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44B1 -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044B1
KR102278044B1 KR1020200166026A KR20200166026A KR102278044B1 KR 102278044 B1 KR102278044 B1 KR 102278044B1 KR 1020200166026 A KR1020200166026 A KR 1020200166026A KR 20200166026 A KR20200166026 A KR 20200166026A KR 102278044 B1 KR102278044 B1 KR 10227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odule
security light
brightness
securi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16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은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와, 외부 영상 또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부와,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모듈과, 보안등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구성요소들을 내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보안등과, 상기 보안등과 통신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등은 복수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영역에 설치된 보안등들은 미리 지정된 시간 영역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달라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 또는 인근 위치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보안등의 조명 밝기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당시 이미지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의 인근 보안등과 이벤트 상황에 따라 서로 연계되어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등의 사고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안등 주위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그 상황을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어 사고 원인의 규명에 이바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 중앙제어부가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여성과 같은 약자의 야간 보행을 돕고, 보안등 관리자 또는 순찰 인력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안등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며, 보안등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보안등에 의한 빛공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SECURITY LIGHT SYSTEM COMPRISING SMART IOT MODULE}
본 발명은 보안등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등의 설치 위치와 보안등 주위에서 발생되는 여러 이벤트 상황에 따라 보안등의 밝기가 제어되면서도, 인근 설치 보안등들과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되고, 방수성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보안등은 도로나 공원 또는 주거단지에서, 야간에 어둠을 밝혀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포함한 각종 안전사고 및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안등은 도로 등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지주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력의 인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 제어되는 램프가 설치된다.
최근, 엘이디 조명 분야의 기하급수적인 성장과 함께 보안등에서도 전력소비가 낮은 엘이디 조명을 채택하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이라 함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들이 언제 어디서나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 체계를 의미한다.
즉,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이 사람의 개입 없이도 서로 스마트하게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게 된다.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위 환경에서 정보를 얻는 센서와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통신모듈, 및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신들이 관리하는 관내에 산재된 보안등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제실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보안등들은 그 온/오프 제어 등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원격 제어가 이루어져 왔으며, 보안등 주위에서 발생되는 각종 사고 또는 상황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전국적으로 이미 설치된 보안등의 수가 매우 많고, 현재 사물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주위 환경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 상황에 대해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등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 또는 인근 위치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보안등의 조명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의 인근 보안등과 이벤트 상황에 따라 서로 연계되어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등 주위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그 상황을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중앙제어부가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여성과 같은 약자의 야간 보행을 돕고, 보안등 관리자 또는 순찰 인력의 관리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등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등의 사용 수명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등에 의한 빛공해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은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와, 외부 영상 또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부와,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모듈과, 보안등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보안등과, 상기 보안등과 통신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등은 복수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영역에 설치된 보안등들은 미리 지정된 시간 영역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달라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상기 보안등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을 점멸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등에는 외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광량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는 미리 지정된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안등의 소비 전력량을 상기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와 사람의 수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부에 저장되며, 미리 지정된 기간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 또는 사람의 수가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더욱 밝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외의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대수가 미리 지정된 대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린이보호구역에 배치되는 보안등과 상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 사이의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어린이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시간 전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후까지 촬영된 영상은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며, 이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경고음이 발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의 범죄발생률에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인지 여부에 따라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에 따라 제 3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3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들 중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제 4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4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조명모듈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제 5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5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접속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안등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및 조명모듈 밝기조절 신청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부와 접속되는 관리자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안등에 포함되는 상기 조명모듈의 점멸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발생의 경우 영상 촬영 시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로 이벤트 발생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번호판 및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된 복수 위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위치의 이미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를 촬영하는 영상의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로 촬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는 회로부하우징과 조명모듈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하우징 내부에는 회로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하우징에서 상기 조명모듈을 대면하는 부분에는 투광창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하우징의 저면에는 통기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부하우징에는 방수격벽과 상기 방수격벽에 결합되는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투광창부재에는 직선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하우징의 내면에는 방열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 또는 인근 위치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보안등의 조명 밝기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당시 이미지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의 인근 보안등과 이벤트 상황에 따라 서로 연계되어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등의 사고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안등 주위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그 상황을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어, 사고 원인의 규명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중앙제어부가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여성과 같은 약자의 야간 보행을 돕고, 보안등 관리자 또는 순찰 인력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안등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안등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안등에 의한 빛공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상기 보안등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3 은 상기 보안등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5 는 상기 보안등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보안등의 저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보안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보안등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보안등에 포함되는 투광창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지지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하부 조명모듈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12 는 상부 조명모듈하우징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상기 보안등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3 은 상기 보안등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5 는 상기 보안등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보안등의 저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보안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보안등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보안등에 포함되는 투광창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지지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하부 조명모듈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12 는 상부 조명모듈하우징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100)은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모듈(10)과, 상기 조명모듈(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20)와, 외부 영상 또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30)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부(40)와,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모듈(50)과, 보안등(100)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와,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110)를 포함하는 보안등(100)과, 상기 보안등과 통신되는 중앙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등은 복수의 영역(L1, L2,...Ln)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통신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영역(L1, L2,...Ln)에 설치된 보안등들은 미리 지정된 시간 영역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달라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100)은 인도 또는 도로 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5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보안등(100)에 포함되는 조명모듈(10)은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밝기조절모듈(50)에 의해 그 밝기가 조절된다.
