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87B1 -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 Google Patents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87B1
KR102279487B1 KR1020200007934A KR20200007934A KR102279487B1 KR 102279487 B1 KR102279487 B1 KR 102279487B1 KR 1020200007934 A KR1020200007934 A KR 1020200007934A KR 20200007934 A KR20200007934 A KR 20200007934A KR 102279487 B1 KR102279487 B1 KR 10227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luid
kiosk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문보
Original Assignee
심문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문보 filed Critical 심문보
Priority to KR102020000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mplemented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display of the kiosk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iosk installed in an experience zone fo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outputting an imag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a user; a motion camera photographing an object so 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shape,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object which is a basic source of an image to b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motion camera and producing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kiosk; and a database storing augmented reality data and virtual reality data to be synthesized into objects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used for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image production into a database for each type of object.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kiosk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It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장치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 은행, 백화점 및 전시장 등과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In general, kiosk devices are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s that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banks, department stores, and exhibition halls to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facility usage methods. to provide.

또,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그래픽 카드 및 통신 카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 안내시스템이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is an unmanned comprehensiv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s by providing a graphic card and a communication card.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력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상호 대화방식으로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를 사용하는 각 기관들은 안내 인력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kiosk device can be conveniently searched for interactively between a user and a system using an input button or a touch screen, and users can easily obtain desired information, and each Agencies can benefit from reductions in guide staff.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단편 정보의 제공이나 서비스 제공을 용도로 하는 키오스크의 경우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정보 및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한 정도면 된다.In the case of a kiosk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general and objective fragmentary information or service,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uitive and effective information and services.

하지만, 여행 안내의 경우 일반적인 관광 안내용 키오스크에 담긴 단편적인 사진이나 동영상의 경우 실제와 다 른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ravel guides, fragmentary photos or videos contained in general tourist information kiosks can have a different feel from reality.

