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95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950B1
KR102279950B1 KR1020200092608A KR20200092608A KR102279950B1 KR 102279950 B1 KR102279950 B1 KR 102279950B1 KR 1020200092608 A KR1020200092608 A KR 1020200092608A KR 20200092608 A KR20200092608 A KR 20200092608A KR 102279950 B1 KR102279950 B1 KR 10227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rier
filter assembly
cas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650A (ko
Inventor
김학재
이은순
윤형욱
도승현
배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14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668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650A/ko
Priority to KR1020210077979A priority patent/KR102495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Abstract

공기조화기는 필터가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필터 어셈블리와; 샤시와;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제공된 케이스와; 케이스와 샤시의 사이에 수용된 송풍팬과;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연결되어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무빙기구와; 필터 어셈블리가 캐리어 위의 안착 위치에 올려지면, 무빙기구를 후퇴모드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며,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공기조화기는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소정 공간을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냉난방기와, 소정 공간 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 등일 수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은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닛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할 수 있고,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전기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히터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유닛 등의 청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정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유닛은 복수개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와, 필터가 착탈되고 필터를 보호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가 배치된 필터 케이스가 필터와 함께 외부로 이동될 경우, 필터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가 필터 케이스를 공기조화기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무빙수단을 더 포함할 경우, 사용자는 공기흡입구 외부로 이동된 필터 케이스를 잡은 후 필터 케이스를 공기조화기에서 인출할 수 있고, 필터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와 필터 케이스 및 무빙수단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일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84473 A(2009년08월05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빙수단은 피니언 기어부가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모터와;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치합되는 랙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캐리어들과; 한 쌍의 상기 캐리어들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수단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컨 등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 필터 케이스가 캐리어들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0968 B1(2006년12월26일 공고)
본 발명은 필터 어셈블리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어셈블리를 설정 위치로 신뢰성 높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를 간편하게 올릴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가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필터 어셈블리와; 샤시와;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제공된 케이스와; 케이스와 샤시의 사이에 수용된 송풍팬과;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연결되어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무빙기구와; 필터 어셈블리가 캐리어 위의 안착 위치에 올려지면 무빙기구를 후퇴모드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안착 위치는 필터 어셈블리가 캐리어 위에 정상적으로 올려지는 위치일 수 있다. 안착 위치는 필터 어셈블리가 무빙기구에 정상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캐리어 위에 기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를 캐리어 위의 안착 위치에 올리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하면, 캐리어는 필터 어셈블리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의 전부를 수용 바디 내에 직접 삽입할 필요 없고,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를 보다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가 안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센싱 유닛이 센싱하면, 컨트롤러는 무빙기구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마그넷과; 캐리어에 배치되어 마그넷을 센싱하는 마그넷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과 마그넷 센서는 센싱 유닛을 구성할 수 잇다.
컨트롤러는 마그넷 센서에 의해 마그넷이 센싱되면 무빙기구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를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뒤집어서 올리는 것과 같이, 미리 정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올리면,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를 후퇴시키지 않고 대기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가 오장착된 상태로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캐리어는 후퇴모드시,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 바디에 수용되게 필터 어셈블리를 후퇴시킬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를 신뢰성 높게 수용 바디 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용 바디는 하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캐리어는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부의 전후방향 길이는 캐리어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캐리어는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안착 바디와; 마그넷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수용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는 필터 어셈블리를 운반하는 기능과 마그넷 센서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부품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센서 수용 바디는 안착 바디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바디의 크기는 상기 센서 수용 바디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캐리어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무빙기구는 케이스에 배치되어 캐리어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슬라이딩 가이드에 설치된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재와 캐리어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캐리어의 진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는 개구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바디는 캐리어 및 종동기어의 진퇴를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는 가이드 바디와 이격되고 기어부재의 하단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캐리어에 배치되고 마그넷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상자성체일 수 있다.
