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293B1 -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 Google Patents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293B1
KR102278293B1 KR1020210073958A KR20210073958A KR102278293B1 KR 102278293 B1 KR102278293 B1 KR 102278293B1 KR 1020210073958 A KR1020210073958 A KR 1020210073958A KR 20210073958 A KR20210073958 A KR 20210073958A KR 102278293 B1 KR102278293 B1 KR 10227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expansion
rubb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시브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시브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시브이디
Priority to KR102021007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고르게 팽창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단중고무시트의 비균형팽창으로 인한 파열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고, 내측과 외측 이중 팽창 구조로 유속에 의한 고무팽창시트의 압력 및 손상을 최소화 하며, 내부에 있는 1차 고무시트가 파열되어도 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팽창되었던 시트들의 복귀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져 게이트 개폐 동작에 민첩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액츄에이터(100)가 연결되는 회전축(20)이 관통하여 밸브의 개폐를 구현하는 디스크(30)가 내장되어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과 일체로 디스크(30)가 회전하여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고정부(111)가 고정 설치되어 디스크(30)와 직접 접촉하는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지지부(121)가 고정 설치되어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일부 접하도록 하고, 내부에 팽창공간(122)이 마련되어 상기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가압시키는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상기 팽창공간(122)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주름관(130)과, 상기 주름관(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140)과,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주변으로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유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Butterfly Valve with double expansion seat}
본 발명은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고르게 팽창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단중고무시트의 비균형팽창으로 인한 파열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고, 내측과 외측 이중 팽창 구조로 유속에 의한 고무팽창시트의 압력 및 손상을 최소화 하며, 내부에 있는 1차 고무시트가 파열되어도 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팽창되었던 시트들의 복귀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져 게이트 개폐 동작에 민첩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분말, 가스 등의 유체를 운송하는 유체 운송관 등에는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유통시키기 위하여 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관 개폐용 밸브는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운송관의 개폐 밸브는 내부의 작동원 예를 들어, 관을 밀폐 또는 유통시키는 것을 구현하는 나이프,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내장되는 형태에 따라, 게이트 밸브, 버터 플라이 밸브, 볼 밸브, 디스크 밸브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개폐 밸브는, 나이프,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밀착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나이프 등이 밸브시트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운송관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유체 즉, 분말, 가스 또는 분말 등의 차단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나이프 등이 밸브시트에 매우 긴밀하게 밀착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밸브시트는 유체 운송관의 개폐에 따라, 디스크, 나이프 등이 반복적으로 마찰되면서 쉽게 마모되고, 따라서 정기적으로 밸브시트를 교체하여도 마모된 밸브시트로 인하여, 관의 폐쇄시 유체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특히 밸브시트의 마모에 따른 교체 등으로 설비 유지 비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그런데, 유체 운송관의 유체 성질에 따라, 이와 같은 마모된 밸브시트에 의한 유체의 차단불량은, 조업성격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의 대기 노출 등과 같은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근래에는 밸브시트를 에어를 이용하여 수축-팽창형으로 제작하여, 밸브의 개방시에는 수축시키고, 밸브의 폐쇄시에는 시트를 팽창시키어 디스크 등과의 밀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시트의 마찰에 의한 손상이나 파손등은 억제하는 수축-팽창형 밸브시트를 구비하는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의 특징은 누설이 없고 구동 토크값이 적은 것이 특징이고, 고무시트의 팽창과 수축을 이용한 시트와 디스크의 밀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밸브의 고무시트에 공기를 넣었다 빼었다하여 밸브디스크와 시트의 밀봉을 확실히 한다.
그 일 례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액츄에이터가 연결되는 회전축(20)이 관통하여 밸브의 개폐를 구현하는 디스크(3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30)와 팽창시 밀착되고, 밸브의 개방시 수축되는 수축-팽창형 밸브시트(40)는 하우징(10)에 조립되는 커버(14)로서 밸브 하우징(10)에 조립 및 분해되는 시트링(50)에 조립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과 일체로 디스크(30)가 회전하여 밸브 폐쇄시에는 에어가 밸브시트(40)에 공급되어 팽창하면서 디스크(30)와 밀착된다.