상기 카메라부(30)는 상기 보안등(1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외부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보안등(100)을 구성하는 하우징부(110)의 저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부(100)와는 별도로 상기 지주(1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30)는 그 지향각을 변화시키기 위한 지향각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40)는 특정 제 1 위치에 설치된 보안등(L1)이 인근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모듈과, 중앙제어부(200)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복수의 보안등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0)와, PC 와 같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단말장치(400)가 연결된다.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500)과 사람(700)을 구분하기 위한 객체인식프로그램과 각종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는, 상기 보안등(100) 내부에 메모리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부 내에 차량(500)과 사람(700)을 구분하기 위한 객체인식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100)은 예를 들어, 동절기에는 저녁 6시부터 8시까는 제 1 단계 밝기로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제어되며,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는 2단계 밝기로 제어되는 등, 하루 중 미리 지정된 시간 영역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조도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밝기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0)를 통해 평소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며, 동영상 촬영 중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동영상 촬영 시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로 이벤트 발생 시점의 외부 이미지 또는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촬영 대상 자동차(500) 또는 사람(700)의 속도 또는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소음의 크기와 주파수 등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안등(100)에는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크기와 주파수를 감지하기 위한 음파감지센서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자동차(500) 또는 사람(700)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크기 또는 주파수를 초과하는 음파가 감지되는 경우, 객체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파감지센서부(7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음파가 미리 지정된 소정의 데시벨(dB) 크기를 초과하거나, 음파의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에서 사고 또는 범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이벤트 발생 당시의 상황을 정지된 영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지된 영상은 평소 촬영되는 동영상 보다 높은 해상도로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정지된 영상의 경우 초점거리 조절 등으로 인해, 동영상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는 보다 해상도가 높은 정지된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상황을 보다 뚜렷한 정지 영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함으로써, 영상 내의 객체들이 뚜렷이 식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상기 보안등(100)이 배치되는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정보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저장부는 상기 보안등(100)이 배치되는 현실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위치정보저장부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100)의 배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 또는 건널목과 같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이벤트 발생 시 상황이 보다 명확히 식별될 수 있으면서도, 주위 통행자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안등(100)에 설치되는 조도센서(9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광량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도센서(9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광량이 적은 밤의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자체의 밝기를 밝게 조절하고, 외부 광량이 지나치게 많은 한낮의 경우에는 상기 영상 자체의 밝기를 다소 낮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 환경이 지나치게 어두운 경우 화면이 어두워 객체를 명확히 인식하기 어렵게 되거나, 외부 환경이 지나치게 밝아 빛의 반사 등으로 자동차의 번호판과 같은 객체를 명확히 인식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는 미리 지정된 가상의 영역(A)이 설정되며, 예를 들어 30분 또는 1시간과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사람(700) 또는 자동차(500)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가상의 영역(A)은 보안등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건널목 여부, 어린이보호구역 여부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영역(A) 내에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가상의 기준선들을 설정하여, 자동차(500) 또는 사람(700)들이 상기 두 가상의 기준선들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통과 속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사람(700) 또는 자동차(500)의 수는 인공지능의 개념을 도입하여, 예를 들어 1 개월 또는 2 개월과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측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 측정된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람 또는 자동차들이 많이 유동되는 시간대에는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더욱 밝게 하고, 사람과 자동차들이 매우 적게 유동되는 시간대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기준 밝기와 같게 또는 그보다 어둡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에 포함되는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500)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에 포함되는 조명모듈(10)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위치를 통과하는 자동차가 과속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위치의 인근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의 조명모듈(10)을 더욱 밝게 제어함으로써, 과속 