즉, 종래의 키오스크 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은 평면적으로 제공되는 이차원 영상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없어 현실감과 생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image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kiosk device cannot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to the user by providing only a two-dimensional image provided in a flat su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alism and liveliness are reduced.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3243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3243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003호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8-0003003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동작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gmented reality using a kiosk implemented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kiosk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an image captured by a motion recognition camera. and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또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 영상 제작에 불필요한 물체(예를 들어, 지나가고 있는 행인이나 애완 동물 등)를 배제시키고, 영상 제작에 보조 적으로 필요한 배경(예를 들어, 숲 또는 우주 공간 등)을 보다 용이하게 포함시킬 수 있도록 단색 또는 해당 배경이 도시된 촬영 부스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producing image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objects unnecessary for image production (for example, passers-by or pets, etc.) are excluded, and backgrounds (for example, forest or space, etc.) to more easil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that is implemented to be equipped with a photography booth with a single color or a corresponding backgroun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한 체험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된 영상을 출력하는 키오스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될 영상의 기초 소스가 되는 물체의 형상, 움직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당 물체를 촬영하는 모션 카메라; 상기 모션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될 영상을 제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물체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영상 제작에 사용될 증강현실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를 물체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experience zone fo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outputs an imag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a user kiosk; a mo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so 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shape, movement, and position of an object, which is a basic source of an image to b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n object photographed by the motion camera and produces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kiosk; and a database for storing augmented reality data and virtual reality data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images by synthesizing the object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to a database for each type of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는, 체험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iosk, the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experience zone; a cas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displa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to output an image.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상기 모션 카메라를 통해 보다 깨끗하고 다양한 배경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영상 촬영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촬영 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for the user's image shooting so that images with a cleaner and various backgrounds can be captured through the motion camera. It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booth to for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부스는,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테이지; 영상 촬영을 위한 배경을 형성하는 스크린; 상기 스테이지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상기 스크린의 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booth, a stage for forming a space for the user to climb; a screen forming a background for image capturing;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stage to support the stage by using an elastic force; a support bar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creen to support the screen; and buffer support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r to support the support b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ffer support is a base plat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colum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column; and a pillar support part formed in a hexagonal pillar shape, inserted and se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 and supporting the support bar seated on the upper side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llar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bar; a hexagonal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in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a braking rack gear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t least one of the six surfaces of the hexagonal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illar, the pillar body extending upwardly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support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xagonal fram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body so that the hexagonal frame can be inserted; a brak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as the hexagonal frame descends to brake the hexagonal pillar; and the hexagonal frame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to support the hexagonal frame seated on its upper side by using an elastic force, and as the hexagonal frame descends and compresses, the elasticity for supplying the flui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braking unit It may include a pedest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king unit may include: a seating plate seated in a brak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 forward cylin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receiv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elastic pedestal, and advancing the seating plate in the hexagonal frame direction;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d a close contact leg gea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raking rack gea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nd as the seating plate advance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a brake plate that brakes the hexagonal frame from lowering any further; a sliding groove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 elastic body installed under the sliding groove; and a sliding ba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king plate opposite to the sliding groove, seated in the sliding groove,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pedestal,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hexagonal frame seated on the upper side; a lower plat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at least one suppor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a fluid tank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compressed as the upper plate descends to supply a flui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 fluid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fluid tank to the advancing cylinder and transferr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tank to the advancing cylind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상부 평판;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the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stage; a lower plate seated on the floor; at least one gap support part installed along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rom widening, and wh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m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flui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is removed. a fluid supply ring for supplying; and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gap support part is seated so that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gap support part is installed, and when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ring, it is extended and the It may include a; elastic control cylinder for compressing the gap support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gap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uid supply ring, a first square ring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 second square ring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nd cross-connected to the first square ring; a first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quare ring to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fluid movement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luid along the inner side; a second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quare ring to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fluid movement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luid along the inner side;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quare ring, and is compress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quare ring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 first fluid pouch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through a fluid movement passage of the first support tube; And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quare ring, and is com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quare ring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t may include; a second fluid pouch for supplying the existing flui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through the fluid passage of the second support tu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e housing forming an inner space; and a seating plunger that is seated on the housing, and that is pushed out from the housing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s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housing and contracts the gap suppor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동작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을 제공해줌으로써 키오스크의 활용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more realistic image by providing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kiosk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an image captured through a motion recognition camera. By providing the kios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kiosk.

또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 영상 제작에 불필요한 물체(예를 들어, 지나가고 있는 행인이나 애완 동물 등)를 배제시키고, 영상 제작에 보조 적으로 필요한 배경(예를 들어, 숲 또는 우주 공간 등)을 보다 용이하게 포함시킬 수 있도록 단색 또는 해당 배경이 도시된 촬영 부스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선명하고 다양한 형식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producing image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objects unnecessary for image production (for example, passers-by or pets, etc.) are excluded, and backgrounds (for example, forest or Space, etc.)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y booth with a single color or a corresponding background so that it can be included more easily, so that users can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image by producing more vivid and various type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mage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제동부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3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탄성 조절 실린더에 의한 간격 지지부의 수축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kiosk of FIG. 1 .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buffer support of Figure 3;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column of FIG. 4 .
7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rake unit of FIG. 5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braking unit of FIG. 5 .
9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3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luid supply ring of FIG. 9 .
11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of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gap support portion by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of FIG. 11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4]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10)은, 키오스크(100), 모션 카메라(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10 using a kios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osk 100 , a motion camera 200 ,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 database 400 . includes

키오스크(100)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한 체험존에 설치되며, 네트워크(N)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된 영상을 출력한다.The kiosk 100 is installed in the experience zone fo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an imag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a user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N. print out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이다. The kio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bank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halls, etc. A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phone numbers and addresse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how to use facilities, such as a touch screen and sound. graphic. It refers to an unmanned comprehensive information guide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s, such as voice service and video implementation, by using advanced multimedia devices such as communication cards.

