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607B1 -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 Google Patents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607B1
KR102280607B1 KR1020190073445A KR20190073445A KR102280607B1 KR 102280607 B1 KR102280607 B1 KR 102280607B1 KR 1020190073445 A KR1020190073445 A KR 1020190073445A KR 20190073445 A KR20190073445 A KR 20190073445A KR 102280607 B1 KR102280607 B1 KR 10228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heet
drainage structure
overflow wall
water
roll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5048A (en
Inventor
박경수
이기영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와이팁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와이팁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9007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607B1/en
Publication of KR2020014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ial Wing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소정의 수위까지 집수하는 집수실 및 상기 집수실 내에 집수된 냉각수 중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어서는 냉각수를 하류 측으로 월류시키도록 상기 집수실의 전방에 구비되는 월류벽을 포함하는 냉각수 집수조 및 후단이 상기 집수실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유연성 시트를 갖는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월류벽을 월류하는 냉각수는 상기 월류벽의 상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 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Disclosed is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wherei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cooling water used in a plant is introduced, and a collecting chamber for collecting cool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inlet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and the A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including an overflow wall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collecting room to overflow the cooling wate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from among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room to a downstream side, and a rear end are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room, and the front end is located on the wall and a flexible sheet unit having a flexible sheet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may be drained to the downstream side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Description

유연성 시트를 이용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using flexible sheet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본원은 유연성 시트를 이용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using a flexible sheet.

일반적으로 플랜트(예를 들어,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냉각수는 콘덴서의 사이펀(siphon)을 유지하기 위한 실 피트(Seal Pit)를 필연적으로 갖는다. 이러한 실 피트는 구조물의 고저차에서 발생하는 수맥(Nappe)의 위치에너지로 인하여 공기층과 접점에서 공기 혼입(Air dragging)을 유발하고, 난류로 인한 세분화와 미립화 과정을 거치면서 해수중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강한 결속력으로 인해 쉽게 자연소산되지 않는 점질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general, cooling water used in a plant (eg, a power plant) necessarily has a seal pit for holding the siphon of the condenser. These seal pits cause air dragging at the contact point with the air layer due to the potential energy of the nappe generated at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tructure, and adsorb organic matter in seawater through the process of subdivision and atomization due to turbulence. , it can generate viscous foam that is not easily dissipated due to its strong bonding force.

전술한 점질 거품의 발생에 따라, 배수 흐름 속에서 거품이 미립화되어, 배수 성능과 설계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해저 배수관의 부력을 상승시켜 부력 파괴를 유발하여 앵커링을 위한 공사비를 상승시키고, 배수구 최종단에서 외해로 거품이 다량 방류되어 환경민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거품발생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도입될 경우 배수 구조물 전체의 사이즈 증가로 인해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될 수 있다.Due to the occurrence of the above-mentioned viscous bubbles, the bubbles are atomized in the drainage flow, which may decrease drainage performance and design reliability, and increase the buoyancy force of the subsea drainage pipe to cause buoyancy destruc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for anchoring, and the final drainage hole A large amount of foam is discharged from the stage to the open sea, which may cause environmental complaints. In addition, if a separate structure to reduce foaming is introduced,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may be requi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ntire drainage structur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파이프 등 강성 구조물(Rigid structure)을 활용하여 공기 유입점을 차단하는 방식이 도입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전술한 부작용으로 인해 구조물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며,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가져오므로 이에 대한 또 다른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는 한계를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blocking an air inlet point using a rigid structure such as a pipe has been introduced. However, this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structure due to the sid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brings another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nother solution is required.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9022호, '발전소 취배수로의 냉각수 거품 저감용 다층수로관'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외해에 연결되는 펌프를 갖춘 취수관 또는 배수관을 통하여 취수조 또는 외해에 냉각수를 공급 또는 배출할 때 상기 취수관 또는 배수관으로 흐르는 냉각수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저감하는 수로관로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 또는 배수관의 배출부 취수조 또는 외해 사이에는 냉각수의 주수로관과 다층 배열된 다층관이 병렬 연결 설치되되, 상기 취수관 또는 배수관의 배출부에 연결된 다층관의 유입구 사이에는 보조 저수조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다층관과 보조수조의 설치로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79022, 'Multi-layered water pipe for reducing bubbles of cooling water in intake and exhaust water of power plant'. This is a water pipe for reducing bubbles generated in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intake pipe or drain pipe when supplying or discharging cooling water to the water intake tank or the open sea through an intake pipe or drain pipe having a pump connected to the outside sea, the intake pipe or The main water pipe and the multi-layered pipe arranged in multiple lay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intake tank of the discharge part of the drain pipe or the outer sea, and an auxiliary water storage tank is formed between the inlet of the multi-layer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intake pipe or the drain pipe. there i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multi-layer pipe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공기혼입을 차단함으로써 점질 거품의 발생을 저감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reduce the occurrence of viscous bubbles by using a flexible sheet to block air entrainment in the process of draining cooling water used in a plant.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랜트의 기존 배수 구조물을 변경하거나 신규 공사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추가 시공으로 점질 거품의 발생을 저감키는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that reduces the occurrence of viscous foam by simple additional construction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drainage structure of the plant or by new construction. .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맥이 경사면을 흐르거나 자유 낙하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빨라져 유체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수맥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시트를 이용한 배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flow velocity increases in the process of the water vein flowing on an inclined surface or in free fall,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is reduced and a flexible sheet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vei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using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소정의 수위까지 집수하는 집수실 및 상기 집수실 내에 집수된 냉각수 중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어서는 냉각수를 하류 측으로 월류시키도록 상기 집수실의 전방에 구비되는 월류벽을 포함하는 냉각수 집수조 및 후단이 상기 집수실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유연성 시트를 갖는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plant is introduced, and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is collected up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A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including an overflow wall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a rea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re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so as to overflow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the coolant that exceeds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mong the coolant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hamber to the downstream side. The front end may include a flexible sheet unit having a flexible sheet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상기 월류벽을 월류하는 냉각수가 상기 월류벽의 상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 측으로 배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may be drained to the downstream side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또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집수실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유연성 시트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유연성 시트가 감기는 감김 방향 및 상기 유연성 시트가 풀리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롤러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includes a floating body arrang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chamber and an upper end of the flexible sheet fixed, and rotatable in a 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wound and an un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unwound. It may include a roller cartridg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또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집수실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또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유연성 시트가 상기 부유체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하측을 지나 상기 부유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 so that the flexible sheet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float to the lower side of the float and to the front of the float.

또한, 상기 유연성 시트는, 그 하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extending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또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월류벽을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상기 유연성 시트의 일부가 접촉되면서 작용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작은 회전 마찰력을 갖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so as to have a rotational friction forc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loosening direction applied while a part of the flexible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flow of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greater than the unwinding direction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to the roller cartridge. It may include a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또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교체를 위한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or replacement.

또한,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상기 유연성 시트의 감김 방향 회수를 위해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may be to provide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in order to recover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before detachment for replacement.

또한,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롤러 카트리지와 분리된 분리 상태 및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상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롤러 카트리지와 결합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witchable to any one of a separation state separated from the roller cartridge and a state coupled to the roller cartridge to provide the winding direction rotation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또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부유체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월류벽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횡 방향을 회전중심축으로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float and is hinge-coupled to a hinge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having a later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flow wall as a center axis of rotation, and the float and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부유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부유체의 후단측 또는 상기 회전부재의 후단측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par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roller cartridg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or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의 펄럭임이 저감되도록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to reduce flapping of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base plate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 is.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부재는 후단의 하향 돌출길이보다 전단의 하향 돌출길이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ownwardly protruding length of the front end is greater than the downwardly protruding length of the rear end.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후단에 진입한 월류수의 유속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전단을 통과하는 월류수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of the overflow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front end of the base plate may be reduc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than the flow rate of the overflow water entering the lower rear end of the base plat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상기 하류 측의 바닥 중 상기 유연성 시트가 덮고 있는 바닥 영역 상에 배치되고 관 둘레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유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erforated pipe disposed on a bottom area covered by the flexible sheet among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round the pipe.