반대로, 에어의 공급이 중단되면 밸브시트(40)는 탄력재질이므로 수축하여 도 4a와 같이, 밸브시트(40)와 디스크(30)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터플라이밸브는 단중 고무시트 구조로서, 단중고무시트의 비균형팽창으로 인한 파열을 일으킬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중 고무시트 구조의 경우 공기가 시트에 주입될 시에 넓은 면적의 고무시트 전체에 공기가 주입되므로 시트 두께의 균일함이 완전하여야 하며 균일한 형상이 되어야 파손이 없으며 확실한 밀봉력을 나타내고, 소모되는 공기의 양이 많았고 고무시트가 팽창과 수축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즉, 동작이 늦어 긴급히 개폐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불리하였고, 저압에서만 사용해야 했으며 고무시트가 자주 파손되거나 밀봉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일반적인 고정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는 밸브가 개폐시에 미끄럼마찰이 항상 발생하므로 디스크와 시트의 손상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17822호 (공개일자 2000년04월06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0996호 (공개일자 2013년12월03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중의 고무팽창시트 구조로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고르게 팽창될 수 있도록 한 버터플라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쪽 한 곳의 내, 외측 이중 팽창 구조로 유속에 의한 고무팽창시트의 압력 및 손상을 최소화하며, 내부에 있는 1차 고무시트가 파열되어도 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버터플라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팽창되었던 시트들의 복귀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져 게이트 개폐 동작에 민첩성을 갖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버터플라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는,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액츄에이터(100)가 연결되는 회전축(20)이 관통하여 밸브의 개폐를 구현하는 디스크(30)가 내장되어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과 일체로 디스크(30)가 회전하여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고정부(111)가 고정 설치되어 디스크(30)와 직접 접촉하는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지지부(121)가 고정 설치되어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일부 접하도록 하고, 내부에 팽창공간(122)이 마련되어 상기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가압시키는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상기 팽창공간(122)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주름관(130)과,
상기 주름관(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140)과,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주변으로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유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의 고무팽창시트 구조로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고르게 팽창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비균형 팽창으로 인한 파열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에 있는 1차 고무시트가 파열되어도 밸브가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공기의 양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팽창되었던 시트들의 복귀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져 게이트 개폐 동작에 민첩성을 부여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버터플라이밸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는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의 요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 시트 볼 밸브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의 요부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통상 버터플라이밸브는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액츄에이터(100)가 연결되는 회전축(20)이 관통하여 밸브의 개폐를 구현하는 디스크(30)가 내장되어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과 일체로 디스크(30)가 회전하여 밸브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버터플라이밸브에 있어서,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크(30)와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는 고무재로 된 고무시트(S)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무시트(S)를 디스크(30)에 직접 접촉하는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상기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일부 접하면서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팽창시키는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의 이중 팽창 시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는 하단 양쪽으로 일체로 마련된 고정부(111)를 통해 밸브 하우징(10)에 끼워져서 위치 고정된다.
또, 상기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는 하단 양쪽으로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121)를 통해 밸브 하우징(10)에 끼워져서 위치 고정되어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주로 정상부가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의 내부로는 팽창공간(122)이 마련되어 주름관(130)으로 공급되는 에어 압력에 의해 상기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가압시키게 된다.
상기 주름관(130)은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원주면을 따라 V 형상으로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상기 팽창공간(122)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 주름관(130)과 팽창공간(122) 사이 공간부로는 대기압 보다 높은, 예로서 2기압 내외의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주름관(130)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주름관(130)과 팽창공간(122) 사이에 채워져 있는 높은 기압에 의해 주름관(130)은 최대로 압축되고,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는 수축상태로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는 디스크(30)로부터 떨어져 디스크(30)의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130)에는 에어공급라인(100a)을 통해 액츄에이터(100)로부터 에어를 공급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주입관(140)이 접속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슬러리 유체가 밸브(open)를 통과할 때, 고무팽창시트가 전, 후의 이중 구조를 이루어지게 되면 유체의 방향에 직각으로 맞으므로 쉽게 마모가 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디스크가 열리고 닫힐 때 각도에 따라 팽창시트가 유속에 의해 받는 힘의 크기가 변한다.