모션 카메라(200)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될 영상의 기초 소스가 되는 물체의 형상, 움직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당 물체를 촬영한 뒤 네트워크(N)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motion camera 200 is a network (N) after photographing the object so 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shape,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object, which is the basic source of the image to b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모션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물체의 정보를 수신받아 키오스크(100)를 통해 출력될 영상을 제작한 뒤, 네트워크(N)를 통해 키오스크(100)로 전송한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motion camera 200 through the network N, produces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kiosk 100, and then through the network N, the kiosk ( 100) is sent.

데이터베이스(4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물체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영상 제작에 사용될 증강현실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를 물체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The database 400 stores the augmented reality data and virtual reality data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images by synthesizing the object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to a database for each type of object.

한편,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und, or a combination thereof. BAN (Body Area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 (Wireless Fidelity), and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achieved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as for the network N,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10)은, 동작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을 제공해줌으로써 키오스크의 활용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10 using a kios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ses 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display the image captu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of the kiosk. By providing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kiosk, the application area of the kiosk can be expanded by providing a more realistic image.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kiosk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케이스(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kiosk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 a case 120 , and a display 130 .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체험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케이스(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base plate 1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erience zone, and the case 1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케이스(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스텝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case 120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a driving means such as a step motor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디스플레이(130)는, LCD 또는 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제작도어 케이스(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한다.The display 13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nufacturing door case 120 as a display means such as LCD or LED and outputs an im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오스크(100)는, 모션 카메라(20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30)가 설치된 케이스(120)의 전면이 사용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회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입체감 있는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kiosk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he front of the case 120 in which the display 130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display 130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user detected through the motion camera 200 . By rotating using a driving means, such as a step motor, to face the user,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10)은, 키오스크(100), 모션 카메라(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및 촬영 부스(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오스크(100), 모션 카메라(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10 using a kiosk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osk 100 , a motion camera 200 ,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a database 400 . and a photography booth 20 . Here, the kiosk 100 , the motion camera 200 ,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the database 4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촬영 부스(20)는, 모션 카메라(200)를 통해 보다 깨끗하고 다양한 배경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영상 촬영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The photographing booth 20 forms a space for a user's image photographing so that images of a cleaner and various background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motion camera 200 .

일 실시예에서, 촬영 부스(20)는, 스테이지(500), 스크린(600), 탄성 지지대(700), 완충 지지대(800) 및 지지 바아(9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booth 20 may include a stage 500 , a screen 600 , an elastic support 700 , a buffer support 800 , and a support bar 900 .

스테이지(500)는,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탄성 지지대(700)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tage 500 forms a space for the user to climb, an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er 700 .

스크린(600)은, 영상 촬영을 위한 배경을 형성하며,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900)에 의하여 거치된다.The screen 600 forms a background for taking an image, and is mounted by a support bar 9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600)은, 영사기의 스크린막 등과 같은 배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단색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에 필요한 배경이 도시되어도 무방하다.In one embodiment, the screen 600, which forms a background such as a screen film of a projector, may be produced in a single color, as well as a background necessary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mages may be shown.

탄성 지지대(700)는, 스테이지(50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테이지(500)를 지지하여, 사용자가 스테이지(500)에서 뛰는 등의 경우에도 스테이지(500)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lastic support 700 is install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stage 500 to support the stage 500 using an elastic force, so that even when the user runs on the stage 500, the stage 500 is impacted by the impact. prevent breakage

지지 바아(900)는, 스크린(600)의 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어 스크린(600)을 지지 거치한다.The support bar 900 is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creen 600 to support and mount the screen 600 .

완충 지지대(800)는, 지지 바아(90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 바아(900)를 지지한다.The buffer support 800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r 900 to support the support bar 90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10)은,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 영상 제작에 불필요한 물체(예를 들어, 지나가고 있는 행인이나 애완 동물 등)를 배제시키고, 영상 제작에 보조 적으로 필요한 배경(예를 들어, 숲 또는 우주 공간 등)을 보다 용이하게 포함시킬 수 있도록 단색 또는 해당 배경이 도시된 촬영 부스(20)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선명하고 다양한 형식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을 제작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10 using a kiosk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object unnecessary for image produ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exclude passers-by or pets), and to more easily include the background (for example, forest or outer space, etc.) necessary for video production, a single-color or corresponding background is shown (20).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mmersion of the image by the user to produce more various vivid and various type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mages.

