
222 : 베인 223 : 제 1수용홈
224 : 지지부재 230 : 모터
232 : 회전자 240 : 회전축
250 : 팬 커버 251 : 흡기구
252 : 단차 260 : 모터 브라켓
2a : 저면 흡입구 219 : 유로
S1 : 원심분리챔버 S2 : 먼지수용챔버
108 : 중앙파이프 213a : 결합부
300 : 슬라이드 코어
Claims (5)
-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를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서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허브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딩에지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리딩에지의 타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된 부분은 곡선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를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 인접하는 리딩에지(LEADING EDGE)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의 사출과정에서 상기 리딩에지에 언더컷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딩에지의 일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허브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딩에지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허브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리딩에지의 타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된 부분은 곡선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에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232A KR102280929B1 (ko) | 2014-04-15 | 2020-09-18 | 진공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5034A KR102159581B1 (ko) | 2014-04-15 | 2014-04-15 | 진공청소기 |
KR1020200120232A KR102280929B1 (ko) | 2014-04-15 | 2020-09-18 | 진공청소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5034A Division KR102159581B1 (ko) | 2014-04-15 | 2014-04-15 |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3177A KR20200113177A (ko) | 2020-10-06 |
KR102280929B1 true KR102280929B1 (ko) | 2021-07-26 |
Family
ID=7282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0232A KR102280929B1 (ko) | 2014-04-15 | 2020-09-18 |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092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87060A1 (en) | 2001-06-06 | 2002-12-12 | Decker David M. | Cast titanium compressor wheel |
KR100741787B1 (ko) | 2005-10-05 | 2007-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
JP4668196B2 (ja) | 2003-09-19 | 2011-04-13 |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 ローターアセンブリ |
JP4717465B2 (ja) | 2004-02-21 | 2011-07-06 | カミンズ・ターボ・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 圧縮機 |
US20120189454A1 (en) | 2009-10-07 | 2012-07-26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Impeller of centrifugal compressor |
WO2012161849A1 (en) * | 2011-05-23 | 2012-11-29 |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Sculpted impell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5337B1 (ko) * | 2012-02-09 | 201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흡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
2020
- 2020-09-18 KR KR1020200120232A patent/KR102280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87060A1 (en) | 2001-06-06 | 2002-12-12 | Decker David M. | Cast titanium compressor wheel |
JP4668196B2 (ja) | 2003-09-19 | 2011-04-13 |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 ローターアセンブリ |
JP4717465B2 (ja) | 2004-02-21 | 2011-07-06 | カミンズ・ターボ・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 圧縮機 |
KR100741787B1 (ko) | 2005-10-05 | 2007-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
US20120189454A1 (en) | 2009-10-07 | 2012-07-26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Impeller of centrifugal compressor |
WO2012161849A1 (en) * | 2011-05-23 | 2012-11-29 |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Sculpted impel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3177A (ko) | 2020-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1908B1 (ko) | 전기청소기 | |
CN101822505B (zh) | 清洁器械 | |
US9757000B2 (en) | Cleaning device | |
WO2015068817A1 (ja) | 電気掃除機 | |
KR102061517B1 (ko) | 청소기 | |
US10774841B2 (en) | Fa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JP6291218B2 (ja) | 電気掃除機 | |
KR102195707B1 (ko) | 청소기 | |
KR102665028B1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
KR102159581B1 (ko) | 진공청소기 | |
KR102280929B1 (ko) | 진공청소기 | |
KR102194862B1 (ko) | 팬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
JP2016083032A (ja) |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 |
KR102171271B1 (ko) | 청소기 | |
CN110248582B (zh) | 旋风分离装置 | |
KR20070087357A (ko) | 진공 청소기 | |
KR102431674B1 (ko) | 청소기 | |
KR102171874B1 (ko) | 청소기 | |
JP6599596B2 (ja) | 電気掃除機 | |
JP6365374B2 (ja) | 電気掃除機 | |
KR20050108551A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
JP2013034594A (ja) | 電気掃除機 | |
KR100831777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
KR20230114510A (ko) |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 |
JP6552785B2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