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052B1 -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 Google Patents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052B1
KR102280052B1 KR1020200014477A KR20200014477A KR102280052B1 KR 102280052 B1 KR102280052 B1 KR 102280052B1 KR 1020200014477 A KR1020200014477 A KR 1020200014477A KR 20200014477 A KR20200014477 A KR 20200014477A KR 102280052 B1 KR102280052 B1 KR 10228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slit
unit
transmission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태
김태일
김영문
김현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01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328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comprises: a housing; a camera module that is located in the housing, comprises a lens part mov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image sensor part coupled to the lens part, and mov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positioning, and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that is located in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part to transmit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part.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part extend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and a division part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division reg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amera device due to the positioning.

Description

신호 전달 모듈 및 카메라 장치{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device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신호 전달 모듈 및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a camera device.

요즘 휴대폰과 같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다.Nowadays, a camera devic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akes an image using an image sensor.

따라서, 최근의 카메라 장치는 렌즈(lens)가 장착되는 렌즈부, 렌즈부에 위치하고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부,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 모듈 등을 구비한다.Accordingly, recent camera devices include a lens unit to which a lens is mounted, an image sensor unit positioned in the lens unit and having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appli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촬영 시 외부 충격이나 손떨림 등으로 인한 불량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손떨림 방지 장치 및 렌즈부의 위치 정렬이나 초점 조절 등을 위해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정렬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Such a camera device is provided with an anti-shake device and a position align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to align the position or focus of the lens unit in order to prevent bad shooting due to external shock or hand shake during photographing.

따라서,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렌즈부의 위치 이탈을 보정하는 보정 동작하며, 정확한 렌즈부의 위치 정렬을 실시한다. Accordingly, a corr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correc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lens unit due to external impact, etc., and accurate alignment of the lens unit is performed.

이때, 렌즈부는 광축 방향(즉, 렌즈의 장착 방향) 뿐만 아니라 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렌즈부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lens unit aligns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not on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e, the lens mounting direction) but also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하지만 이러한 렌즈부의 정렬 동작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신호 처리 모듈로 전달하는 가요성 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달부 역시 렌즈부의 위치 정렬에 따라 위치가 뒤틀리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lignment operation of the lens unit, the posi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de of a flexible substrate that transmit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is also distort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lens unit.

따라서, 이러한 잦은 위치 정렬 동작으로 인한 신호 전달부의 뒤틀림 현상으로 인해 신호 전달부가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신호 전달부의 양 단에 위치하여 이미지 센서와 같이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connector)의 손상 또한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damaged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due to the frequent positioning operation. Also, the connector part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such as an image sensor. Damage to the connector may also occu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1889호(공개일자: 2006년07월14일, 발명의 명칭: 카메라 렌즈부의 수평 보정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1889 (published date: July 14, 2006, title of invention: horizontal correction device for camera lens unit)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66294(공개일자: 2012년06월22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카메라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6294 (published date: June 22, 2012, title of invention: vehicle camera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치 정렬로 인한 카메라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a camera device due to positioning.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와 결합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은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을 포함한다.A camera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lens unit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image sensor unit coupled to the lens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achieve position alignment a camera module and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located in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and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division reg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at least one of an edge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인접한 두 분할 영역 사이에는 슬릿이 위치할 수 있다.A sl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divided region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분할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을 구비한 제1 슬릿부 및 상기 신호 전달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슬릿부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을 구비한 제2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may be a plurality of portions positioned at an edge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division portions includes a first slit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rst slit and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Accordingly, it may include a second sli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slit.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slit part and the second slit part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he shapes of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를 서로 상이할 수 있다.An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slit may be different from an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slit.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adjac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be the same.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벤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fer unit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밴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slit may be located in the bending portion.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An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slit may be shorter than an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slit.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unit.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측단에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fer unit at a side end of the signal transfer unit.

한 쌍의 홈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서로 다른 측단에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The pair of grooves may be located at opposite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o face each other.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서로 다른 측단에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 may be deviated from different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벤딩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은 상기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신호 전달부와 인접한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further include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 first buffer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can do.

상기 제1 완충부는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buffer unit may be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housing.

상기 제1 완충부는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하여 인접한 상기 신호 전달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The first buffering part may be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housing and protruding toward the adjacent signal transmitt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신호 전달 모듈은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신호 전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extending in an extensio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divided part having a.

상기 적어도 분할 부분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The at least divided portion may be located at at least one of an edge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인접한 두 분할 영역 사이에는 슬릿이 위치할 수 있다. A sl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divided region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분할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을 구비한 제1 슬릿부, 그리고 상기 신호 전달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슬릿부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을 구비한 제2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division portion may be a plurality of portions positioned at an edge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vided parts includes a first slit part having at least one first slit, and a second slit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par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slit. It may include a slit part.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벤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fer unit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밴딩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second slit may be positioned at the bending portion, and an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slit may be shorter than an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slit.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측단에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fer unit at a side end of the signal transfer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신호 전달 모듈은 상기 신호 전달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ffer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housing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져 신호 전달부의 뒤틀림 현상이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신호 전달부에 위치하는 완충부에 의해 신호 전달부로 전달되는 힘을 완화시키고 분산시킨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mera device is aligned, even if a distortion phenomen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r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by the buffer unit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relieved and distributed. .

이로 인해,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렬로 인한 신호 전달부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된다.Accordingly, damage or breakag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due to alignment of the camera device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의 제1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장치의 신호 전달 모듈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신호 전달부의 분할 부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신호 전달 모듈의 제1 완충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ase of a housing is separated.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of the camera device shown in FIG. 1 .
5 to 7 are diagrams eac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vided por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unit in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the first buffer unit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in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these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a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6 .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10),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렌즈부(20), 렌즈부(20) 하부에 위치하여 렌즈부(20)에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부(30), 이미지 센서부(30)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 전달 모듈(40)을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 a lens unit 20 coupled to the housing 10 , and a lens unit 20 positioned below the lens unit ( An image sensor unit 30 coupled to the 20 , and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unit 30 may be provided.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케이스(11), 제2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case 11 , a second case 12 , and a second case 13 as shown in FIG. 2 .

이때, 제1 케이스(11)는 측면(111)과 상면(112)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케이스(11)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1)는 주로 카메라 장치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에워싸고 있는 케이스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case 11 may have a side surface 111 and an upper surface 112 ,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may be opened. Accordingly, the first case 11 may be a case that mainly surrounds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device.

이러한 제1 케이스(11)는 렌즈부(20)의 일부가 돌출되는 렌즈 돌출구(H11)를 구비하여 제1 케이스(11) 내부에 장착되는 렌즈부(20)의 일부가 렌즈 돌출구(H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case 11 has a lens protrusion H11 through which a part of the lens unit 20 protrudes, and a part of the lens unit 20 mounted inside the first case 11 forms the lens protrusion H1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측면(111)의 후단부 즉, 신호 전달 모듈(40)과 대응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어, 제1 케이스(11) 내부에 위치하는 신호 전달 모듈(40)의 일부는 개방된 후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The rear end of the side surface 111, that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fer module 40 is open, so that a part of the signal transfer module 40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rear end. are exposed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부(30)의 하면과 결합되어 이미지 센서부(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The second case 1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unit 30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se 11 to protect the image sensor unit 30 from the outside.

