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855B1 -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 Google Patents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855B1
KR102278855B1 KR1020200120360A KR20200120360A KR102278855B1 KR 102278855 B1 KR102278855 B1 KR 102278855B1 KR 1020200120360 A KR1020200120360 A KR 1020200120360A KR 20200120360 A KR20200120360 A KR 20200120360A KR 102278855 B1 KR102278855 B1 KR 10227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eeg
registered
comput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영진
김선화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너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너지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국에너지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2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8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by real-time biosignal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a worker has conducted work in a designated place at a designated time by monitoring the worker's brainwave and location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100) of registering a worker on a computer; a step (200) of registering the normal and work brainwaves of each worker registered on the computer; a step (300) of attaching a brainwave measuring device and a location detecting device to the worker at a work site; a step (400) of monitoring the worker's brainwave and location with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a step (500) of comparing the worker's work brainwave to the registered worker's work brainwave and location on the computer; and a step (600) of identifying the worker through the brainwave comparison step (500) on the computer.

Description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본 발명은 뇌파와 같은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착용한 작업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생체 신호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여 작업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a worker who is working in a workplace by monitoring a worker wearing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such as an EEG in real time and checking biosignal data and location data.

대형 플랜트의 경우, 그 규모가 크고, 고온-고압 등과 같은 극한 환경 하에서 작동하는 장치들이 많이 있어, 특히 안전 규정에 맞게 제작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a large plant, the scale is large, and there are many devices that operate under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must be specially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safety regulations.

예를 들면, 발전플랜트의 압력용기의 경우, ASME Sec.III 코드에 따라 용접 절차를 준수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용접 작업자 및 비파괴검사자의 경우, 사전에 용접사/비파괴검사자 전문 자격을 가진 자만 작업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essure vessel in a power plant, it must be manufactured and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welding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ASME Sec.III c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welding workers and non-destructive inspectors, it is stipulated that only those wit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s welders/non-destructive inspectors in advance should perform the work.

하지만, 상기 제품 등은 원거리에 있는 공장 등에서 제작되고 그 규모 또한 크기 때문에 작업과정을 실시간으로 감독하기 어려워 제작 후 수압시험 등의 절차에 의해 작업의 적절성 유무를 검사하고 확인하는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전문적인 자격을 갖지 않은 용접작업자/비파괴검사자가 작업을 하여도 확인할 방법이 없다.However, since the product is manufactured in a remote factory, etc. and the scale is also large, it is difficult to supervise the work process in real time. There is no way to check even if a welder/non-destructive inspector who does not hav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orks in this proc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 인증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인을 인증하는 기술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요구되고 그 중의 하나로 뇌파 측정과 같은 생체신호 측정을 통하여 개인 인증을 하는 기술 등도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orker authentica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The technology for authenticating a person is requir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and one of them is a technology for personal authentication through bio-signal measurement such as EEG measurement is being developed.

뇌파는 상대적으로 공간 해상도가 낮지만 가장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높은 시간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BCI(Brain Computer Interface) 연구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Although EEG has a relatively low spatial resolution, it is the cheapest,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 high temporal resolution, so it is widely used. Recently, it is actively used in BCI (Brain Computer Interface) research.

뇌파를 이용한 인증 기술의 한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43354호에 뇌파측정을 통한 본인 인증 시스템(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이 나타나 있다.As an example of authentication technology using EEG, a self-authentic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rough EEG measurem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43354.

상기 종래기술 1에 나타난 본인 인증 시스템은 뇌파 측정장치, 잡음 제거장치, 뇌파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장치, 뇌파 데이터 분류 장치, 제어부 및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e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shown in the prior art 1 includes an EEG measuring device, a noise removing device, a feature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EEG features, an EEG data classification device, a control unit, and a transmission device.

또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07432호에 뇌파측정을 통한 개인 인증 방법(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함.)이 나타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individual authentic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through EEG measurem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07432.

상기 종래기술 2에는, 짧은 시간 내에 다양한 인지 과제를 수행하면서 측정한 뇌파에서 개별 파워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개별 특성과 채널간의 동기화 특성을 결합해 구성한 네트워크 특성을 기반으로 한 개인 인증 방법으로, 뇌파를 이용한 개인인증은 등록 인지과제 제시, 뇌파 측정, 채널파워 특성 및 채널간 동기화 특성 추출, 네트워크 특성 추출 및 최적 주파수 영역 산정 데이터 저장 및 비교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2, individual power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from the EEG measured while performing various cognitive tasks within a short time,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synchroniz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channels are combined to form a network characteristic-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Personal authentication used includes registration recognition task presentation, brain wave measurement, channel power characteristic and inter-channel synchronization characteristic extraction, network characteristic extraction, and optimal frequency domain calculation data storage and comparison steps.

상기 종래기술 2에 나타난 뇌파 측정을 통한 개인 인증 방법은 단시간 내에 다양한 인지 과제 수행 중 취득한 뇌전도로부터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채널로도 고차원의 개별 고유 특성 추출을 할 수 있어서 개별 인식 대상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through EEG measurement shown in the prior art 2 can extract high-level individual unique characteristics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hannels from the EEG obtained during various cognitive tasks within a short time, so that individual recognition targets can be expanded. There are advantages.

