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812B1 -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 Google Patents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812B1
KR102280812B1 KR1020190165405A KR20190165405A KR102280812B1 KR 102280812 B1 KR102280812 B1 KR 102280812B1 KR 1020190165405 A KR1020190165405 A KR 1020190165405A KR 20190165405 A KR20190165405 A KR 20190165405A KR 102280812 B1 KR102280812 B1 KR 10228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ing
weight
parts
offshore structu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585A (ko
Inventor
남순성
임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to KR102019016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8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34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of offshor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의 선택된 일 부위에 접촉되며 상기 해상구조물과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가 수용되는 보호케이싱; 상기 보호케이싱에 장착되어 보호케이싱을 상기 해상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상기 보호케이싱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면을 밀폐하며 하나 이상의 주입공이 형성되는 밀폐커버; 상기 주입공을 통해 보호케이싱 내부로 주입되는 밀봉재; 상기 보호케이싱 및 상기 밀폐커버 외주연에 도포되며 방오제가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Sensor casing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s with antifouling properties}
본 발명은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 등 해상구조물의 구조적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해상구조물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의 방청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따개비 등 해양생물체 등의 부착을 제어하여 신뢰성 있는 센싱데이터의 수집을 도모할 수 있는 센서 케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는 발전기의 회전축에 블레이드(또는 프로펠러)를 설치하고,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블레이드, 변속장치 및 발전기로 구성되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이때 발생한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여기서, 블레이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고, 변속장치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심 회전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고,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임으로써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장치이고, 발전기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 시스템은 그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기 때문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해상에 안전하게 풍력발전 시스템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 블레이드 및 타워 구조물에 대한 안전한 설치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해상에서의 풍력발전 시스템은 파일이나 말뚝 등을 이용하여 해저의 지반 층에 연결되는 기초구조물과 그 상부에 타워(지지구조물)을 선행적으로 설치하고 이후 공정으로 풍력을 이용할 수 있는 블레이드 등의 발전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은 풍력 에너지의 방대한 보유량과 무한한 에너지원 활용의 가능성으로 많은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해상풍력발전기 시장도 갈수록 커지고 있음에 따라 발전의 효율성 개선기술은 물론 해상 풍력발전 장치를 해상에서 안전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설계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근래 들어서는 구축된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효과적인 유지관리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상풍력발전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유지관리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육상 풍력발전 지지구조물과는 달리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은 해상에서 설치로 인하여 파도, 조류 및 바람 등에 의한 외력에 큰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해상 풍력발전의 출력이 증가할수록 발전기의 타워 및 로터나셀부의 크기가 커지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의 크기도 점차 커짐에 따라 지지구조물(중력식 및 모노파일)에 작용하는 파력이 증가함으로써 지지구조물의 안전성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감시하기 위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먼저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동적 계측 센서들과 이들 센서들로부터 계측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Dynamic Data Logger)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노후화 및 건전성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 센서들은 구조물의 거동을 계측하기 위한 것인 바, 실질적으로 상기 구조물에 직접 장착되어야 하며, 해양 환경 특성상 필요에 따라 해수면에 인접하거나 또는 해저에 잠길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계측 센서들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며 센서에 의한 계측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싱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373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 등 해상구조물의 구조적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해상구조물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를 다양한 해상 환경 즉 부식, 따개비 등 해양생물체의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고장을 방지하면서 신뢰성 있는 센싱데이터의 수집을 도모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용 센서 케이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함)는, 해상구조물의 선택된 일 부위에 접촉되며 상기 해상구조물과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가 수용되는 보호케이싱; 상기 보호케이싱에 장착되어 보호케이싱을 상기 해상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상기 보호케이싱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면을 밀폐하며 하나 이상의 주입공이 형성되는 밀폐커버; 상기 주입공을 통해 보호케이싱 내부로 주입되는 밀봉재; 상기 보호케이싱 및 상기 밀폐커버 외주연에 도포되며 방오제가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코팅층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탈크 20 내지 4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5 내지 10중량부, 지방족화합물 부틸 셀로솔브를 5 내지 10중량부, 방오제 1 내지 5중량부, 멜라닌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오제는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로서,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공성담체에 담지된 상태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오제는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로서,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섬유에 