도 4는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buffer support of Figure 3;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지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지지 기둥(820) 및 기둥 지지부(8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buffer support 800 includes a base plate 810 , a support column 820 , and a column support unit 830 .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 또는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지지 기둥(820)이 연장 형성된다.The base plate 8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using concrete pouring or anchor bolts, and the support pillar 820 is extended from the top.

지지 기둥(820)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기둥 지지부(83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The support pillar 820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top of the base plate 810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a support groove 822 for inserting the pillar support 830 is formed thereon.

기둥 지지부(830)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820)의 상부에서 형성된 지지홈(822)을 통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 받침대(82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 바아(900)를 지지한다.The pillar support 8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pillar,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groove 82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820 , and the upper side using the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support 824 . Supports the support bar 900 seated on the.

일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830)는, 지지 플레이트(831), 육각 프레임(832) 및 제동 렉기어(83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llar support 83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831 , a hexagonal frame 832 , and a braking rack gear 833 .

지지 플레이트(8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바아(900)를 지지하며, 하부면으로부터 육각 프레임(832)이 연장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83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support the support bar 900 , and a hexagonal frame 83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육각 프레임(832)은, 육각 기둥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8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6개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제동 렉기어(833)이 형성된다.The hexagonal frame 83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831 in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the braking rack gear 833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six surfaces.

제동 렉기어(833)는, 육각 프레임(832)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동 플레이트(8233)가 밀착됨에 따라 육각 프레임(832)의 하강을 저지한다.The braking rack gear 83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t least one of the six surfaces of the hexagonal frame 832 , and prevents the hexagonal frame 832 from descending as the braking plate 8233 is in close contact.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column of FIG. 4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820)은, 기둥 바디(821), 지지홈(822), 제동부(823) 및 탄성 받침대(824)를 포함한다.5 and 6 , the support column 820 includes a column body 821 , a support groove 822 , a braking unit 823 , and an elastic pedestal 824 .

기둥 바디(821)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The column body 821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810 in the form of a square column, and a support groove 822 for inserting the hexagonal frame 832 is formed thereon.

지지홈(822)은,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 바디(821)의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하측에 탄성 받침대(824)가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제동부(823)가 형성된다.The support groove 82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xagonal frame 83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body 821 so that the hexagonal frame 832 can be inserted, and an elastic pedestal 824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It is seated, and a braking unit 823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제동부(823)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기둥을 제동시킨다.The braking unit 82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822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833,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833 as the hexagonal frame 832 descends to brake the hexagonal pillar. make it

즉, 제동부(8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프레임(832)의 3면에 제동 렉기어(833)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823a, 823b, 823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raking unit 823, as shown in FIG. 7 , when the braking rack gear 833 is installed on three surfaces of the hexagonal frame 832, three pieces 823a, 823b, and 823c are installed in correspondence thereto. it can be

탄성 받침대(824)는,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동부(823)로 공급한다.The elastic pedestal 824 is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822 to support the hexagonal frame 832 seated on its upper side by using an elastic force, and as the hexagonal frame 832 is lowered and compressed, in the inner space. The contained fluid is supplied to the braking unit 823 .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받침대(824)는, 상판(8241), 하판(8242), 지지 스프링(8243), 유체 탱크(8244) 및 유체 공급관(8245)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pedestal 824 may include an upper plate 8241 , a lower plate 8242 , a support spring 8243 , a fluid tank 8244 , and a fluid supply pipe 8245 .

상판(8241)은, 지지 스프링(8243)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판(82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하판(824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8244)를 압축시켜 준다.The upper plate 8241 is supported by a support spring 8243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8242 , and supports the hexagonal frame 832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as the hexagonal frame 832 descends, the lower plate It compresses the fluid tank 8244 installed between the 8242 and the .