상기 종래기술 1, 2에는 뇌파측정장치를 부착한 피측정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신호처리 및 분석을 통하여 피측정자를 인증할 수 있는 기술이 나타나 있지만, 종래기술 1, 2를 이용하여도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규정된 장소에서 요구되는 작업 공정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자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1 and 2,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EEG of the subject to which the EEG measurement device is attached and authenticating the subject through signal processing and analysis is shown, but even using the prior art 1 and 2, it is possible to work It is still difficult to identify whether an operator is an operator who can properly perform a required work process at a prescribed place in the workpla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354호(2016.07.27.)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43354 (2016.07.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432호(2016.03.2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07432 (2016.03.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자가 규정된 시간에 규정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al-time bio-signal and location monitoring that can check whether the operator performed work at a prescribed place at a prescribed time by monitoring the brain wave and location of the worker in real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worker identification through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때 뇌파를 모니터링하여 수행하는 작업 중에 작업 불량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worker identification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that can check whether a work defect is included in the work performed by monitoring the brain wave when the worker performs the work. .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은, 작업자의 정보를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100), 상기 등록된 각 작업자의 평상 시 및 작업 시 뇌파를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200), 작업장에서 작업자에게 뇌파측정장치 및 위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단계(300),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400),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컴퓨터에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 및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60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는, 상기 작업자가 등록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30); 상기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40); 및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5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600);는, 미등록으로 모니터링된 작업자는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미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30); 등록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10); 등록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40); 상기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되는 등록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가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정상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1); 및 상기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되는 등록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가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불량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biosignal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registering the information of the operator to the computer (100), the normal time and work of each registered worker Step (200) of registering the EEG at the time of the computer, the step of attaching the EEG measuring device and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to the worker in the workplace (300), the step of monitoring the EEG and the position of the worker in the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400) ), comparing the EEG at the time of the worker's work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position at the time of the worker's work registered in the computer (500), and the step of identifying the worker in the computer (600) may include have. At this time, the step of comparing the EE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position of the registered operator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500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 operator is a registered operator (530); determining (540) whether the operator is in a prescribed working position; and a step 550 of determining whether an EEG is included in the case of a work failure. In additio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worker in the computer (600); The step of storing the worker monitored as unregistered in the un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30); If it is monitored that the registered worker is a prescribed working position, storing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0); If it is monitored that the registered worker is not a prescribed working location, storing the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40); When it is monitored that the EEG of the registered worker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does not include the EEG when the work is defective, storing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worker normal work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1); And when it is monitored that the EEG of the registered worker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the EEG when the work is defective, storing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worker defective work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2); includes; may be doing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에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는, 상기 작업자가 자격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2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500 of comparing the EEG at the time of the worker's work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location at the time of the registered worker's work is to check whether the worker is a qualified worker step 520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을 통하여 작업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뇌파 신호와 같은 생체신호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이를 등록된 작업자들의 작업 시 생체 신호 정보와 대비하여 작업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자가 규정된 시간에 규정된 위치 또는 장소에서 담당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후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e method for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through real-time bio-signal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nitoring bio-signals and positions such as EEG signals of workers working in the workplace, it is compared with bio-signal information when working with registered workers in the workpl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work by identifying the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premises and clearly confirming that the identified workers are performing their tasks at the prescribed location or at the prescribed time,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work.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possible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은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특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전문 자격이 요구되는 작업에 무자격 작업자가 불법적으로 작업을 하는 편법행위를 사전에 근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and analyze the EEG characteristics during the worker's work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is a worker with the qualifications to do the work, so that the worker is unqualified for work requir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t has the effect of eradicating the expedient act in which a worker works illegally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은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특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불량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and analyze EEG characteristics during the worker's work to determine whether a bad job is included while the worker performs the corresponding job,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job and , safety accidents, etc.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종래기술 1에 나타난 뇌파기반 개인 인증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종래기술 2에 나타난 뇌파기반 개인 인증 시스템의 세부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작업 시 뇌파 및 위치 대비하는 단계 및 작업자 식별 관리 단계의 세부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EEG-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shown in prior art 1.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brain wave-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shown in the prior art 2.
3 is a block diagram of an operator ident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worker identification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of preparing for EEG and position and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during opera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worker identification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 작업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작업자 등록단계(100); 상기 컴퓨터에 작업자 뇌파를 등록하는 단계(200);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단계(300);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에서 뇌파 및 위치감지장치를 부착한 상기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400);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및 위치를 대비하는 단계(500); 및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단계(60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method for managing worker identification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er registration step 100 of registering worker information in a computer; registering a worker brainwave in the computer (200); Attaching the EEG and position sensing device of the worker in the workplace (300); Monitoring the EEG and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attached to the EEG and the position sensing device in the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400); Preparing (500) for brain waves and loc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and identifying and managing (600) the operator at the computer.

상기 작업자 등록 단계(100)는 작업자들의 정보를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The worker registration step 100 is a step of registering worker information in a computer.

상기 작업자 등록 단계(100)는 해당 작업장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는 작업자들의 정보를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작업자의 정보에는 각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규정 위치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worker registration step 100 is a step of registering information of workers who have the qualification to perform at least one job among various jobs performed at the corresponding workplace in the computer.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worker may also include a prescribed position where each worker performs the work.

대형 플랜트의 부품이나 장치, 예를 들면, 발전플랜트의 압력용기의 경우, ASME Sec.III 코드에 따라 용접 절차를 준수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제작하여야 하고, 용접 작업자 및 비파괴검사자의 경우, 사전에 용접사/비파괴검사자 전문 자격을 가진 자만 작업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n the case of parts or devices of large plants, for example, pressure vessels in power plants, they must be manufactured while complying with welding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ASME Sec.III code, and in the case of welders and non-destructive inspectors, a welder in advance /Non-destructive inspection It is stipulated that only persons wit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hould perform the work.

상기 작업자 등록 단계(100)는 이처럼 각 작업 공정에서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작업자이면서, 제작에 투입되는 작업자들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The worker registration step 100 is a step of registering information of workers who are put into production while being a worker who has the qualifications to perform the work required in each work process as described above.