또한, 상기 유공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erforated pipe may be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foam reduction material is introduced.

또한, 상기 유공관에 유입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상기 월류벽의 전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 사이 또는 상기 하류 측의 바닥과 상기 유연성 시트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공관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bble generation reduc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pipe is formed by the cooling water passing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flexible sheet or between the bottom and the flexible sheet on the downstream si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erforated pipe. It may b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상기 유공관이 배치되는 바닥 영역은, 상기 하류 측의 바닥 중 상기 월류벽의 상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월류벽을 월류한 냉각수 중 적어도 일부가 도달하는 바닥 영역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 area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is disposed may be a floor area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lant overflowing the overflow wall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among the floors on the downstream side reache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공기혼입을 차단함으로써 점질 거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viscous bubbles by blocking air mixing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plant using the flexible shee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변하는 배수되는 냉각수의 유속 및 유연성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낙차 거리의 증가에 따라 압력 변화 또는 유속 변화가 커지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flow rate of the coolant to be drained and the pressure change applied to the flexible sheet, which is variably changed using the flexible sheet, so that the pressure change or the change in the flow rate increases as the fall distance increases. Even in this case, side effects can be prevent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단순한 추가시공 구조체의 설치로 점질 거품의 원인 인자를 제거할 수 있어 기존에 설치된 배수 구조물에 대한 변경 또는 신규 공사가 필요하지 않아 추가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ausative factor of viscous foam by installing a simple additional construction structure, so there is no need for change or new construction on the existing drainage structure, so addition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easy It works.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류의 급격한 유량 변동에도 기능 저하가 없고 배수되는 냉각수의 유량 변화에 대한 완충 효과가 향상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foam reducing drainage structure with improved buffering effect against a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drained cooling water without a decrease in function even with a sudden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upstream.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낙차가 비교적 적은 동해안 및 남해안 일부 지역에만 설치 가능했던 종래의 배수 구조물과 달리, 낙차가 비교적 큰 플랜트, 예를 들면 서해안 지역의 발전소에도 적용이 가능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drainage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ly in some areas of the east and south coasts with relatively small drops, foam reduction drainage that can be applied to plants with relatively large drops, for example, power plants in the west coast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a structure is provid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계류 로프, 부유체 및 롤러 카트리지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롤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유연성 시트가 감김 방향으로 회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롤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호이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힌지부와 부유체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부유체와 계류 로프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힌지부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유연성 시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중간보강재 및 월류벽 또는 월류벽의 하류 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배플 피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a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b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와 연계된 일 실험예로 냉각소 집수조의 모형을 기초로 유연성 시트 설치 여부에 따른 거품 발생 모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ure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mooring rope, a float and a roller cartridge.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recovered in the winding direction before detachment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hoist for replacing the roller cartridg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and a float.
Figure 9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ure 8.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float and mooring rope.
Figure 11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ure 10.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hinge unit.
Figure 13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ure 12.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mediate reinforcemen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and a baffle pi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overflow wall or a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15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perforated pipe installed for supplying a foam reduction material.
Figure 15b is a plan view from the top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perforated pipe installed for supply of a foam reduction material.
16 is a view show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foam gen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flexible sheet is installed based on the model of the cooling station water tank as an experimental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횡 방향, 상하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 도 4, 도 6, 도 7, 도 9, 도 11, 도 13및 도 14에서 보았을 때 전방은 9시방향, 후방은 3시방향일 수 있으며, 상방은 12시방향, 하방은 6시방향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related to a direction or a position (front, rear, later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viewed in FIGS. 2, 4, 6, 7, 9, 11, 13 and 14, the front may be in the 9 o'clock direction, the rear may be in the 3 o'clock direction, and the upper direction may be in the 12 o'clock direction,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in the 6 o'clock direc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집수조 내부(예를 들면 집수조의 후방)에 위치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전방에 위치한 월류벽을 타고 넘어 흐르면서 배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drained from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located inside the cooling water collection tank (for example, the rear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and flows over the overflow wall located in the fron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drained. there is.

본원의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가 적용되는 플랜트는 각종 기계 장치 및 설비가 설치되어 생산자가 목적으로 하는 원료, 중간재, 최종 제품, 전력, 석유 가스, 담수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생산 설비를 총칭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석유화학 플랜트, 제약 플랜트, 정유 플랜트, 발전 플랜트, 화력 발전소, 수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열병합 발전소, 조력 발전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플랜트 배수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lant to which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is a generic term for production facilities in which various mechanical devices and facilities are installed to produce raw materials, intermediate goods, final products, electric power, petroleum gas, fresh water, etc. targeted by the producer. can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For example, a petrochemical plant, a pharmaceutical plant, an oil refinery plant, a power plant, a thermal power plant, a hydroelectric power plant, a nuclear power plant, a cogeneration plant, a tidal power plant, etc. may correspond to thi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a plant drainage structure using seawater as a cooling water.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된 폭 방향이라는 용어는 본원 구조체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전술한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 수평 방향 등을 가리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의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width direction"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a direction pointing to a transverse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forementioned front-rear direction,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resent structure. However, this direction sett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냉각수 집수조(200) 및 유연성 시트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200 and a flexible seat unit 100 .

냉각수 집수조(200)는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30) (outlet)가 형성되고 유입구(230)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소정의 수위까지 집수하는 집수실(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수위는 플랜트 배수구조물에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고저차 위치에너지를 유발하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수위는 후술하는 월류벽(220)의 후면 높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집수실(21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유입구(230)는 집수실(210)과 동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실(210)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이들 집수실(210)는 횡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200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in which an inlet 230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plant is introduced is formed, and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inlet 230 is collected up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Here,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may be set to a water level that induces high and low potential energy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from the plant drainage structur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may be set through the height of the rea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to be described later. Exemplarily, one or more water collecting chambers 210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inlet 230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When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chambers 210 are provided, these water collecting chambers 2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냉각수 집수조(200)는 집수실(210) 내에 집수된 냉각수 중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어서는 냉각수를 하류 측(240)으로 월류시키도록 집수실(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월류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월류벽(220)의 전방측의 벽면(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의 벽면(후면)은 상하 방향과 나란한 연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2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so as to overflow the cooling wate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mong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to the downstream side 240 . may include.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wall surface (front) of the front side of the overflow wall 22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rear) of the rear side is formed as a vertical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냉각수 집수조(200)는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어 집수되는 실피트(Seal Pit) 타입의 구조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200 may be a seal pit type structure in which cooling water used in a plant is introduced and collected.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후단이 집수실(210)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이 월류벽(220)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유연성 시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sheet unit 100 may include a flexible sheet 110 having a rear end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and a front end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220 .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유연성 시트(110)와 유연성 시트(110)를 가변적인 집수실(210)의 수면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 유연성 시트(110)가 집수실(210)의 수면 상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예를 들면, 후술할 부유체, 계류 로프 등), 유연성 시트(110)가 횡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보정해주는 보강부재 등을 포함하는 기구, 어셈블리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유연성 시트 유닛(100)에 구비될 수 있는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lexible sheet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110 and the flexible sheet 110 correspond to the variabl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and the flexible shee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It may mean a mechanism, assembly, etc.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example, a floating body, mooring rope, etc. to be described later), a reinforcing member that corrects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etc. , A detailed configuration that may be provided in the flexible sheet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유연성 시트(110)는 월류벽(220)을 월류하는 냉각수의 다양한 유속 변화에 대응하도록 유연한(Flexibl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연성 시트(110)는 고무판, 비닐막, 막재, 직물(fabric) 등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respond to various flow velocity changes of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220 . Illustratively,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made of a rubber plate, a vinyl film, a film material, a fabric, or the like.

