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435B1 -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435B1
KR102277435B1 KR1020190112645A KR20190112645A KR102277435B1 KR 102277435 B1 KR102277435 B1 KR 102277435B1 KR 1020190112645 A KR1020190112645 A KR 1020190112645A KR 20190112645 A KR20190112645 A KR 20190112645A KR 102277435 B1 KR102277435 B1 KR 10227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liver cancer
sorafenib
ceacam1
huh7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110A (ko
Inventor
성필수
윤승규
박동준
이길원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K 세포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CEACAM1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NK 세포의 투여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SR-Huh7 세포에서 CEACAM1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NK 세포 특히,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와 SR-Huh7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NK 세포에 의한 SR-Huh7 세포 독성 효과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NK 세포의 투여 요법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Compositions for treating sorafenib-resistant liver cancer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reating sorafenib-resistant liver cancer}
본 발명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K 세포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CEACAM1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NK 세포의 투여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암은 국내에서 전체 암중에서 사망률이 두 번째로 높은 암으로, 크기가 3cm 미만이 작은 간암(소간암)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1년간 생존할 확률이 90%에 이르며 수술을 하였으면 5년 생존율이 40~50%에 이를 정도로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소간암의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발견 당시에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흔하며 간경변증 등으로 간이 나빠져 치료를 하더라도 재발하는 환자가 많아, 간암 수술환자의 70%가 5년 이내에 다시 재발하는 높은 재발률을 보이고 있으며 재발한 간암의 치료 예후 또한 좋지 않아 근본적인 암 재발 억제 및 진행 암에 대한 약효 성이 높은 치료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은 전세계적으로, 특히 아시아 지역에 많이 발생하는 암 유형의 하나이다. 이러한 간암에 대하여 소라페닙(Sorafenib)은 실질적으로 유일한 간암의 표준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소라페닙(sorafenib)은 종양세포나 종양혈관에 과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용체 tyrosine kinase인 VEGFR-2,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PDGFR)-βc-kit와 더불어 신호전달 경로의 serine/threonine kinase인 Raf kinase를 동시에 저해하여 정상세포는 그대로 두고 암세포와 암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내피세포만을 공격해 치료하는 경구용 표적항암제(Oral Multikinase Inhibitor)로 알려져 있다. 소라페닙(Nexavar)은 2013년 상반기 3억 7,300만 유료의 매출을 올렸으며, 현재 간암과 신장암 치료제로서 승인을 획득한 바 있고, 최근 미국 FDA에서 넥사바의 갑상선암 치료제의 승인을 한 바 있다.
그러나, 다수의 환자가 소라페닙 투여 및 치료에 있어 무반응을 나타내거나, 지속적 치료로 인해 소라페닙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소라페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전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번호 제 10-2017-0034643호에는 LCN2 유전자를 이용하여 소라페닙 치료에 대한 감수성을 예측하는 방법 및 LCN2 발현 억제를 이용한 소라페닙 내성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 10-2015-0189345호에는 PPAR-β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β) 길항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Sorafenib) 내성 간암 치료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주인 SR-Huh7에서 CEACAM1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NK 세포 특히,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와 SR-Huh7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NK 세포에 의한 SR-Huh7 세포 독성 효과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연살해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은 CEACAM1 발현이 일반 간암과 비교하여 감소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암은 간세포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EACAM1 발현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연살해 세포는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CEACAM1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자연살해 세포의 투여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a) 소라페닙 저항성을 보이는 간암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CEACAM1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일반 간암 환자와 비교하여 CEACAM1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 대해 자연살해 세포 투여 효과 예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연살해 세포는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암은 간세포암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SR-Huh7 세포에서 CEACAM1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NK 세포 특히,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와 SR-Huh7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NK 세포에 의한 SR-Huh7 세포 독성 효과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NK 세포의 투여 요법은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Huh7 세포주 및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Huh7(SR-Huh7) 세포주의 세포 모양을 관찰한 사진(A) 및 소라페닙 농도에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정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B).
