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660B1 -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660B1
KR102277660B1 KR1020200177807A KR20200177807A KR102277660B1 KR 102277660 B1 KR102277660 B1 KR 102277660B1 KR 1020200177807 A KR1020200177807 A KR 1020200177807A KR 20200177807 A KR20200177807 A KR 20200177807A KR 102277660 B1 KR102277660 B1 KR 10227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usehold
load
plc modem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찬
Original Assignee
대성전력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력 (주) filed Critical 대성전력 (주)
Priority to KR102020017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6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건조기, 축사용 전열기, 축사용 환풍기 모터를 포함하는 농사용 부하와 주택용 난방기, 주택용 전열기를 포함하는 주택용 부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 부하에 매칭하는 고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와, 농촌 주택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 전류 센서부로부터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자신의 고유 정보, 각 부하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및 감지 전류 정보를 수신측 PLC 모뎀으로 전송하는 송신측 PLC 모뎀과, 상기 송신측 PLC 모뎀과 수신측 PLC모뎀을 연결하는 것으로 전력 전송과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전 전력선과, 배전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세대별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감지 전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고유 정보, 각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와 해당 전류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수신측 PLC모뎀과,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별 농사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각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해당 세대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및 각 세대 농사용 부하에 해당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의 사용으로 판단하고 알람 정보를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Agricultural and Residential Power Monitering System b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of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농촌에서 사용이 허가된 농사용 전력에 대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용 전기는 농작물 재배, 양곡 생산을 위한 양수, 배수 펌프, 축산, 양잠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력으로 농촌에서 주택용 전기와 구분되어 있으며 농촌의 각 주택마다 신청에 의하여 농사용 전력 계량기와 주택용 계량기를 분리하여 설치하고 그에 따른 부하 분리도 하여 농사용 전기와 주택용 전기를 분리 계량하고 그에 따라 요금부과도 따로 따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6641호(2017. 09. 19. 공고)에 게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서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서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전자식 전력량계(100), 사용전력량 정보수집장치(200) 및 전력수요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가정 및 건물, 사무실, 공장 등의 전력을 사용하는 전력수요처(10)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전력수요처(10)에서 검출한 전류와 전압을 승산(곱셈)하고 이를 시간경과에 따라 누적하여 사용되는 일정 기간의 시간당 사용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기기로서,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개의 부하들(R1 내지 RN)이 구비되는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외부 즉, 사용전력량 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적외선(IR) 제어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특정 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정 제어명령에 따라 측정된 전력수요처(10)의 사용전 력량 정보를 적외선(IR)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전압검출모듈, 전류검출모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 디지털 신호처리모듈, 저장모듈, 표시모듈, IR 통신모듈, 기기 제어 모듈 및 전원공급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R 통신모듈(170)에는 적외선(IR)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IR) 송신 발광 다이오드(LED)(171) 및 적외선(IR) 수신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172)와, 후술하는 사용전력량 정보수집장치(200)에 구비된 IR 송수신모듈(210)의 IR 프로브(Probe)(213)와 소정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173) 등을 포함하는 IR 포트(Port)(174)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전력량 정보수집장치(200)는 IR 송수신모듈(210), 신호변환모듈(220), 디지털 신호처리모듈(230), 데이터 통신모듈(240), 장치 제어모듈(250) 및 전원공급모듈(2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전력수요 관리서버(300)는 사용전력량 정보수집장치(200)와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유/무선 통신망(2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전력 수요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전력수요처에게 사용 전력량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주택용 부하를 농사용 전력 라인을 통하여 사용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고 이에 따라서 농사용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하여 주택용 부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없고 부정당한 전력사용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촌에서 주택용 부하를 농사용 전력라인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향후 IoT 시대에 대비하여 모든 물체와 물체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미리 모든 농촌 주택용 각 부하에 전류 센서부와 같은 IoT 센서인 전류 센서부를 설치하고 이를 기초로 농사용 부하사용과 주택용 부하 사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현재 주택용 전력라인과 농사용 전력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하나의 전력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전력선에 연결된 전기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건조기, 축사용 전열기, 축사용 환풍기 모터와 같이 농사용 부하와 주택용 난방기, 주택용 전열기 등과 같은 주택용 부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 부하에 매칭하는 고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와, 농촌 주택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 전류 센서부로부터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자신의 