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915B1 -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 Google Patents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915B1
KR102278915B1 KR1020190133065A KR20190133065A KR102278915B1 KR 102278915 B1 KR102278915 B1 KR 102278915B1 KR 1020190133065 A KR1020190133065 A KR 1020190133065A KR 20190133065 A KR20190133065 A KR 20190133065A KR 102278915 B1 KR102278915 B1 KR 10227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rous hydrogel
oral formulation
parts
chitos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859A (ko
Inventor
오경택
레티응옥
허재원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5Forms with gastric retention, e.g. floating on gastric juice, adhering to gastric mucosa, expanding to prevent passage through the pyl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글리옥살로 제조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매우 빠르고 높은 팽창율을 나타낸 후 휴지기 동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경구용 제제는 위에서 빠르게 팽창하여 위 내 체류성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약물방출을 유도하여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약물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Oral preparation for gastric retention and controlled release drug comprising porous hydrogel}
본 발명은 약물의 생체이용률 향상을 위한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위 체류형 약물전달 시스템은 제제가 위장 내 체류하면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형태의 약물전달 시스템으로서, 주로 흡수부위가 제한된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높이는데 사용된다. 상기 위체류형 약물전달 시스템은 크게 팽윤형 시스템 (Swelling system), 부유형 시스템 (Floating system) 및 점막 부착형 시스템 (Bioadhesive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기술들이 팽윤형, 부유형 또는 점막 부착형 시스템을 각각 단독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팽윤형 시스템이 가장 많이 적용되어지고 있으나, 팽윤형 시스템은 약물 방출율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제형이 빠른 시간내에 유문보다 크게 팽창하지 않거나, 정제의 크기 및 팽창 강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위문맥을 통과하는 한계점이 있다.
부유형 시스템은 유문과의 물리적 거리를 증가시켜 위체류 시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포가 발생하기까지 지연 시간이 있어 미처 부유하기 전에 유문을 통과할 수 있으며, 다량의 수분 유입에 의해 제형의 붕괴가 빠를 수 있고, 기포의 발생이 부족할 경우, 부유되지 않을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환자가 뒤로 눕는 자세에 따라 유문을 통과하여 위장관 내 약물방출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부유형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제조공정 중에서 승화성 물질을 이용하여 진공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승화성 물질을 승화시킴으로서 기공을 형성하여 정제의 다공성을 유지시킴으로써 복용전부터 낮은 밀도로 부유할 수 있는 위체류 약물전달 시스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공성 구조를 이용한 부유형 위 체류성 시스템은 체내 적용시 제제의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여 장관 운동에 의해 제형이 붕괴되고 위체류 결과에 큰 편차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인 위 체류성 약물전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8621호 (2010.03.12. 공개)
본 발명은 위 체류성 및 약물 방출 제어효과가 향상된 경구용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제공하며,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경구용 제제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및 글리옥살을 포함하는 다공성 하이드로겔 30 내지 40 중량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글리옥살을 혼합하여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합성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합성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분말;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생리활성물질을 혼합한 후 건조시켜 타정하는 단계(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글리옥살로 제조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매우 빠르고 높은 팽창율을 나타낸 후 휴지기 동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경구용 제제는 위에서 빠르게 팽창하여 위 내 체류성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약물방출을 유도하여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약물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합성을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키토산과 글리옥살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b)는 가교결합한 키토산과 PVA의 수소결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c)는 가교결합 전 및 후의 키토산의 FT-IR 스펙트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0.1N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 (pH 1.2) 내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팽윤 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다공성 하이드로겔(Superporous networks; SPN)의 현미경사진 결과로, 도 3(a)는 2.5%, 7% 및 18%의 글리옥살을 이용하여 형성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의 현미경사진 결과이며, 도 3(b)는 다른 비율의 키토산 및 PVA(1/1, 1/3, 1/6)를 이용한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현미경사진 결과이다.