이 때, 자격을 가지고 있는 작업자란 특정 작업을 요건에 맞게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작업자 또는 전문성을 가지면서 전문 자격증 등을 보유한 작업자를 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qualified worker may mean a worker who has the expertise to perform a specific task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r a worker who ha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etc. while having the expertise.

한편, 본 발명에서 작업을 수행할 전문성이 없는 작업자는 ‘무자격 작업자’라고 칭하며, 무자격 작업자는 해당 작업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 중의 어떤 작업도 수행할 능력이 없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자격 작업자 대신에 무자격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해당 작업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who does not have the expertise to perform the work is referred to as an 'unqualified worker', and the unqualified worker means a worker who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perform any of the various tasks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workplace. Therefore, if it is confirmed that an unqualified worker is performing a job instead of a qualified worker,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stop the corresponding job.

또한, 본 발명에서 해당 작업자의 작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전문성은 있지만, 등록을 하지 않은 작업자는 ‘미등록 작업자’라고 칭하며, 미등록 작업자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등록되지 않은 상태여서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자가 특정되지 않으므로, 해당 작업을 중지시킨 후, ‘미등록 작업자’에게 작업을 계속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등록 작업자로 교체하여 해당 작업을 완성하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필요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who has expertise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worker's tasks, but has not registered, is referred to as an 'unregistered worker', and an unregistered worker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work, but is not registered, so the corresponding task Since the worker for the job is not specified, after stopping the corresponding job, it will be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let the 'unregistered worker' continue to perform the job or replace it with a registered worker to complete the job.

또한, 본 발명에서 ‘등록 작업자’는 규정된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데, ‘등록 작업자’가 규정된 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전문성을 갖지 않은 작업자, 즉 무자격 작업자에 해당한다. 이 때, 상기 ‘등록 작업자’는 해당 작업에 대하여 ‘등록 무자격 작업자’로 칭하며, ‘등록 무자격 작업자’는 해당 작업은 수행할 능력이 없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작업에 대하여 ‘등록 무자격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 때에도 즉시 해당 작업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ered worker' can perform only the prescribed work, and when the 'registered worker' performs a task other than the prescribed task, a worker who does not have the expertise to perform the task, that is, an unqualified worker corresponds to At this time, the 'registered worker' is referred to as a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for the corresponding job, and the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means a worker who is not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job. Therefore, if it is confirmed that a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is performing a task for a specific task,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stop the task even at this time.

작업자 식별 관리를 할 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무자격 작업자 또는 미등록 작업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안전성 및 생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누락 없이 작업자 등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performing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safety and productivity problems may occur if unqualified workers or unregistered workers as described above occu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gister workers without omission for workers performing work in the corresponding workplace. will be.

이 때, 각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자별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작업에 따라 등록 무자격 작업자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it would be more preferable to clearly define the work that can be performed by each worker that can be performed by each work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qualified workers according to the work in advance.

다음으로, 작업자 뇌파 등록 단계(200)는 상기 작업자 등록 단계(100)에서 등록된 각 작업자의 뇌파 특징을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이다.Next, the worker EEG registration step 200 is a step of registering the EEG characteristics of each worker registered in the worker registration step 100 in the computer.

상기 작업자 뇌파 등록 단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작업자에 대하여 평상 시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210) 및 작업 시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220)를 포함하고 있다. The worker EEG registration step 200 includes a step 210 of measuring an EEG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step 220 of measuring an EEG during work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4 .

뇌파는 일반적으로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델타파(0.5~4.99Hz), 세타파(5.7~7.99Hz), 알파파(8~11.99Hz), 베타파(12~35Hz) 및 감마파(30~50Hz)로 구분된다. Brain waves are typically delta (0.5 to 4.99 Hz), theta (5.7 to 7.99 Hz), alpha (8 to 11.99 Hz), beta (12 to 35 Hz), and gamma (30 to 50 Hz) waves, depending on the range of frequencies. is divided into

델타파는 주로 정상인의 깊은 수면 시나 신생아의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쎄타파는 정서안정 또는 수면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주로 나타나며, 알파파는 긴장이완과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주로 나타난다. 안정된 알파파가 나타나는 때는 눈을 감고 진정한 상태에 있을 때이며, 눈을 뜨고 물체를 주시하거나 정신적으로 흥분하게 되면 알파파는 억제되는 특징이 있다.Delta waves mainly appear during deep sleep in normal people or in newborn babies, theta waves appear mainly in the process leading to emotional stability or sleep, and alpha waves appear mainly in a relaxed state such as relaxation. Stable alpha waves appear when you close your eyes and are in a true state, and when you open your eyes and look at an object or become mentally excited, alpha waves are suppressed.

베타파는 주로 전두부에서 많이 나타나며, 깨어 있을 때, 말할 때와 같이 모든 의식적인 활동을 할 때 나타나며, 불안한 상태나 긴장 시, 복잡한 계산처리 시에 우세하게 나타나기도 한다.Beta waves mainly appear in the frontal part of the brain, appearing during all conscious activities such as waking and talking, and also appear predominantly during anxious or nervous conditions, or complex computational processing.

감마파는 베타파보다 더 빠르게 진동하는 형태로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이거나 추리, 판단 등의 고도의 인지정보처리와 관련이 깊다.Gamma waves vibrate faster than beta waves, and are either emotionally agitated or deeply related to high-level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reasoning and judgment.

