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874B1 -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74B1
KR102277874B1 KR1020190076982A KR20190076982A KR102277874B1 KR 102277874 B1 KR102277874 B1 KR 102277874B1 KR 1020190076982 A KR1020190076982 A KR 1020190076982A KR 20190076982 A KR20190076982 A KR 20190076982A KR 102277874 B1 KR102277874 B1 KR 10227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unit
server
data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224A (ko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한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빈 filed Critical 한상빈
Priority to KR102019007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은 가축의 귀에 부착되며, 가축의 활동 및 신체 정보를 센싱하고,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태그부, 상기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축사 서버, 상기 태그부와 상기 축사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 상기 축사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빅데이터화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SPECIFICATION MANAGEMENT SYSTEM OF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이라 함은, 가축을 사양하여 인간의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공급하는 농업의 한 부분으로써 오랜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관리 방법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관리 방법에는 사용자 나름 대로의 경험에 따른 사양 방식이 적용되어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가축의 생체 및 행동특성에 관한 표준화된 축산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효율적인 사양 방식이 도입된다면, 대규모 농장의 생산성 향상에 큰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축산 분야에 있어서 사육중인 가축의 수태율 향상과 빈번히 출몰하는 각종 전염병에 대한 관리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중소형 축산농가 등은 가축에 대한 관리가 특정한 관리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이를 기억하고 메모,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가축을 효율적으로 사육하는데에는 많은 한계가 따르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30877호(2013.12.1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은 가축의 귀에 부착되며, 가축의 활동 및 신체 정보를 센싱하고,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태그부, 상기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축사 서버, 상기 태그부와 상기 축사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 상기 축사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빅데이터화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가축의 활동량, 체온, 위치 및 급여량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축사 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태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축의 개체 식별번호 및 월령을 포함하는 가축의 기본 정보, 활동량, 질병 정보, 발정 및 수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사 서버는 상기 태그부와의 연결, 연결이 끊어진 태그 감지 및 네트워크 설정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태그부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축의 몸에 배치되는 태그부에서 가축의 활동 및 건강 등의 정보를 센싱하여 분석하고, 센싱된 데이터는 빅데이터화 되어 가축의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가축의 사양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부는 전자 잉크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축의 정보를 표시하며,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축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태그부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태그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태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축사서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태그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태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의 축사서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10)은 태그부(100), 통신 중계부(200), 축사 서버(3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메인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00)는 가축의 귀에 부착되며, 가축의 활동 및 신체 정보를 센싱하고,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00)는 몸체부(110), 표시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00)는 귀표형 통신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옐를 들어, 상기 태그부(100)는 가축의 귀에 부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00)는 충격과 인장 스트레스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센서부(111), 통신부(112) 및 전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1)는 저전력 6축 자이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RFID 칩 및 급여량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부(111)는 가축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2)는 상기 센서부(111)가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축사 서버(3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2)는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3)는 상기 태그부(100)의 각종 센서 및 상기 표시부(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13)는 3000mah의 Li-Po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원부(11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량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소재도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가 표시하는 정보는 가축의 개체 식별번호 및 월령을 포함하는 가축의 기본 정보, 활동량, 질병 정보, 발정 및 수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4.7인치 3색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적절한 사양의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태그부(100)를 가축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자성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30)가 자석에 의해 가축의 귀에 상기 태그부(1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탈부탁이 용이하므로 다른 가축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 중계부(200)는 상기 태그부(100)와 상기 축사 서버(3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중계부(200)는 대규모 축사에서 상기 태그부(100)와 상기 축사 서버(3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축사 서버(300)는 상기 태그부(100)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축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축사 서버(300)는 통신 제어부(310), 데이터 저장부(320), 데이터 분석부(330) 및 데이터 전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310)는 상기 태그부(100)와의 연결, 연결이 끊어진 태그부 감지 및 네트워크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는 상기 태그부(100)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330)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340)가 상기 태그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340)가 상기 메인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500)로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330)보다 더 정밀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축사 서버(300)를 제어하고,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축사 서버에 연결되어, 축사 서버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분석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서버(500)는 상기 축사 서버(300)의 데이터 저장부(32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정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정밀 분석된 데이터는 빅데이터화 되어 가축의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태그부
110: 본체부
111: 센서부
112: 통신부
113: 전원부
120: 표시부
130: 고정부
200: 통신 중계부
300: 축사 서버
310: 통신 제어부
320: 데이터 저장부
330: 데이터 분석부
340: 데이터 전송부
400: 사용자 단말기
500: 메인 서버