코팅된 상태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보호케이싱은, 내부 공간을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공간에는 상기 개방된 접촉면을 통해 해양구조물과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 센서가 안치되고, 상기 제 2공간에는 상기 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계측센서의 배선을 접속 및 정리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등 해상구조물의 구조적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해상구조물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를 보호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케이싱의 내부에 밀봉재를 충진하여 방청성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보호케이싱의 표면에 방오성이 발현되는 코팅층을 도포하여 따개비 등 해양생물체 등의 부착을 방지하여 해상 환경으로부터 상기 계측센서를 보호함으로써 고장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센싱데이터의 수집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장치가 해상구조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에 밀봉재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해상구조물(20)에 대한 변위, 피로도 등 구조적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해상구조물(20)에 장착되는 계측센서(30)를 해상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10)는 상기 해상구조물(20)의 제작단계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계측센서(30)는 임베디드형 광변형률계, 광가속도계, 광온도계를 포함하는 광센서이거나 풍향/풍속계와 경사계를 포함하는 전기저항식 센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10)는 해양 환경의 특성상 해수에 잠기거나 해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계측센서(30)의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따개비 등 해양생물체의 부착에 의한 고장, 센싱의 정확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10)는 해상구조물(20)의 선택된 일 부위에 접촉되며 상기 해상구조물(20)과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30)가 수용되는 보호케이싱(100); 상기 보호케이싱(100)에 장착되어 보호케이싱(100)을 상기 해상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00); 상기 보호케이싱(100)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면을 밀폐하며 하나 이상의 주입공(310)이 형성되는 밀폐커버(300); 상기 주입공(310)을 통해 보호케이싱(100) 내부로 주입되는 밀봉재(500); 상기 보호케이싱(100) 및 상기 밀폐커버(300) 외주연에 도포되며 방오제가 포함되는 코팅층(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케이싱(100)은 내부 공간(110, 120)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해상구조물(20)과의 접촉면, 그리고 상기 접촉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각각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110, 120)에는 앞서 언급한 계측센서(30)가 하나 이상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상구조물(20)에 접촉하는 보호케이싱(100)의 접촉면은 상기 해상구조물(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해상구조물(20)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일 경우 상기 접촉면의 단면은 상기 해상구조물(20)의 외주면 일부을 따라 접촉될 수 있도록 곡선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싱(100)은 상기 내부 공간(110, 120)을 제 1공간(110)과 제 2공간(120)으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1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공간(110)에는 상기 개방된 접촉면을 통해 해상구조물(20)과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30)가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간(120)에는 상기 격벽(1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계측센서(30)의 배선을(31-1) 접속 및 정리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40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10, 120)은 격벽(130)을 통해 계측센서(30)가 안치되는 공간과 상기 계측센서(30)의 배선(31-1)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선(31-2)이 상호 접속 및 정리될 수 있는 공간으로 각각 분리 구성함으로써 배선(31-1, 31-2)의 보호는 물론 상기 배선(31-1, 31-2)의 전기적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계측센서(30)의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보호케이싱(100)에 장착되어 상기 해상구조물(2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케이싱(100)이 상기 해상구조물(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싱(1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밴드형 부재로 구성되어 원통형 구조를 갖는 상기 해상구조물(20)의 둘레에 감싸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케이싱(100)이 해상구조물(2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300)는 상기 보호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 120)에 상기 계측센서(30)가 수용된 상태에서 보호케이싱(100)의 개방된 일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케이싱(100)과 고정수단(200) 및 밀폐커버(300)는 그 재질에 있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과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비철금속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폐커버(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 120)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310)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입공(31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밀봉재(500)가 상기 내부 공간(110, 120)으로 충진되도록 하는 주입 구멍으로 활용된다. 특히 상기 밀폐커버(300)는 상기 보호케이싱(100)에 결합된 상태로 밀봉재(500)가 주입 및 충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호 일정한 이격 거리를 따라 상기 주입공(310)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주입공(310)으로 상기 밀봉재(500)를 주입하면서 다른 하나의 주입공(310)을 통해서는 상기 밀봉재(500)의 주입 및 충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는 상기 보호케이싱(100)의 완전한 밀봉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싱(100) 및 상기 해상구조물(20) 간의 접촉부위는 물론 상기 보호케이싱(100) 및 상기 밀폐커버(300) 간의 접촉부위를 따라 도포되는 제 2밀봉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재(500) 및 제 2밀봉재(600)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재(500)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밀봉재(500)는 실리콘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디 아질산염(calcium nitrite) 40 내지 100중량부, 아민계수지 5 내지 50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5 내지 50중량부, 비메탈계 가스 발생제 5 내지 30중량부, PC계 분말유동화제 5 내지 50중량부, 디카르복시산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공지의 실리콘계 수지 중 적합한 하나의 실리콘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슘 디 아질산염(calcium nitrite)은 방청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에 해당한다.