도 4는 0.1N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 pH 1.2, 37℃ 조건에서, 아스코르브산 위 체류성 정제(GRT 3-6)의 부유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각각의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위 체류성 정제로부터 누적된 약물 방출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위 체류성 정제의 방출 속도 모델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정제 기질 내 다공성 하이드로겔 도입을 나타낸 모식도로, 도 7(a)는 다공성 하이드로겔이 포함된 다공성 정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학적 및 물리적 가교를 통한 키토산 및 폴리비닐 알콜의 상호 침투 고분자 망상(Interpenetrating network)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7(b)는 약물(아스코르브산)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겔 층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제조 조건하에서의 하이드로겔은 비공극 구조로 수팽윤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통한 물 분자의 확산에 의해 팽윤이 진행되므로 오랜 팽윤시간이 필요하다. 구성하는 고분자의 친수성 또는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완전히 건조된 상태의 하이드로겔이 평형 팽윤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 시간에서 수일에 이르기까지 긴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느린 팽윤거동은 약물방출속도 제어 메커니즘으로 약물전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응용되고 있지만, 빠른 팽윤거동을 필요로하는 분야에서는 오히려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빠른 팽윤거동을 나타내면서 위 내에서 체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약물전달체를 개발하던 중 최적의 초다공성 하이드로겔(네트워크) 제조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경구용 제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다공성 하이드로겔(Superporous networks; SPN)는 서로 연결된 수 백 μm 크기의 공극들이 하이드로겔 내부에 열린 채널 구조(open channel structure)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속팽윤성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구용 제제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및 글리옥살을 포함하는 다공성 하이드로겔 30 내지 40 중량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는 0.5 내지 5 중량부 또는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0.5 내지 5 중량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는 다공성 하이드로겔과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가 1: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다공성 하이드로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30 내지 80 중량부 및 글리옥살 0.5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또는 트윈 8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트윈 80 0.5 내지 2 중량부 중 선택된 하나 이상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 제조에 있어서, 키토산이 상기 함량 범위 이하로 첨가될 경우 약물의 용출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팽윤 과정에서 정제가 분해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이 상기 함량 범위 이하로 첨가될 경우 팽윤과정에서 정제가 분해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약물의 용출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글리옥살이 상기 함량 범위 이하로 첨가될 경우 팽윤 과정에서 정제가 분해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약물의 용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키토산 간의 화학적 결합 및 폴리비닐알콜 간의 물리적 결합으로 형성된 망상구조를 이루는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학적 결합은 가교제로 글리옥살을 이용하여 형성된 키토산간 화학적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매트릭스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로사르탄칼륨(Losartan potassium), 메트포르민염산염(Metformin Hydrochloride) 및 라베탈롤염산염(labetalol hydro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글리옥살을 혼합하여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합성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합성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분말;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생리활성물질을 혼합한 후 건조시켜 타정하는 단계(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 상기 제1단계는 다공성 하이드로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30 내지 80 중량부 및 글리옥살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합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경구용 제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공성 하이드로겔 분말 30 내지 40 중량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건조시켜 타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고예 1> 물질
키토산 (Chitosan, CS, low molecular weight), 글리옥살 (glyoxal, 40 % water solution), L-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agnesium stearate), potassium phosphate dibasic ACS reagent, 소디움 메타비스설페이트(sodium metabisulfite)를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폴리 (비닐 알콜) [Poly (vinyl alcohol), PVA, MW 1500]을 Daejung (South Korea)에서 얻었다. 빙초산(Acetic acid glacial) 99.5%,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 (hydrochloride acid) 6N 및 에탄올 95%를 Samchun (South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HPMC (Metolose® 90SH-4000SR)는 Shin-Etsu Chemical Co., Ltd., Tokyo, 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화합물은 분석용 수준으로 사용되었다.