이것은 팽창시트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속에 의한 변하는 압력에 의해 움직이 크게 되므로, 본 발명은 전 후 이중 팽창 구조가 아닌 바디쪽 한 곳의 내, 외측 이중 팽창 구조로 유속에 의한 고무팽창시트의 압력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는 주름관(130) 내부로 에어공급라인(100a)을 통해 액츄에이터(100)로부터 에어를 주입이 차단되어 주름관(130)과 팽창공간(122) 사이에 채워져 있는 높은 기압에 의해 주름관(130)은 최대로 압축되고,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는 수축상태로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는 디스크(30)로부터 떨어져 디스크(30)의 개폐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팽창공간(122) 사이에 채워져 있는 기압이 예로서 2기압 내외일 경우, 이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름관(130) 내부로 에어공급라인(100a)을 통해 액츄에이터(100)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것에 의해 주름관(130)의 부피가 최대 팽창된 상태이다.
따라서,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는 팽창공간(122)의 팽창에 의해 지지부(121)는 위치 고정된 상태로 양쪽 측벽은 밸브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부로 위치되는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하부를 가압하여 디스크(30)의 둘레와 강하게 접촉하면서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밀폐 상태에서 디스크(30)의 방향을 조작하여 개방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액츄에이터(100)로부터 공기 주입이 중단되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하면 주름관(130)의 외부로 팽창공간(122)에 채워져 있던 높은 압력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주름관(130)을 압축시키면서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수축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빠르게 고무시트와의 간섭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신속한 디스크(30)의 조작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 하우징(10)에는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사이, 즉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주변으로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150)를 형성하여,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주변으로 냉각수가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고무시트(S)의 열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시트(S)의 내구성과 수밀성을 오래 지속할 수 있으며, 예로서 300℃ 유체 개폐용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 냉각수 온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온도는 더 높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이중 팽창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는 먼저 고무시트(S)에 주입된 공기압력을 제거하여 고무시트(S)의 수축을 빠르게 유도하여 디스크(30)와 고무시트(S)의 밀착력을 신속히 제거, 디스크(3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무시트(S)와 디스크(30)의 밀착력이 없으므로 마찰도 없어 작은힘(Torque)으로 밸브는 열린다.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닫힐 때는 이미 공기압력이 없는 상태 즉, 고무시트(S)의 공기가 빠진 상태인 수축된 고무시트(S)의 상태에서 닫히게 한다.
디스크(3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고무시트(S)에 공기를 주입하여 시트가 팽창하여 디스크(30)와 고무시트(S)의 밀착력을 유도한다.
이때 고무시트(S)와 디스크(30)의 밀착력으로 밸브는 확실하게 밀봉작용을 하게된다.
통상적으로 밸브는 열리고 닫힐 때 디스크(30)와 시트(S)의 미끄럼 마찰력으로 작동하는데 큰 힘(Torque)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시트(S)와 디스크(30)의 미끄럼마찰이 없으므로 매우 적은 힘만 요구된다.
또한 미끄럼 마찰에 의한 디스크(30)나 시트(S)의 손상이 없으므로 수명이 길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되는 미끄럼 동작시에 주름관(130) 내부의 공기압을 제거하면 팽창공간(122)에 채워져 있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신속히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가 항상 수축상태로 변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열릴 때에도 미리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의 공기압력 제거하여 시트가 수축되어 있고, 디스크(30) 및 시트(S)에 미끄럼 마찰이 없으므로 디스크(30)와 시트(S)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고무시트의 구조는 주름관(130)의 내부 공간이 작아 공기 주입으로 신속히 팽창하고 신속히 공기가 제거되어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 내부 1차 고무시트가 파손되어도 밸브가 작동되며 어느 정도 시간까지는 그 수명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탄성력이 있는 시트이며 강제적으로 공기압으로 팽창시켜 밀봉하므로서 누설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의 각도조절 즉 방향성을 갖게 함으로서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고압력에도 적용할 수 있어 저압은 물론 각도조절의 방향성 시트로 고압유체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같이 본 발명은 이중의 고무팽창시트 구조로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고르게 팽창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단중고무시트의 비균형팽창으로 인한 파열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고, 내부에 있는 1차 고무시트가 파열되어도 밸브가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공기의 양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밸브하우징
20 - 회전축
30 - 디스크
100 - 액츄에이터
100a - 에어공급라인
110 -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
120 -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