이러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뇌파는 피측정자가 눈을 뜨거나 감을 때에도 변화가 발생하고, 피측정자의 몸의 움직임이나 청각 또는 촉각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변화가 발생하며, 개인마다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EEG with these various characteristics changes even when the subject opens or closes his/her eyes, and changes occur even if the subject's body movements or hearing or tactile differences occur, and each individual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

평상 시 뇌파 측정 단계(210)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The normal EEG measurement step 210 is a step of measuring EEG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does not work.

상기 평상 시 뇌파 측정 단계(210)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작업장에서 뇌파측정장치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기 전 상태의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normal EEG measurement step 210, a method of measuring EEG in a stable state is also possible, but a method of measuring EEG in a state before work wearing an EEG measuring device in a workplace is also possible.

이 때, 눈을 뜨고 있는 상태, 눈을 감은 상태, 각 작업자가 본인의 작업을 위한 장비, 예를 들면 용접용 장비 등을 준비한 상태 등과 같이 실제 작업을 수행하기 전의 각 상황에서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EEG is measured in each situation before the actual work, such as the state with the eyes open, the state with the eyes closed, and each worker preparing the equipment for his or her work, for example, welding equipment, etc. It will also be possible

상기 평상 시 측정된 뇌파는 각 작업자 별로 공동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개인 별로 차이가 있어 작업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normally measured EEG may have a common part for each worker, but there is a difference for each individual, so it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worker.

다음으로, 작업 시 뇌파 측정 단계(220)는 해당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본인의 담당 작업, 예를 들면 용접 작업 또는 비파괴 검사 작업 등을 실제 수행할 때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Next, the EEG measurement step 220 during work is a step of measuring EEG when the worker actually performs his/her own work, for example, a welding work or a non-destructive test work, in the corresponding workplace.

각 작업자가 담당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제대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을 한 상태에서 수행하므로, 뇌파의 특징은 상기 평상 시 측정되는 뇌파와 확연하게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그 변화 정도 및 변화의 특징도 작업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When each worker performs his/her task, since it is performed in a state of concentration so that he/she can perform the task prop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EEG measured in the usual way, and the degree of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are also shown. Each worker is different.

본 단계는 작업 시 뇌파를 측정하여 컴퓨터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이므로, 해당 작업장의 실제 작업용 제품이나 자재가 아니라 연습용 자재, 예를 들면, 용접사 또는 비파괴검사자 자격 부여 시험 시 자격시험용 자재 등을 대상으로 작업을 수행하면서 뇌파를 측정하고 컴퓨터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is step is to measure EEG during work and register it in the computer, so it is not a product or material for actual work in the workplace, but a material for practice, for example, a material for qualification test in the qualification test for a welder or non-destructive inspector. It will also be possible to measure brain waves while performing and register them in the computer.

한편, 본 단계는 작업자의 뇌파의 특징들을 컴퓨터에 저장하기 위한 단계이므로,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의 뇌파와 작업 중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의 뇌파를 구분하여 이러한 특징을 저장해 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ep is a step for s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EEG in the computer, it will be possible to store these characteristics by distinguishing the EEG when the operator performs a normal operation and the EEG when a defect occurs during the operation. .

작업자가 담당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뇌파는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고, 작업 완료 이후에는 집중력이 이완되는 방향으로 뇌파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When an operator normally performs a task in charge, the EEG exhibits common characteristics until the task is completed, and after the task is completed, the EEG characteristic appears in a direction in which concentration is relaxed.

반면, 등록을 위하여 뇌파 측정 중인 작업자가 담당 작업 수행 중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불량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작업 불량의 인식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작업 시의 뇌파 특징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뇌파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a defect occurs while the worker who is measuring EEG for registration is performing his/her task, the defect is recognized, and the EEG characteristic distinct from the EEG characteristic during normal work appears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work defect.

만약, 작업자가 작업 중 불량을 인식할 수 없는 무자격 작업자라면, 불량을 인식할 수 없어 뇌파의 변화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뇌파의 특징을 등록하는 작업자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등록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등록 작업자는 충분히 수행하기로 규정된 작업에서 작업 불량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 불량에 영향을 받은 구분되는 뇌파 특징이 나타날 수 있다. If the worker is an unqualified worker who cannot recognize the defect during work, the defect may not be recognized and there may be no change in the EE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who regist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is targeted at the registered operato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task, the registered operator can recognize whether the task is defective in the task prescribed to be sufficiently performed, thereby affecting the task failure Distinctive EEG features may be present.

이처럼, 각 작업자에 대하여 작업 전인 평상 시의 뇌파 및 작업 시의 뇌파를 측정하고 각 상태에서의 다양한 뇌파의 특징을 컴퓨터에 등록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easure an EEG at a normal time before work and an EEG at the time of work for each worker, and register various EEG characteristics in each state in the computer.

이 때, 측정된 뇌파에는 통상적으로 잡음(nois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음 제거 단계(2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measured EEG typically includes noise, a noise removal step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shown in FIG. 4 .

잡음 제거 단계(230)는 측정한 뇌파 신호가 잡음 제거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step 230 may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measured EEG signal to pass through the noise removing device.

상기 잡음 제거장치는 통상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및 노치 필터(notch filter) 등의 필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잡음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뇌파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 후 뇌파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device typically includes at least one filter selected from among filters such as a low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 band pass filter, and a notch filter. After removing the noise included in the EEG signal measured by using such a noise removing device, EEG features can be extracted.

잡음이 제거된 뇌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 특징 추출 단계(240)를 거쳐 다양한 뇌파 특징을 추출해 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EEG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may undergo an EEG feature extraction step 240 to extract various EEG features.