<실험예 1> 위 체류성 정제 제조
1. 다공성 하이드로겔 (SPN) 합성
키토산(CS)을 0.1N 아세트산에 용해시켜 2% 수용액을 만들었고, 10% PVA 수용액와 10% 중탄산염나트륨을 준비하였다.키토산과 PVA 용액을 표 1과 같이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였다.
각 CS/PVA 혼합물을 비커에 넣고 0.1 N 아세틱산을 첨가하여 pH 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10% 글리옥살 수용액을 첨가하여 망상 구조를 유도하고, 스탁 용액에 10% NaHCO3 수용액을 즉시 첨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형성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배치시킨 후 비커에서 일정량을 취하고 반응하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molecular weight cut off 6000-8000 Da)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투석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분쇄한 후 정제 준비를 위하여 425 μm 체로 체질하여 추가 정제하였다.
Formulation code Composition (mg)
Chitosan PVA Glyoxal NaHCO3 Tween 80
SPN a 1-6 1000 1000 60 400 40
SPN 1-18 180
SPN 1-54 540
SPN 3-6 3000 60
SPN 6-6 6000 60
*SPN: superporous networks
2. 위 체류성 정제 준비
보편적인 습식 과립법(wet granulation method)에 따라 표 2와 같은 구성으로 정제를 준비하였다.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다공성 하이드로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4K 및 항산화제 소디움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을 정량하여 mortal에서 모두 혼합하였다.
건조 혼합물을 95% 에탄올에 과립화시킨 후 600 μm 구멍 사이즈의 체를 통과시켰다. 최종혼합물을 30분 동안 건조시키고 다시 600 μm 구멍 사이즈 체에 통과시켰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과립제에 윤활처리하고 10 mm flat-faced round punch를 갖춘 Manual Tablet Press KTP-05 (Koreamedi CO.LTD)를 이용하여 정제를 압축시켰다.
Tablet code Components (mg in total 281mg)
Ascorbic acid SPN b (mg) HPMCc Mg
stearate
Na2S2O5
SPN
1-6
SPN
1-18
SPN
1-54
SPN
3-6
SPN
6-6
GRT a 1-6 75 100 100 3 3
GRT 1-18 100
GRT 1-54 100
GRT 3-6 100
GRT 6-6 100
SPN tablet 200 -
HPMC tablet 200
a) GRT : gastro-retentive tablet
b) SPN : superporous networks
c) HPMC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4000 cps
<실험예 2> 다공성 하이드로겔 (Superporous networks; SPN) 확인
1. FT-IR 스펙트럼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구조를 FT-IR 분광기로 확인하였다.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photometer (Nicolet 6700,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400 내지 4000 cm-1 범위의 FT-I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2. 형태 확인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포어(pore) 구조 및 크기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Sigma, Carl Zeiss, German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시료를 분쇄하고 이중 접착 카본 테이프를 이용하여 카본 스터브에 부착시켰다. 현미경 사진을 얻기 전 이온 코터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표면을 백금으로 코팅하였다.
3. 수분 흡수능 실험 (water uptake index)
가중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sinker에 매달아 37℃의 0.1 N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 pH 1.2에서 팽윤시켰다.
상기 방법은 고분자를 물에 넣고 분해 없이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시간 간격(0, 5, 10, 15, 30, 60분)마다, 팽윤된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갖은 싱커를 매질로부터 제거하고 티슈 페이퍼로 모든 과잉수를 부드럽게 닦아내고 재가중시켰다.
하기식을 이용하여 수분흡수능 지수(Q)를 확인하였다.
Q = (Wt -W0)/W0
상기 식에서 Q는 수분흡수능 지수이며, Wt 및 W0는 각각 팽윤 무게 및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건조 상태 무게이다.
<실험예 3> 위 체류성 정제 평가
1. 정제의 물리적 특성 확인
위 체류정 정제의 무게, 두께, 직경, 밀도, 경도를 각각 확인하였다. 밀도는 정제의 무게, 두께로부터 계산되었다.