제3 케이스(13)는 제1 케이스(11)와 결합되어 개방된 제1 케이스(11)의 하면과 후단부의 일부를 에워싸고 있다.The third case 13 surrounds a portion of a lower surface and a rear end of the first case 11 coupled to the first case 11 and opened.

따라서, 제3 케이스(13)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면(131), 배면(132) 및 우측면(133)을 구비하고 있고, 좌측부와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Accordingly, the third case 13 has a lower surface 131 , a rear surface 132 , and a right surface 133 as shown in FIG. 3 , and the left and upper portions are open.

배면(132)은 제1 케이스(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우측면(133)은 개방된 제1 케이스(11)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The rear surface 132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ase 11 , and the right side 133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opened first case 11 .

이때, 우측면(133)의 상단은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단차 구조를 갖고 있고, 이 단차 구조에 의해, 제1 케이스(11)의 상면(12)의 내부면과 우측면(133)의 상단 사이에 빈 틈이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surface 133 has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middle part is concave, and by this step structur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first case 11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surface 133 . A gap occurs in the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이 빈 틈을 통해 신호 전달 모듈(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a part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gap.

따라서, 제1 케이스(11)은 하우징(10)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이루고, 제2 케이스(12)는 하우징(10)의 하면 일부를 이루며, 제3 케이스(13)는 하우징(10)의 후면 일부와 측면 일부를 이른다.Accordingly, the first case 11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second case 12 forms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the third case 13 forms a part of the housing 10 . part of the back and part of the side.

이러한 제1 내지 제3 케이스(11-13)에 에워싸여져 형성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렌즈부(20), 이미지 센서부(30) 및 신호 전달 모듈(40)이 위치한다.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first to third cases 11-13, the lens unit 20, the image sensor unit 3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re provided, as already described. Located.

렌즈부(20)는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lens unit 20 is located in the housing 10 and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러한 렌즈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 조립체(21)와 렌즈 조립체(21)와 결합되어 렌즈 조립체(21)의 초점 조절 등을 실시하는 렌즈 구동부(22)를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렌즈 조립체(21)와 렌즈 구동부(23)를 수납하는 렌즈 하우징(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lens unit 20 includes a lens assembly 21 having at least one lens and a lens driving unit 22 coupled to the lens assembly 21 to adjust the focus of the lens assembly 21 . If necessary, a lens housing 23 accommodating the lens assembly 21 and the lens driving unit 23 may be further provided.

따라서, 렌즈 조립체(21)는 렌즈 구동부(22)의 동작에 의해 광축을 따라 광축 방향(예, 도 3에서 상하 방향)(Y1)으로 이동하여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s assembly 21 ma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3 ) Y1 along the optical axis by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unit 22 to perform focus adjustment.

또한, 렌즈 조립체(21)와 하우징(10)의 틸팅 상태(tilting state)를 제어하여 렌즈 조립체(21)와 하우징(10)의 수평 방향(예, 평면 방향)으로의 위치 정렬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tilting state of the lens assembly 21 and the housing 10 , alignment of the lens assembly 21 and the housing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a planar direction) may be performed. .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10)의 렌즈 돌출구(H11) 위에 위치하여 렌즈부(20)나 하우징(10)을 수평 방향으로 위치 정렬을 실시하는 위치 정렬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the camera device of this example is positioned on the lens protrusion H11 of the housing 10 to align the lens unit 20 or the housing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ligning unit (50).

위치 정렬부(50)는 렌즈부(20)와 결합되어 렌즈부(20)를 제1 방향(예, 도 3에서 제1 수평 방향)(X1)으로 위치 정렬을 실시하는 한 쌍의 제1 정렬핀(51)과 하우징(10)과 결합되어 하우징(10)을 제2 방향(예, 도 3에서 제2 수평 방향)(X2)으로 위치 정렬을 실시하는 한 쌍의 제2 정렬핀(52)을 구비할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50 is coupled to the lens unit 20 to align the lens unit 20 in a first direction (e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FIG. 3 ) X1 of a pair of first alignment A pair of second alignment pins 52 coupled to the pin 51 and the housing 10 to align the housing 10 in the second direction (e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FIG. 3 ) (X2) can be provided.

제1 수평 방향(X1)과 제2 수평 방향(X2)은 모두 광축 방향(Y1)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제1 수평 방향(X1)과 제2 수평 방향(X2)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Bo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may cross the optical axis direction Y1 , and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제1 정렬핀(51)은 각각 인접한 렌즈부(20)의 해당 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역시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제2 정렬핀(52)은 각각 인접한 하우징(10)의 해당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A pair of first alignment pins 51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re coupled to corresponding portions of adjacent lens units 20, respectively, and a pair of second alignment pins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re also opposite to each other. The alignment pins 52 are each engaged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adjacent housing 10 .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위치 정렬부(50)의 구동 장치에 의해, 위치 정렬부(50)는 제1 방향(X1)이나 제2 방향(X2)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즉, 틸팅하여 렌즈부(20) 자체뿐만 아니라 렌즈부(20)가 결합된 하우징(10)의 평면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Therefore, by the driving device of the alignment unit 50 (not shown), the alignment unit 5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first direction (X1) or the second direction (X2), that is, by tilting it. In addition to the lens unit 20 itself, the planar position of the housing 10 to which the lens unit 20 is coupled may be aligned.

이러한 위치 정렬부(50)의 틸팅 동작에 의해, 렌즈부(20)와 하우징(1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져, 카메라 장치의 조립 공정 시 발생하는 조립 오차가 보정된다. By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positioning unit 50 , the lens unit 20 and the housing 10 are aligned, so that an assembly error occurring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amera device is corrected.

이러한 렌즈부(20)와 하우징(10)의 위치 정렬은 이미 알려져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에는 예시된 본 예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렬을 실시하는 모든 구조가 적용됨은 당연하다.The alignment of the positions of the lens unit 20 and the housing 10 is already know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ll structures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device using other methods as well as the illustrated example are applied to 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상 소자(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이미지 센서부(30)는 렌즈부(20)와 결합되어 있고 렌즈부(2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The image sensor unit 30 having an image sensor such as an imaging device (CCD) is coupled to the lens unit 20 and generates an image signal using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unit 20 .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 전달 모듈(40)과 연결되어 있어, 신호 전달 모듈(40)을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영상신호 처리 모듈로 출력하게 된다.The image sensor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to an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not shown). will do

본 예의 렌즈부(20)와 이 렌즈부(20)에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부(30)는 본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부(20)와 렌즈부(20)와 결합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30)를 구비하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다. The lens unit 20 of the present example and the image sensor unit 30 coupled to the lens unit 20 may constitute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in the housing 10 and includes a lens unit 20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image sensor unit 30 coupled to the lens unit 20, and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Position alignment is done.