캐리어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캐리어는 안착 바디에서 연장되고 필터 어셈블리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토퍼 배면에 배치되고 마그넷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수용 바디에 배치된 공급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필터 케이스의 공간에 수용된 전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필터는 공급단자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는 후퇴모드시, 전극단자가 공급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로 캐리어를 후퇴시킬 수 있다. 접속 위치는 상기 설정 위치일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가 정상적으로 장착 완료되는 장착 완료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그넷 센서가 마그넷을 센싱하는 위치로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면, 캐리어가 필터 어셈블리를 후퇴시키므로, 필터 어셈블리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가 오장착된 상태로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의 후퇴모드시, 캐리어는 수용 바디 내 설정 위치로 필터 어셈블리를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필터 어셈브리를 설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보다, 신뢰성 높게 필터 어셈블리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의 일부를 캐리어 위의 정 위치에 올리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하면, 캐리어가 필터 어셈블리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의 전부를 수용 바디 내에 직접 삽입할 필요 없고,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를 보다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가 개구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캐리어의 전부가 개구부의 위나 아래에서 이동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화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는 안착 바디와; 센서 수용바디를 포함하므로, 캐리어는 필터 어셈블리를 운반하는 기능과 마그넷 센서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부품수는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수용 바디는 안착 바디의 하측에 형성되어 마그넷 센서 및 센서 수용 바디가 안착 바디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안착 바디의 크기는 센서 수용 바디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마그넷 센서의 표면이나 센서 수용 바디와 마그넷 센서 사이에 쌓이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마그넷 센서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는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마그넷 센서의 센싱 정확도가 높다.
또한, 캐리어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에 모터가 장착되어, 모터가 별도의 모터 마운터에 장착되는 경우 보다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기어부재와 캐리어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가 슬라이딩 가이드의 가이드 바디에 의해 안내되므로, 기어 부재와 캐리어 각각이 하나의 가이드 바디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기어 부재와 캐리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가이드 바디에 안내될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기어부재가 슬라이딩 가이드와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므로, 기어부재 및 캐리어가 보다 안정감 있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에 배치된 자성체와 마그넷 사이에 인력이 작용되어, 마그넷이 배치된 필터 어셈블리가 캐리어 위의 정 위치에 위치되게 도울 수 있고, 캐리어의 이동시, 필터 어셈블리가 정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도울 수 있다.
또한, 자성체는 상자성체가 이루어져, 마그넷 센서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필터 어셈블리의 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의 과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가 스토퍼의 배면에 배치되어, 마그넷이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가 스토퍼의 전면에 걸리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무빙기구의 후퇴모드시, 무빙기구는 전극단자가 공급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로 캐리어 및 필터 어셈블리를 후퇴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전극단자와 공급단자를 접속시켜 전기 필터에 의해 공기가 정화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내부가 도시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이동기구가 도시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및 무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샤시(30) 및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의해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공기조화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벽(W)에 결합될 수 있고, 샤시(3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거치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송풍팬(40)이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이너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고, 송풍팬(40)은 이너 공간(S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
리어 가이드(33)는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 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송풍팬(40)는 횡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횡류팬은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송풍팬(40)의 축 방향은 공기조화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송풍팬(40)은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샤시(30)는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팬 지지부(35)는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팬 모터(45)의 축은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에는 공기조화기(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고, 케이스(100)에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50)은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박스(52)와, 컨트롤 박스(53)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터(55)는 샤시(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너 공간(S1)에 수용된 공조 유닛(Air condition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유닛의 일예는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60)일 수 있다. 공조 유닛의 다른 예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 공조 유닛의 또 다른 예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는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된 예로 설명한다.그러나, 본 발명은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소자, 전기 히터, 가습장치, 정화 유닛 등이 다양한 공조 유닛이 이너 공간(S1)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다양한 공조 유닛이 열교환기(60)와 함께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샤시(30)와 케이스(100)가 이루는 이너 공간(S1)에는 열교환기(60)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열교환기(60)는 샤시(30) 및 토출 그릴 어셈블리(8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공기조화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할 수 있다.