종래의 배수 구조물에 적용된 파이프와 같은 강성 구조물은 연속적으로 그 단면이 변할 수 있는 변단면으로 제작하기 어려우며, 상기 강성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본원의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에 구비된 유연성 시트(110)는 이에 가해지는 압력 변환에 대응하여 휨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시트로서, 냉각수의 유속 변화 및 유연성 시트(110)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국부적인 부압력 발생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rigid structure such as a pipe applied to a conventional drainage structur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with a variable cross-section whose cross-section can be continuously changed,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it cannot respond flexibly to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the rigid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flexible sheet 110 provided i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lexible sheet that can be bent and deformed in response to a pressure change applied thereto, and is applied to the flow rate change of the coolant and the flexible sheet 110 .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espond flexibly to changes in pressure, so that local negative pressure and cavitation can be prevented.

월류벽(220)을 월류하는 냉각수는 월류벽(220)의 상면과 유연성 시트(110)의 하면 사이를 통해 하류 측(240)으로 배수될 수 있다.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220 may be drained to the downstream side 240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110 .

또한, 유연성 시트(110)는 그 하단이 월류벽(220)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110)는 그 하단이 월류벽(220)의 전방 경사면(전면)을 지나 평평한 저면을 갖는 하류 측(240) 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extending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220). 1 and 2 ,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extends beyond the front inclined surface (front) of the overflow wall 220 and onto the downstream side 240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유연성 시트(110)의 길이에 관하여,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이 월류벽(220)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될 경우, 월류벽(220)의 전방 측 경사면(220a) 상에 월류벽(220)을 넘어 월류하는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접근 차단 통로가 유연성 시트(110)의 하측과 월류벽의 하류 측(240) 바닥 상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유연성 시트(110)의 하측과 월류벽의 하류 측(240) 바닥 상측 사이의 통로는 빨라지는 유속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압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이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서 하류 수면 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적당한 누름 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로 수중에 위치할 수 있어, 공기 유입으로 인한 거품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sheet 110, whe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provided with a length extending to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220, on the front side inclined surface 220a of the overflow wall 220 An air access block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ant overflowing beyond the overflow wall 220 may pass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an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At this time, the passag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an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ide of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may be relatively low pressure due to the fast flow rate, which causes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to be the overflow wall. Since it is not exposed on the downstream water surface from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 and can be located in the water with an appropriate pressing pressure applied, the generation of bubbles due to the inflow of air can be more effectively blocked.

또한, 유연성 시트(110)의 상단측(예를 들면 집수실 수면 부근)에서 유연성 시트(110) 하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유연성 시트(110) 하측에서 빠른 유속에 의해 세분화나 미립화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유연성 시트(110)는 공기혼입을 차단하기 위해 그 상단측(후단측)이 집수실(210)의 수면에 밀착하여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집수실(210)에 집수되는 냉각수의 수위(수면 높이 또는 레벨)는 냉각수의 유입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유연성 시트(110)는 집수실(210)에 집수된 냉각수의 수위 변동에 대응하여 유연성 시트(110)가 집수실(210)의 수면에 접하도록 기능하는 구성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for example, near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room), the subdivision or atomization may proceed by a high flow rat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The flexible sheet 11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its upper end (rea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in order to block air mixing. Since the water level (water level or level) of the coolant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fluctuat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olant flowing in, the flexible sheet 110 responds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The flexible sheet ( 110 ) may be provided in a form connected to a configuration that functions to be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이와 관련하여,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집수실(210)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부유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유체(120)는 그 하면이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향으로 볼록한 부유체(120)의 하면 형상은 볼록한 유선형의 곡면 형상,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한 호형의 곡면 형상, 또는 타원형의 곡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유체(120)는 월류벽(22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월류되는 냉각수에 대한 거품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부유체(120)의 횡 방향 연장 길이는 월류벽(220)의 냉각수가 월류되는 폭만큼, 또는 상기 폭에 가까운 폭만큼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부유체(120)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flexible seat unit 100 may include a floating body 120 dispos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Referring to FIG. 1 , the floating body 120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convex shape. Exemplarily,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wardly convex floating body 120 may be a convex streamline curved surface shape, a convex arc-shaped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or an elliptical curved surfac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loating body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flow wall (220). In order to reduce the generation of bubbles for the overflowing coolan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extension length of the floating body 120 is set as much as the width through which the coolant overflows of the overflow wall 220 or by a width close to the width. there is. Also,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floats 120 may be provided to b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전단)과 상단(후단) 사이 적어도 일부에 유연성 시트(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간보강재(18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면적 또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냉각수 집수조(200)를 갖는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의 경우, 유연성 시트(110)는 폭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져야 하고, 냉각수의 월류(달리 말해, 월류벽을 넘어 낙하) 과정에서 유연성 시트(110)가 변형되면서, 유연성 시트(110)의 폭 방향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중간보강재(18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간보강재(180)는 유연성 시트(110)의 상면(전단과 후단 사이의 윗면) 상에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보강재(180)는 바 또는 막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 at least a portion between the lower end (front end) and the upper end (rea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s 180 to prevent the flexible sheet 110 from being deformed. can In the cas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having the cooling water collection tank 200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or volume, the flexible sheet 110 should have a wid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a long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overflow of the coolant (In other words, as the flexible sheet 110 is deformed in the process (in other words, falling over the overflow wall),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so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180 prevents this. may be provided for. Illustratively,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 18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lexible sheet 110 in a form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 18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or a b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중간보강재(180)를 통해 유연성 시트(110)가 횡 방향을 축으로 하는 휨 변형은 허용하면서 다른 방향을 축으로 하는 휨 변형 또는 뒤틀림은 방지될 수 있어, 유연성 시트(110)가 플렉서블하면서도 원하는 방향에 대한 휨 변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효율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 18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lexible sheet 110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or twisting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allowing bending deform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s an axis, so that the flexible sheet It is possible to form an efficient structure in which 110 is flexible and selectively allows bending deformation in a desired direction.

또한,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의 펄럭임이 저감되도록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100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7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to reduce flapping of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

보강부재(17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또한,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부유체(120)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월류벽(22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횡 방향을 회전중심축으로 하는 힌지부(150) 및 힌지부(150)에 힌지 결합되고 부유체(120)와 연결되는 회전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r rear than the floating body 120 and a hinge part 150 and a hinge part having a later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flow wall 220 as a rotational center axis (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160 that is hinged to 150 and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120 .

즉, 유연성 시트(100)의 상단은 집수실(210)에 집수된 냉각수의 수면과의 밀착을 돕기 위해 월류벽(220)의 상방에서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집수실(210)의 수위 변동에 따라 회전 거동하는 회전부재(160)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00 is installed rotatably with a hinge from above the overflow wall 220 to help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adhere to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fluctuates. I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160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

또한, 힌지부(150)는 부유체(12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part 15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loating body 120 .