신호 전달 모듈(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적어도 한번 굽어져 있는 즉 벤딩되어 있는(bending) 적어도 하나의 벤딩 부분(411)을 구비하고 있는 신호 전달부(41),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신호 전달부(41)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완충부(42), 신호 전달부(41)와 하우징(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43) 및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44)를 구비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s shown in FIGS. 2 and 4, is a signal having at least one bending portion 411 that is bent at least onc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extension to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bending. The transmission unit 41, the buffer unit 42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t least one buffer unit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the housing 10 ( 43) and a connector portion 44 for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커넥터부(44)는 신호 전달부(41)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해당 장치(예, 이미지 센서부(30) 및 영상신호 처리 모듈)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실시한다. The connector unit 44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to perform electrical and physical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device (eg, the image sensor unit 30 and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신호 전달부(41)는 가요성 성질을 갖고 있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연장 방향(D1)으로 연장되다가 굽어져 제1 연장 방향의 반대 "?戮* 제2 연장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has a flexible property, and as shown in FIG. 4 , it extends in the first extension direction D1 and then bends to the opposite of the first extension direction "?戮* second extension direction D2" can be extended to

따라서, 신호 전달부(41)는 끊김없이 제1 연장 방향(D1)과 제2 연장 방향(D2)으로 교대로 연장하고 있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 전달부(41)의 측면은 복수 층이 사형(meandering) 형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적층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Accordingly, the signal transfer unit 41 alternately extends in the first extension direction D1 and the second extension direction D2 without interruption, and as shown in FIG. 4 , the side surface of the signal transfer unit 41 has a plurality of side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ayers are stacked spaced apar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 meandering form.

이러한 신호 전달부(41)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CB(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CB)).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리를 위하여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신호선이나 전기전자 소자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신호 전달부(41)에는 신호의 입출력이나 전원 공급 등을 위한 신호선 및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기전자 소자 등일 인쇄되고 실장될 수 있다. Although the drawing does not show signal lines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n realit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cludes signal lines for input/output of signals or power supply and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for the purpose may be printed and mounted.

이와 같이, 신호 전달 모듈(40)의 신호 전달부(41)가 적어도 하나의 벤딩 부분(411)을 갖도록 벤딩되는 구조를 가져 두 장치 사이의 전기적인 및 물리적인 연결을 실시하므로,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렬로 인한 신호 전달부(41)의 손상이나 파손이 크게 감소하거나 줄어든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of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40 has a structure that is bent to have at least one bending portion 411 to perform electrical and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the position of the camera device Damage or breakag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due to alignment is greatly reduced or reduced.

즉,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렬을 위해 틸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30)가 결합되어 있는 렌즈부(20)의 틸팅 동작에 의해 신호 전달 모듈(40) 역시 해당 방향으로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til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camera device,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also tilt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lens unit 20 to which the image sensor unit 30 is coupled. .

이때, 신호 전달 모듈(40)이 위치하는 한정된 공간에 신호 전달부가 단순히 하나의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30)의 틸팅으로 인한 비틀림 강도가 바로 신호 전달부(41) 전체로 전달된다. 따라서,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신호선이나 전기전자 소자의 뒤틀림 현상으로 인해 연결 상태나 실장 상태에 악영향을 미치며 또한 신호 전달 모듈(40)의 커넥터부(44)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카메라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only one direction in a limited space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s located, the torsional strength due to the tilting of the image sensor unit 30 i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 41) is transmitted as a whole. Therefore,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line or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t adversely affects the connection state or the mounting state, and also damage or breakage of the connector unit 44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occurs. .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ormal signal transmission is not made and a malfunction of the camera device occurs.

하지만, 본 예와 같이, 신호 전달 모듈(40)이 위치하는 한정된 공간에 신호 전달부의 벤딩에 의해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신호 전달부(41)의 길이가 단순히 일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부(30)의 틸팅으로 인해 신호 전달부(41)로 전달되는 비틀림 강도는 증가한 신호 전달부(41)의 길이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신호 전달부(41)와 그 위에 위치하는 신호선이나 전기전자 소자의 손상이나 파손 현상이 방지되거나 감소한다.However, as in this example, when the signal transfer module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by bending the signal transfer unit in a limited space in which the signal transfer module 40 is located, the length of the signal transfer unit 41 simply extends in one direction. will be much higher than it would have been. Accordingly, the torsional strength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due to the tilting of the image sensor unit 30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length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 Accordingly, damage or breakag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signal lines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positioned thereon is prevented or reduced.

또한, 증가된 신호 전달부(41)의 길이로 인해 신호 전달 모듈(40)의 커넥터부(41)로 인가되는 뒤틀림 강도 또한 매우 약화되므로, 한 방향으로만 신호 전달부가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해당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41)의 뒤틀림 정도와 강도 또한 크게 줄어들어, 커넥터부(41)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크게 감소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wist strength applied to the connector part 41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s also greatly weakened due to the increased lengt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extended in only one direction, the corresponding device The degree of dist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part 41 for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part 41 are also greatly reduced, so that damage to the connector part 41 is prevented or greatly reduced.

또한, 본 예의 신호 전달부(41)에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이미지 센서부(30)와 같은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부(44)와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만큼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인 슬릿(slit)(H41)을 구비하고 있는 하나의 슬릿부(SP41) 및 신호 전달부(41)의 양 측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홈(P41)을 구비하는 분할 부분(MAR4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전달 모듈(40)은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MAR4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of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is located at an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unit 44 for coupling with a device such as the image sensor unit 30 . One slit portion SP41 having a slit H41 that is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at is, a plurality of open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respectively. A divided portion MAR40 having a groove P41 may be positioned. Accordingly, the signal transfer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MAR40 positioned in the signal transfer unit 41 .

이때, 복수의 슬릿(H41)이 위치하는 부분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미지 센서부(30)와 같이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과 같은 위치를 변화시키는 장치와 인접하게 위치한 부분인 신호 전달부(41)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신호 전달부(41)에서 이미지 센서부(30)와 같은 다른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해당 커넥터부(44)와 연결된 전방 가장자리 부분 또는 후방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lits H41 are located is a portion located adjacent to the device that changes the position, such as dist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such as the image sensor unit 30, as described above. 41), it may be a front edge part or a rear edge par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or part 44 for coupling with another device such as the image sensor part 30 in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41. .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슬릿(H41)은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 현상 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틀림 저반발 슬릿일 수 있다. Therefore, the slit H41 shown in FIG. 5 may be a false low-repulsion slit for reducing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whe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is twisted.

복수의 슬릿(H41)은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W41)을 따라 이격되어 있어, 인접한 두 슬릿(H41) 사이의 신호 전달부(41)의 영역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 전달부(41)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은 슬릿(H41)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 영역(AR41)을 구비하고 있는 분할 부분(MAR40)을 구비하므로, 해당 가장자리 부분은 폭 방향(W41)을 따라 분할 영역(AR41)과 슬릿(H41)이 번갈아 위치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slits H41 ar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W41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so that the area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between the two adjacent slits H41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ccordingly, since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cludes the divided portion MAR40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41 divided by the slit H41 , the edge portion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W41 . The divided area AR41 and the slit H41 ar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the .

도 5에서, 각 슬릿(H41)은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FIG. 5 , each slit H41 may have a rectangular planar shap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

이때, 도 5의 (a)에 도시한 것처럼, 각 슬릿(H41)의 가장자리는 개방된 부분이 모두 신호 전달부(41), 즉 분할 영역(AR41)으로 완전히 에워싸여져 막혀 있어, 분할 부분(MAR40)을 중심으로 하여 앞부분(즉, 커넥터부(44)와 인접한 부분)과 앞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뒷부분은 하나의 슬릿(H41)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슬릿(H41)은 인접한 커넥터부(44) 부분까지만 위치하므로, 서로 인접해 있는 커넥터부(44)와 분할 부분(MAR40) 사이에는 슬릿(H41)이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5 , the edge of each slit H41 is completely surrounded and blocked by the open part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41 , that is, the divided area AR41, so that the divided part MAR40 ) as the center, the front part (ie, the part adjacent to the connector part 44) and the rear part located opposite to the front part may not have even a single slit H41. In this case, since each slit H41 is positioned only up to the adjacent connector part 44 , no slit H41 is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or part 44 and the divided part MAR40 .