고유 정보, 각 부하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및 감지 전류 정보를 수신측 PLC 모뎀으로 전송하는 송신측 PLC 모뎀과, 상기 송신측 PLC 모뎀과 수신측 PLC모뎀을 연결하는 것으로 전력 전송과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전 전력선과, 배전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세대별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감지 전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고유 정보, 각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와 해당 전류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수신측 PLC모뎀과,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별 농사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각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해당 세대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및 각 세대 농사용 부하에 해당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의 사용으로 판단하고 알람 정보를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농사용 전기와 주택용 전기가 분리되어 공급되는 농촌 주택에서 하나의 전력라인을 통하여 공급라인을 구축하여도 농사용 부하의 주택용 전력 사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농촌 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각 부하에 대하여 부하별로 고유 정보를 부여하고 가동 여부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특성을 시간대별, 계절별로 정확히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인들이 주로 사는 농촌에서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 부하의 시간에 따른 변동여부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주택 내에서의 활동여부 및 농사용 부하의 사용여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부하마다 고유 정보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농사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갖는 부하의 사용 전력량과 주택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갖는 부하의 사용량을 따로 따로 합산하는 경우 농사용 전력량 계량기와 주택용 전력량 계량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서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 상세 구성도,
도 4는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세대별 부하 사용 그래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건조기, 축사용 전열기, 축사용 환풍기 모터를 포함하는 농사용 부하와 주택용 전열기, 난방기를 포함하는 주택용 부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 부하에 매칭하는 고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부하의 전원이 on 되면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송신측 PLC 모뎀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10)와,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 전류 센서부로부터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수신측 PLC 모뎀으로 자신의 고유 정보,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및 전류 감지 정보,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측 PLC 모뎀(20)과, 상기 송신측 PLC 모뎀과 수신측 PLC모뎀을 연결하는 것으로 전력 전송과 함께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전 전력선(30)과, 배전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세대별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에 설치되어 있는 각 부하의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에 포함되는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 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수신측 PLC모뎀(40)과, 각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와,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농사용 부하의 고유 정보 및 주택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별 부하에 설치되어 있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를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각 세대별로 등록된 각 농사용 부하에 설치된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 사용으로 판단하여 알람 정보와 시간정보를 담당자 단말기(60)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세대별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 전류 센서부는 부하의 제조 시부터 설치되도록 할 수 있거나 가정 PC 또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부하에 설치된 전류 센서부의 고유 번호를 한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세대의 고유 정보와 부하인 모터, 건조기, 주택 전열기 등에 매칭시켜 저장 등록함으로써 한전 관리 서버에 저장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제조시에 전류 센서부가 부착된 경우에는 고유 정보를 농사용과 주택용을 별도로 부여하는 경우 부하가 어느 세대에 새로 구입하여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을 포함하는 전력 라인에 설치되는 경우, 부하에 기 구성된 전류 센서부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배전 전력선, 수신측 PLC 모뎀을 거쳐서 관리 서버에 자동으로 세대별 고유 정보와 함께 부하별 고유 정보를 설정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전력량 계량기는 각 부하에 매칭되는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 부하를 구분하고 주택용 부하의 사용전력을 시간대 및 일별로 각각 합산하고, 농사용 사용전력을 시간대 및 일별로 각각 합산하면 농사용 사용 전력에 대한 전기 요금을 별도로 부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신측 PLC 모뎀은 라우터를 통하여 Internet 망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전류 센서부는 부하와 연동하여 전원이 on, off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부하의 전원이 on되는 경우 전류 센서부의 전원도 on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전류 센서부는 모든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부하에 각각 설치하고 이를 감지 전류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가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 서버는 해당 농가 세대가 농사용 부하를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주택용 부하를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두 종류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지 등 실시간으로 어느 부하를 사용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주택 이나 농사용 전등 부하의 경우에는 전등에 공급하는 배선을 따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해당 전등 부하를 통합하여 하나의 전류 센서부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된 각 부하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시간 정보 및 각 세대에 설치되는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를 기초로 세대별 시간대별 농사용 부하, 주택용 부하 사용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50)는 