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열교환기 홀더(67)는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냉매 튜브(70)는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될 수 있고,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공기조화기(1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공기조화기는 그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그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부(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 바디(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111)(112) 및 상면부(113)는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은 상면부(113)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어셈블리 커버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310)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바디(114)는 필터 케이스(31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커버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공기조화기(10)의 상면 외관을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의 이너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은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면은 케이스(100)의 상면과 함께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10)의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토출부는 하부 토출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토출부(126)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토출부(126)는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복수개 부재(110)(12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일 경우, 케이스(100)는 샤시(30)에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된 그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토출그릴 어셈블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샤시(30)과 이격된 토출그릴 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베인(82)이 포함될 수 있다. 좌우 베인(82)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8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2)은 링크(84)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좌우 베인(82)을 회전시키는 좌우베인 모터(8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베인 모터(86)는 토출그릴 바디(81)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베인(88)의 측방에는 링크(89)가 연결될 수 있고, 링크(89)에는 상하 베인(88)을 구동하기 위한 상하베인 모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상하베인 모터(90)는 샤시(30)와, 하부 플레이트(55)와, 토출그릴 바디(8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에는 공기조화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5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52)이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전면 패널(150)에 연결되어 전면 패널(150)을 복수 위치로 작동시키는 구동기구(17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케이스(100) 또는 샤시(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구(170)은 전면 패널(150)와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면 패널(1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구(170)는 모터(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172)에 의해 회전되고 랙과 치합된 피니언(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전원공급기(180, High Voltage Power Supply,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는 필터 어셈블리(300) 및 후술하는 대전 모듈(360, 도 9 참조)으로 고전압이 인가할 수 있다.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킬 수 있고, 대전 모듈(360)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300)의 내부에 집진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가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세블리(300)는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 수용된 필터는 필터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는 전기 필터(350; an electrostatic dust filter,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는 프리 필터(34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기 필터(350)의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전기 필터(35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전선 및 단자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먼지가 집진되는 전기 집진필터(an electrostatic dust filter)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예를 들면,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먼지'라 칭함)을 필터에서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38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담겨지는 먼지통(39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은 프리 필터(340)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는 브러시 유닛(380)에 의해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될 수 있고,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390)으로 유입되어 먼지통(39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먼지통(390)은 공기조화기(10) 외부로 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저장된 먼지는 사용자 등에 의해 버려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 어셈블리(300)에 쌓여진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40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이 공기조화기(10)에 장착되었을 때, 먼지통(390)과 연통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에 연결되어 먼지통(390)의 공기를 석션하는 석션 유닛일 수 있다. 필터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팬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은 케이스(100)와 샤시(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컨트롤러(5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가 구동하면, 필터 청소장치(400)의 흡입력은 먼지통(390) 및 브러시 유닛(380)을 통해 필터(특히, 프리 필터(340)에 작용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필터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먼지통(390)으로 유입되어 먼지통(390) 내부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어 필터 케이스(310)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먼지통(390)은 후술하는 필터 청소장치(400)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지 않고, 샤시(30)나 케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00)는 필터 청소장치(40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장착되었을 때, 필터 어셈블리(300)와 접속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사용자나 서비스업자에 의해 세척될 필요가 있고, 그 인출이나 장착이 용이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이 프리 필터(340) 및 전기 필터(350)와 함께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외부로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프리 필터(340)와 전기 필터(350)와 브러시 유닛(380) 및 먼지통(390)을 함께 인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프리 필터(340)와 전기 필터(350) 및 브러시 유닛(380)을 세척할 수 있고, 먼지통(390)을 비울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이다.
구동기구(170, 도 2 참조)는 전면 패널(150)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전면 패널(150)을 승강시키는 전면 패널 승강기구일 수 있다.