상기 뇌파 특징 추출 단계(240)는 시간 영역의 잡음이 제거된 뇌파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특징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뇌파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The EEG feature extraction step 240 is a step of extracting various EEG features using a featur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by converting the EEG signal from which the noise of the time domain is removed into the frequency domain. .

뇌파 특징은 종래기술 1, 2에도 나타나 있듯이 다양한 특징들, 예를 들면, 평균 파워 스펙트럼, 피크 주파수 대역, 뇌파 영역대별 상대적 파워 세기, 측정 채널별 상호 연관성, 유사도, 방향성, 간섭성, 위상 특징 및 인과관계 등이 있고, 이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뇌파의 특징으로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prior art 1 and 2, the EEG characteristic includes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verage power spectrum, peak frequency band, relative power intensity for each EEG region, correlation for each measurement channel, similarity, directionality, coherence, phase characteristic and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and some or all of these may be registered as a characteristic of EEG.

뇌파의 잡음 제거 및 특징 추출을 위한 잡음 제거장치 및 특징 추출 장치는 뇌파 측정 장치 또는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ise removal device and the feature extraction device for noise removal and feature extraction of EEG may be provided in the EEG measuring device or a separate device.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단계(250)는 각 작업자별로 추출한 다양한 뇌파 특징 정보를 컴퓨터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 때, 저장부에는 등록된 각 작업자의 정보와 도출된 뇌파 특징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Next, the step of forming a database 250 is a step of storing various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or each worker in 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At this time, it will be more preferable to match and store the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operator and the derived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위에서 살펴본 단계를 거쳐 등록된 작업자의 평상 시 및 규정된 작업을 수행할 때의 뇌파 특징 정보에 대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Through the step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registration of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during normal and prescribed tasks of the registered worker.

이와 같이 작업자 등록 및 작업자의 뇌파 등록이 완료되면 실제 작업장에서 작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When the operator registration and the operator's EEG registration are completed in this way, the preparation to identify the operator in the actual workplace is complete.

도 3에 도시된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감지장치 부착(300) 단계는 실제 작업장에서 작업을 하려는 작업자, 즉, 식별이 요구되는 작업자에게 뇌파측정장치와 위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attaching the EEG and position detecting device 300 of the worker shown in FIG. 3 is a step of attaching the EEG measuring device and the location detecting device to the worker who wants to work in the actual workplace, that is, the worker who needs identification.

뇌파측정장치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헤드셋 타입 또는 밴드 타입의 장치일 수 있고, 위치감지장치는 머리를 포함한 신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이면 충분할 것이다. The EEG measuring device may be a headset-type or band-type device to be worn on the worker's head, and the position sensing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body including the h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detect its location will suffice.

이 때, 상기 뇌파측정장치와 위치감지장치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신하여 위의 단계에서 살펴본 등록 작업자와 등록된 뇌파와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would be desirable to enable the EEG measurement device and the position sensing device to communicate wirelessly so as to be received by a monitor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be able to contrast with the registered EEG and the registered worker examined in the above step.

이를 위하여 뇌파 측정장치 및 위치감지장치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송신 장치로는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송수신이 가능한 RF 송신기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작업자와 후술하는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거리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면 충분할 것이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EEG measuring device and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Th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even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t a distance between an operator and a monitor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sufficient.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뇌파 및 위치 모니터링 단계(400)는 뇌파측정장치 및 위치감지장치를 착용한 작업자가 작업장으로 이동하고, 담당 작업을 수행할 때 이를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Next, the EEG and position monitoring step 400 shown in FIG. 3 is a step of monitoring the EEG and the position sensing device with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when the worker moves to the workplace and performs the task in charge to be.

뇌파 및 위치 모니터링은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에서 각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EEG and location monitoring can be monitored by receiving each signal from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a computer.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과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으므로, 뇌파측정장치 및 위치감지장치의 신호를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선 수신 장치는 RF 수신기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무선 송신 장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할 것이다.Since the monitoring device may be far away from the workplace where the operator performs the work, it is preferable that a wireless receiv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EEG measuring device and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is additionally configured, and the wireless The reception device may include an RF recei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signal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may be sufficient.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에 대한 시간 영역 데이터, 잡음을 제거한 시간영역 데이터 및 뇌파 특징을 추출한 주파수 영역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re formed in the monitoring device, and at least one of time domain data about the operator's brain wave and location, time domain data from which noise is removed, and frequency domain data from which EEG features are extracted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so that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각 작업자의 뇌파 특징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도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t would be preferable that the monitoring device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operator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together, and it would be preferable that a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it is also provided.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서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및 위치 대비 단계(500) 및 이를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단계(600)가 있다. Next, as shown in FIG. 3 , there is an EEG and position comparison step 500 and an operator identification management step 600 through which the operator works on the computer.

컴퓨터에서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및 위치 대비 단계(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서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대비 단계(510), 자격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20), 등록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30), 규정 작업 위치 여부(540), 및 작업 불량 포함 여부 확인 단계(55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EEG and position comparison step 500 when the operator works on the computer is the EEG preparation step 510 when the operator works on the computer, as shown in FIG. 5 , the qualification worker check step 520, the registered worker check step ( 530), whether or not the prescribed work position 540, and whether or not a work defect is included may include a check step (550).