도 2는 FACS를 이용하여 Huh7 및 SR-Huh7 세포에서의 CEACAM1 발현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3은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Huh7 및 SR-Huh7 세포에서의 CEACAM1 발현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4는 CEACAM1의 발현을 억제시킨 Huh7 세포에서 NK 세포의 세포독성증가 확인한 데이터이다. (A)는 shRNA를 활용하여 CEACAM1을 넉다운(Knockdown)하였을 때, CEACAM1 발현량을 확인한 데이터이며, (B)는 CEACAM1을 넉다운한 Huh7 세포 및 NK 세포를 공동배양하였을 때,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5는 Huh7 세포에 항 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6은 NK 세포를 Huh7 세포 또는 SR-Huh7 세포와 공동배양 하였을 때,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7은 SR-Huh7 세포와 항 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자연살해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은 CEACAM1 발현이 소라페닙에 반응을 보이는 일반 간암과 비교하여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간암은 바람직하게 간세포암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CEACAM1 발현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EACAM1 발현 억제제는 CEACAM1 유전자에 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siRNA, shRNA, 앱타머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연살해 세포는 바람직하게 항-CEACAM1 항체를 미리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CEACAM1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자연살해 세포의 투여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소라페닙 저항성을 보이는 간암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CEACAM1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b) 일반 간암 환자와 비교하여 CEACAM1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 대해 자연살해 세포 투여 효과 예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연살해 세포는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연살해 세포이외에 CEACAM1 발현 억제제를 추가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시료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또는 혈액일 수 있으며, DNA를 함유하는 특정 조직 또는 기관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인간간암세포주인 Huh7에 소라페닙을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세포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SR-Huh7"로 명명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라페닙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SR-Huh7 세포는 Huh7에 비해 소라페닙에 의한 세포사멸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SR-Huh7 세포가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이 일반적으로 암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는 CEACAM1와 연관성이 있는 확인한 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SR-Huh7 세포에서 인간 간암 세포주인 Huh7보다 CEACAM1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EACAM1의 발현은 자연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 이하 "NK 세포"로 표기함)의 저해 리간드(inhibition ligand)로, 타겟 세포에서 발현하여 자연살해 세포에 의한 세포 독성 효과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shRNA를 이용하여 Huh7 세포에서 CEACAM1을 넉다운(Knockdown) 시킨 결과, 대조군에 비해 CEACAM1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 NK 세포의 세포독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Huh7 세포 및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NK 세포의 세포독성이 증가하여 간암 세포인 Huh7 세포 사멸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즉, CEACAM1 발현이 감소될 경우, NK 세포에 의한 세포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CEACAM1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세포가 NK 세포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멸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일구현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Huh7, SR-Huh7 세포를 NK 세포와 공동배양하여 NK 세포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CEACAM1의 발현이 낮은 SR-Huh7세포는 NK 세포에 의한 사멸이 유리하게 적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SR-Huh7 세포에 CEACMA1 블로킹 항체를 투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NK 세포에 의한 세포 살상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NK 세포, 특히 항-CEACMA1 항체가 처리된 NK 세포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세포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CEACAM1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항종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나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0㎎/㎏/일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주 구축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Sorafenib) 저항성 세포주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먼저, 간암세포주인 Huh-7세포를 소라페닙을 혼합한 DMEM(Dulbes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로 배양하였다. 소라페닙의 농도를 0.25uM씩 올려 최종적으로 6uM의 농도에 저항성을 가지는 Huh7세포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SR-Huh7"로 명명하였다.
상기 SR-Huh7 세포가 실제로 소라페닙에 저항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Huh7 세포 및 SR-Huh7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에 배양한 다음, 소라페닙을 각 세포주에 0, 1.25, 2.5, 5, 7.5, 10, 15, 20uM 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라페닙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SR-Huh7 세포는 Huh7에 비해 소라페닙에 의한 세포사멸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SR-Huh7 세포가 소라페닙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에서 CEACAM1 발현 정도 확인
2-1 : NK 세포와 결합 가능한 리간드의 발현 변화 확인
본 발명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에서 NK 세포와 결합 가능한 리간드의 발현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NK(Natural Killer)세포와 암세포가 결합할 때, NK 세포를 활성을 촉진 또는 저해 시킬 수 있는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는 리간드(ligands)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잘 알려진 리간드들(MHC-1, ICAM1, CEACAM1, ULBP-1, ULBP-2, ULBP-3, TRAIL-R1, HLA-G, MIC A/B)을 형광염색 하여 FACS기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SR-Huh7 세포에서 NK 세포의 활동을 억제시키는 CEACAM1 리간드의 발현이 Huh7세포에서 보다 적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 웨스턴 블랏을 통한 CEACAM1 발현 정도 확인
CEACAM1 단백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SR-Huh7 세포 및 Huh7 세포 각각에 RIPA 버퍼를 200 ㎕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그 다음, 단백질을 분리하여 웨스턴 블랏을 통해 각 세포에서 CEACAM1 단백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FACS를 통해 획득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CEACAM1의 발현이 Huh7세포에 비해 SR-Huh7세포에서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CEACAM1 발현 억제에 따른 NK 세포 활성 증가 확인
3-1 : CEACAM1의 발현을 넉다운(Knockdown)시킨 Huh7 세포주 제작
CEACAM1의 발현 여부와 NK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hCEACAM1(SIGMA-ALDRICH, Lentiviral Transduction Particles, Clone ID:NM_001712.3-2050s21c1; 서열번호 1 : CCG GCT ATC ACT CTA ATT CGG ATT TCT CGA GAA ATC CGA ATT AGA GTG ATA GTT TTT G)을 Huh-7세포에 처리하여 CEACAM1의 발현이 넉다운(Knockdown)된 세포주(stable cell line)을 획득하였다.