하지만, 도 5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다른 예에서, 각 슬릿(H41)은 인접한 커넥터부(44)에 접할 때까지 위치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커넥터부(44)와 접해있는 슬릿(H41)의 가장자리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B , in another example, each slit H41 may be positioned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acent connector part 44 , and in this case, the slit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part 44 . A part of the edge of (H41) may be open.

본 예에서, 복수의 분할 영역(AR41)과 적어도 하나의 슬릿(H41)을 구비하는 분할 부분(MAR40)은 전방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다.In this example, the divided portion MAR40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41 and at least one slit H41 is located at the front edge portion.

하지만, 이와 달리, 다른 예에서, 분할 부분(MAR40)은 전방 가장자리 부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 즉 전방 가장자리 부분과 후방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41)의 중간 부분에도 적어도 한 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가장자리 부분은 전방 가장자리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영상신호 처리 모듈과 연결되는 커넥터부(44)에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다. However, in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dividing portion MAR40 may be located not only in the front edge portion but also in another portion, that i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edge portion and the rear edge portion. can Here, the rear edge portion is an edge portion positioned opposite to the front edge portion, and may be an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unit 44 connected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또 다른 예에서, 분할 부분(MAR40)은 중간 부분에만 적어도 한 개 위치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MAR40 may be positioned only in the middle portion.

다음 도 6을 참고하여,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슬릿(H41)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slit H41 position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에 도시한 신호 전달부(41)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복수 개의 홈(P41)이 생략된다.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llustrated in FIG. 6 , a plurality of grooves P41 positioned at both edges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신호 전달부(41)는 외부 장치인 이미지 센서부(30)와 결합되는 하나의 가장자리(예, 전방 가장자리)와 커넥터부(44)와 결합되는 다른 가장자리(예 후방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 부분에 복수 개의 슬릿부(SP41a, SP41b)가 정해진 간격으로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of this example has one edge (eg, a front edge) coupled to the image sensor unit 30 as an external device and the other edge (eg, a front edge) coupled to the connector unit 44 . The plurality of slits SP41a and SP4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located between the rear edge).

도 5에서, 슬릿부(SP41)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슬릿(H41)이 신호 전달부(41)의 폭 방향(W41)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다. In FIG. 5 , a plurality of slits H41 all having the same shape are positioned in the slit portion SP4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41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하지만, 도 6의 경우,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슬릿부(SP41a, SP41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슬릿(H41a, H41b)을 구비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FIG. 6 , the slits SP41a and SP41b position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clude slits H41a and H41b having different shapes.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H41a)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슬릿부(SP41a)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H41b)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슬릿부 (SP41b)가 교대로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lit portion SP41a having at least one first slit H41a and the second slit portion SP41b having at least one second slit H41b are alternately configured as signal transmitting units. (41) may be located.

따라서, 제1 슬릿부(SP41a)에 위치하고 있는 슬릿(H41a)과 제2 슬릿부(SP41b)에 위치하고 있는 슬릿(H41b)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hapes of the slit H41a positioned in the first slit part SP41a and the slit H41b positioned in the second slit part SP41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6에서, 각 슬릿부(SP41a, SP41b)에 구비되는 슬릿(H41a, H41b)의 개수를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동일한 슬릿부(SP41a, SP41b)에 구비되는 슬릿(H41a, H41b)의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In FIG. 6 , the number of slits H41a and H41b provided in each of the slit portions SP41a and SP41b may be one or more, and the shapes of the slits H41a and H41b provided in the same slit portions SP41a and SP41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the same.

각 제2 슬릿부(SP41b)는 각 벤딩 부분(411)에 위치하고 있고, 벤딩 부분(411)이 아닌 연장 부분, 예를 들어, 인접한 두 벤딩 부분(41) 사이, 이미지 센서부(30)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41) 사이 또는 케넥터부(44)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4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Each of the second slit parts SP41b is positioned at each bending part 411 , and is an extension part other than the bending part 411 , for example, between the two adjacent bending parts 41 , the image sensor part 30 and the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bending portions 41 or between the connector portion 44 and the adjacent bending portions 411 .

연장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슬릿부(SP41a)의 제1 슬릿(H41a)과 제2 슬릿부(SP41b)의 제2 슬릿(H41b)의 폭(W411)은 모두 동일할 수 있지만, 연장 길이(L41a, L41b)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 예로, 제1 슬릿(H41a)의 연장 길이(L41a)가 제2 슬릿(H41b)의 연장 길이(L41b)보다 훨씬 길수 있다.The width W411 of the first slit H41a of the first slit part SP41a positioned in the extended part and the second slit H41b of the second slit part SP41b may be the same, but the extended length L41a , L41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extended length L41a of the first slit H41a may be much longer than the extended length L41b of the second slit H41b.

또한, 제1 슬릿(H41a)과 제2 슬릿(H41b)이 위치하는 폭 방향(W41)으로의 위치(즉,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로 인접한 제1 슬릿(H41a)과 제2 슬릿(H41b)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Also, positions (ie, heights) in the width direction W41 at which the first slit H41a and the second slit H41b are located may be the same.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first slit H41a and the second slit H41b immediately adjac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may be the same.

이처럼, 연장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슬릿(H41a)의 연장 길이가 제2 슬릿(H41b)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신호 배선부(41)가 뒤틀릴 때 발생하는 저항력이 크게 감소하여 신호 배선부(41)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전자 소자나 다른 장치(30)와의 결합 부분에서의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슬릿(H41a)은 뒤틀림 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줄이기 위한 슬릿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slit H41a positioned in the extended portion is much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slit H41b,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signal wiring unit 41 is twisted is greatly reduced, and thus the signal wiring unit 41 is )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in the coupling part with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or other device 30 mounted on the device. Accordingly, the first slit H41a may be a slit for reducing a repulsive force generated during twisting.

또한, 벤딩 부분(411)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슬릿(H41a)에 의해 벤딩 동작으로 해당 벤딩 부분(411)에 가해지는 반발력을 제2 슬릿(H41a)을 통해 분산시켜 원활한 벤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벤딩 부분에 가해지는 저항을 분산시켜 벤딩 부분(411)에서 신호 전달부(41)가 손상되는 문제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2 슬릿(H41b)은 벤딩 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줄이기 위한 슬릿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pulsive force applied to the bending portion 411 by the bending operation by the second slit H41a located in the bending portion 411 is dispersed through the second slit H41a so that a smooth ben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dispersing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bending portion, a problem in which the signal transfer unit 41 is damaged in the bending portion 411 is reduced. Accordingly, the second slit H41b may be a slit for reducing a repulsive force generated during bending.

제1 슬릿부(SP41a)와 제2 슬릿부(SP41b)에 각각 구비된 제1 슬릿(H41a)과 제2 슬릿(H41b)의 개수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한 개 이상이다.The number of the first slits H41a and H41b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slit part SP41a and the second slit part SP41b is one or more as described above.