또한 정제의 부양성(buyancy)은 400ml 0.1N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 (pH 1.2)이 포함된 500ml 비커에 정제를 넣은 후, 부양시간과 매트릭스 강도를 확인하였다.
2. 로딩 효율 확인
위 체류성 정제의 로딩 효율을 각각 확인하였다.
먼저, 10개의 정제를 정량하고 분쇄하였다. 분말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담고 HPLC 이동상(10 mM potassium phosphate dibasic buffer pH 7/ methanol: 97/3 (v/v))으로 용해시켰다.
시료를 5000 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하고 적절하게 희석하였다.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gilent 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역상 C18 컬럼 (150×4.5 mm id., pore size 5 μm; Micro solv Tech. Corp., Eatontown, NJ, USA)을 이용하였으며, 인산염 완충액(pH 7.0)과 메탄올의 혼합액(97:3, v/v%)으로 구성된 이동상을 이용하여 등용매 이송하였다. 1 mL/min 유속의 펌프로 시료를 운반하였을 때 아스코르브산의 머무름 시간은 1.3 분이었으며, 컬럼 온도는 20℃를 유지하였다.
컬럼 배출액을 254 nm에서 검출하고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표준 아스코르브산 용액의 선형 검량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 생체 외 용출 확인
위 체류성 정제로부터의 아스코르브산 용출을 six elution testers (KDT-600, Kukjeeng, South Korea)를 이용한 USP dissolution apparatus II (rotating paddle)로 확인하였다.
0.1N 염산(hydrochloric acid, pH 1.2) 900 ml을 이용하여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를 37 ± 0.5℃로 유지하고, 패들 회전 속도는 50 rpm이었다.
사전에 정해진 시간 포인트인 1, 2, 4 및 8 시간마다 1 ml 분액을 회수하고 신선한 용해 매질을 동량으로 보충하였다.
0.45 μm 막을 통과시켜 시료를 여과하고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확인하였다.
5. 약물 방출 역동학
아스코르브산 위 체류성 정제의 방출 속도를 하기와 같은 다른 후속 모델의 용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Zero order model: Qt= Q0 + K0t
First order model: log C = log C0 - Kt/2.303
Higuchi square root law: Q= KHt1/2
Hixson - Crowell model: W0 1/3 - Wt 1/3 = κt
상기 Qt, C는 방출된 약물의 함량으로, t, Q0, C0, W0는 정제 내 약물의 초기 함량이며, K0, K, KH, κ는 속도 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Dash, Murthy et al. 2010).
<실시예 1> 다공성 하이드로겔 합성
본 발명은 키토산과 PVA를 단량체로 이용하여 다공성 구조의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키토산은 자유 아미노기가 풍부한 생분해성 고분자로 도 1(a)와 같이 시프 염기 반응을 통하여 글리옥살과 이민 결합을 형성한다. PVA는 도 1(b)와 같이 동건법에 의한 수소결합을 통해 키토산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다공성 구조는 기공유도물질 또는 기포발생기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에 의해 유도된다.
가교결합 전 및 후의 키토산 구조를 FT-I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c)와 같이 키토산의 자유 아미노기가 1417.89 cm-1 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키토산 자유 아미노기와 글리옥살 알데하이드기 사이의 시프 염기 반응에 의한 이민기가 1562.90 cm-1에서 명확한 스펙트럼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합성이 성공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수분흡수거동(Water uptake behavior) 확인
다공성 하이드로겔 (SPN)의 수분 흡수거동은 가교결합 밀도와 단량체 비율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글리옥살이 SPN 1-6의 60mg에서 SPN 1-54의 540mg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지수(Water uptake index)는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조밀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인해 다공의 크기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PVA가 SPN 1-6의 1000mg, SPN 3-6의 3000mg, SPN 6-6의 6000mg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지수가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PVA가 키토산과 수소결합으로 얽힘에 따라 고분자 사슬 유연성이 감소하고 다공의 크기가 작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SEM 전자현미경을 통해 구멍의 존재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모든 네트워크 구조는 상호 연결된 구멍을 갖는 다공성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고하면, 글리옥살(도 3(a)) 및 PVA(도 3(b))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구멍과 높은 밀도의 구조가 형성됨을 확인되었다. 키토산과 PVA가 1:1 비율인 SPN 1-6는 매우 큰 구멍을 가져 수분흡수지수가 높았다.