하판(8242)은, 상판(8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판(8241)과의 사이에 지지 스프링(8243)과 유체 탱크(8244)가 설치된다.The lower plate 8242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8241 and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822 , and a support spring 8243 and a fluid tank 8244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8241 and the upper plate 8241 . .

지지 스프링(8243)은,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판(8242)의 상측에서 상판(8241)을 지지한다.At least one support spring 8243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8241 and the lower plate 8242 to support the upper plate 8241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8242 by using an elastic force.

유체 탱크(8244)는,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8241)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8245)를 통해 공급한다.The fluid tank 8244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8241 and the lower plate 8242 , and is compressed as the upper plate 8241 descends and supplies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fluid supply pipe 8245 .

유체 공급관(8245)은, 유체 탱크(8244)로부터 전진 실린더(8232)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탱크(824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진 실린더(8232)로 전달한다.The fluid supply pipe 8245 extends from the fluid tank 8244 to the forward cylinder 8232 , and transfer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tank 8244 to the forward cylinder 8232 .

도 8은 도 5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braking unit of FIG. 5 .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동부(823)는, 안착 플레이트(8231), 전진 실린더(8232), 제동 플레이트(8233), 슬라이딩홈(8234), 탄성체(8235) 및 슬라이딩바아(8236)를 포함한다.5 and 8 , the braking unit 823 includes a seating plate 8231 , a forward cylinder 8232 , a braking plate 8233 , a sliding groove 8234 , an elastic body 8235 and a sliding bar 8236 ). includes

안착 플레이트(8231)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8221)에 안착되며, 후면에 설치되는 전진 실린더(8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진함에 따라 전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 플레이트(8233)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시켜 준다.The seating plate 8231 is seated in a braking groove 8221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822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833,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 forward cylinder 8232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As it moves and moves forward, the brake plate 8233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sid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rack gear 833 .

전진 실린더(8232)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후면에 설치되며, 탄성 받침대(82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공급관(8237)를 통해 전달받아 안착 플레이트(8231)를 육각 프레임(832)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The forward cylinder 823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8231, receive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elastic pedestal 824 through the fluid supply pipe 8237, and moves the seating plate 8231 to the hexagonal frame 832 direction. advance it

제동 플레이트(8233)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전면에 제동 렉기어(83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G)를 형성하며, 안착 플레이트(8231)가 전진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프레임(832)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킨다.The braking plate 8233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8231 and forms a close contact leg gear 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raking rack gear 833 on the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833, , as the seating plate 8231 moves forwar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833 to brake the hexagonal frame 832 from further lowering.

슬라이딩홈(8234)은,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아(8236)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탄성체(8235)가 설치된다.The sliding groove 8234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8231 so that the sliding bar 8236 is seated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elastic body 8235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탄성체(8235)는, 슬라이딩홈(82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8234)애 안착되는 슬라이딩바아(8236)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elastic body 8235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8234 and supports the sliding bar 8236 seated in the sliding groove 8234 by using an elastic force.

슬라이딩바아(8236)는, 슬라이딩홈(8234)에 대향하는 제동 플레이트(8233)의 후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8234)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성체(8235)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liding bar 8236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king plate 8233 opposite to the sliding groove 8234 , is seated in the sliding groove 8234 ,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8235 .

도 9는 도 3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3 .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상부 평판(710), 하부 평판(720), 간격 지지부(730), 유체 공급 고리(740) 및 탄성 조절 실린더(7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elastic support 700 includes an upper plate 710 , a lower plate 720 , a gap support 730 , a fluid supply ring 740 , and an elastic adjustment cylinder 750 .