회전부재(160)는 일 예로 힌지부(150)와 결합되고 부유체(120)와 연결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전부재(160)는 힌지부(150)의 폭 방향 일단 및 폭 방향 타단에서 힌지부(150)와 각각 결합되고 부유체(12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바 또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rotat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plate shape coupled to the hinge unit 150 and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120 . As another example, the rotating member 160 is coupled to the hinge unit 150 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inge unit 150 ,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120 , and is a pair of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 a bar or bar shape.

또한,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롤러 카트리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unit 100 may include a roller cartridge 130 .

롤러 카트리지(130)에는 유연성 시트(110)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시트(110)의 상단은 접착제 의해 접합되어 연결되거나 나사못, 볼트 등의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fixed to the roller cartridge 130 .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connected by bonding or fixed to the roller cartridge 130 by a separate fixing means such as screws or bolts.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유연성 시트(110)가 감기는 감김 방향 및 유연성 시트(110)가 풀리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유체(12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rotatably in a 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110 is wound and in an un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110 is unwound.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집수실(210)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부유체 (12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카트리지(130)는 부유체(120)의 후단측에 설치됨으로써 부유체(1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롤러 카트리지(130)는 회전부재(160)의 후단측에 설치됨으로써 부유체(120)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본원 명세서 전반에서, 상기 감김 방향 및 상기 풀림 방향이라는 회전 방향을 표현하는 용어는 후술할 도 6에 도시된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 반시계 방향(도 6 기준 A 방향) 및 시계 방향(도 6기준 B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Illustratively,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direct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by being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20). As another example,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installed indirectly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by being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otating member 160.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winding direction and the unwinding direction are referred to. The expression terms may refer to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irection A of FIG. 6 ) and a clockwise direction (direction B based on FIG. 6 ), respectively,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shown in FIG. 6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감김 방향 및 상기 풀림 방향은 예시적으로, 롤러 카트리지(130)에 유연성 시트(110)가 와인딩(Winding)되는 방향 및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유연성 시트(110)를 감는 것은 와인딩(Winding) 하는 것을 의미하고, 롤러 카트리지(130)의 유연성 시트(110)를 푸는 것은 언와인딩(Unwinding)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direction and the unwinding direction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110 is wound on the roller cartridge 130 and a direction in which it is unwinding. In other words, winding the flexible sheet 110 on the roller cartridge 130 means winding, and unwinding the flexible sheet 110 of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mean unwinding. .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유연성 시트(110)가 부유체(120)의 후방으로부터 부유체(120)의 하측을 지나 부유체(120)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부유체(12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유연성 시트(110)가 부유체(120)의 후방으로부터 부유체(120)의 하측을 지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부유체(120)가 전방으로 연장된 유연성 시트(11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유연성 시트(11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is to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so that the flexible sheet 110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floating body 120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floating body 120 to the front of the floating body 120 . can The flexible sheet 110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floating body 120 past the lower side of the floating body 120 so that the floating body 120 presses the flexible sheet 110 extending for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flexible sheet 110 in the upward direction.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월류벽(220)을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유연성 시트(110)의 일부가 접촉되면서 작용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작은 회전 마찰력을 갖도록 부유체(12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is to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120 so as to have a rotational friction forc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loosening direction that is applied while a part of the flexible sheet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w of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220 . can

상기 회전 마찰력은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긴 유연성 시트(110)가 풀림 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방해하도록 감김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마찰력은 유연성 시트(110)의 재질,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긴 유연성 시트(110) 간의 간격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rotational friction force may mean frictional resistance acting in the winding direction to prevent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from being unwound in the unwind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rotational friction forc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flexible sheet 110 , the spacing between the flexible sheets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 and the like.

따라서, 만일 롤러 카트리지(130)가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유연성 시트(110)의 일부가 접촉되면서 작용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큰 회전 마찰력을 갖도록 구비된다면, 유연성 시트(110)가 냉각수의 흐름에 일부 접촉된다 하더라도 풀림 방향으로 더 이상 풀리지 않게 된다.Therefore, if the roller cartridge 130 is provided to have a rotational friction force greater tha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loosening direction applied while a part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in contact with the overflowing flow of coolant, the flexible sheet 110 is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low of the coolant.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it is no longer loosen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반면에, 롤러 카트리지(130)가 상기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작은 회전 마찰력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긴 유연성 시트(110)가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그 일부가 접촉되로록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풀림 방향으로 풀리면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유연성 시트(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롤러 카트리지(130)에 상기 풀림 방향으로 풀림 방향 회전력이 전달되어 롤러 카트리지(130)로부터 유연성 시트(110)가 그 전체 길이만큼 상기 풀림 방향으로 풀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ller cartridge 130 is provided to have a rotational friction forc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unwinding direction,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a part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overflowing coolant flow. When the flexible sheet 110 is moved forward by the flow of the overflowing coolant, rotational force in the unwinding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cartridge 130 in the unwinding direction, and the flexible sheet 110 from the roller cartridge 130 when it is unwound in the unwinding direction. can be unwound in the unwinding direction by its entire length.

이에 따라,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긴 유연성 시트(110)를 풀기 위한 별도의 구동력 제공 없이도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따라 유연성 시트(110)의 후단은 집수실(210)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은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and the front end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overflowing coolant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riving force for unwinding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 It may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교체를 위한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 주기는 유연성 시트(110)의 재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유연성 시트(110)는 영구 또는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or replacement.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lexible sheet 110 . For example, the flexible sheet 110 made of rubber may be installed permanently or semi-permanentl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이 월류벽(220)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롤러 카트리지(130)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winding direction greater than the loosening direction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220 . It may include a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130 .

또한, 구동력 제공부(140)는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유연성 시트(110)의 감김 방향 회수를 위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130 in order to recover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before removal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130 .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이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란 유연성 시트(110)가 롤러 카트리지(130)로부터 그 전체 길이만큼 완전히 풀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sheet 110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roller cartridge 130 by its entire length.

유연성 시트(110)의 하단이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은 월류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롤러 카트리지(13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은 구동력 제공부(140)에 의해 전달되어 롤러 카트리지(130)를 감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in the release direction generated whe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is a force acting to rotate the roller cartridge 130 in the release direction by the flow of the overflowing coolant. can mean Conversely, the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may refer to a force transmitted by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to rotate the roller cartridge 130 in the winding direction.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전체 길이가 롤러 카트리지(130)로부터 풀려 전단이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의 유연성 시트(11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감김 방향으로 유연성 시트(110)를 회수 (Winding)하여야 한다. 이 때 유연성 시트(110)가 회수되기 위해서는 구동력 제공부(140)가 유연성 시트(110)가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월류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유연성 시트(110)에 작용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야 한다.In order to replace the flexible sheet 110 in a state where the entire length is released from the roller cartridge 130 by the flow of coolant and the front end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the flexible sheet 110 is recovered in the winding direction ( Winding).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lexible sheet 110 to be recovered,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is applied to the flexible sheet 110 by the flow of coolant overflowing in the state where the flexible sheet 110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A winding-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greater than the applied unwinding-direction rotational force shall be provided.

예를 들어 구동력 제공부(140)는 회전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카트리지(130)는 상기 회전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motor.

또한, 예시적으로 구동력 제공부(140)는 롤러 카트리지(130)의 풀림 방향 회전 및 감김 방향 회전 모두에 관여하는 2방향 구동이 가능한 회전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llustratively,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may include a rotational driving motor capable of two-way driving involved in both the unwinding direction rotation and the winding direction rotation of the roller cartridge 130 .