이와 반대로, 작은 구멍이 형성된 SPN 3-6 및 SPN 6-6은 수분흡수지수가 낮아 약물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위 체류성(GR) 정제의 물리적 평가
정제의 물리적 파라미터인 로딩 효율성, 무게, 직경, 경도, 두께, 밀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3과 같이 모든 제형의 로딩 효율성은 94.20 ± 3.65 % 에서 103.84 ± 3.85 % 으로 대한민국 약전 명시 기준(90 - 110%)으로 균일하였다.
정제의 무게 범위는 277.87 ± 4.84 mg에서 282.57 ± 2.03 mg으로 균일하게 나타났고, 직경도 10.02 ± 0.003 mm에서 10.05 ± 0.004 mm으로 균일하였다.
같은 압력으로 정제를 생산했지만, 높은 점성을 가진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정제가 다른 정제들에 비해 높은 경도를 나타냈다. GRT 1-6, GRT 1-18, GRT 1-54는 글리옥살 밀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경도가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GRT 1-6, GRT 3-6, GRT 6-6에서 PVA 비율의 증가에 따라 경도가 증가했다.
두께는 경도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정제에서 가장 작았고, 글리옥살 밀도는 영향이 없었으며 PVA의 증가에 따라 감소했다. 이를 통해 PVA가 정제 생성 시 압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걸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생체 외 부양성 확인
37℃, 0.1N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pH 1.2)용액을 이용해 생체 외에서 정제의 부양성을 표 3 및 도 4와 같이 확인하였다.
GRT 3-6 및 GRT 6-6의 다공성 하이드로겔(SPN)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와 함께 용액과 접촉 즉시 팽윤되어 겔 층을 형성한다. 이 겔 층은 다공성 하이드로겔(SPN)에서 기인한 공기를 가두어 정제의 밀도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도 4 및 표 3과 같이 GRT 3-6 및 GRT 6-6은 부유 지연시간 없이 24시간 이상 부양성을 유지하였다. 반면에 PVA 함량이 낮은 GRT 1-6, GRT 1-18, GRT 1-54는 겔 층이 충분히 견고하지 않아, 공기를 가두지 못하고 흡수되는 수분에 의해 붕괴되었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정제는 용액과 접촉 즉시 가라앉았고, SPN 정제는 용액과 접촉 즉시 붕괴되었다.
Formulation GRT
1-6
GRT
1-18
GRT
1-54
GRT
3-6
GRT
6-6
SPN
tablet
HPMC tablet
Loading efficiency (%) 97.52±4.50 99.34 ±3.85 103.84 ±3.85 102.52 ±3.99 100.07 ±5.51 96.28 ±4.18 94.20 ±3.65
Weight variety (mg) 281.43±0.54 282.8 ±2.76 282.57 ±2.03 280.83 ±4.14 281.05 ±3.26 280.97 ±1.19 277.87 ±4.84
Diameters (mm) 10.04±0.005 10.05 ±0.004 10.04 ±0.002 10.03 ±0.003 10.02 ±0.003 10.02 ±0.002 10.02±0.003
Thickness (mm) 2.73
±0.07
2.83 ±0.03 2.80 ±0.04 2.56 ±0.09 2.51 ±0.05 6.21
±0.4
2.30
±0.03
Hardness (N) 6.91 ±2.37 5.87 ±0.75 8.45 ±1.11 14.58 ±1.45 31.03 ±2.21 8.62 ±0.51 53.55±1.34
Density (g/cm 3 ) 1.31 ±0.04 1.26 ±0.02 1.27 ±0.03 1.39 ±0.06 1.41 ±0.03 0.57 ±0.04 1.53
±0.04
Floating capacity N/A** N/A N/A Floating for more than 8 hours Floating for more than 8 hours N/A Not floating
**: Not Available, disintegration immediately
<실시예 5> 생체 외 약물용출 효과 확인
위 체류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비타민C)를 모델 약물로 설정하였다. 아스코르브산은 대부분 소장 근위부에서 흡수되고, 소량씩 섭취 했을 때 70%까지 흡수된다. 이것은 위 체류 시스템의 서방출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정제의 수분흡수를 높여 위 체류를 유도하지만 약물의 신속한 방출을 유도한다. 이에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를 추가해 겔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정제의 붕괴를 막고 약물의 서방출을 유도했다.