상태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시야가 밝아지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며, 만약 정지된 영상 촬영이 요구되는 경우 더욱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를 통과하는 자동차가 지정된 속도 예를 들어, 기준속도인 시속 60 km 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의 조명모듈이 더욱 밝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기준속도를 초과하여 시속 65 km 인 경우보다 시속 70 km 인 경우에는 인근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이 더욱 밝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그 정도가 클 경우, 인근 제 2 위치의 보안등(L2)을 더욱 밝게 함으로써, 자동차 운전자로 하여금 더욱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1 개월 또는 2 개월과 같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와 사람의 수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부(200)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저장된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로부터 기준수치가 설정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치는 예를 들어 상기 1 개월 또는 2월월 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와 사람의 평균 수일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 또는 사람의 수가 설정된 상기 기준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평소에 비해 매우 많은 자동차 또는 사람이 상기 지정된 영역(A)을 유동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10)을 매우 밝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200)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객체인식프로그램은 사람을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설정 저장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사람들 중, 키가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성인 또는 어린이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인식프로그램은 자동차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번호판인식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객체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어린이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수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등하교시와 같이 많은 수의 어린이들이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높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카메라부(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만약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더욱 밝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위치는 하나의 특정 보안등의 위치뿐만 아니라, 지정된 여러 개의 보안등들을 포함하여 그룹으로서 제 1 위치로 지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위치 역시 하나 또는 복수의 보안등들을 포함하여 지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어린이보호구역을 중심으로 그로부터 일정 영역 외부까지 상기 보안등(L2)이 더욱 밝아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만약 제 1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 외의 위치일 경우에, 상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에 포함되는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500)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린이보호구역에 배치되는 보안등(L3)과 상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 사이의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어린이보호구역 위치를 제 3 위치라 하고, 그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을 L3 라 하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을 L1 이라 할 경우, 상기 L1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30)에 의해 식별되는 자동차(500)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를 초과하는 과속 상태인 경우, 상기 L1 과 L3 사이의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 L2 에 포함되는 조명모듈(10)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위치를 통과하는 자동차(500)가 과속 상태일 경우, 상기 어린이보호구역에 진입되기 이전 영역인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 L2 의 조명모듈(10)이 점멸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 상태에서 어린이보호구역에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500)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소음 발생과 같은 이벤트 발생의 경우, 상기 카메라부(30)를 자동차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자동차(500)의 번호판과 함께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된 미리 설정된 복수 위치의 이미지를 정지 영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 위치는 상기 번호판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에 있는 상,하,좌,우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자동차(500)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의 번호판과 함께 그 주위 상황들을 선명한 정지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하고,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함으로써, 과속 차량 및 그 주위의 상황을 선명하게 촬영하여 과실 또는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 위치의 이미지는,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를 촬영하는 동영상의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의 정지 영상으로 촬영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큰 소음 또는 높은 주파수의 비명소리 같은 소정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시간 전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후까지 촬영된 영상이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메모리부에서 미리 지정된 일정 기간 삭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거리에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들은 촬영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후 메모리부의 저장 용량이 다하는 상황이 되면, 삭제됨으로써 이후의 영상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을 전후로 한 영상들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메모리부의 용량을 현저히 증대시키거나 촬영되는 영상 모두를 중앙제어부 측으로 전송해야 한다.