도 6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슬릿부(SP41a)과 제2 슬릿부(SP41b)가 하나의 제1 슬릿(H41a)과 하나의 제2 슬릿(H41b)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제1 슬릿(H41a)과 하나의 제2 슬릿(H41b)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 when the first slit part SP41a and the second slit part SP41b include one first slit H41a and one second slit H41b, one The positions of the first slit H41a and the one second slit H41b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또한, 도 6의 (b)와 (c)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슬릿부(SP41a)과 제2 슬릿부(SP41b)가 둘 이상의 제1 슬릿(H41a)과 둘 이상의 제2 슬릿(H41b)을 구비하는 경우, 각 슬릿부(SP41a, SP41b)에서 동일 번째(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느 한 가장자리에서부터의 순번)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슬릿(H41a, H41b)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and (c) of Figure 6, the first slit portion (SP41a) and the second slit portion (SP41b) is two or more first slits (H41a) and two or more second slits (H41b) ,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slits H41a and H41b positioned at the same (in order from one edge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 each of the slits SP41a and SP41b. The position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부(SP41a, SP41b)가 위치하는 경우, 신호 전달부(41)는 하나의 슬릿부(SP41a 또는 SP41b)와 복수 개의 홈(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는 복수 개의 분할 부분(MAR40)을 구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plurality of slits SP41a and SP41b are position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may have one slit SP41a or SP41b. ) and a plurality of divided portions MAR40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각 분할 부분(MAR40)에 구비된 복수의 분할 영역(AR41) 즉, 복수 개의 슬릿(H41, H41a, H41b)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30)의 틸팅 동작으로 발생하는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 힘이 크게 감소하고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5 and 6 ,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image sensor unit 30 is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41 provided in each divided portion MAR40, that is, the plurality of slits H41, H41a, and H41b. The twisting forc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generated b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greatly reduced and the effect of dispersion occurs.

즉, 이미 기술한 것처럼, 렌즈부(20)의 위치 정렬 동작에 연동하는 이미지 센서부(30)의 위치가 변하게 되면, 신호 전달 모듈(40)은 커넥터부(44)를 통해 이미지 센서부(30)와 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부(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신호 전달 모듈(40)의 위치 역시 변하여 비틀림 현상이 발생한다. That is, as already described, when the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unit 30 interlocked with the alignment operation of the lens unit 20 is changed,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transmits the image sensor unit 30 through the connector unit 44 . )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mage sensor unit 30 also changes, resulting in twisting.

따라서, 배선이나 전기전자 소자 등이 위치하는 신호 전달 모듈(40)의 신호 전달부(41)에 이미지 센서부(30)로부터 전달되는 비틀림 힘에 바로 전달되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Accordingly, the tors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30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n which wiring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located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처럼, 신호 전달부(41)에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때, 신호 전달부(41)가 중간에 개구부가 위치하지 않고 모두 막혀 있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30)의 뒤틀림 힘은 신호 전달부(41) 전체로 그대로 인가된다.As such, when a twisting phenomenon occurs i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 whe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in which all openings are not located in the middle, the twisting force of the image sensor unit 30 is signal transmission It is applied to the whole of the part 41 as it is.

하지만, 본 예와 같이, 이미지 센서부(3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41)에 복수의 분할 영역(AR41)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 부분(MAR40)이 위치하면, 각 분할 영역(AR41) 사이에 빈 슬릿(H41, H41a, H41b)인 빈 공간이 위치한다. 따라서, 이 빈 슬릿(H41, H41a, H41b)에 의해 전달되는 뒤틀림 힘이나 벤딩 시의 반발력힘의 분산 효과 및 소멸 효과가 발생한다.However, as in this example, when at least one divided portion MAR40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41 is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positioned adjacent to the image sensor unit 30 , each divided area An empty space, which is an empty slit H41, H41a, H41b, is positioned between AR41. Accordingly, a dispersion effect and annihilation effect of the twisting force transmitted by the empty slits H41, H41a, and H41b or the repulsive force at the time of bending occur.

또한, 신호 전달부(41)의 중간에 위치하는 빈 슬릿(H41, H41a, H41b)에 의해 신호 전달부(41)로 전달되는 뒤틀림 힘 및 벤딩 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대한 신호 전달부(41)의 저항력이 감소하여 유연성이 뒤트림 동작에 대한 유연성이 향상되고 벤딩으로 인한 신호 전달부(41)의 손상이 감소ㄷ된다.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for the twisting force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by the empty slits H41 , H41a , H41b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during bending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As resistance is reduced, flexibility with respect to a twisting operation is improved, and damage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due to bending is reduced.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부(30)의 뒤틀림 힘에 의한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 정도 및 세기가 크게 약화되고, 신호 전달부(41)의 손상뿐만 아니라 그 위치 위치하는 배선 및 전기전자 소자의 파손 및 접촉 불량 등이 방지되거나 크게 줄어든다. Due to this, the distortion degree and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due to the twisting force of the image sensor unit 30 is greatly weakened, and damage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s well as wiring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located therein is greatly reduced. Breakage and poor contact are prevented or greatly reduced.

신호 전달부(41)의 양 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홈(P41)은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해당 측단에 위치한다.The plurality of grooves P41 located at at least one of both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are located at corresponding side en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

이때, 신호 전달부(41)의 양 측단 모두에 홈(P41)이 위치할 때, 서로 반대 방향의 각 측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홈(P41)은 폭 방향(W41)을 따라 그어진 동일한 가상의 일직선(L41)에 상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측단에 마주보게 위치하거나[도 5의 (a)], 서로 다른 측단에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도 5의 (b)].At this time, when the grooves P41 are located at both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 pair of grooves P41 located at each side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identical to the same imaginary line drawn along the width direction W41. It may be positioned on the straight line L41 to face each other at different side ends [Fig. 5(a)], or may be deviated from different side ends [Fig. 5(b)].

이와 같이, 신호 전달부(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신호 전달부(41)의 양 측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홈(P41)에 의해,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 힘은 더욱 더 분산되며, 신호 전달부(41)의 저항력은 더욱 더 감소한다. As such, by the plurality of grooves P41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the twisting forc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further dispersed. and the resistance of the signal transfer unit 41 is further reduced.

이러한 홈(P41)은 분할 부분(MAR40) 및 중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roove P41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divided portion MAR40 and the middle portion.

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러한 홈(P41)은 생략될 수 있다. However, if necessary, the groove P41 may be omitted.

다음, 도 7을 참고하여, 이러한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분할 부분(MAR40a)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Next, another example of the divided portion MAR40a positioned in the signal transfer unit 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분할 부분(MAR40a)은 신호 전달부(41)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에서 이미지 센서부(30) 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복수 개의 돌출 영역인 분할 영역(EAR41)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 the divided portion MAR40a includes a divided area EAR41 that is a plurality of protruding areas that protrude from the front edge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toward the image sensor 30 and extend.

이때, 분할 영역(EAR41)은 신호 전단부(41)의 폭 방향(W41)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폭 방향(W41)으로 인접한 분할 영역(EAR41) 사이에는 역시 슬릿(H41, H41a)이 위치한다. 하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 예의 각 분할 영역(EAR41)은 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이므로, 본 예의 슬릿(H41, H41a)은 도 5의 (a) 및 도 6에 도시한 슬릿(H41, H41a)과 달리 일부분(즉, 전단이나 후단), 즉 돌출 방향 쪽의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ivided areas EAR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W41 of the signal front end part 41 , slits H41 and H41a are also formed between the divided areas EAR41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W41 . Located. However, as already described, since each divided area EAR41 of this example is a protruding area protruding in a desired direction, the slits H41 and H41a of this example are the slits H41 and H41 shown in FIGS. H41a), a portion (ie,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that is, the portion in the protruding direction is open.