상부 평판(71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하부 평판(7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스테이지(500)의 하측에 안착되어 스테이지(500)를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upper plate 7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720 by the gap support 730 , and is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ge 500 to provide the stage 500 with elastic force by the gap support 730 . support using

하부 평판(72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상부 평판(7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바닥면에 안착된다.The lower plate 72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710 by the gap support 730 and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간격 지지부(730)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The gap support part 7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and at least one is installed along between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between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by using an elastic force. support the spacing of

유체 공급 고리(740)는,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시켜 준다.The fluid supply ring 74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from being widened, and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When the flat plate 720 is com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fluid 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upplie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간격 지지부(730)가 안착되는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및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간격 지지부(7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750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0 on which the gap support 730 is seated, so that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gap support 730 is It is installed, and when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ring 740, it expands and compresses the gap support part 730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gap support part 73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730)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켜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더이상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7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simply support an object using an elastic force, but the gap support 730 that forms an elastic force when vibration or shock is continuously increased according to this Compression increases the elastic force by the gap support 730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from being further narrowed, thereby reducing vibration or shock more effectively.

도 10은 도 9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luid supply ring of FIG. 9 .

도 10을 참조하면, 유체 공급 고리(740)는, 제1 사각 고리(741), 제2 사각 고리(742), 제1 지지관(743), 제2 지지관(744), 제1 유체 파우치(745) 및 제2 유체 파우치(7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fluid supply ring 740 includes a first square ring 741 , a second square ring 742 , a first support tube 743 , a second support tube 744 , and a first fluid pouch. 745 and a second fluid pouch 746 .

제1 사각 고리(741)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사각 고리(74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연결되며, 상측에 제1 지지관(743)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1 유체 파우치(745)가 설치된다.The first square ring 74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nd is cross-connected as shown in FIG. 10 with the second square ring 742, the first support pipe 74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 ring A first fluid pouch 745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제2 사각 고리(742)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각 고리(741)와 교차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제2 지지관(744)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2 유체 파우치(746)가 설치된다.The second square ring 7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cross-connected with the first square ring 741, a second support pipe 74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in the inner space of the ring A fluid pouch 746 is installed.

제1 지지관(743)은, 제1 사각 고리(741)의 상부로부터 상부 평판(71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1 유체 파우치(74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The first support pipe 74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quare ring 741 to the upper plate 710, and the fluid L supplied from the first fluid pouch 745 along the inner side is delivered. A moving passage is formed, and the fluid L is transferre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710 .

제2 지지관(744)은, 제2 사각 고리(742)의 하부로부터 하부 평판(72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2 유체 파우치(74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평판(72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The second support pipe 744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quare ring 742 to the lower plate 720, and the fluid L supplied from the second fluid pouch 746 along the inner side is transmitted. A moving passage is formed, and the fluid L is transferre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720 .

제1 유체 파우치(745)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1 사각 고리(741)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2 사각 고리(742)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1 지지관(743)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The first fluid pouch 745,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quare ring 741, as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get closer to each other, the second square The fluid compress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 742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upplie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through the fluid movement passage of the first support pipe 743 .

제2 유체 파우치(746)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2 사각 고리(74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1 사각 고리(741)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2 지지관(744)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The second fluid pouch 746,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quare ring 742, and as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first square The fluid com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741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upplie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through the fluid movement passage of the second support pipe 744 .

도 11은 도 9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of FIG.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하우징(751) 및 안착 플런저(7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750 includes a housing 751 and a seating plunger 752 .

하우징(751)은,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또는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유체(L)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안착 플런저(752)가 연결 설치된다.The housing 751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0, forms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luid L, and the seating plunger 752 is connected and installed .