예를 들어, 2방향 구동이 가능한 회전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력 제공부(140)는 롤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유연성 시트(110)의 감김 방향 회수를 위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거나 새로운 롤러 카트리지(130)로 교체되어 새로이 공급된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겨 있는 유연성 시트(110)를 풀림 방향으로 풀어 월류벽(220)을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유연성 시트(110)의 일부가 접촉되도록 풀림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including a rotational driving motor capable of two-way driving rotates in the winding direction on the roller cartridge 130 to recover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before removal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The flexible sheet 110 in the flow of the coolant overflowing the overflow wall 220 by unwinding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on the newly supplied roller cartridge 130 to provide a driving force or to be replaced with a new roller cartridge 130 in the unwinding direction. ) may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loosening direction so that a part of the contact is made.

또한, 구동력 제공부(140)는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태 및 풀림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witchable to any one of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winding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unwinding direction is provided.

또한, 구동력 제공부(140)는 롤러 카트리지(130)와 분리된 분리 상태 및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롤러 카트리지(130)와 결합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can be switched to any one of a separated state separated from the roller cartridge 130 and a state coupled with the roller cartridge 130 to provide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130 . can be provided.

또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력 제공부(140)는 롤러 카트리지(130)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may be fixed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roller cartridge 130 .

도 3은 계류 로프, 부유체 및 롤러 카트리지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mooring rope, a float and a roller cartridge, and FIG. It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유체(120)는 계류 로프(111)에 의해 집수실(210)의 수면에 부상하여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floating body 12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b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by the mooring rope 111 .

예를 들어, 부유체(120)는 전단이 부유체(120)와 연결되고 후단이 집수실의 후방 내벽 일부에 고정된 계류 로프(111)에 의해 집수실(210)의 수면에 부상하여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oating body 120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120 and a rear end thereof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room 210 by a mooring rope 111 fixed to a part of the rear inner wall of the water collecting room so that it is positioned. can be provided.

이 때, 계류 로프(111)에 의해 부유체(120)가 집수실(210)에서 월류벽(220)을 넘어 하류 측(240)으로 배수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집수실(210)의 수면을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by the mooring rope 111 , the floating body 120 moves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by the flow of the coolant drained from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to the downstream side 240 over the overflow wall 220 . departure can be prevented.

계류 로프(111)의 길이는 배수되는 냉각수의 유속이 빨라 계류 로프(111)가 팽팽해진 상태에서 계류 로프(111)의 전단과 연결된 부유체(120)가 집수실 (210)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위치되는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mooring rope 111 is such that the flow rate of the drained cooling water is high so that the floating body 12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oring rope 111 floats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in a state where the mooring rope 111 is tau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ength to be positioned.

또한, 계류 로프(111)의 후단이 고정되는 집수실(210)의 후방 측 내벽 일부의 상하 방향 높이는 집수실(210)에 집수되는 냉각수의 일반적인 수위 변동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height of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rea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mooring rope 111 is fixe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level fluctuation of the coolant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실시예에 따라, 계류 로프(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oring rope 111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number.

도 5는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도 5를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의 펄럭임이 저감되도록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70)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lexible sheet unit 100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7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to reduce flapping of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include a base plate 17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

또한, 횡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171)에 의해 유연성 시트(110)가 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exible sheet 110 from being de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base plate 17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보강부재(170)는 베이스 플레이트(17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that ar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7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복수의 구획부재(172)는 후단의 하향 돌출길이보다 전단의 하향 돌출길이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end is greater than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rear end.

또한, 복수의 구획부재(17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71)의 하측 후단에 진입한 월류수의 유속(V1)보다 베이스 플레이트(171)의 하측 전단을 통과하는 월류수의 유속(V2)이 감소될 수 있다. (V1>V2)In addition,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the flow rate (V 2 ) of overflow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front end of the base plate 171 than the flow rate (V 1 ) of the overflow water entering the lower rear end of the base plate 171 (V 2 ) can be reduced. (V 1 >V 2 )

구체적으로,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에서 보강부재(170)의 하측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동 단면적은 후단의 하향 돌출길이보다 전단의 하향 돌출길이가 크도록 구비된 복수의 구획부재(172)에 의해 전방을 향할수록 넓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70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provided such that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end is greater than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rear end. It can become wider as it goes forward.

또한, 복수의 구획부재(172)에 의해 전방을 향할수록 유동 단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월류수의 유속이 줄어들게 되고 보강부재(170)를 통과한 후의 냉각수 유동의 압력은 상승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is widened toward the front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 the flow rate of overflow water is reduced, and the pressure of the coolant flow after passing through the reinforcing member 170 may increase.

즉, 복수의 구획부재(172)가 후단의 하향 돌출길이보다 전단의 하향 돌출길이가 크도록 구비됨에 따라 보강부재(170)를 통과하기 전과 보강부재(170)를 통과한 후의 냉각수 유동의 압력차가 커지고 유연성 시트(110)의 하측과 월류벽의 하류 측(240) 바닥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동은 진공에 가까운 저압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s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are provided so that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end is greater than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rear end,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coolant flow before passing through the reinforcing member 17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reinforcing member 170 . The flow of cooling water growing and passing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sheet 110 and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can form a low pressure close to a vacuum.

이에 따라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은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누름 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로 수중에 위치할 수 있어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의 펄럭임이 저감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located in the water with a pressing pressure a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flap of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reduced.

또한, 복수의 구획부재(172)는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칸막이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획부재(172)는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을 통과하는 냉각수 유동의 불규칙적인 소용돌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수 유동에 따른 와류(또는 난류)의 발생이 방지되어 유연성 시트(110)의 전단의 와류(또는 난류) 발생에 의한 펄럭임이 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unction as a partition.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172 may prevent the occurrence of irregular vortices of the coolant flow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 Accordingly, the generation of a vortex (or turbulenc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oolant is prevented, so that the fluttering caused by the vortex (or turbulence)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110 can be reduced.

도 6은 롤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유연성 시트가 감김 방향으로 회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recovered in the winding direction before detachment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도 6을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110)는 구동력 제공부(140)에 의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A 방향)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어 롤러 카트리지(130)가 감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를 위해 회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lexible sheet 110 provides a driving force in the winding direction (direction A) to the roller cartridge 130 by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40 to rotate the roller cartridge 130 in the winding direction, thereby rotating the roller cartridge. 130 may be recovered for replacement.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회수가 완료된 롤러 카트리지(130)는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를 위해 회전부재(16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6 , the roller cartridge 130 that has been collected may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160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130 .

도 7은 롤러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호이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hoist for replacing the roller cartridge.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를 위한 호이스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hoist 300 for replacing the roller cartridge 130 .

호이스트(300)는 롤러 카트리지(13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고, 새로운 롤러 카트리지(130)를 부유체(120) 또는 회전부재(160)에 전달하거나 기 설치되어 사용된 후 교체를 위해 유연성 시트(110)가 감김 방향으로 회수된 롤러 카트리지(130)를 부유체(120) 또는 회전부재(160)로부터 회수하는 교체 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ist 300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roller cartridge 130, and the new roller cartridge 130 is transferred to the floating body 120 or the rotating member 160, or a flexible sheet ( 110 ) may include a replacement unit 310 for recovering the roller cartridge 130 recovered in the winding direction from the floating body 120 or the rotating member 160 .

또한, 호이스트(300)는 교체 유닛(310)과 결합되는 연결부재(311)가 구비되고 교체 유닛(310)을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320) 및 승강 유닛(320)이 연결되고 승강 유닛(320)을 지지하는 몸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 3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311 coupled to the replacement unit 310, and the lifting unit 320 and the lifting unit 320 for elevating the replacement unit 310 are connected and the lifting unit 320. It may include a body portion 330 for supporting the.