이러한 분할 영역(EAR41)은 별도의 커넥터부(44)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이미지 센서부(30)의 연결 부분에 바로 접합되어, 이미지 센서부(30)와 신호 전달부(41)를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분할 부분(MAR40a)을 구비하는 신호 전달부(41)는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divided region EAR41 is directly bon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mage sensor unit 30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unit 44 , thereby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mage sensor unit 3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to each other. It can also serve as a connector that connects to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cluding the divided portion MAR40a may be formed of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RFPCB).

도 7에 도시한 신호 전달부(41) 역시 도 5의 (a)와 (b)에 도시한 홈(P41)을 분할 부분(MAR40a)과 중간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llustrated in FIG. 7 may also include the groove P41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in at least one of the dividing portion MAR40a and the middle portion.

이와 같이, 신호 전달부(41)의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신호 전달부(41)를 보호하기 위한, 분할 부분(MAR40a)이 복수 개의 분할 영역(EAR41)을 구비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커넥터부(44)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이미지 센서부(30)와 커넥터부(44)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접촉 불량이나 신호 전달부(41)의 손상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커넥터부(41)로 인한 신호 전달 모듈(40)의 부피 증가가 크게 줄어들고 신호 전달 모듈(40)의 제조 역시 용이하다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한다.As such, when the divided portion MAR40a for protect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EAR41 , the connector portion 44 is additionally Since it is unnecessary to use, the problem of poor contact or damage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occurring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mage sensor unit 30 and the connector unit 44 is solved.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due to the connector part 41 is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s also easily effected.

다시 도 4로 넘어가, 이와 같이, 적어도 한번의 벤딩 동작으로 인한 벤딩 부분(411)을 구비하는 신호 전달 모듈(4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두 종류의 완충부(42, 43)를 구비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having the bending portion 411 caused by at least one bending operation includes two types of buffering portions 42 and 43 .

이하에서, 하우징(10)과 신호 전달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완층부(43)는 '제1 완충부'라 하고, 인접한 두 신호 전달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42)는 '제2 완충부'라 한다. Hereinafter, the buffer layer 43 located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referred to as a 'first buffer unit', and the buffer unit 42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signal transmission units 41 . is called a 'second buffer unit'.

이들 두 완충부(42, 43) 중에 먼저 제2 완충부(42)부터 설명한다. Among these two buffers (42, 43) will be described first from the second buffer (42).

제2 완충부(42)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신호 전달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신호 전달부(41)를 이격시킬 수 있다.The second buffer 4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transfer units 41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o space the adjacent signal transfer units 41 apart.

이러한 제2 완충부(42)는 벤딩 부분(41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한다. 따라서, 제2 완충부(42)가 벤딩 부분(41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완충부(42)의 일 측은 벤딩 부분(411)으로 에워싸여져 있고, 일측와 마주보고 있는 타 측은 개방될 수 있다. This second buffer portion 4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bending portion 411, but is limited thereto. Therefore, when the second buffering part 42 is located adjacent to the bending part 411, one side of the second buffering part 42 is surrounded by the bending part 411,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is to be opened. can

이러한 제2 완충부(42)는 서로 반대 방향(예, 상하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서로 인접한 층에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41)의 내부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완충 부재(421, 422)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완층 부재(421, 422)가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41)의 해당 부분(L42a)은 다른 부분보다 폭(L42b)의 크기가 커, 완충 부재(421, 422)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 완충 부재(421, 422)는 위치하는 부분[벤딩 부분(411)의 내부 하면 및 내부 상면]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The second buffering part 42 is a pair of buffering members 421 and 422 respectively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gnal transmitting part 41 located in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eg, in the vertical direction). )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 6, the corresponding portion (L42a)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n which the buffer layer members (421, 422) are located has a larger width (L42b) than the other portions, the buffer members (421, 422) It can facilitate mounting and increase adhesion. 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cushioning members 421 and 422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that only the positioned portions (the inner lower surface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portion 411) are different.

본 예의 완충 부재(421, 422)는 실리콘(silicon)이나 스폰지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구비하거나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uffer members 421 and 422 of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a sponge, or may have an elastic structure.

이러한 완충 부재(421, 422)는 하나의 예로서, 탄성 재료를 구비하고 있는 직육면체와 같은 육면체의 구조 등의 판 형상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uffer members 421 and 422 may have a plate shape, such as a hexahedral structure, such as a cuboid having an elastic material.

따라서, 벤딩 부분(411)에서 반대편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신호 전달부(41)는 하나의 쌍을 이루는 두 완충 부재(421, 422)의 총 두께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transfer unit 41 facing each other on the opposite side in the bending portion 41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more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two cushioning members 421 and 422 forming a pair.

이로 인해, 신호 전달 모듈(40)의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신호 전달부(41)의 위치나 벤딩 형태가 변하더라도 한 쌍의 완충 부재(421, 422)에 의해 벤딩 부분(411)의 이격 간격은 일정 간격 이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벤딩 부분(411)에서 신호 전달부(41)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된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position or bending shap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changed due to the twisting phenomen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the spacing between the bending portions 411 by the pair of buffer members 421 and 422 is constant. Keep more than spacing. Accordingly, a problem in which the signal transfer unit 41 is damaged or damaged in the bending portion 411 is prevented.

또한, 신호 전달 모듈(40)의 비틀림이나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으로 인해 신호 전달부(41)가 요동치더라도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맞부딪히는 완충 부재(421, 및 422)에 의해 신호 전달부(41)로 인가되는 힘이 흡수되고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신호 전달부(41)에 인가되는 충격이 감소하여 신호 전달부(41) 뿐만 아니라 신호 전달부(41)에 위치하는 신호선과 전기전자 소자를 보호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fluctuates due to torsion or shak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 421 , and 422 ) is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collided with each other. 41), the applied force is absorbed and dispersed. Accordingly, the impact appli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reduced to protect not onl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but also the signal lines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position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완충부(43)에 의해 신호 전달 모듈(4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으로부터 더욱 더 보호된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is further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 by the at least one first buffering unit 43 .

즉, 각 제1 완충부(43)는 신호 전달부(41) 및 신호 전달부(41)와 인접한 하우징(10)의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신호 전달부(41)의 흔들림으로 인해 신호 전달부(41)를 보호한다.That is, each of the first buffering units 43 is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and a portion of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due to shaking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41) is protected.

본 예에서, 제1 완충부(43)는 신호 전달부(41)와 하우징(10)의 제1 케이스(11)의 상면(112) 내부면 사이 및 신호 전달부(41)와 하우징(10)의 제3 케이스(13)의 하면(131) 내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first buffer 43 is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first case 11 of the housing 1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the housing 10 .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31 of the third case 13 of the

이때, 각 제1 완충부(43)가 위치하는 신호 전달부(41)의 위치는 한 쌍의 제2 완충부(42)가 위치하고 있는 벤딩 부분(411)에 인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ignal transfer unit 41 in which each first buffer unit 43 is located may be adjacent to the bending portion 411 in which the pair of second buffer units 42 are located.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 전달부(41)에 두 개의 벤딩 부분(411)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제1 완충부(43)가 존재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 when two bending parts 411 are present 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two first buffer units 43 are present.