농촌 주택의 세대별 송신측 PLC모뎀 고유 정보와 각 해당 세대에 설치된 각 농사용 부하의 종류와 각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감지 센서부의 고유 정보,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세대별 정보 DB(52)와, 수신측 모뎀,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부(54)와,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각 세대별로 등록된 각 농사용 부하에 설치된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유정보 판단부(56)와,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세대별 시간대별 사용 부하를 그래프로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57) 및 수신측 PLC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시간 정보를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를 고유정보 판단부로 전송하여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세대별 정보 DB에 기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모뎀 고유 정보와 각 해당 세대에 설치된 각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감지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고, 판단 결과를 송수신 모듈부를 통하여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세대별 시간대별 부하 사용 내역을 그래프 생성부에서 그래프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그래프를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58) 및 판단 결과 또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표시부(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세대별 부하 사용 그래프 예시도이다. 상기도 4는 예를 들어 한 세대의 시간대별, 감지 전류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24시부터 06시 40분 까지는 주택용 부하만을 사용하고, 06시 40분부터 19시 까지는 부하의 변동은 있으나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 부하를 겸하여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19시 이후에는 다시 주택용 부하만을 사용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방법은 한전 말단 사업소 단위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에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및 각 세대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와, 농촌 세대별 부하에 매칭하여 설치되어 있는 각 전류 센서부가 해당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경우 감지 전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는 송신측 PLC 모뎀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송신측 PLC 모뎀이 수신된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감지 전류 정보를 배전 전력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감지 전류 정보 및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를 배전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측 PLC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수신측 PLC 모뎀이 수신된 신호에서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를 복조하고 복조된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4)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해당 세대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및 각 세대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관리 서버가 해당 세대가 주택용 부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6)와, 관리 서버가 수신측 PLC 모뎀에서 수신된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를 기초로 세대별 시간대별 부하사용 내역을 그래프로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를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단계(S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15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와 수신된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전부 일치하는 경우에는 농사용 부하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에는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 부하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만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 다수의 전류 센서부, 20 : 송신측 PLC 모뎀,
30 : 배전 전력선, 40 : 수신측 PLC 모뎀,
50 : 관리 서버, 60 :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

Claims (2)

  1. 주택용 전력라인과 농사용 전력라인으로 구성된 농촌 주택 전력 라인을 하나의 전력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농촌에서 농사용 전력을 주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농사용 사용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촌주택에서 하나의 전력 라인을 구축할 수 있도로 하는 농사용 전력을 주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농사용 사용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농촌 주택에서 건조기, 축사용 전열기, 축사용 환풍기 모터를 포함하는 농사용 부하와 주택용 전열기, 난방기를 포함하는 주택용 부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 부하에 매칭하는 고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송신측 PLC 모뎀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10)와;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 전류 센서부로부터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수신측 PLC 모뎀으로 자신의 고유 정보,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및 전류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측 PLC 모뎀(20)과;
    상기 송신측 PLC 모뎀과 수신측 PLC모뎀을 연결하는 것으로 전력 전송과 함께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전 전력선(30)과;
    배전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에 설치되어 있는 각 부하의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와 감지 전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에 포함되는 각 전류 센서부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한전 말단 사업소 단위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수신측 PLC 모뎀(40)과;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와,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농사용 부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 정보, 각 세대별 부하에 설치되어 있는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전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각 세대별로 등록된 각 농사용 부하에 설치된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사용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수신된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전부 일치하는 경우에는 농사용 