안착 플런저(752)는, 하우징(751)에 안착되며, 하우징(751)으로 유체(L)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L)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751)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지지부(730)를 수축시켜 준다.The seating plunger 752 is seated on the housing 751, and as the fluid L is supplied to the housing 751, it is pushed out from the housing 751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L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The support part 730 is contrac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키 아니하여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1이 되도록 하나,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압축됨에 따라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에 의하여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2(t1 > t2)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여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elastic control cylinder 75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2 (a), does not compress the gap support part 730 in normal times so that the length of the gap support part 730 is t1. , as 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20 are compressed, the gap support 730 is compressed by the fluid L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ring 740 so that the length of the gap support 730 is t2 (t1) > t2)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by the gap support 730 in response thereto.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20: 촬영 부스
100: 키오스크
200: 모션 카메라
300: 서비스 제공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500: 스테이지
600: 스크린
700: 탄성 지지대
800: 완충 지지대
900: 지지 바아
10: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20: Shooting booth
100: kiosk
200: motion camera
300: service providing server
400: database
500: stage
600: screen
700: elastic support
800: buffer support
900: support bar

Claims (12)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한 체험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된 영상을 출력하는 키오스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제작될 영상의 기초 소스가 되는 물체의 형상, 움직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당 물체를 촬영하는 모션 카메라;
상기 모션 카메라에서 촬영된 물체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될 영상을 제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물체에 합성하여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영상 제작에 사용될 증강현실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를 물체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체험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카메라를 통해 보다 깨끗하고 다양한 배경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영상 촬영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촬영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부스는,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테이지;
영상 촬영을 위한 배경을 형성하는 스크린;
상기 스테이지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상기 스크린의 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 kiosk installed in an experience zone fo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outputting an imag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o a user;
a mo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so 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shape, movement, and position of an object that is a basic source of an image to be produce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n object photographed by the motion camera and produces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kiosk; and
A database for storing augmented reality data and virtual reality data to be used for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image production by synthesizing an object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to a database by type of object and storing;
The kiosk is
a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xperience zone;
a cas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Including; a displa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to output an image;
Further comprising; a photographing booth forming a space for a user's image recording so that images of a cleaner and various background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motion camera;
The photo booth is
a stage for forming a space for a user to climb;
a screen forming a background for image capturing;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stage to support the stage by using an elastic force;
a support bar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creen to support the screen; an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buffer support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r to support the support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support,
a base plat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a support colum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column; an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using a kiosk, including; a pillar support that is form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upport column, and supports the support bar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using an elastic force experience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pillar support portion,
a support plat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support the support bar;
a hexagonal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in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a; braking rack gear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t least one of the six surfaces of the hexagonal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pillar,
a column body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an upper side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a support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xagonal fram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body so that the hexagonal frame can be inserted;
a brak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as the hexagonal frame descends to brake the hexagonal pillar; and
It is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to support the hexagonal frame seated on its upper side by using an elastic force, and as the hexagonal frame descends and is compressed, an elastic pedestal for supplying the flui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braking unit ;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raking unit,
a seating plate seated in a brak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 forward cylin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receiv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elastic pedestal, and advancing the seating plate in the hexagonal frame direction;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d forms a close contact leg gea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raking rack gear on the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braking rack ge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rack gear as the seating plate advances. a brake plate that brakes the hexagonal frame from lowering any further;
a sliding groove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 elastic body installed under the sliding groove; an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using a kiosk, including; a sliding ba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king plate opposite to the sliding groove, being seated in the sliding groov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pedestal,
an upper plate supporting the hexagonal frame seated on the upper side;
a lower plat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at least one suppor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a fluid tank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compressed as the upper plate descends to supply a flui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a fluid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fluid tank to the advancing cylinder, and transferr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tank to the advancing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상부 평판;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pport,
an upper plate supporting the stage;
a lower plate seated on the floor;
at least one gap support part installed along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rom widening, and wh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m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fluid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is removed. a fluid supply ring for supplying; and
It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gap support part is seated, so that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gap support part is installed, and when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ring, the gap is extended A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an elastic control cylinder that compresses the support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gap sup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luid supply ring,
A first square ring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 second square ring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nd cross-connected to the first square ring;
a first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quare ring to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fluid movement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luid along the inner side;
a second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quare ring to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fluid movement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luid along the inner side;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quare ring, and is compress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quare ring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 first fluid pouch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through a fluid movement passage of the first support tube; and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quare ring, and is com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quare ring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a kiosk, including; a second fluid pouch for supplying the fluid to the elastic control cylinder through the fluid passage of the second support tub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adjustment cylinder,
a housing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and
Augmented reality using a kiosk, including; and a seating plunger that is seated in the housing and contracts the gap suppor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by being pushed out from the housing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s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hous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KR1020200007934A 2020-01-21 2020-01-21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KR102279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34A KR102279487B1 (en) 2020-01-21 2020-01-21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34A KR102279487B1 (en) 2020-01-21 2020-01-21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487B1 true KR102279487B1 (en) 2021-07-19