도 5를 참고하여, 약물 용출 속도는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수분흡수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다공성 하이드로겔의 수분흡수가 감소함에 따라, 약물 용출 속도가 감소했다. SPN 정제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의 부재로 인해 빠르게 부풀어 15분 만에 붕괴되었다.
GRT 1-6, GRT 1-18, GRT 1-54는 4시간 후에 약물이 완전히 용출되었다. GRT 1-6에 비해 GRT 1-18, GRT 1-54로 갈수록 약물 용출 속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수분흡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GRT 3-6, GRT 6-6는 8시간 동안 용출액에서 부유성을 유지하며 서방출을 나타내어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는 데 적합했다. GRT 6-6는 GRT 3-6에 비해 수분흡수가 떨어져 약물 용출속도가 감소했다.
<실시예 6> 생체 외 방출 속도 확인
위체류정에서의 아스코르브산의 방출은 여러 종류의 첨가물로 인해 다양한 약물 방출 매커니즘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약물 방출 매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8시간 동안 서방출을 한 GRT 3-6, GRT 6-6,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정제의 용출 양상을 0차, 1차, Higuchi 및 Hixson의 수학적 모델에 적용시켰다. 그래프 및 상관 계수(r2)를 구하여 적절한 모델을 결정하고자 했다.
그 결과, 표 4 및 도 6과 같이 GRT 3-6의 방출 매커니즘은 약물 방출이 정제에서의 약물 농도에 의존한다는 것임을 보여주는 1차 모델에서 상관 계수(r2)가 가장 높았다. GRT 6-6는 약물 방출이 고분자 매트릭스에서의 확산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는 Higuchi 모델에서 상관 계수(r2)가 가장 높았다.
Formation code Zero order First order Hixson and Crowell Higuchi
R 2 k R 2 k R 2 k R 2 k
GRT 3-6 0.7571 9.7896 0.9708 0.548 0.9679 0.4175 0.9370 33.063
GRT 6-6 0.9072 10.989 0.9866 0.367 0.9917 0.3566 0.9963 34.962
HPMC tablet 0.9016 9.5736 0.9922 0.241 0.9781 0.2664 0.9962 30.55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경구용 제제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적 결합된 키토산과 폴리비닐알콜의 물리적 결합으로 형성된 망상 구조를 이루는 다공성 하이드로겔 30 내지 40 중량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 100 중량%에 대하여, 키토산 13.3 ~ 22.2 중량%, 폴리비닐알콜 (PVA) 66.7 ~ 80 중량%, 글리옥살 0.8 ~ 1.3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5.3 ~ 8.9 중량% 및 트윈 80 0.5 ~ 0.9 중량%가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다공성 하이드로겔과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가 1:1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결합은 가교제로 글리옥살을 이용하여 형성된 키토산간 화학적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매트릭스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로사르탄칼륨(Losartan potassium), 메트포르민염산염(Metformin Hydrochloride) 및 라베탈롤염산염(labetalol hydro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10.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글리옥살을 혼합하여 화학적 결합된 키토산과 폴리비닐알콜간의 물리적 결합으로 형성된 망상 구조를 이루는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합성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합성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분말;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생리활성물질을 혼합한 후 건조시켜 타정하는 단계(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하이드로겔 100 중량%에 대하여, 키토산 13.3 ~ 22.2 중량%, 폴리비닐알콜 (PVA) 66.7 ~ 80 중량%, 글리옥살 0.8 ~ 1.3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5.3 ~ 8.9 중량% 및 트윈 80 0.5 ~ 0.9 중량%를 포함하는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경구용 제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공성 하이드로겔 분말 30 내지 40 중량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건조시켜 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제조방법.