이러한 점은 현실적인 보안등 설치와 관리의 견지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고 비경제적이며, 데이터 전송 과부하 및 보안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특정 이벤트 상황 발생 시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부에서 지정된 기간동안 삭제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메모리부의 저장 용량을 현저히 증대시키지 않고도 이벤트 발생 당시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100) 배치 위치의 범죄발생률에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밝기가 100 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범죄발생률이 높아질수록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비율로 상기 제 1 가중치가 높아지도록 설정하여, 기준 밝기 대비 보다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보안등(100) 배치 위치의 범죄발생률이 높을 경우,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거리가 어두울수록 범죄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안등(100)이 배치되는 위치의 범죄발생률에 따라 보안등(100)에 포함되는 조명모듈(100)을 더욱 밝게 함으로써, 범죄 예방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100)의 배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인지 여부에 따라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보안등(100) 배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일 경우,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기준 밝기 대비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에 따라 제 3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3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제 3 가중치가 커지도록 설정하여, 상기 제 3 가중치가 커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이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가 기준 수치보다 많아질 경우,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기준 밝기 대비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에 포함되는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들 중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제 4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가중치는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자동차들 중 과속 차량의 수가 소정의 기준 수치보다 높은 정도를 나타내며, 과속 차량의 수가 많아질수록 제 4 가중치가 높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4 가중치가 높아질수록,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L2)의 조명모듈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가중치가 높을 경우, 상기 제 1 위치를 통과하는 과속 차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위치 부근의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L2)의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 4 가중치가 지정된 기준 가중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보안등(L2)의 조명모듈(10)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제 1 위치를 통과하여 제 2 위치로 진입되는 자동차 운전자들의 주의를 환기시켜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어린이의 수에 따라 제 5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5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5 가중치는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확하는 어린이의 수가 많아질수록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A)을 통과하는 어린이의 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조명모듈(10)의 밝기가 기준 밝기 보다 더욱 밝아지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가중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상호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외부의 이벤트 발생 상황 또는 지리정보에 따라 조명모듈의 밝기가 달라지는 상기 보안등(100)의 소비 전력량은,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각 위치 또는 영역별 보안등 운영에 소요되는 전력량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600)과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접속된 스마트폰(600) 화면을 통해 상기 제 1 위치 내지 제 n 위치의 보안등 밝기에 관련된 밝기조절 신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600)은 보안등 시스템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일반인의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600)을 통해 밝기조절 신청정보 송신 시 상기 보안등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보안등 관리자가 스마트폰(600)을 통해 중앙제어부(200)에 접속하여 보안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일반인이 늦은 시간 안심귀가를 위해 특정 시간을 지정하여 보안등의 밝기를 조절해달라는 신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와 같이 밝기조절 신청정보를 중앙제어부(200)가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중앙제어부(200) 또는 제어부(70)에 설정된 밝기와 실제 비춰지는 밝기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안등(100)의 통신모듈부(40)가 상기 스마트폰(6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인증 절차를 거쳐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600)이 상기 보안등과 통신되는 경우,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더욱 밝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안등(100)과 스마트폰(600) 간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0)를 통해 사전에 미리 등록된 여성 또는 어린이의 스마트폰(600)이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600)을 소지한 여성 또는 어린이가 상기 보안등(100) 주위를 지날 경우, 상기 보안등(100)의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1)과 스마트폰(600)이 통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L2)의 조명모듈 밝기가 더욱 밝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여성 또는 어린이가 상기 보안등(100) 주위를 지날 경우, 인근에 배치되는 보안등(100)의 밝기가 더욱 밝아지도록 함으로써, 여성 또는 어린이의 이동 동선을 따라 더욱 밝은 환경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통신되는 스마트폰(600)이 미리 지정된 관리자 스마트폰일 경우, 상기 관리자 스마트폰(600)을 통해 상기 중앙제어부(200)에 접속하여 점멸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보안등(100)의 통신모듈을 통해 점멸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보안등(100)이 상기와 같은 점멸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보안등(100)의 상기 조명모듈(10)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600)을 통해 점멸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조명모듈(10)이 점멸되는 경우, 보안등(100)은 이러한 상황을 다시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지정된 관리자는 예를 들어 순찰 또는 방범 인력일 수 있으며, 사전에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600)을 소지한 상태에서 보안등(100) 부근을 지날 경우, 상기 스마트폰(600)과 통신되는 보안등이 일정 시간 점멸 반응하고, 이러한 상황을 보안등(100)이 중앙제어부(200)로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서도 각 보안등(100)이 정상 작동하는지의 여부와, 순찰 인력이 소정의 지정된 경로를 순찰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보안등의 저면도로서, 도 5 와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100)은 상기 조명모듈(10) 등의 구성을 내장하기 위한 하우징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1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금속재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0)에서 상부하우징은 회로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부하우징(112)과 조명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우측의 조명모듈하우징(118)으로 분할 구성되며, 도 5 에서 좌측의 회로부하우징(112)은 힌지부(116)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을 제어하고 통신하기 위한 각종 회로소자들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에 수용되는 회로소자들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에는 회로지지플레이트(85)가 배치된다.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는 열전달률이 높은 금속재로써 형성되며,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가 장볼트 등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의 공간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 하부에는 수분에 강한 각종 부품들을 배치시키고,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 상에 수분에 취약하거나 발열량이 많은 부품을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회로부품들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로 전달함으로써, 열 적체에 의한 부품의 열화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침입되는 수분으로부터 회로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의 표면에 격자 형태의 오목부(854)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85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자 형태의 오목부(854)들에 의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회로부품들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보다 원활히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형태의 오목부(854)들이 공기의 유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유동 공기로써 원활히 냉각할 수 있다.