케이스(100)에 형성된 토출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토출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토출부(129)는 케이스(100)의 전면 하부에 일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을 복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위치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P1)는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위치(P2)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제2위치(P1)는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는 위치일 수 있다.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는 전면 패널(150)이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제1위치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 및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제2위치일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되,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일 때, 전면 패널(150)의 상단은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면 패널(150)의 상단 위를 지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P2)에 위치된 상태일 때, 전진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 또는 사용자는 전면 패널(150)이나 케이스(1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 어셈블리(300)를 전방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 바디(114)의 전방으로 인출된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서 모두 인출한 후, 물 등의 세척액으로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부 또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 구성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세척한 후,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올리면서 삽입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위치는 제3위치(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위치(P3)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제3위치(P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50)이 전방 토출구(129)를 개방하는 위치일 수 있고,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필터 어셈블리(30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전면 패널(150)의 배면에 안내된 후,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하부 토출부(126, 도 1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하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하방 기류모드와, 전방 토출부(129, 도 6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기류모드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1위치(P1)이거나 제2위치(P2)일 때, 공기조화기(10)는 하부 토출부(126)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공기조화기는 전방 토출부(129) 및 하부 토출부(126)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필터의 내부가 도시된 저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이동기구가 도시된 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대전 모듈(360 또는 전리 모듈, 도 8 및 도 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이온화 모듈 또는 전리 모듈일 수 있다.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 이물질이 전기 필터(350)를 유입되기 이전에 이온화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대전 모듈(360)은 전기 필터(35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것으로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방전 전극(361, 도 9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 전극(361)는 탄소 섬유 또는 카본 섬유 등의 섬유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 전극(361)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전 전극(361)는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를 세척시키기 위해 필터 어셈블리(300)를 인출하더라도 방전 전극(361)은 필터 어셈블리(300)와 함께 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 전극(361)은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위치될 수 있고, 일예로, 공기조화기의 외부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 전극(361)는 공기조화기(!0) 외부 특히,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 외부 공기 내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에서 이온화될 수 있고,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되어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전기 필터(350)에 집진될 수 있다.
한편, 방전 전극(361)는 가급적 필터 어셈블리(300) 주변 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방전 전극(361)은 수용 바디(114)에 근접하게 배치돌 수 있고, 일예로 상기 수용 바디(114)의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송풍팬(40)의 구동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수용 바디(114) 및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으로 유동된 후,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수용 바디(114) 및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바디(114)의 상측을 향하는 방전 전극(361)는 공기 중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기 위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전 모듈(360)은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된 모듈 마운터(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마운터(364)의 내부에는 방전 전극(361)이 수용되는 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5)는 방전 전극(36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마운터(364)에는 방전 전극(361)에 연결된 전선(362)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공(3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362)는 전선 관통공(36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방전 전극(361)에 연결된 전선(362)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전 모듈(360)은 공기조화기에 한 쌍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전 모듈(360A)(360B)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전 모듈(360A)(360B)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대전 모듈(360A)(360B)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좌측에 위치되게 설치된 좌측 대전모듈(360A)과,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우측에 위치하게 설치된 우측 대전모듈(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40)의 회전시,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 중 이물질은 방전 전극(361) 주변을 지나면서 이온화될 수 있고,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 중 프리 필터(340)를 통과한 이물질은 전기 필터(350)에 흡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이하, 필터 어셈블리(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수용된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는 공기가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 케이스(310)로 흡입되기 위한 아우터 인렛(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는 필터 케이스(310)의 공간(S3)을 통과한 공기가 이너 공간(S1)으로 유동되기 위해 통과하는 이너 아웃렛(31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인렛(312)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수용 바디(114)에 삽입하였을 때, 상측을 향할 수 있고, 아우터 인렛(312)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너 아웃렛(314)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삽입하였을 때, 하측을 향할 수 있고, 이너 아웃렛(314)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아우터 인렛(312)이 형성된 어퍼 커버(320)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수용 바디(114)의 개구부(115)으로 유동되는 이너 아웃렛(314)이 형성된 로어 케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320)는 후크 등의 걸이부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로어 케이스(3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어퍼 커버(320)가 로어 케이스(330)에서 분리되었을 때,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는 오픈될 수 잇다.
프리 필터(3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필터 망(3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필터 망(342)을 지지하는 필터 바디(34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전기 필터(350)와 어퍼 커버(32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대전 모듈(360)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모듈 또는 정전 필터일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351A)을 제1유천체(351B)가 감싸는 제1필터바디(351)와; 제2전극(352A)을 제2유전체(352B)가 감싸는 제2필터바디(35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전기 필터(350)는 유전체 필터일 수 있다.