Claims (5)

  1. 가축의 귀에 부착되며, 가축의 활동 및 신체 정보를 센싱하고,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태그부;
    상기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축사 서버;
    상기 태그부와 상기 축사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
    상기 축사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빅데이터화하여 가축의 사양 정보를 분석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부는,
    가축의 활동량, 체온, 위치 및 급여량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축사 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태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3000mah의 Li-Po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 및
    상기 축사 서버에서 분석한 가축의 사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태그부를 가축의 귀에 고정하는 자성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저전력 6축 자이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RFID 칩 및 급여량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표시부는 4.7인치 3색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축의 개체 식별번호 및 월령을 포함하는 가축의 기본 정보, 활동량, 질병 정보, 발정 및 수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서버는,
    상기 태그부와의 연결, 연결이 끊어진 태그 감지 및 네트워크 설정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태그부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태그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1020190076982A 2019-06-27 2019-06-27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10227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82A KR102277874B1 (ko) 2019-06-27 2019-06-27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82A KR102277874B1 (ko) 2019-06-27 2019-06-27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24A KR20210001224A (ko) 2021-01-06
KR102277874B1 true KR102277874B1 (ko) 2021-07-15

Family

ID=7412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82A KR102277874B1 (ko) 2019-06-27 2019-06-27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419A1 (ja) * 2010-07-30 2012-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情検知装置および発情検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469A (ja) * 1995-03-24 1996-10-08 Hitachi Ltd 電子名札
KR101957498B1 (ko) * 2017-02-02 2019-06-19 주식회사 링크노아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축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0276B1 (ko) 2017-09-15 2019-11-0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102035672B1 (ko) * 2017-10-27 2019-10-24 대한민국 가축의 행동과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419A1 (ja) * 2010-07-30 2012-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情検知装置および発情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24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7967A1 (en) Rfid inventory device
WO2008019008A3 (en) Agricultural lift with data gathering capability
EP2520948A3 (en) RFID based guidance in remote locations
KR20100011278A (ko)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846295B2 (ja) 発情報知方法、発情報知プログラム、および発情報知装置
CN206209390U (zh) 用于在过程控制系统中收集数据的装置
KR101118590B1 (ko) 무전원 전자노트 및 이를 이용한 무전원 무선전송시스템
EP2832219B1 (en) Estrus notification method, estrus notification device and estrus notification program
KR20120077949A (ko) 전자 선반 라벨 및 배터리 잔량 관리 방법
KR20070005211A (ko) 축산 통합관리시스템
KR20150029057A (ko)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KR20150033961A (ko) 사물인터넷 기반 전자화분 및 그 관리시스템
KR102277874B1 (ko)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20150078864A (ko) 동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6560134A (zh) 悬挂衣物的系统
US2016026657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lants
KR100821888B1 (ko) 가축 실시간 위치 확인 시스템
TW200705178A (en) A monitor an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ccessing method thereof
CN209859173U (zh) 一种基于LoRa无线通信的智能电子纸标签
CN203693617U (zh) 具有无线打印功能的尿流量监测仪
JPH0484838A (ja) 動物取付用個体識別タグ
CN107751015A (zh) 可自动检测的养殖系统
KR20150072506A (ko) 모돈 자동 사료 급이 로봇 및 그 방법
KR20020054297A (ko) 전자태그와의 무선인식을 이용한 개체인식 및 개체정보를측정하는 장치
US20100148927A1 (en)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in relation to a pet animal carrying subcutaneous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