따라서, 하나의 제1 완충부(43)는 하우징(10)의 제3 케이스(13)의 하면(131) 위에 위치하거나 신호 전달부(41)의 해당 부분[예, 벤딩 부분(411)] 하면에 위치하여, 해당 벤딩 부분(411)과 하우징(10)의 제3 케이스(13)의 하면(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one first buffer part 43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131 of the third case 13 of the housing 10 or the corresponding part (eg, the bending part 411) of the signal transmitting part 41 lower surface 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ending portion 411 and the lower surface 131 of the third case 13 of the housing 10 .

또한, 나머지 제1 완충부(43)는 신호 전달부(41)의 해당 부분, 예, 나머지 벤딩 부분(411) 위나 제1 케이스(11)의 상면(112)의 내부면에 위치하여, 해당 벤딩 부분(411)과 하우징(10)의 제1 케이스(11)의 상면(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first buffering unit 43 is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for example, on the remaining bending portion 411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first case 11, the corresponding bending 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ortion 411 and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first case 11 of the housing 10 .

복수 개의 제1 완충부(43)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탄성재료나 탄성 구조를 구비하여 외부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한다.The plurality of first buffering parts 43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outside by providing an elastic material or an elastic structure.

이러한 제1 완충부(43)의 구조의 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다. Examples of the structure of such a first buffer unit 43 are shown in FIGS. 8 and 9 .

먼저, 도 8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완충부(43)는 완충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몸체(431)와 몸체(43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432)를 구비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ure 8, the first buffer portion 43 is at least one protrusion 4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31 and the body 431 made of a buffer material. can be provided.

몸체(431)와 돌기(432)는 모두 탄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Both the body 431 and the protrusion 432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몸체(431)는 직육면체와 같은 육면체 등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기(432)는 몸체(431)의 상면에서 인접한 신호 전달부(41)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body 431 may have a plate shape such as a hexahedron,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protrusion 432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31 toward the adjacent signal transmission unit 41 .

도 8의 (a)에서, 돌기(432)는 몸체(4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Figure 8 (a), the projection 432 is made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4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one.

이러한 제1 완충부(43)는 돌기(432)가 인접한 신호 전달부(41)와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위치한다.The first buffering part 43 is positioned so that the protrusion 432 is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signal transmission part 41 .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3 케이스(13)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벤딩 부분(411)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완충부(43)는 몸체(431)의 하면이 제3 케이스(13)의 하면(131)에 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제1 케이스(11)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벤딩 부분(411)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완충부(43)는 몸체(431)의 하면이 제1 케이스(11)의 상면(112)의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431 of the first buffer part 43 positioned on the bending part 411 positioned adjacent to the third case 13 is the third case 13 .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431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31 and the first buffer part 43 positioned in the bending portion 411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case 11 has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1 . It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2 .

이때, 해당 제1 완충부(43)의 몸체(431)의 하면은 해당 면[즉 제3 케이스(13)의 하면(131)이나 제1 케이스(11)의 상면(112)]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431 of the first buffer unit 43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that is, the lower surface 131 of the third case 13 or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first case 11). It can be attached using

해당 제1 완충부(43)의 돌기(432)는 신호 전달부(41)의 해당 부분과 접해 있거나 인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432 of the first buffering unit 43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or may be adjacently spaced apart.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예에서, 제1 완충부(43)는 몸체(411)만을 구비하거나 해당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돌기(432) 만을 구비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first buffer part 43 may include only the body 411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또 다른 예로서, 도 8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완충부(43)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이나 코일 스프링(coil spring) 등의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해당 면(112, 131)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완충부(43)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완충부(43)는 인접한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위치하여 인접한 신호 전달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8 (b), the first buffer 43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pring) such as a plate spring (plate spring) or coil spring (coil spring) corresponding I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s 112 and 131 . As such, when the first buffering part 43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the first buffering part 43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housing 10 and protrudes toward the adjacent signal transmission part.

도 8와 같은 제2 완층부(43)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제작된 후, 자신이 장착 부분에 접착제나 납땝 공정 등으로 이용하여 별도의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완충부(43)는 자신이 부착되는 구성요소(11, 13)와는 별개인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second armband 43 as shown in FIG. 8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it may be separately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by using an adhesive or soldering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buffer 43 may be made of a component separate from the components 11 and 13 to which they are attached.

하지만, 본 예의 제1 완충부(43)는 자신에 장착되는 부분(11, 13)가 끊김없이 연결되어 해당 부분(11, 13)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buffer part 43 of this example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arts 11 and 13 by seamlessly connecting the parts 11 and 13 to be mounted thereon.

이런 경우, 제1 완충부(43)는 해당 케이스(11, 13)에서 해당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탄성력을 갖고 있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uffering part 43 may be formed of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orresponding cases 11 and 13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완충부(43)는 해당 케이스(11, 13)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케이스 부분을 절단한 후 해당 방향으로 벤딩시켜 형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케이스(11, 13)에는 절단 동작에 의해 개구부(H43)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완충부(43)의 형성으로 발생된 개구부(H43)는 별도의 절연 필름이나 절연 판 등으로 덮여져 신호 전달 모듈(50) 내부로 먼지나 수분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the first buffer part 43 may be a protrusion formed by cutting the case portion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ase 11 and 13 and then bending i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openings H43 are generated in the cases 11 and 13 by the cutting operation. Therefore, the opening H43 generated by the formation of the first buffer part 43 is covered with a separate insulating film or insulating plate, etc.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moisture into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50 . there is.

하지만, 제1 완충부(43)는 해당 케이스(11, 13)에 일체로 제작되어 해당 위치에서 해당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케이스(11, 13)에는 제1 완충부(43)의 형성으로 인한 별도의 개구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However, the first buffer 43 may be a protrusion that i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corresponding cases 11 and 13 and protrudes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this case, a separate opening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buffer part 43 does not occur in the corresponding cases 11 and 13 .

이와 같이, 본 예의 신호 전달 모듈(40)은 복수 개의 분할 영역(AR41, EAR41)을 구비하는 분할 부분(EAR40, EAR40a)을 구비하므로, 이미지 센서부(30)로부터 전달되는 비틀림 힘의 분산 효과가 향상되며 비틀림 힘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줄어들어 신호 전달부(41)의 비틀림 세기가 크게 약화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40 of this example includes the divided parts EAR40 and EAR40a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41 and EAR41, the dispersion effect of the tors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image sensor unit 30 is is improved, and resistance to torsional force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torsional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is greatly weakened.

또한, 신호 전달부(41)의 양 측단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홈(P41)에 의해 신호 전달부(41)의 비틀림 동작에 대한 저항이 더욱더 감소하며 비틀림 힘의 분산 효과는 더욱 더 증가한다. In addition, the resistance to the twisting opera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is further reduced by the plurality of grooves P41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41, and the dispersion effect of the torsional force is further increased.

이에 더해, 제2 완충부(42) 이외에 추가적으로 신호 전달부(41)와 해당 케이스(11, 13)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완충부(4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o this, in addition to the second buffer unit 42, a first buffer unit 43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and the corresponding cases 11 and 13 is additionally provided.

따라서, 제1 완충부(43)에 의해 렌즈부(20)와 하우징(1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때, 렌즈부(20)에 결합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3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신호 전달 모듈(40)의 신호 전달부(41)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신호 전달부(41)가 인접한 하우징(10)에 직접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된다.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20 and the housing 10 are aligned by the first buffer unit 43 , the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unit 30 coupled to the lens unit 20 is changed, resulting in a signal Even i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of the transmission module 40 shakes or twists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41 directly collides with the adjacent housing 10 is prevented.