제1유전체(351B) 및 제2유전체(351B)는 이물질이 제1전극(351A)나 제2전극(352A)의 노출을 막는 유전체 재질의 코팅부재일 수 있고, 이온화된 이물질이 제1전극(351A)과 제2전극(352A)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흡착되는 흡착 바디일 수 있다.
제1필터바디(351)과 제2필터바디(35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 방향(Z)과 직교한 방향(X)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바디(351)과 제2필터바디(352)는 공기의 흡입 방향(Z)과 직교한 방향(X)으로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에는 전극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단자는 전기 필터(350)에 한 쌍 제공될 수 있고, 한 쌍의 전극단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일 수 있다.
양극단자(353) 및 접지단자(354)는 전기 필터(35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양극단자(353)은 제1전극(35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필터 바디(352)와 이격될 수 있다.
제1필터 바디(351)는 제1전극(351A)의 일부가 양극단자(353)에 접속될 있다.
접지단자(354)는 제2전극(35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필터바디(35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필터 바디(352)는 제2전극(352A)의 일부가 접지단자(354)에 접촉될 수 있다.
양극 단자(353)와 접지 단자(354) 각각은 전기 필터(350)의 필터 프레임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일부가 전기 필터(350)의 필터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전극단자(353)(354)로 칭하여 설명하고,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전기 필터(350)는 내부에 공간(S4)이 형성된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프레임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356)(35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체(356)(367)은 어퍼 프레임(356)과 로어 프레임(357)을 포함할 수 있고, 어퍼 프레임(356)과 로어 프레임(357)은 후크 등의 걸이부(35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무빙기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0)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진퇴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진퇴기구일 수 있다.
이러한 무빙기구(500)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0)의 일예는 모터(510)와, 모터(51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520)와, 구동기어(520)에 치합된 종동기어(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100)에 배치된 슬라이딩 가이드(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올려지는 캐리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0)는 캐리어(550)에 연결되어 캐리어(550)를 진퇴시킬 수 있다. 무빙기구(500)는 캐리어(550)를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캐리어(550) 위에 올려진 필터 어셈블리(300)를 진퇴시킬 수 있고, 캐리어 진퇴기구일 수 있다.
모터(510)는 공기조화기(10) 특히,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모터(510)은 슬라이딩 가이드(54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540)는 캐리어(550)를 안내할 수 있고, 모터(510)는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5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캐리어(550)를 슬라이드 안내하는 캐리어 가이드와, 모터(510)가 장착되기 위한 모터 마운터를 각각 별도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구동기어(520)은 모터(51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중간 기어를 통해 모터(51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어(520)의 일예는 모터(51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일 수 있다.
종동기어(530)는 별도의 기어부재(532)에 형성될 수 있다. 종동기어(530)는 기어부재(532)에 형성되어 랙일 수 있고, 이러한 랙은 구동기어(520)인 피니언에 치합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기어부재(532)는 캐리어(550)에 연결되어 모터(510)의 구동시 캐리어(550)를 진퇴시킬 수 있다. 기어부재(532)는 캐리어(5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고, 기어부재(532)는 캐리어(550)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기어 부재(532)와 캐리어(550) 사이에는 캐리어(505)의 진퇴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540)는 케이스(100)에 체결되는 체결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바디(541)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케이스(10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바디(541)는 수용 바디(114)의 아래에 위치되게 케이스(100)의 내벽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540)는 가이드 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42)는 개구부(534)를 안내할 수 있고, 캐리어(550) 및 종동기어(530)의 진퇴를 안내할 수 있다.
개구부(534) 및 가이드 바디(542) 각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개구부(534)는 가이드 바디(54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가이드 바디(542)의 외면을 따라 가이드 바디(542)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540)는 기어부재(532)의 하단(535)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4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4)는 가이드 바디(542)와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4)는 가이드 바디(542)의 하측에 가이드 바디(542)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재(532)의 일부는 가이드 바디(542)와 가이드 레일(54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잇고, 기어부재(532)는 가이드 바디(542)와 가이드 레일(544) 각각의 안내를 받으면서 캐리어(550)와 함께 진퇴될 수 있다.