KR1020190133065A 2019-10-24 2019-10-24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KR10227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5A KR102278915B1 (ko) 2019-10-24 2019-10-24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5A KR102278915B1 (ko) 2019-10-24 2019-10-24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59A KR20210048859A (ko) 2021-05-04
KR102278915B1 true KR102278915B1 (ko) 2021-07-19

Family

ID=7591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65A KR102278915B1 (ko) 2019-10-24 2019-10-24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9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64B1 (ko) * 2004-08-17 2006-06-22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글라이콜계 키토산 유도체를 기재로 하는 위장 체류형다공성 하이드로겔
KR100822519B1 (ko) * 2005-02-15 2008-04-16 주식회사종근당 위장 내에서 제어방출되는 단일 매트릭스 정제
DE102007026037A1 (de) 2007-06-04 2008-12-1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Gastroretentives System mit Alginat-Körper
KR102046248B1 (ko) * 2017-04-10 2019-11-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위체류층을 포함하는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4753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제닉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59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5152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желудке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уемой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JP2750150B2 (ja) 改良されたコアー膜付着性質を有する医薬的に許容される活性剤を含む浸透性連続分散性経口投写システム
EP0250374B1 (en) Therapeutic system for controlled release of drugs
US20080089940A1 (en) Superporous Hydrogels for Heavy-Duty Applications
Reddy et al. Formulation of sustained-release matrix tablets using cross-linked karaya gum
HRP20010187A2 (en) Orally administered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 providing temporal and spatial control
JP2000507561A (ja) 架橋されたアミロースに基づく担体と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とを含有した薬学的徐放性錠剤
Li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CL electrospun membrane-coated Bletilla striata polysaccharide-based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KR20140069381A (ko) 서방출 투여형
EP3207945B1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of metformi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S Vaghani et al. Hydrogels based on interpenetrating network of chitosan and polyvinyl pyrrolidone for pH-sensitive delivery of repaglinide
Bhalla et al. Comparison of various generations of superporous hydrogels based on chitosan-acrylamide and in vitro drug release
KR102278915B1 (ko) 다공성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체류 및 약물 방출 제어형 경구용 제제
EP2968179B1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EP0325086A2 (en) Novel methods for obtaining therapeutic systems with controlled release of the drug
Le et al. Preparation of Gastro-retentive Tablets Employing Controlled Superporous Networks for Improved Drug Bioavailability
RU2423107C2 (ru) Составы с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альфузозина
Zhou et al. Hydroxyethyl Pachyman as a novel excipient for sustained-release matrix tablets
Pandit et al. FORMUL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WO2005018618A1 (en) Formulation of stable for moisture absorption and quickly dissolved tablet containing cefuroxime axetil and it&#39;s manufacturing process
JPS63115812A (ja) 持続性定量薬剤徐放システム
CN112121026A (zh) 一种帕利哌酮缓释组合物及其制备方法
Giammon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swellable α, β-polyasparthydrazide derivatives: II. Hydrogels at low crosslinking degree as potential systems for anticancer drug release
SK1795A3 (en)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this production
KR102248114B1 (ko) 메트포르민 함유 중공형 위체류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