130 - 주름관
140 - 에어주입관
150 - 유로

Claims (1)

  1.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액츄에이터(100)가 연결되는 회전축(20)이 관통하여 밸브의 개폐를 구현하는 디스크(30)가 내장되어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과 일체로 디스크(30)가 회전하여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고정부(111)가 고정 설치되어 디스크(30)와 직접 접촉하는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지지부(121)가 고정 설치되어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와 일부 접하도록 하고, 내부에 팽창공간(122)이 마련되어 상기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를 가압시키는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상기 팽창공간(122)의 내부로 위치된 상태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주름관(130)과,
    상기 주름관(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140)과,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내부 1차 고무팽창시트(120)와 외부 2차 고무팽창시트(110)의 주변으로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유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KR1020210073958A 2021-06-08 2021-06-08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KR10227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58A KR102278293B1 (ko) 2021-06-08 2021-06-08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58A KR102278293B1 (ko) 2021-06-08 2021-06-08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293B1 true KR102278293B1 (ko) 2021-07-16

Family

ID=7715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958A KR102278293B1 (ko) 2021-06-08 2021-06-08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004B1 (ko) * 2023-06-21 2023-11-02 (주)리잰 팽창실린더 밸브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722A (ja) * 1992-02-26 1993-09-17 Makino Milling Mach Co Ltd 放電加工機の加工槽用シール
KR20000017822A (ko) 1999-12-18 2000-04-06 박문수 버터플라이 밸브
KR20000005705U (ko) * 1998-09-01 2000-04-06 이구택 교환이 용이한 싱크롤 장착구조
KR20120117281A (ko) * 2011-04-15 2012-10-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 이송용 밸브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120126064A (ko) * 2010-01-28 2012-11-20 배트 홀딩 아게 챔버벽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
KR20130130996A (ko) 2012-05-23 2013-1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 비산형 팽창 시트 밸브
KR20140102531A (ko) * 2013-02-14 2014-08-2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밸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722A (ja) * 1992-02-26 1993-09-17 Makino Milling Mach Co Ltd 放電加工機の加工槽用シール
KR20000005705U (ko) * 1998-09-01 2000-04-06 이구택 교환이 용이한 싱크롤 장착구조
KR20000017822A (ko) 1999-12-18 2000-04-06 박문수 버터플라이 밸브
KR20120126064A (ko) * 2010-01-28 2012-11-20 배트 홀딩 아게 챔버벽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
KR20120117281A (ko) * 2011-04-15 2012-10-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 이송용 밸브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130130996A (ko) 2012-05-23 2013-1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 비산형 팽창 시트 밸브
KR20140102531A (ko) * 2013-02-14 2014-08-2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밸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004B1 (ko) * 2023-06-21 2023-11-02 (주)리잰 팽창실린더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556B1 (en) Resilient seat seal for a valve
US3455534A (en) Valve and two-piece seat assembly
US8607815B2 (en) Butterfly valves with undulating sealing surface
KR102278293B1 (ko) 이중 팽창 시트의 버터플라이밸브
AU1788501A (en) Ball valve seat seal
KR19980042500A (ko) 밸브장치의 시트 이격장치
US20080017825A1 (en) Bi-directional knife gate valve apparatus and method
US11846359B2 (en) Constant pressure valve for inflatable product and inflatable product
US3617027A (en) Rocking seat valve
CN109804189B (zh)
KR100947423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361669B1 (ko) 분체 비산형 팽창 시트 밸브
JP2003166654A (ja) バタフライ弁
EP3702106A1 (en) Gaiter fitting device
CN210770625U (zh) 阀杆密封结构及阀门
JPH1113901A (ja) 超低温用ボールバルブ
KR200326530Y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200213452Y1 (ko) 버터플라이 밸브 이중 실링장치
JP4067303B2 (ja) 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制御弁
KR20180011941A (ko) 이중 실링 구조를 가지는 버터플라이 밸브
JP7158424B2 (ja) 中心決めされたバタフライ弁
KR102175061B1 (ko) 버터플라이밸브의 에어프레져실 실링구조
JP6488091B2 (ja) ダイヤフラム弁、軸封装置、および弁体保持部
KR20230082302A (ko) 버터플라이밸브용 에어 컨트롤장치
KR200358252Y1 (ko) 소성변형 방지용 고무시트를 갖는 버터플라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