캐리어(55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올려지는 안착 바디(55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550)은 마그넷 센서(570)가 수용되는 센서 수용바디(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550)은 안착 바디(551)에서 연장되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스토퍼(5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 바디(551)의 크기는 센서 수용 바디(552)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센서 수용 바디(552)는 안착 바디(55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 바디(552)는 그 상측에 위치하는 안착 바디(5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마그넷 센서(570) 및 센서 수용 바디(552)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안착 바디(551)의 이후일 수 있고, 마그넷 센서(570)는 안착 바디(551)에 의해 보호될 수 잇다.
스토퍼(553)는 실질적으로 필터 어셈블리(300)의 정 위치(정상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필터 어셈블리(300)가 스토퍼(553)에 접촉되어 걸렸을 때, 필터 어셈블리(300)는 정 위치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토퍼(553)은 안차 바디(55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안착 바디(551)의 상면에 올려진 필터 케이스(310)는 스토퍼(553)의 전면에 접촉되어 스토퍼(553)에 걸릴 수 있다.
캐리어(550)는 마그넷 센서(570)가 마그넷(560)의 근접을 신뢰성 높게 센싱할 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캐리어(550)는 비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5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마그넷(560)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580)는 캐리어(550)에 배치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마그넷(560)에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580)는 마그넷 센서(570)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580)는 강자성체가 아닌 상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일예로,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550)가 합성수지 등의 비자성체이고, 상기 자성체(580)가 알루미늄 등의 상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자성체(580)는 마그넷(560)을 잡아당겨 필터 어셈블리(300)가 정 위치에 위치되게 유도할 수 있고, 자성체 센서(570)는 ??터 어셈블리(300)가 정 위치에 위치되면 마그넷(560)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580)는 스토퍼(55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넷(560)가 스토퍼(55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그넷(560)에 인력을 작용할 수 있고, 필터 케이스(310)는 이러한 마그넷(560)에 의해 스토퍼(553)의 전면에 신뢰성 높게 구속될 수 있다.
자성체(580)와 마그넷(560) 사이의 인력은 필터 케이스(310)가 스토퍼(55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고, 필터 케이스(310)는 그 진퇴시 그 흔들림이나 임의 이탈이 최소화되면서 진퇴될 수 있다.
무빙기구(500)는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컨트롤러(50)가 모터(510)를 전진 모드로 제어하면, 모터(510)은 회전축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종동기어(530)가 형성된 기어부재(532) 및 캐리어(550)을 전진시킬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캐리어(550)에 올려진 상태에서 캐리어(550)와 함께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사용자가 리모컨 등이 입력부를 통해 필터 어셈블리(300) 인출명령이 입력하거나, 공기조화기가 필터 어셈블리 인출 조건일 때, 모터(510)로 전진 모드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수용 바디(114)에 삽입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이 입력부를 통해 필터 어셈블리(300)의 인출명령(또는 필터 청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컨트롤러(50)은 모터(510)로 전진 모드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힌편, 컨트롤러(50)가 모터(510)를 후퇴 모드로 제어하면, 모터(510)은 회전축을 전진 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종동기어(530)가 형성된 기어부재(532) 및 캐리어(550)을 후퇴시킬 수 있으며, 필터 어셈블리(300)는 캐리어(550)에 올려진 상태에서 수용 바디(114)의 내측으로 깊숙히 삽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캐리어(550) 위의 안착 위치에 올려지면 무빙기구(500)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 위치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캐리어(550)에 정상적으로 올려지는 위치일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무빙기구(500)에 정상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캐리어(550) 위에 기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유닛은 필터 어셈블리(300)가 안착 위치(즉, 정상 안착 위치)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를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싱유닛은 필터 어셈블리(300)가 캐리어(550) 위에 정상적으로 올려져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유닛은 마그넷(560)과 마그넷 센서(57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560)은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500)은 필터 어셈블리(300)가 케이스(100)에서 인출되면, 필터 어셈블리(30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마그넷 센서(570)은 캐리어(550)에 배치되어 마그넷(560)을 센싱할 수 있다. 마그넷 센서(570)는 캐리어(550)의 이동시 캐리어(550)와 함께 진퇴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 특히, 로어 케이스(330)에는 마그넷(560)이 안착되어 수용되는 마그넷 장착부(337)이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넷(560)은 마그넷 장착부(337)에 장착되어 필터 어셈블리(300)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마그넷 센서(570)는 캐리어(520)에 형성된 센서 수용 바디(552)에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넷 센서(57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캐리어(550) 위의 정 위치에 올려지면, 마그넷(560)을 센싱할 수 있고, 컨트롤러(50)은 마그넷 센서(570)에 의해 마그넷(560)이 센싱되면, 무빙기구(500)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정 위치에 올려지기 전까지 대기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정 위치에 올려지면, 캐리어(550)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300)를 접속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마그넷 센서(570)에 의해 마그넷(560)이 센싱되면 무빙기구(500)를 후퇴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무빙기구(500)는 후퇴모드시, 전극단자(353)(354)가 공급단자(121)(122)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로 캐리어(550)를 후퇴시킬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의 접속 위치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극단자(353)(354)가 공급단자(121)(122)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전기 필터(350)로 고전압이 신뢰성 높게 인가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수용 바디(114)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의 상면과 수용 바디(114)의 전면 각각은 개방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수용 바디(114)의 내측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수용되는 어퍼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5)는 어퍼 공간(S2)이 이너 공간(S1)과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5)에는 캐리어(550)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캐리어(550)는 개구부(115)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구부(115)는 캐리어(550)의 이동을 고려하여, 그 전후 방향(X) 길이가 캐리어의 전후 방향(X)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필터 케이스(310)의 측면(302)(303)을 향할 수 있다.