상기 아민계수지(Thicker)는 상기 언급한 접촉부위의 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부착성 저하에 의한 들뜸 부분의 생성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부식포인트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Polycarbonate)는 아민계수지와 함께 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비메탈계 가스발생제는 조성물을 충진 후 경화과정에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PC계 분말유동화제는 조성물이 고유동성을 발현시켜 상기 보호케이싱의 접촉부위 등의 간극에 밀실하게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카르복시산 (oxalic acid)은 분산제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타 조성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균일한 물성이 발현되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700)은, 상기 보호케이싱(100) 및 상기 밀폐커버(300) 외주연에 도포되며 방오제가 포함되어 따개비 등 해양생물체의 부착을 방지토록 하는 것은 물론 각종 이물질의 침적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층(700)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탈크 20 내지 4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5 내지 10중량부, 지방족화합물 부틸 셀로솔브를 5 내지 10중량부, 방오제 1 내지 5중량부, 멜라닌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에폭시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실리콘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화합물 부틸 셀로솔브는 용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배합량을 5 내지 10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이 수지 용해 및 기타 조성의 분산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탈크는 안료로 사용되는데 경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크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조성비로 한정하여 배합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한정범위 미만에서는 방청 및 경도증진 효과가 미미하며, 한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착력을 오히려 저하시키므로 이와 같이 한정한다.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는 경화과정에서 페이스트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팽창제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팅층(700)이 상기 보호케이싱(100) 등의 표면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보호케이싱(100) 등의 표면에 잔존하는 금속이온이 용출됨에 따라 접합면에서 금속이온이 흡착 등에 의해 상호 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점을 제어하기 위해 멜라닌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렇게 금속이온의 흡착 등에 의한 접합면에 공극의 형성은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이러한 공극이 발청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가 있는 바, 상기 코팅층(700)에는 멜라닌이 금속이온 등과 결합을 통해 금속이온이 접합면으로 용출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어에 의해 부착력 및 방청성을 더욱 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오제의 첨가에 의해 따개비 등 각종 해양생물체가 부착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방오제는 유기방오제가 사용됨이 타당하다. 유기방오제로서 캐슈(Cashew)나무 열매추출물이 사용됨이 타당하다. 캐슈(Cashew)나무 열매추출물은 카다놀(Cardanol)과 카돌(Cardol)이 주성분으로서 방향족 분자구조를 갖는데 강력한 항곰팡이, 항미생물, 방충, 방부 등의 강력한 천연 유기 방오기능이 발현되며, 금속과 친화력이 높아서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방오제는 일반적으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경우가 많으며 방오효과는 강하지만 방오효능의 지속성이 짧아서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나 상기 캐슈(Cashew)나무 열매추출물의 경우는 천연으로부터 얻어져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방오효능을 길게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을 통해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바,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유기방오제로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은 내열성이 약해서 보관과정, 경화과정 등에서 열에 노출되는 경우 방오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코팅층(700)에는 방오제로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첨가되도록 하되, 상기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에는 상변화물질이 포함되도록 하여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열에 노출되는 경우 상변화물질의 흡열에 의해 열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열에 의한 방오기능이 저하를 제어토록 한다. 여기서 상변화물질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변화물질 10 내지 40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상변화물질 포함)의 경우 액상으로 이를 코팅층(700)을 형성하는 조성과 혼합시 특히 유기용제 등에 잘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물질을 포함하는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의 첨가시 균일한 분산을 위해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공성담체에 담지된 상태로 상기 코팅층(700)에 첨가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다공성담체에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침시켜 건조시킴으로써 표면에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담지된 다공성담체를 코팅층(700)을 구성하는 조성물에 첨가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표면에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담지된 다공성담체는 다공성담체의 공극을 포함한 표면에 상변화물질 성분 및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 성분이 코팅된 상태의 개질담체이다.