또한, 교체 유닛(310)은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으로 감긴 유연성 시트(110)가 소정의 길이 이상 풀리도록 풀림 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체 유닛(310)은 유연성 시트(110)가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유연성 시트(110)의 감김 방향 회수를 위해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김 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lacement unit 31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in the unwinding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in the winding direction is unwound by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n addition, the replacement unit 310 is a roller cartridge for recoveri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before detachment for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130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sheet 110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force (130).

또한, 집수실(210)의 적어도 일부에 유연성 시트 유닛(100)과 후방으로 이웃한 작업 발판(34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eat unit 100 and the working scaffold 340 adjacent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작업 발판(340)은 예시적으로 롤러 카트리지(130)의 교체 작업, 롤러 카트리지(130)에 감긴 유연성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를 유연성 시트(110)의 일부가 집수실(210)에 집수된 냉각수 흐름에 접촉되도록 풀림 방향으로 푸는 작업, 호이스트(300)의 교체 유닛(310)과 롤러 카트리지(130)의 장착 또는 탈착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구비된 구조물일수 있다.The working scaffold 340 is an exemplary replacement of the roller cartridge 130 ,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wound around the roller cartridge 130 , and a part of the flexible sheet 110 is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chamber 210 . It may be a structure provided so that the operator can step in the process of unwinding in the unwinding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olant flow, and installing or detaching the replacement unit 310 and the roller cartridge 130 of the hoist 300 .

예를 들어, 작업 발판(340)은 집수실(210)의 횡 방향 일측 내벽 일부와 횡 방향 타측 내벽 일부 사이에 연결된 구조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업 발판(340)은 집수실의 후단 측 벽면과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집수실(21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working scaffold 340 may be a structure connected between a part of the inner wall of one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oth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 As another example, the work scaffold 34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wall of the water collection chamber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and may be provided to rise or fal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on chamber 2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힌지부와 부유체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hinge unit and a floating body, and FIG. 9 is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 It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의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전술한 부유체(120), 힌지부(150) 및 회전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 the flexible sheet unit 100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loating body 120 , the hinge unit 150 and the rotating member 160 . may include.

또한, 유연성 시트(110)는 부유체(120)의 후방으로부터 부유체(120)의 하측을 지나 부유체(120)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부유체(12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 120 so as to extend from the rear of the float 120 past the lower side of the float 120 to the front of the float 120 .

도 10은 부유체와 계류 로프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floating body and a mooring rope, and FIG. 11 is a foam reduction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FIG. It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structure.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110)는 후단이 부유체(120)의 전단 측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어 집수실(210)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이 월류벽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10 and 11 , the flexible sheet 110 has a rear end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20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210 and the front end is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It can be installed to be located in

도 12는 힌지부가 구비된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flexible seat unit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and FIG. 13 is a view of the inside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f FIG. It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nation.

도 12및 도 13을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 유닛(100)은 전술한 힌지부(150) 및 회전부재(160)을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 the flexible seat unit 10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hinge unit 150 and the rotating member 160 .

또한, 회전부재(160)는 집수실(210)의 수위 변동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15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하중전달 부재(161)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160 may include a load transmitting member 16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inge unit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response to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collection chamber 210 . .

하중전달 부재(161)는 도 12를 참조하면, 횡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또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2 , the load transfer member 161 may have a bar or bar shap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4는 유연성 시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중간보강재 및 월류벽 또는 월류벽의 하류 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배플 피어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reinforcemen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and a baffle pi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overflow wall or a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도 14를 참조하면, 중간보강재(180)에 의해 유연성 시트(110)가 횡 방향으로의 과도한 변형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배플 피어(190)에 의해 월류벽의 하류 측(240)의 유속이 느려져, 유연성 시트(110)의 과도한 펄럭임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excessive deform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110 may be corrected by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 180 .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4 , the flow rate of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is slowed by the baffle pier 190 , so that excessive flapping of the flexible sheet 110 can be prevented.

예시적으로, 냉각수 집수조의 하류 측(240) 바닥에 배플 피어(19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플 피어(190)는 월류벽(220)의 전방 측 경사면(220a) 상측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baffle piers 19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cooling water collection tank. As another example, one or more baffle piers 190 may be installed above the front side inclined surface 220a of the overflow wall 220 .

또한, 중간보강재(180)는 유연성 시트(110)의 상면 상에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s 18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110 in a form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중간보강재(180) 및 배플 피어(190)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또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aterial 180 and the baffle pierce 190 may have a bar or bar shap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15a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5b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15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a perforated pipe installed for supply of a foam reducing material, and FIG. 15B is a perforated tube installed for supplying a foaming reducing material. It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의 유연성 시트(110)는, 그 하단이 월류벽(220)의 하류 측(240)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하류 측(240)의 바닥 중 유연성 시트(110)가 덮고 있는 바닥 영역 상에 배치되고 관 둘레에 복수의 홀(251)이 형성된 유공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15A and 15B, the flexible sheet 110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extended so that its lower end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240 of the overflow wall 220 length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posed on the floor area covered by the flexible sheet 110 of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251 around the tube. It may include the formed perforated tube 250 .

여기서, 유공관(250)이 배치되는 바닥 영역은, 하류 측(240)의 바닥 중 월류벽(220)의 상면과 유연성 시트(110)의 하면 사이를 통해 월류벽(220)을 월류한 냉각수 중 적어도 일부가 도달하는 바닥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bottom region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250 is disposed is at least one of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220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110 among the bottoms of the downstream side 240 . It can mean the floor area that some reach.

또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복수의 홀(251)은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 배출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전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유공관(250)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공관(250)의 후방 측, 상방 측, 하방 측 등을 포함하여 유공관(250)의 관 둘레의 소정의 영역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5A and 15B , the plurality of holes 251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erforated pipe 250 so that the foam reduction material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251 flows toward the front. may b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tube of the perforated tube 250 including the rear side,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tube 250 .

또한, 복수의 홀(251) 간의 간격은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251) 간의 간격은, 냉각수의 배수 특성 또는 유공관(250)이 설치되는 바닥 영역의 구조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Also,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251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with reference to FIGS. 15A and 15B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251 may be determined at various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the cooling water drainage characteristic o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floor area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250 is installed.

또한, 유공관(25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252, 25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formed with inlets 252 and 253 through which the foam reduction material is introduced.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유공관의 양단(252, 253)을 통하여 양 방향으로(도 15b 기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 및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양단 중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252)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유공관(250)의 타단은 닫힌(Dead End)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양단 중 타단에 형성된 유입구(253)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유공관(250)의 일단은 닫힌(Dead End)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5b,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can be introduce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ased on Fig. 15b) through both ends 252 and 253 of the perforated pi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foam reduction material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52 formed at one end of both ends, and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provided in a closed (dead end) shape. As another example, the foam reduction material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53 formed at the other end of both ends, and in this case, one end of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provided in a closed (dead end) shape.

여기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소포제(antifoaming agen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냉각수의 배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점질 거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기 발생된 점질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약액, 기체 등의 다양한 화학 물질(chemical)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may be an antifoaming ag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am-reducing material includes various chemicals such as chemicals and gases that function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viscous bubbles that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drainage of cooling water or to remove the viscous bubbl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can do.

또한, 유공관(250)은 바닥 영역 상에서 폭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공관(250)은 하류 측(240)의 바닥을 횡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공관(250)은 월류벽(240)의 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공관(250)의 일부는 바닥 영역 상에서 폭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유공관(250)의 나머지는 바닥 영역 상에서 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n the floor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to cross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 example,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in a longitudinally extending for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verflow wall 240 . As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the perforated tube 250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n the floor area, and the remainder of the perforated tube 250 may be disposed on the floor area in a form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floor area.