리어 바디(118)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을 잇게 형성될 수 잇고, 필터 케이스(310)의 후면(304)을 향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은 상하 방향(Z)으로 소정 길이를 갖을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의 길이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두께(즉,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하 방향 길이)와 같거나 길 수 있다.
수용 바디(114)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 하부에 형성되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로어 바디(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19)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의 상단과 단차를 갖을 수 있다.
개구부(115)는 로어 바디(119)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 및 로어 바디(119)는 전후 방향(X)으로 폭을 갖을 수 있고, 이러한 폭은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후 방향(X) 폭 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면(305)이 공기조화기의 상면부(113)와 일치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이 케이스(100)의 전면과 일치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에는 전극단자(353)(354)가 접촉되는 공급 단자(121)(122)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단자(121)(122)는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고정된 고정 단자일 수 있다. 공급단자(121)(122)는 전극단자(353)(354)와 1:1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공급단자(121)(122)는 양극단자(353)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양극 고정단자(121)과, 접지단자(354)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접지 고정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고정단자(121)와, 상기 접지 고정단자(122)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공급단자(121)(122)로 칭하여 설명하고,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극 고정단자(121)와, 접지 고정단자(122)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양극 고정단자(121)는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연결될 수 있고, 양극 고정단자(121)에 연결된 전선이나 버스 바 등은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로 연장될 수 있다.
접지 고정단자(122)는 양극 고정단자(121)과 같이,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연결될 수 있고, 접지 고정단자(122)에 연결된 전선이나 버스 바 등은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는 전극단자(353)(354)와 공급 단자(121)(122)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단자 홀(338)이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단자 홀(338)은 로어 케이스(33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는 필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37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370)는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370)는 한 쌍의 피니언(372)(374)와, 한 쌍의 피니언(372)(374)을 연결하는 회전축(37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340)에는 한 쌍의 피니언(372)(374)과 치합되는 한 쌍의 랙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은 롤러(370) 옆에 위치되게 배치되게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 특히, 로어 케이스(330)에는 브러시 유닛(380)이 삽입되는 브러시 유닛 삽입부(349)가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은 프리 필터(340) 중 롤러(370)를 따라 굽은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은 브러시 유닛 삽입부(349)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공기 및 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브러시 바디와, 브러시 바디 중 롤러(37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프리 필터(340)에 접촉되는 브러시 모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390)은 브러시 유닛 삽입부(349) 옆에 배치될 수 있고, 브러시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는 롤러(370)을 회전시기기 위한 롤러 회전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 회전기구는 상기 롤러(370) 특히, 한 쌍의 피니언(372)(374) 중 어느 하나(372)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377)와, 커넥터(377)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모터(378)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회전모터(378)는 커넥터(377)에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샤시 40: 송풍팬
50: 컨트롤러 100: 케이스
114: 수용 바디 300: 필터 어셈블리
310: 필터 케이스 500: 무빙기구
550: 캐리어 560: 마그넷
570: 마그넷 센서

Claims (15)

  1. 필터가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필터 어셈블리;
    샤시;
    상기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제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샤시의 사이에 수용된 송풍팬;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안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안내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무빙기구;
    상기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마그넷;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을 센싱하는 마그넷 센서;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캐리어 위의 안착 위치에 올려지고, 상기 마그넷 센서에 의해 상기 마그넷이 센싱되면, 상기 무빙기구의 후퇴모드를 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바디는 하부에 상기 캐리어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긴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마그넷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수용바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용 바디는 상기 안착 바디의 하측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바디의 크기는 상기 센서 수용 바디의 크기 보다 큰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비자성체인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비자성체인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안착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바디에 배치된 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전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필터에는 상기 공급단자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전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후퇴모드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전극단자가 상기 공급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로 상기 캐리어를 후퇴시키는 공기조화기.