여기서 다공성담체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예로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이산화티탄, 지르코니아, 벤토나이트, 점토, 비산제, 활성탄, 탄산칼슘, 운모, 몬트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활석, 규조토, 질석, 칼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나트륨 실리케이트,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아연, 이산화몰리브덴, 산화안티몬, 탄산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는 무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700)에는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섬유에 코팅된 상태로 포함되는 예도 제시하고 있다. 즉 섬유표면이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로 코팅된 개질섬유가 상기 코팅층(700)에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질섬유형태로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포함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균일한 분산을 위한 것은 물론 개질섬유가 페이스트 내에서 가교작용을 통해 균열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섬유는 PP, 나일론, 아라미드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오제에는 이황화텅스텐(WS2), 이황화몰리브덴(MoS2), 흑연(Graphite), 육방정계질화붕소(h-BN) 등의 무기계가 더 사용될 수 있으며, 나노(㎚)급 미(微) 분말 상태로 첨가됨이 타당하다. 상기 방오제는 따개비 등의 동물성 해양생물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유기방오제와 달리 식물성 해조류 등의 안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의 마찰계수를 낮추는 것으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본 발명의 장치 20 : 해상구조물
100 : 보호 케이싱 110 : 제 1공간
120 : 제 2공간 130 : 격벽
200 : 고정 수단 300 : 밀폐커버
310 : 주입공 400 : 스플라이스 트레이
500 : 밀봉재 600 : 제 2밀봉재

Claims (5)

  1. 해상구조물의 선택된 일 부위에 접촉되며 상기 해상구조물과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가 수용되는 보호케이싱;
    상기 보호케이싱에 장착되어 보호케이싱을 상기 해상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상기 보호케이싱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면을 밀폐하며 하나 이상의 주입공이 형성되는 밀폐커버;
    상기 주입공을 통해 보호케이싱 내부로 주입되는 밀봉재;
    상기 보호케이싱 및 상기 밀폐커버 외주연에 도포되며 방오제가 포함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탈크 20 내지 4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5 내지 10중량부, 지방족화합물 부틸 셀로솔브를 5 내지 10중량부, 방오제 1 내지 5중량부, 멜라닌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제는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로서,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공성담체에 담지된 상태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제는 상기 방오제는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로서,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캐슈나무 열매 추출물이 섬유에 코팅된 상태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싱은, 내부 공간을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공간에는 상기 개방된 접촉면을 통해 해양구조물과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계측 센서가 안치되고, 상기 제 2공간에는 상기 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계측센서의 배선을 접속 및 정리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KR1020190165405A 2019-12-12 2019-12-12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KR10228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05A KR102280812B1 (ko) 2019-12-12 2019-12-12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05A KR102280812B1 (ko) 2019-12-12 2019-12-12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85A KR20210074585A (ko) 2021-06-22
KR102280812B1 true KR102280812B1 (ko) 2021-07-23

Family

ID=7660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05A KR102280812B1 (ko) 2019-12-12 2019-12-12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40B1 (ko) * 2014-04-25 2015-02-04 주식회사 혁성 해양 강구조물의 무보수 복합 방오 코팅층 및 이의 형성 방법
KR101772648B1 (ko) * 2016-12-29 2017-08-29 주식회사 이제이텍 방청 성능을 갖는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용 센서 케이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47589B2 (en) * 2007-05-03 2011-03-03 Cardolite Corporation Cardanol based dimers and uses therefor
KR101254723B1 (ko) * 2010-08-11 2013-04-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징크운데실리네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성 방오도료 조성물
KR101436299B1 (ko) * 2012-05-03 2014-09-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오용 도료 조성물
KR20160123733A (ko) 2015-04-17 2016-10-26 태경개발(주) 가속도센서 및 웹카메라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 구조물의 원격 안전도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40B1 (ko) * 2014-04-25 2015-02-04 주식회사 혁성 해양 강구조물의 무보수 복합 방오 코팅층 및 이의 형성 방법
KR101772648B1 (ko) * 2016-12-29 2017-08-29 주식회사 이제이텍 방청 성능을 갖는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용 센서 케이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85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en et al. Definition of the UMaine VolturnUS-S reference platform developed for the IEA wind 15-megawatt offshore reference wind turbine
BR102013010773B1 (pt) uso de tubo de metal que apresenta pelo menos um invólucro protetor anticorrosivo de duas camadas
US20090302611A1 (en) Turbine
JP5011279B2 (ja) フロート式風力タービン設備
EP3180238A1 (en) Buoy with integrated motion compensation
EP2128571A1 (en) Long-gauge optical fibre strain sensor with distributed strain coupling
KR102280812B1 (ko) 방오성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센서케이싱 장치
BR122013011266B1 (pt) Instalação de consolidação para consolidar a energia gerada por uma pluralidade de sistemas de geração de energia da corrente d'água
KR20210093234A (ko) Tp-프리 모노 파일 및 그 형성 방법
EP2781733A2 (en) Submerged system for anchoring a marine device
NO20151129A1 (en) Pounding tune mass damper systems and controls
KR101772648B1 (ko) 방청 성능을 갖는 해상 풍력 지지구조물용 센서 케이싱 장치
Zanuttigh et al. Screening of suitable mooring systems
WO2010049670A2 (en) Marine turbine
KR102191591B1 (ko)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KR101242721B1 (ko) 조류발전장치
KR20180022997A (ko)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CN105276296B (zh) 一种潜水式海缆密封塞装置
WO2014088484A1 (en) Hydraulic unit and a submerged unit comprising such an hydraulic unit
DE102016003926A1 (de) Unterwasser-Messsonde
Keindorf Offshore Wind Energy
CN216283423U (zh) 用于海上风电水下钢结构监测传感器的保护装置
CN207761005U (zh) 一种市政工程排水检查井防坠装置
Menghani et al. Wear and Corrosion of Wind Turbines
WO2013006072A1 (en) Submerged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