컴퓨터에서 작업자 식별 관리 단계(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시 뇌파 및 위치 대비 단계를 통해 현재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에 대한 식별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로, 컴퓨터의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10),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20), 미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30) 및 등록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40)를 포함하고, 각 결과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단계이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10)에 저장되는 규정 작업 위치의 등록 작업자는 추가로 모니터링하는 작업자가 정상적으로 작업을 수행했는지 불량이 포함된 작업을 수행했는지를 구분하여 컴퓨터의 등록 작업자 정상 작업부에 저장하는 단계(611) 또는 등록 작업자 불량 작업부에 저장하는 단계(61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mputer, the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step 600 is a step of deriving the identification result for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through the EEG and location comparison step during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5, and is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of the computer. Step 610, storing in the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20), storing in the un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30), and storing in the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40), each result is determined by the monitoring This step is indicat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devic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registered worker of the prescribed work location stored in the step 610 of storing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erformed a task containing a defect or whether the operator to monitor additionally performed the task normally It may include a step (611) of dividing and storing the registered worker normal work unit of the computer (611) or a step (612) of storing the registered worker defective work unit.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컴퓨터에서 작업 시 뇌파 대비하는 단계(510)는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의 뇌파와 상기 작업자 뇌파 등록 단계(200)에서 등록된 각 작업자의 뇌파를 대비하는 단계이다. 즉,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 뇌파의 특징과 저장부에 등록된 각 등록 작업자별 뇌파 특징을 비교하는 단계이다.Looking at each step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first, the step of preparing for EEG when working on a computer 510 is the EEG when the worker works and the EEG of each worker registered in the worker EEG registration step 200 . It is a stage of preparation. That is, it is a step of comparing the EEG characteristics monitored in real time with the EEG characteristics of each registered worker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작업 시 뇌파 대비 단계(510)는 컴퓨터에서 자격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20), 컴퓨터에서 등록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30), 컴퓨터에서 규정 작업 위치 여부 확인 단계(540), 및 컴퓨터에서 작업 불량 포함 여부 확인 단계(55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EEG preparation step 510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includes a step 520 of checking whether a qualified worker is a qualified worker on a computer, a step of checking whether a registered worker on a computer 530, a step of checking whether a prescribed work position on the computer 540, and a malfunction of the computer It may include a checking step 550 .

상기 자격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20)는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작업자인지 여부를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worker is qualified ( 520 ) is a step of checking in the computer whether the worker being monitored is a worker having the qualification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job.

예를 들면, 원전의 대형 압력용기의 용접 작업 또는 용접 검수 작업 등은 전문 자격을 가진 작업자가 수행을 해야 한다. 이 때의 자격이란 자격증일 수도 있지만, 이와 함께 해당 작업에 전문성을 가진 작업자를 의미한다. 해당 작업에 전문성이 있는 작업자는 용접 또는 용접 작업 검수 등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이에 따라 뇌파는 특정한 특징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등록된 작업자 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등록된 작업자들로부터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뇌파 특징이 존재한다.For example, welding work or welding inspection work of a large pressure vessel in a nuclear power plant must be performed by a professionally qualified worker. Qualification at this time may be a certificate, but it also means a worker with expertise in the relevant work. Workers with expertise in the work must perform the required normal work when performing welding or welding work inspection, etc., and accordingly, EEG ha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registered workers specifically, There are EEG features common to workers.

하지만, 해당 작업에 전문성이 없고 자격을 갖추지 못한 작업자인 경우에는, 해당 작업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지 못하므로, 이는 정상적인 작업의 요점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용접을 하거나 용접작업을 검수하는 것이므로, 자격을 가진 전문성을 갖는 작업자와 뇌파 특징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f the worker does not have expertise and is not qualified for the work, he/she cannot grasp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work, so it is to perform welding or inspect the welding work without grasping the gist of the normal work. There will be a big difference in EEG characteristics with workers with expertise.

즉, 자격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20)에서는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작업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뇌파가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을 갖고 자격을 가진 등록 작업자들의 공통된 뇌파 특징과 확연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현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가 자격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n the verification step 520 of whether the worker is qualified, the EEG of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the worker who is working in the workplace)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common EEG characteristics of registered workers who have the expertise and qualifications to perform the task.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currently performing the job is a qualified worker.

이를 통하여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등록된 작업자가 아니고 자격 작업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작업자는 무자격 작업자에 해당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20)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알람을 발생한다. 이 때, 알람은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이와 함께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er currently being monitored is not a registered worker and not a qualified worker, the worker corresponds to an unqualified worker, and as shown in FIG. 5, storing in the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of the computer (620) , and generates an alarm for this. At this time, the alarm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ing device, or implement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together.

무자격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등록 작업자로 교체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단계를 통하여 해당 작업장에서 무자격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f an unqualified worker is performing work, it is desirable to immediately stop the work, replace it with a registered worker, and proceed with the work. Through this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qualified worker from performing work in the relevant workplace in advance. have.

다음으로 컴퓨터에서 등록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530)는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자격 작업자로 인정될 때 저장부에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특징과 대비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530 of checking whether the computer is a registered worker is a step of preparing for the EEG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is recognized as a qualified worker.

즉,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정보와 저장부에 등록된 각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 정보를 대비하여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를 등록된 작업자 중의 특정인으로 식별하는 단계이다. That is, it is a step of identifying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as a specific person among registered workers in preparation for the EEG inform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and the EEG inform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each worker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이를 통하여 등록된 작업자 중의 1인의 등록된 뇌파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위치에서 해당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는 등록 작업자 중의 1인으로 특정된다. Through this, if it is confirmed that it matches the registered EEG information of one of the registered workers, the worker who performed a specific task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t the corresponding time is specified as one of the registered workers.

이 경우, 특정된 등록 작업자에 대하여 컴퓨터에서 규정 작업 위치 여부 확인 단계(540)를 거친다. In this case, for the specified registered worker, a step 540 of checking whether the specified job location is located in the computer is performed.