Family

ID=7712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34A KR102279487B1 (en) 2020-01-21 2020-01-21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4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886A (en) 2021-08-26 2023-03-07 앱미디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rect Experience of MICE Information based on Appbooks
WO2023191556A1 (en) * 2022-03-30 2023-10-05 유디포엠(주)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43Y1 (en) 2002-11-21 2003-02-07 오문석 Kiosk for providing virtual stereo graphic
KR100493589B1 (en) * 2004-06-14 2005-06-28 (주)가보 A height control device for wall mount tv stand
KR20080003003U (en) 2007-01-28 2008-07-31 안기환 LEDLihting emitting diodefishing tacklea lod
KR20140077820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fiiting virtual items using human body model and system for providing fitting service of virtual items
KR20160052030A (en) * 2014-10-31 2016-05-12 (주)유비 Photo Kiosk For Event
KR20170022088A (en)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rendering augmented reality on mirror display based on motion of target of augmented reali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7146411A (en) * 2016-02-16 2017-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43Y1 (en) 2002-11-21 2003-02-07 오문석 Kiosk for providing virtual stereo graphic
KR100493589B1 (en) * 2004-06-14 2005-06-28 (주)가보 A height control device for wall mount tv stand
KR20080003003U (en) 2007-01-28 2008-07-31 안기환 LEDLihting emitting diodefishing tacklea lod
KR20140077820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fiiting virtual items using human body model and system for providing fitting service of virtual items
KR20160052030A (en) * 2014-10-31 2016-05-12 (주)유비 Photo Kiosk For Event
KR20170022088A (en)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rendering augmented reality on mirror display based on motion of target of augmented reali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7146411A (en) * 2016-02-16 2017-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886A (en) 2021-08-26 2023-03-07 앱미디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rect Experience of MICE Information based on Appbooks
WO2023191556A1 (en) * 2022-03-30 2023-10-05 유디포엠(주) Augmented reality content out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487B1 (e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using kiosk
CN107895330B (en) A kind of tourist's service platform for realizing scenario building towards smart travel
KR101299796B1 (en) Modulation of background substitution based on camera attitude and motion
EP3560195B1 (en) Stereoscopic omnidirectional imaging
US2019034254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08500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277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viewing panoramic images having motion parallax depth perception without image stitching
US20160269685A1 (en) Video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locations
US10347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video rendering
CN106897040B (en) Show the method for visual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at push shows visual information
CN109474801B (en) Interactive objec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2143152U (en) Shooting apparatus synthesizing images of figure and visual site of figure
JP2009109887A (en) Synthetic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synthesizer
CN103905806B (en) The system and method that 3D shootings are realized using single camera
CN107295234B (en) Equal-proportion shooting device
CN110113628A (en) A kind of panorama live broadcast system under video-splicing server and moving condition
US20140139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transmitting dynamic videos
CN109240499A (en) Virtual camera simulates intersection control routine and method,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erminal
Susik Sky projectors, portapaks, and projection bombing: The rise of a portable projection medium
CN104581122B (en) Gener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the mobile terminal of 3-D view
CN110992824B (en) AR (augmented reality) technical commodity display screen for unmanned supermarket
KR2022009025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usion of concert and exhibition based concexhibition service for art gallery
CN211821404U (en) Film that stability is good is shot with shooting frame
KR20220004859A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real-time communication based uncontact event service
CN105204277A (en) Real-time projection imaging equipment and system in fre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