  12. 필터가 필터 케이스에 배치된 필터 어셈블리;
    샤시;
    상기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제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샤시의 사이에 수용된 송풍팬;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안내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무빙기구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캐리어 위의 안착 위치에 올려지면, 상기 무빙기구의 후퇴모드를 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안착 바디와,
    상기 안착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배치된 마그넷과;
    상기 스토퍼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과 인력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비자성체인 공기조화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바디에 배치된 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전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필터에는 상기 공급단자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전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후퇴모드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전극단자가 상기 공급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로 상기 캐리어를 후퇴시키는 공기조화기.
KR1020200092608A 2019-03-19 2020-07-24 공기조화기 KR10227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608A KR102279950B1 (ko) 2019-03-19 2020-07-24 공기조화기
KR1020210077979A KR102495484B1 (ko) 2020-07-24 2021-06-1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22A KR102216681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KR1020200092608A KR102279950B1 (ko) 2019-03-19 2020-07-24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22A Division KR102216681B1 (ko) 2019-01-31 2019-03-19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79A Division KR102495484B1 (ko) 2020-07-24 2021-06-1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50A KR20200111650A (ko) 2020-09-29
KR102279950B1 true KR102279950B1 (ko) 2021-07-22

Family

ID=726612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608A KR102279950B1 (ko) 2019-03-19 2020-07-24 공기조화기
KR1020210077979A KR102495484B1 (ko) 2020-07-24 2021-06-16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79A KR102495484B1 (ko) 2020-07-24 2021-06-1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99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06U (ko) * 1996-07-05 1998-04-30 김광호 공기 조화기
KR20050075977A (ko) * 2004-01-19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60016008A (ko) * 2004-08-16 2006-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100660968B1 (ko) 2004-12-23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100715898B1 (ko) * 2005-10-11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에어컨 필터 하우징
KR101839557B1 (ko) * 2015-10-30 2018-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50A (ko) 2020-09-29
KR20210075950A (ko) 2021-06-23
KR102495484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588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7350371B2 (en)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EP3093563B1 (en) Air conditioner
KR102245799B1 (ko) 공기조화기
EP2039277A2 (en) Power cord cool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2279950B1 (ko) 공기조화기
EP3835679B1 (en) Air conditioner
KR102267826B1 (ko) 공기조화기
KR102194007B1 (ko) 공기조화기
EP4227589A1 (en) Air conditioner
KR102216681B1 (ko) 공기조화기
KR102463318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227B1 (ko) 공기조화기
EP3511640A1 (en) Filter cleaning device
KR102254648B1 (ko) 공기조화기
KR102279938B1 (ko) 공기조화기
KR20200095956A (ko) 공기조화기
KR102231059B1 (ko) 공기조화기
KR102283830B1 (ko) 공기조화기
KR100858499B1 (ko) 공기조화기
KR20020041211A (ko) 공기조화기의 전기 집진기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