규정 작업 위치 여부 확인 단계(540)는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위치 또는 장소가 상기 특정된 등록 작업자가 작업을 하도록 규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Checking whether the prescribed work location step 540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location or place currently working is a prescribed location for the specified registered worker to work.

본 단계를 통하여 식별된 등록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규정된 장소 또는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위치 또는 장소가 식별된 등록 작업자의 작업 위치 또는 장소에 해당한다면 등록된 작업자가 규정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10)를 거치고, 이를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step,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identified registered worker is performing work at a prescribed place or location that can be performed, and if the currently monitored location or location corresponds to the identified registered worker's work location or location, Since the registered worker performs work at a prescribed place, the result is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of the computer as shown in FIG. 5 ( 610 ), a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ing device There will be.

한편,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등록된 작업자들의 등록된 뇌파 정보와 동일한 뇌파 정보가 없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may not be the same EEG information as the registered EEG information of the workers currently monitored by the registered workers.

이는 현재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해당 작업에 전문성을 갖는 작업자이기는 하지만, 등록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 즉 미등록 작업자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미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30)를 수행하고, 이를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알람을 통하여 현재 미등록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currently monitored worker is a worker with expertise in the corresponding job, but is not a registered worker, that is, an unregistered work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 a step 630 of storing in the un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of the computer may be performed, and thi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ing device. In addition, in this case, it would be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larm to inform that the currently unregistered worker is performing the work.

미등록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시킨 후, 미등록 작업자가 계속 해당 업무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 후에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등록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수행할 충분한 전문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을 계속 수행하고, 미등록 작업자가 해당 작업을 수행할 정도의 전문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작업자로 대체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unregistered worker is performing the work, it is more preferable to stop the work and then proceed with the work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unregistered worker will continue to perform the work.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nregistered operator has sufficient expertise to perform the task, the task is continu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nregistered operator does not have enough expertise to perform the task, the task is replaced by a registered operator. will be able to do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컴퓨터에서 작업 불량 포함 여부 확인하는 단계(550)는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가 규정된 위치 또는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등록 작업자 중의 1인으로 식별된 경우에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단계이다. Next, the step 5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mputer shown in FIG. 5 includes a defective operation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when the monitoring worker is identified as one of the registered workers working at a prescribed location or place. there is a step

작업자가 규정된 위치 또는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등록 작업자 중의 1인으로 식별된 경우, 뇌파 모니터링을 계속하면서 뇌파 특징 정보 중에 작업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의 뇌파특징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1차적으로 해당 작업에 불량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If the worker is identified as one of the registered workers working in a prescribed location or place, while continuing EEG monitoring, check whether EEG characteristics when a work defect occurs in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ppear, and It is a step to check whether the work contains defects.

전문성을 가진 등록 작업자는 일정 수준이상의 집중력을 갖고 담당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작업 중 작업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고, 작업 불량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해당 작업에 전문성을 갖고 있으므로,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는 뇌파 특징의 변화에 영향을 큰 미치게 된다. Registered workers with expertise perform their tasks with a certain level of concentration or more. At this time, a work defect may occur during work, and when a work defect occurs, the worker has expertise in the work, so that the defect can be identified in real time, which greatly affects the change in EEG characteristics.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모니터링하면서 뇌파 특징 정보의 변화 여부를 파악하여 해당 작업에 불량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while monitoring the EEG during the worker's wor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EE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primarily determine whether a defect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work.

이 때, 작업자가 불량이 발생한 모든 경우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작업 중 불량으로 인식한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 불량이 발생한 것을 식별해 낼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operator may not recognize all the cases in which the defect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the defective work for the work recognized by the operator as a defect during the operation.

즉, 본 단계는 작업자 관점에서 작업 불량 포함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의 뇌파에서 작업 불량 뇌파 특징이 나타나지 않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등록 작업자 정상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1)를 수행하고, 이를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this step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work defects are included from the operator's point of view, and if the EEG characteristic of the work failure does not appear in the EEG of the worker being monitored,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normal work unit of the registered worker of the computer as shown in FIG. Step 611 may be performed, and thi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ing device.

한편, 모니터링하고 있는 작업자의 뇌파에서 작업 불량 뇌파 특징이 나타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등록 작업자 불량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2)를 수행하고, 이를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EG characteristic of a work failure appears in the EEG of the worker being monitored, as shown in FIG. 5 , a step 612 of storing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worker defective work unit of the computer is performed, and this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ing device. may be displayed.

이처럼, 작업 불량으로 인식이 된 작업은 검수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보다 정밀하게 검수하여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work recognized as a work defect is inspected more precis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problem from occurring in advance.

위에서 살펴본 컴퓨터에서 작업 시 뇌파 및 위치 대비 단계(500) 및 작업자 식별 관리 단계(600)에서는 여러 단계를 확인하며 등록 작업자를 식별해 낼 수 있고, 등록 작업자가 정상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 작업 불량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자격 작업자 및 미등록 작업자까지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EEG and location comparison step 500 and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step 600 when working on the computer looked at abov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gistered worker by checking several steps, whether the registered worker is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poor work Not only will it b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but also unqualified workers and unregistered workers will be identifi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작업자 등록 단계 200: 작업자의 뇌파 등록 단계
210: 평상 시 뇌파 측정 단계 220: 작업 시 뇌파 측정 단계
221: 정상작업 뇌파 측정 단계 222: 불량작업 뇌파 측정 단계
230: 잡음 제거 단계 240: 뇌파 특징 추출 단계
250: 데이터베이스화 단계 300: 뇌파 및 위치감지장치 부착 단계
400: 뇌파 및 위치 모니터링 단계
500: 작업 시 뇌파 미 위치 대비 단계
510: 작업 시 뇌파 대비 단계 520: 자격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
530: 등록 작업자 여부 확인 단계
540: 규정 작업 위치 여부 확인 단계
550: 작업 불량 포함 여부 확인 단계
600: 작업자 식별 관리 단계 610: 등록 작업자 식별부
611: 등록 작업자 정상 작업부 612: 등록 작업자 불량 작업부
620: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 630: 미등록 작업자 식별부
640: 등록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
100: worker registration step 200: operator EEG registration step
210: normal EEG measurement step 220: EEG measurement step at work
221: normal work EEG measurement step 222: bad work EEG measurement step
230: noise removal step 240: EEG feature extraction step
250: Databaseization step 300: EEG and location sensing device attachment step
400: EEG and location monitoring phase
500: EEG non-position contrast stage when working
510: EEG preparation during work 520: Check whether the worker is qualified
530: Check whether a registered worker is present
540: Check whether a prescribed action is located
550: Step to check whether the operation contains a defect
600: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step 610: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11: Registered Worker Normal Work Unit 612: Registered Operator Bad Work Unit
620: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30: un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640: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Claims (3)