도 15b를 참조하면, 전술한 폭 방향은 도 15b를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술한 횡 방향은 도 15b를 기준으로 9시-3시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B , the aforementioned width direction may be understood to indicate a 12 o’clock-6 o’clock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5B , and the aforementioned lateral direction may be understood to indicate a 9 o’clock-3 o’clock direction based on FIG. 15B . can be

이하에서는, 유공관(250)에 유입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 및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출된 거품 생성 물질이 배수되는 냉각수와 혼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in which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pipe 250 is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251 and the cooling water through which the foaming material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251 is drained Describe the process of mixing with

먼저,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배출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유공관(250)에 유입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월류벽(220)의 전면과 유연성 시트(110) 사이 또는 하류 측(240)의 바닥과 유연성 시트(110)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형성되는 유공관(25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 배출될 수 있다.First, with respect to the process in which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is discharged,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pipe 250 is between the front of the overflow wall 220 and the flexible sheet 110 or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an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erforated pipe 250 formed by the cooling water passing between the flexible sheets 110 , it may b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251 .

구체적으로, 유공관(250)은 하류 측(240)의 바닥 중 하류 측으로 배출된 냉각수에 의해 저압이 형성되는 저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공관(250)은 월류벽(240)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유공관(250)은 월류벽(22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in a low pressure region where a low pressure is formed by the coolant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 Illustratively,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4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erforated pipe 2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

즉, 유공관(250)이 설치되는 저압 영역에서는, 월류벽(220)을 월류하는 냉각수가 월류벽(220)의 상면과 유연성 시트(110)의 하면 사이 또는 하류 측(240)의 바닥과 유연성 시트(110)의 하면 사이를 통해 하류 측(240)으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냉각수가 통과하는 월류벽(220)의 상면 또는 하류 측(240)의 바닥과 유연성 시트(110)의 하면 사이의 좁은 간격에 의해 냉각수의 유속이 소정 수준 이상 빨라질 수 있으며, 유속이 빨라짐에 따라 냉각수의 압력(수압)이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흐르는 유공관(250) 내측의 압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압이 될 수 있다.That is, in the low pressure region where the perforated pipe 250 is installed,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220 i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110 or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and the flexible sheet In a narrow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or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through which the coolant passes in the process of being drained to the downstream side 240 through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110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may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as the flow rate increases, the pressure (water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may becom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pressure inside the perforated pipe 250 through which the foam reduction material flows.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250)이 구비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는 분무 장치, 스프레이 부재, 모터, 노즐, 동력 제공 장치 등에 의한 별도의 구동력이나 전원의 제공 없이도,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냉각수의 배수 흐름에 의해 형성되는 유공관(250) 내외부의 압력차(달리 말해, 석션압)에 따라 자연적으로 복수의 홀(251)을 통해 유공관(250)의 외부로(하류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provided with the perforated pipe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pray device, a spray member, a motor, a nozzle, a power supply device, etc.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 other words, suction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perforated pipe 250 (in other words, suction pressure) formed by the drain flow of the cooling water, the material to reduce generation naturally goes out of the perforated pipe 25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51 (toward the downstream side) can be emitted.

다음으로,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출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냉각수와 혼합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유공관(250)은 하류 측(240)의 바닥 중 월류벽(220)을 월류한 냉각수에 터뷸런스(turbulence)가 형성되는 터뷸런스 영역 내에 배치되거나, 터뷸런스 영역과 후방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뷸런스 영역은 월류벽(220)의 전면과 이웃(인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월류벽 하류에 형성되는 이러한 터뷸런스 영역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Next, in relation to the process in which the foaming reducing material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251 is mixed with the cooling water, the perforated pipe 250 overflows the overflow wall 220 of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240 . It may be disposed within a turbulence region where turbulence is formed in one coolant, or may be disposed rearwardly adjacent to the turbulence region. For example, the turbulence region may be a region adjacent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220 . Since such a turbulence region formed downstream of the overflow wall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유공관(250)이 설치되는 터뷸런스 영역에서는 월류벽(220)을 월류하여 배수되는 냉각수가 하류 측(240)으로 합류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와류, turbulence)에 의해, 복수의 홀(251)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유공관(250)의 외부로(하류 측으로) 배출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별도의 혼합 설비의 설치 없이도 배수되는 냉각수에 빠른 속도로 혼합(교반)될 수 있다. 즉, 터뷸런스 영역에 발생하는 난류(와류, turbulence)에 의해 유공관(250)으로부터 배출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농도가 냉각수 내에서 빠른 속도로 균일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turbulence region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250 is installed, the cooling water drained by overflowing the overflow wall 220 is merged into the downstream side 240 by turbulence (turbulence), a plurality of holes 251 . The foam reduction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downstream) of the perforated pipe 250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can be mixed (stirred) into the drained cooling water at a high speed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mixing facility.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the bubble generation reduc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erforated tube 250 due to turbulence (turbulence) occurring in the turbulence region may be uniformly rapidly in the cooling water.

종합하면, 본원의 발명자는 이러한 터뷸런스 영역 및 전술한 저압 영역과 연계하여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을 유입하여 배출하는 유공관을 배치함으로써, 유공관(250)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유공관(250)으로부터 자연 배출되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터뷸런스에 의해 자연 혼합되는 형태로 유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냉각수에 대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의 보다 균일한 혼합이 별도의 혼합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aken togethe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ranges a perforated tube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 bubble generation reduction material in connection with this turbulence area and the aforementioned low pressure area, so that the bubble naturally discharged from the perforated tube 25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 of the perforated tube 250 The organic action can be made in the form of natural mixing of the generation reducing material by turbulence, so that more uniform mixing of the foam generation reducing material with the cooling water can be effectively achieved without a separate mixing device.

참고로, 상술한 설명 중 저압 영역 또는 터뷸런스 영역은 실시예에 따라 그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의 유공관(250)이 배치되는 바닥 영역은, 저압 영역 및 터뷸런스 영역에 기초하여 유공관(250)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배출된 거품 생성 물질이 냉각수와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ow-pressure region or the turbulence region may partially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embodiments. In this regard, the bottom area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250 of the bubble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posed, based on the low pressure area and the turbulence area, the perforated pipe 250 is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It can be determined as an area in which the abatement material is easily discharged, and the discharged foam generating material is easily mixed with the cooling water.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와 연계된 일 실험예로 냉각소 집수조의 모형을 기초로 유연성 시트 설치 여부에 따른 거품 발생 모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foam gen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flexible sheet is installed based on the model of the cooling station water tank as an experimental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원의 냉각수 집수조의 모형을 두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 벽체가 설치될 수 있고, 분리된 공간의 일 영역(B)에는 본원의 유연성 시트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고, 분리된 공간의 타 영역(A)에는 유연성 시트와 같은 구조물을 미설치하여, 분리된 두 공간의 거품 발생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a separating wall that separates the model of the cooling water collection tan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to two spaces may be installed, and a structure such as the flexible shee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n area (B) of the separated space, and the separated space By not installing a structure such as a flexible sheet in the other area (A) of the space,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degree of bubble generation in the two separated spaces.