제2 완충부(42)의 장착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벤딩 부분(411)은 무게로 인해 다른 부분보다 흔들림이나 뒤틀림 정도가 커서 인접한 하우징(10)과 부딪힐 확률도 높고, 하우징(10)과 부딪힐 때 벤딩부(411)와 해당 하우징(10)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부분에 비해 훨씬 크다. The bending part 411, which is heavier than other parts due to the mounting of the second buffer part 42, has a higher degree of shaking or distortion than other parts due to the weight, so the probability of colliding with the adjacent housing 10 is high, and the housing 10 ), the impact applied to the bending portion 411 and the housing 10 when colliding with it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other parts.

하지만, 제2 완충부(42)가 장착되어 있는 벤딩 부분(411)과 해당 하우징(10) 부분 사이에 제1 완충부(43)가 위치될 경우, 벤딩부(41)는 하우징(10)에 직접 부딪치는 대신 제2 완층부(43)에 부딪히게 되어 하우징(10)과 벤딩부(41)에 가해지는 충격이 크게 완화된다. However, when the first buffering part 43 is positioned between the bending part 411 on which the second buffering part 42 is mounted and the corresponding housing 10 part, the bending part 41 is attached to the housing 10 . Instead of colliding directly, it collides with the second cushioning part 43 ,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housing 10 and the bending part 41 is greatly alleviated.

특히, 도 7의 (a)와 같이, 제1 완충부(43)가 몸체(411)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432)를 구비하는 경우, 제1 완충부(43)로 전달되는 충격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돌기(422)로 인해 분산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해당 하우징(10) 부분으로 전달되는 충격의 크기는 더욱 절감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7 (a), when the first buffer part 4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2 that protrude from the body 41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buffer part 43 The impact is improved due to the protrusions 4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ize of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using 10 portion is further reduced.

이상, 본 발명의 신호 전달 모듈 및 카메라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하우징 20: 렌즈부
30: 이미지 센서부 40: 신호 전달 모듈
41: 신호 전달부 411: 벤딩 부분
42: 제2 완충부 421, 422: 완충부재
43: 제1 완충부 AR41, EAR41: 분할 영역
H41, H41a, H41b: 슬릿 P41: 홈
MAR40, MAR40a: 분할 부분
10: housing 20: lens unit
30: image sensor unit 40: signal transmission module
41: signal transmission unit 411: bending part
42: second buffer portion 421, 422: buffer member
43: first buffer portion AR41, EAR41: divided area
H41, H41a, H41b: Slit P41: Groove
MAR40, MAR40a: Split part

Claims (2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와 결합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일 단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연결되어 타 단은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은,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벤딩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인접한 두 벤딩 부분 사이,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 사이 및 상기 커넥터부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벤딩 부분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분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부분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을 구비하는 제1 슬릿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housing;
a camera module located in the housing, having a lens unit mov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image sensor unit coupled to the lens unit, and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located in the hous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unit
including,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It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ing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ivision portion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ending portion in at least one of between two adjacent bending portions, between the image sensor portion and the adjacent bending portion, and between the connector portion and the adjacent bending portion,
The divided portion includes a first slit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rst slit extending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camera devi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부는 복수 개의 제1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슬릿은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lits,
The plurality of first sl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각 벤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슬릿과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을 구비하는 제2 슬릿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lit portion positioned at each bend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sl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lit part and the second slit part ar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카메라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ape of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를 서로 상이한 카메라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n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slit and an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sl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카메라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ition of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adjac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re the same as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카메라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slit is shorter than an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sl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분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 영역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vided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image sensor unit and a bending portion adjacent thereto, and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with the first slit interposed therebetween is A camera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측단에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홈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t a sid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제1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홈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서로 다른 측단에 마주보게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air of grooves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t different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서로 다른 측단에 어긋나게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positioned at different side end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o be displaced from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은 상기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신호 전달부와 인접한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first buffer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제16 항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
17. In claim 16,
The first buffer uni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camera device.
제16 항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하여 인접한 상기 신호 전달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탄성 부재인 카메라 장치.
17. In claim 16,
The first buffer unit is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housing and protruding toward the adjacent signal transmitting unit.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벤딩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부; 및
상기 신호 전달부에 위치하고, 인접한 두 벤딩 부분 사이,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 사이 및 상기 커넥터부와 이에 인접한 벤딩 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벤딩 부분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분할 부분
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 모듈.
a signal transmission unit extending in an extension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A division part located in the signal transmitt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bending part in at least one of between two adjacent bending parts, between the image sensor part and the adjacent bending part, and between the connector part and the adjacent bending part.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부는 복수 개의 제1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슬릿은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신호 전달 모듈.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sli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lits,
The plurality of first sl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제21 항에 있어서,
각 벤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슬릿과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을 구비하는 제2 슬릿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달 모듈.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lit portion positioned at each bend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sl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삭제delete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슬릿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신호 전달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An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slit is shorter than an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sli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의 측단에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홈을 더 포함하는 신호 전달 모듈.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ignal transfe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fer unit at a side end of the signal transfer uni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달 모듈.
20. The method of claim 19,
A first buffer located betwe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housing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014477A 2020-02-06 2020-02-06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KR102280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77A KR102280052B1 (en) 2020-02-06 2020-02-06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77A KR102280052B1 (en) 2020-02-06 2020-02-06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052B1 true KR102280052B1 (en) 2021-07-21

Family

ID=7714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77A KR102280052B1 (en) 2020-02-06 2020-02-06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5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241A (en) * 2000-02-22 2001-08-31 가네꼬 히사시 Tape carrier type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exible substrate
JP2001275022A (en) * 2000-03-23 2001-10-05 Sony Corp Video camera
JP2005311376A (en) * 2004-04-21 2005-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60081889A (en) 2005-01-1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Horizontal compensating device for camera lens module
JP2007043129A (en) * 2005-07-08 2007-02-15 Konica Minolta Opto Inc Printed board, imaging device and camera
KR20120066294A (en)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241A (en) * 2000-02-22 2001-08-31 가네꼬 히사시 Tape carrier type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exible substrate
JP2001275022A (en) * 2000-03-23 2001-10-05 Sony Corp Video camera
JP2005311376A (en) * 2004-04-21 2005-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60081889A (en) 2005-01-1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Horizontal compensating device for camera lens module
JP2007043129A (en) * 2005-07-08 2007-02-15 Konica Minolta Opto Inc Printed board, imaging device and camera
KR20120066294A (en)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7036A1 (en)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US10620396B2 (en) Lens moving apparatus with a bobbin comprising a groove and elastic member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567338B2 (en)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ed device
EP2495604B1 (en) Suspension wire for compensating for hand vibration and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92328B1 (en) Camera module
KR102542645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12782905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05319799B (en) Lens moving device
US11563875B2 (en)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 device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1657513B1 (en) Camera module
US20170176768A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JP2022551888A (en) Substrate for image sensor
KR101657511B1 (en) Camera module
KR102280052B1 (en)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JP5655594B2 (en) Optical transceiver
KR102428596B1 (en) Optical path change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280025B1 (en) Signal transmission module and camera apparatus
KR20150085611A (en) Camera Module
KR102494326B1 (en) Camera Module
JP2017164280A (en) Imaging module, endosco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ing module
KR102416242B1 (en) Camera module
KR102658610B1 (en) Sensor shifting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19642064U (en) Camera module
KR102374600B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