부하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에는 주택용 부하와 농사용 부하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주택용 부하만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농촌 주택의 세대별 송신측 PLC모뎀 고유 정보와 각 해당 세대에 설치된 각 농사용 부하의 종류와 각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감지 센서부의 고유 정보,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감지 전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세대별 정보 DB(52)와, 수신측 모뎀,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부(54)와, 수신측 PLC 모뎀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기설정하여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및 각 세대별로 등록된 각 농사용 부하에 설치된 각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유정보 판단부(56)와,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세대별 시간대별 사용 부하를 그래프로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57) 및 수신측 PLC모뎀으로부터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 시간 정보를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를 고유정보 판단부로 전송하여 수신된 세대별 송신측 PLC 모뎀 고유정보, 각 세대에 포함된 각 부하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류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세대별 정보 DB에 기 저장된 세대별 송신측 PLC모뎀 고유 정보와 각 해당 세대에 설치된 각 농사용 부하에 매칭하는 각 전류 감지 센서부의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고, 판단 결과를 송수신 모듈부를 통하여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세대별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세대별 시간대별 부하 사용 내역을 그래프 생성부에서 그래프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그래프를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58) 및 판단 결과 또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표시부(59)로 구성된 한전 말단 사업소 단위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
    및 한전 말단 사업소 단위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로부터 알람 정보와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담당자 단말기(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촌주택에서 하나의 전력 라인을 구축할 수 있도로 하는 농사용 전력을 주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농사용 사용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송신측 PLC모뎀은,
    라우터를 통하여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촌주택에서 하나의 전력 라인을 구축할 수 있도로 하는 농사용 전력을 주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농사용 사용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177807A 2020-12-17 2020-12-17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7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07A KR102277660B1 (ko) 2020-12-17 2020-12-17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07A KR102277660B1 (ko) 2020-12-17 2020-12-17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660B1 true KR102277660B1 (ko) 2021-07-15

Family

ID=7688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07A KR102277660B1 (ko) 2020-12-17 2020-12-17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3329A (zh) * 2022-08-08 2022-11-22 北京中润惠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铁路配电所无人化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388B1 (ko) * 2011-03-08 2012-09-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플러그 모듈
KR20130092199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전력공사 비정상 전력사용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40014816A (ko) * 2012-07-26 2014-02-06 (주) 엔솔테크 전기 사용 정보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388B1 (ko) * 2011-03-08 2012-09-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플러그 모듈
KR20130092199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전력공사 비정상 전력사용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40014816A (ko) * 2012-07-26 2014-02-06 (주) 엔솔테크 전기 사용 정보 알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3329A (zh) * 2022-08-08 2022-11-22 北京中润惠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铁路配电所无人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29319U (zh) 智能插座及控制系统
US20120275526A1 (en) Ethernet over power
US8046603B2 (en) Network real-time electricity monitoring system
US8487634B2 (en) Smart electrical wire-devices and premises power management system
CN206002869U (zh)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智能家居系统
CN103380556B (zh) 用于无线通信设备的电源管理电路及使用其的处理控制系统
CN206002868U (zh) 一种可交互的智能家居控制系统
US20130170105A1 (en) Load monitoring nodes and apparatuses
WO2007118128A2 (en) Artificial-intelligence-based energy auditing, monitoring and control
CN10232380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全景用电信息智能家居系统
CN106200408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家居配备方法及系统
US20100328097A1 (en) Utility data over broadband infrastructure
KR101659453B1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GB2465638A (en) Current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energy usage
NL2000444C2 (nl) Energiebeheersingstelsel.
CN203054541U (zh) 家用电器控制系统
KR102277660B1 (ko)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전력과 주택용 전력 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CN206004684U (zh) 一种智能家居远程遥控系统
CN206002870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家居系统
US20120116597A1 (en) Gateway mirroring of metering data between zigbee networks
CN103777590A (zh) 家用电器控制系统
US20120123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Usage
KR100963188B1 (ko) 댁내 분류별 전력 계측 시스템
DK2426867T3 (en) Interface device for a måleanordnings network
KR102272525B1 (ko) 배전선로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농사용 부하 사용 전력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