도 16을 참조하면, 유연성 시트와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 영역(B)에 유연성 시트와 같은 구조물이 미설치된 영역(A)보다 훨씬 적은 점질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10)의 각별한 거품 저감 효과를 유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it can be seen that much less viscous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region (B) in which a structure such as a flexible sheet is installed than in the region (A) in which a structure such as a flexible sheet is not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nfer the special foam reduction effect of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100: 유연성 시트 유닛
110: 유연성 시트
111: 계류 로프
120: 부유체
130: 롤러 카트리지
140: 구동력 제공부
150: 힌지부
160: 회전부재
161: 하중전달 부재
170: 보강부재
171: 베이스 플레이트
172: 구획부재
180: 중간보강재
190: 배플 피어
200: 냉각수 집수조
210: 집수실
220: 월류벽
230: 유입구
240: 하류 측
250: 유공관
251: 홀
300: 호이스트
310: 교체 유닛
311: 연결부재
320: 승강 유닛
330: 몸체부
340: 작업 발판
10: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100: flexible seat unit
110: flexible sheet
111: mooring rope
120: floating body
130: roller cartridge
140: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150: hinge
160: rotating member
161: load transfer member
170: reinforcing member
171: base plate
172: partition member
180: intermediate reinforcement
190: baffle pier
200: cooling water sump
210: catchment room
220: overflow wall
230: inlet
240: downstream
250: perforated tube
251: Hall
300: hoist
310: replacement unit
311: connecting member
320: elevating unit
330: body portion
340: work scaffold

Claims (14)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에 있어서,
플랜트에서 사용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소정의 수위까지 집수하는 집수실 및 상기 집수실 내에 집수된 냉각수 중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어서는 냉각수를 하류 측으로 월류시키도록 상기 집수실의 전방에 구비되는 월류벽을 포함하는 냉각수 집수조; 및
후단이 상기 집수실의 수면 상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유연성 시트를 갖는 유연성 시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월류벽을 월류하는 냉각수는 상기 월류벽의 상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하류 측으로 배수되고,
상기 유연성 시트는, 그 하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는, 상기 하류 측의 바닥 중 상기 유연성 시트가 덮고 있는 바닥 영역 상에 배치되고 관 둘레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유공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에 유입된 거품 생성 저감 물질은, 상기 월류벽의 전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 사이 또는 상기 하류 측의 바닥과 상기 유연성 시트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공관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자연 배출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In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plant is introduced is formed, and a water collecting room that collects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inlet up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and the cooling water that exceeds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mong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overflows downstream. a cooling water collecting tank including an overflow wall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a flexible sheet unit having a flexible sheet having a rear en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a front en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wall is drained to the downstream side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The flexible sheet is provided with a length extending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perforated pipe disposed on a bottom area covered by the flexible sheet among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round the pipe,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erforated pipe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 material for reducing foaming is introduced,
The bubble generation reduc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tube is formed by the cooling water passing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flexible sheet or between the bottom and the flexible sheet on the downstream sid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erforated tub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holes,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집수실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유연성 시트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유연성 시트가 감기는 감김 방향 및 상기 유연성 시트가 풀리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롤러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집수실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sheet unit,
a floating body dispos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and a roller cartridge having an upper end of the flexible sheet fixed and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in a 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wound and in an un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heet is unwound,
The roller cartridge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유연성 시트가 상기 부유체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하측을 지나 상기 부유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ller cartridge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 so that the flexible sheet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float to the lower side of the float and to the front of the float, the foam reducing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시트는, 그 하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sheet, the lower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length extending to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상기 월류벽을 월류하는 냉각수의 흐름에 상기 유연성 시트의 일부가 접촉되면서 작용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작은 회전 마찰력을 갖도록 상기 부유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ller cartridge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body so as to have a rotational friction forc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loosening direction applied while a part of the flexible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flow of the coolant overflowing the overflow wall.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단이 상기 월류벽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풀림 방향 회전력보다 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카트리지는 교체를 위한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교체를 위한 탈착 전 상기 유연성 시트의 감김 방향 회수를 위해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greater than the unwinding direction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sheet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overflow wall to the roller cartridge,
The roller cartridge is installed detachably for replacement,
Wherein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provides a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for recoveri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sheet before detachment for the replacement,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롤러 카트리지와 분리된 분리 상태 및 상기 롤러 카트리지에 상기 감김 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롤러 카트리지와 결합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switchable to any one of a state separated from the roller cartridge and a state coupled with the roller cartridge to provide the winding direction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rtridge struct.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집수실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부유체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월류벽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횡 방향을 회전중심축으로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sheet unit,
a hing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floating body arrang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chamber and having a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flow wall as a center of rotation; and
The hinge-coupled to the hinge portion and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bubble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부유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inge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floating body,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시트 유닛은,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의 펄럭임이 저감되도록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sheet unit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to reduce flapping of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연성 시트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부재는 후단의 하향 돌출길이보다 전단의 하향 돌출길이가 크도록 구비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base plate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sheet,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are provided so that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end is greater than the downward protrusion length of the rear end, the foam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후단에 진입한 월류수의 유속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전단을 통과하는 월류수의 유속이 감소되는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the flow rate of overflow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front end of the base plate than the flow rate of the overflow water entering the lower rear end of the base plate is reduced, the bubble reduction drainage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at the time of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이 배치되는 바닥 영역은, 상기 하류 측의 바닥 중 상기 월류벽의 상면과 상기 유연성 시트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월류벽을 월류한 냉각수 중 적어도 일부가 도달하는 바닥 영역인 것인,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region in which the perforated pipe is disposed is a bottom region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lant overflowing the overflow wall throug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flow wal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sheet among the floors on the downstream side reaches drainage structure.
KR1020190073445A 2019-06-20 2019-06-20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KR102280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45A KR102280607B1 (en) 2019-06-20 2019-06-20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45A KR102280607B1 (en) 2019-06-20 2019-06-20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48A KR20200145048A (en) 2020-12-30
KR102280607B1 true KR102280607B1 (en) 2021-07-22

Family

ID=7408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45A KR102280607B1 (en) 2019-06-20 2019-06-20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60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25B1 (en) 2013-10-07 2014-05-2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pparatus for discharging sea water for reduce bubble occurren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505A (en) * 2008-10-22 2010-04-30 한국전력공사 Waterway structure for prevention of foam formation at the discharge channel of the power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25B1 (en) 2013-10-07 2014-05-2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pparatus for discharging sea water for reduce bubble occur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48A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36B2 (en) Oil film recovery apparatus and oil film recovery method
US7326336B2 (en) Water intake rotary screen
CN110725383B (en) Municipal sewage treatment system and sewage treatment method thereof
CN1964770A (en) Self cleaning gas filtering system and method
CN1035025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redging of sediments from the seabed
KR101218623B1 (en) Verticality guide plate form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using water flow of water treating apparatus
CN104452878B (en) A kind of coarse filtration formula pontoon water fetching device
CN109795618B (en) Ship water absorption device and ship
CN109763467A (en) Leaked offshore oil contaminant recovery unit
US4207191A (en) Anti-pollution boom
CN116887913A (en) Capturing carbon dioxide
KR102280607B1 (en) Discharge structure for reducing bublle occurrence using flexible sheet
US4224162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s and/or slimes floating on liquid surfaces
CN207562410U (en) A kind of novel rectangular sedimentation tank
JP5869375B2 (en) Seawater infiltration device
KR101690976B1 (en) Drain system
JP5336260B2 (en) Siphon drainage storage tank and siphon drainage system
US97761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from a body of water
TWI645109B (en) Pumping device
CN113502793B (en) Floated marine pollution cleaning device
JP2014156858A (en) Hydraulic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CN205662363U (en) Floating decanter
JP3062561B2 (en) Oil-water separator
CN102757110B (en) Combined oil collecting device of peripheral floating weir in sewage regulating tank
CN219909164U (en) Floating boat type movable water intake pump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