작업자의 정보를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100);
상기 등록된 각 작업자의 평상 시 및 작업 시 뇌파를 상기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200);
작업장에서 작업자에게 뇌파측정장치 및 위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단계(300);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작업자의 뇌파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400);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컴퓨터에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 및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600);를 포함하는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는,
상기 작업자가 등록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30);
상기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40); 및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50);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는 단계(600);는
미등록으로 모니터링된 작업자는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미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30);
등록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인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10);
등록 작업자가 규정 작업 위치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무자격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하는 단계(640);
상기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되는 등록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가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정상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1); 및
상기 등록 작업자 식별부에 저장되는 등록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가 작업 불량 시의 뇌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등록 작업자 불량 작업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
Registering the operator's information to the computer (100);
Registering the EEG in the computer during normal and working times of each of the registered workers (200);
Attaching the EEG measuring device and the position sensing device to the worker in the workplace (300);
Monitoring the EEG and location of the operator in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400);
Comparing the EEG when the operator works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registered in the computer 500; and
In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comprising; identifying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600),
Comparing the EE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location of the registered operator at the time of operation (500) is,
checking whether the worker is a registered worker (530);
determining (540) whether the operator is in a prescribed working position; and
Including the; step 5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include an EEG when the work is faulty;
Identifying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600);
Storing the monitored worker as unregistered in the un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30);
If it is monitored that the registered worker is a prescribed working position, storing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0);
If it is monitored that the registered worker is not a prescribed working location, storing the registered unqualifi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40);
If it is monitored that the EEG of the registered worker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does not include the EEG when the work is defective, storing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worker normal work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1); and
When it is monitored that the EEG of the registered worker stored in the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the EEG when the work is defective, storing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worker defective work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612); including;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biosignal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 뇌파를 등록된 작업자의 작업 시의 뇌파 및 위치와 대비하는 단계(500)는,
상기 작업자가 자격 작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생체신호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한 작업자 식별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mparing the EE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e computer with the EEG and the location of the registered operator at the time of operation (500) is,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comprising the step (520) of checking whether the worker is a qualified worker.
KR1020200120360A 2020-09-18 2020-09-18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KR102278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360A KR102278855B1 (en) 2020-09-18 2020-09-18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360A KR102278855B1 (en) 2020-09-18 2020-09-18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855B1 true KR102278855B1 (en) 2021-07-20

Family

ID=7712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360A KR102278855B1 (en) 2020-09-18 2020-09-18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85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578A (en)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Terminal for safety monitoring of working in the field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07432B1 (en) 2015-01-14 2016-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 authentication based on electroencephalography
KR101643354B1 (en) 2015-05-06 2016-07-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brain wa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578A (en)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Terminal for safety monitoring of working in the field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07432B1 (en) 2015-01-14 2016-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 authentication based on electroencephalography
KR101643354B1 (en) 2015-05-06 2016-07-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brain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belli et al. Application of wearable biosensors to construction sites. I: Assessing workers’ stress
KR20180037209A (en) Automation systems and processes to provide personal safety
CN101944172B (en) Monitor the system and method for individual protectiveness equipment
US117591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trusive deception detection
CN110108363A (en) A kind of human body infrared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of robot
KR102278855B1 (en) Worker Identific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Real-Time of Bio-Signals and Location Monitoring Technology
JP6807128B1 (en) Candidate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in CBT
Chen et al. Revealing the" Invisible Gorilla" in Construction: Assessing Mental Workload through Time-frequency Analysis
KR20190059377A (en) Traumatic brain injur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rain wave analysis
CN117153365A (en) Dialysis equipment running state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audio identification
KR20160129486A (en) Smart helmet for monitoring health state using bandtype brainwave detector
CN112767202A (en) Remote monitoring platform and monitoring method
Donati et al. RT-PROFASY: Enhancing the well-being, safety and productivity of workers by exploiting wearable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20080941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sychiatric disorde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20190298227A1 (en) Tremor detector, stress assess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ssing stress
CN112336355A (en) Safety supervision system,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signal operating personnel
KR1023774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tress state of worker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850707B1 (en) A Method Acquiring Material For Concealed Information Test
JP4978143B2 (en)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Eskandar et al. Using Deep Learning for Assessment of Workers' Stress and Overload
JP7222387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798000B1 (en) ERP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ie
TWI751772B (en) A method for evaluating parkinson's disease medication related impulse control disorder via brainwave and a system thereof
CN113876303B (en) Safety early warning method and wearable device
JP7246716B2 (en) Brain function state measuring device and program for determining brain function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