또는,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들(854)을 형성하여, 회로지지플레이트(85)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854)들은 예를 들어, 샌드 블러스팅(Sand-Blusting) 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하우징(112)에는 방수격벽(117)과 상기 방수격벽(117)에 결합되는 실링부재(140)가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폐쇄 시 상기 실링부재(140)가 상기 방수격벽(117)에 결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자체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부가하여,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부에 방수격벽(117)과 실링부재(140)를 배치시켜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수격벽(117)과 실링부재(140)가 수분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의 격벽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로부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수분으로부터 완벽히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분에 취약한 회로부품들은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85)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거의 완벽히 수분으로부터 회로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 에서,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저면의 30번 부분에는 돔형의 카메라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 부근에 조도센서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하우징(112)의 측부에는 버클 등의 결합수단(114)이 배치되어, 이를 통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버클(114)을 해제하고 회로부하우징(112)을 힌지부(116)에 대해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회로소자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과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부하우징(112)과 상기 조명모듈하우징(118)을 완벽히 구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로부하우징(112) 내에 수용되는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조명모듈(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엘이디 발광소자의 경우, 높은 전력 효율이 장점임에 비해 열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엘이디 발광소자가 고열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 수명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부품들을 회로부하우징(112) 내에 배치시키고 조명모듈하우징(118)과는 완벽히 구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조명모듈(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엘이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상기 조명모듈(10)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110)의 저면에는 보안등지주(15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52)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조명모듈(10)은 상기 조명모듈하우징(118) 내부에 배치된다.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조명모듈(10)은, 통상적으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외장 내부에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를 배치시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모듈(10)의 배면에는 방열부재(12, 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모듈하우징(118) 내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조명모듈(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방열부재(12, 14)로 전달되어 발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모듈하우징(118)의 내면에 방열볼록부(118-1)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방열볼록부(118-1)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어, 상기 조명모듈(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 과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의 조명모듈하우징(111) 측부에는 통기개구(11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개구(11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조명모듈하우징(111) 내부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명모듈(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의 조명모듈하우징(111) 내면에는 개구(113)와 통기개구(115)를 연결하는 제 1 오목부(119)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에 도시된 상기 하부 조명모듈하우징(111) 내면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개구(113)와 연결되는 제 2 오목부(119-1)들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13)와 통기개구(115)를 연결하는 제 1 오목부(119)와 제 2 오목부(119-1)들에 의해, 상기 조명모듈(10) 부근으로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모듈(10)이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의 조명모듈하우징(111)에서 상기 조명모듈(10)을 대면하는 부분에는 개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모듈(10)과 상기 하부의 조명모듈하우징(111) 사이에는 투광창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조명모듈(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투광창부재(120)를 통해 상기 개구(113)로 조사된다.
상기 투광창부재(120)는 아크릴 소재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심부(124)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122)은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조명모듈(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중심부(124)를 통해 상기 개구(113) 부분으로 조사된다.
도 9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투광창부재(120)의 표면에는 직선 형태의 오목부(126)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오목부(126)들이 일종의 광을 유도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오목부(126)들의 단면에서 측벽에 해당되는 부분들은 광의 전파를 방해하는 방지턱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126)들은 도로에서 자동차들이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도로 인근에 주택들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늦은 밤 보안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인근 주택 거주자들에게 빛공해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투광창부재(120)의 오목부(126)가 도로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산되는 광은 광 전파 방해 방지턱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오목부(126)의 측벽에 의해 전파가 다소간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조명모듈
20: 전력공급부
30: 카메라부
40: 통신모듈부
50: 밝기조절모듈
60: 조도센서
80: 제어부
100: 보안등

Claims (31)

  1.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와;
    외부 영상 또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부와;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모듈과;
    보안등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보안등과;
    상기 보안등과 통신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등은 복수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영역에 설치된 보안등들은 미리 지정된 시간 영역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가 달라지도록 제어되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상기 보안등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을 점멸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안등에는 외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광량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는 미리 지정된 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더욱 밝게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어린이보호구역 외의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대수가 미리 지정된 대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린이보호구역에 배치되는 보안등과 상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 사이의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이 점멸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들 중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제 4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4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조명모듈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제 5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5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의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의 경우 영상 촬영 시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로 이벤트 발생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되,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위치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번호판 및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된 복수 위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위치의 이미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를 촬영하는 영상의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로 촬영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회로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부하우징과 조명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조명모듈하우징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회로부하우징과 조명모듈하우징의 경계 부분에는 힌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회로부하우징은 상기 힌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하우징의 측부에는 버클과 같은 결합수단이 배치되어, 상기 버클을 통해 착탈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부하우징 내부에는 회로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상기 회로부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되어,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수분에 강한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수분에 취약하거나 발열량이 많은 부품이 배치되며,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모듈하우징에서 상부조명모듈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볼록부와 상기 방열볼록부 사이사이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모듈하우징에서 상기 조명모듈을 대면하는 부분에는 투광창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투광창부재에는 직선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하부 조명모듈하우징에서 상기 조명모듈을 대면하는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조명모듈하우징에는 통기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조명모듈하우징 내면에는 상기 개구와 상기 통기개구를 연결하는 오목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일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의 소비 전력량을 상기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와 사람의 수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부에 저장되며,
    미리 지정된 기간동안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 또는 사람의 수가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더욱 밝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어린이의 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시간 전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후까지 촬영된 영상은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며, 이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에는 경고음이 발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의 범죄발생률에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보안등의 배치 위치가 어린이보호구역인지 여부에 따라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자동차 또는 사람의 수에 따라 제 3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제 3 가중치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접속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안등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및 조명모듈 밝기조절 신청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와 접속되는 관리자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안등에 포함되는 상기 조명모듈의 점멸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하우징에는 방수격벽과 상기 방수격벽에 결합되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00166026A 2020-12-01 2020-12-01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KR10227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26A KR102278044B1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26A KR102278044B1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044B1 true KR102278044B1 (ko) 2021-07-15

Family

ID=7688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26A KR102278044B1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63A (ko) 2022-09-15 2024-03-22 박영현 보안등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652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블랙박스부가 구비된 보안등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652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블랙박스부가 구비된 보안등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63A (ko) 2022-09-15 2024-03-22 박영현 보안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6779A1 (en) Outdoor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1956529B1 (ko)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US6243644B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attached to a traffic sign
KR102182257B1 (ko) 곡선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통행 안내시스템
KR101212855B1 (ko) 가로등
KR102204145B1 (ko) 램프 역주행 방지시스템
EP2516748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safety of an intersection of traffic routes
WO2017038125A1 (ja) 違反抑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違反抑止システム
WO2013073783A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KR102278044B1 (ko) 스마트 사물인터넷 보안등시스템
KR102362304B1 (ko)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1702103B1 (ko) 비콘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엘이디 보안등
KR101590071B1 (ko)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CN113380002A (zh) 一种高空抛物智能预警装置及方法
KR102101619B1 (ko)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2158853B1 (ko) 램프 역주행 방지장치 및 램프 역주행 방지방법
KR101889718B1 (ko) 블랙박스 및 로고라이트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210012282A (ko) 다기능 가로등 장치 및 운용방법
KR102446822B1 (ko) 표지판 일체형 감시카메라.
KR10231084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cctv 일체형 스마트 가로등
KR20170027032A (ko) 고속도로상의 야간 갓길주차 차량의 안전 주·정차를 위한 시스템
KR20190045752A (ko) 범죄예방 기능의 스마트 표지판
CN115273451A (zh) 一种智慧人行通道预警系统
KR102153075B1 (ko)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융합 led 가로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