3-2 : CEACAM1 발현 억제에 따른 NK 세포의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작한 CEACAM1 넉다운 Huh7 세포에 NK 세포(건강한 사람에서 채혈 후 MACS(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를 활용하여 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Huh7 세포가 1 x 105 세포/웰이 되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NK 세포가 Huh7와 각각 1(1 x 105 세포/웰):1 또는 5(5 x 105 세포/웰):1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공동배양하였다.
배양시 각 웰에는 RPMI1640 배지를 2 ㎖씩 첨가하였으며, 6시간 동안 공동배양을하며 NK 세포의 활성을 돕기위해 IL-12를 10 ng/㎖를 함께 첨가하였다. 6시간 이후에 트립신-EDTA를 활용하여 플레이트에서 Huh7세포를 회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세포에 1 ㎖의 1X PBS 첨가하여 세포를 재현탁시킨 다음, FACS 튜브로 세포를 옮겼다. 3 ㎖의 1X PBS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킨 후, 침전된 세포에 200 ㎕의 1X PBS를 첨가하여 세포를 재현탁 시켰다. 세포가 포함된 튜브에 사멸된 세포를 염색하는 시약(To-pro-3 iodide)을 1 ㎕ 첨가한 다음, FACS 기기를 사용하여 NK 세포에 의한 Huh7 세포사멸을 측정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shRNA를 이용하여 Huh7 세포에서 CEACAM1을 넉다운(Knockdown) 시킨 결과, 대조군에 비해 CEACAM1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 NK 세포의 세포독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CEACAM1의 발현이 감소되면 NK 세포에 의한 간암줄기세포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CEACAM1 항체를 이용한 NK 세포의 세포독성증가 확인
본 발명에서는 NK 세포에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하였을 때 NK 세포에 의한 간암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 IgG를 처리하였다.
먼저, 건강한 사람에게서 얻은 혈액에서 MACS(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를 활용하여 분리한 NK 세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항-pan CEACAM1 항체(abcam, Cat.ab4567)를 20 ㎍/㎖ 첨가하고, 나머지 한쪽은 대조군으로써 항-IgG(Santacruz, sc-3877)를 20 ㎍/㎖ 첨가한 다음, 30분 동안 37℃, 5% CO2 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1X PBS를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으며, 3번 반복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Huh7 세포는 1 x 105 세포/웰이 되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NK 세포에 의한 Huh7세포 세포사멸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Huh7 세포 및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을 때 NK 세포의 세포독성이 증가하여 Huh7 세포 사멸율이 높진 것을 확인하였다.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에서 NK 세포에 의한 세포독성 확인
5-1 : SR-Huh7 세포 및 NK 세포 공동배양에 따른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CEACAM1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세포가 NK 세포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멸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SR-Huh7 세포 및 Huh7 세포 각각에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3-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CEACAM1의 발현이 낮은 SR-Huh7세포가 Huh7세포에 비해 NK 세포에 의한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5-2 : SR-Huh7 세포 및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 공동배양에 따른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CEACAM1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세포에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투여하였을 때, NK 세포에 의한 간암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SR-Huh7 세포 및 Huh7 세포 각각에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를 공동배양 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라페닙 저항성을 보이는 SR-Huh7에서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NK 세포에 의한 세포 독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110>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s for treating sorafenib-resistant liver cancer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reating sorafenib-resistant liver cancer <130> 106601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8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CEACAM1 <400> 1 ccggctatca ctctaattcg gatttctcga gaaatccgaa ttagagtgat agtttttg 58

Claims (6)

  1.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은 CEACAM1 발현이 일반 간암과 비교하여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소라페닙 저항성을 보이는 간암 환자의 간암 조직 및 혈액 시료로부터 CEACAM1 단백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일반 간암 환자와 비교하여 간암 조직 혹은 혈액에서 CEACAM1 단백의 발현이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 대해 항-CEACAM1 항체를 처리한 자연살해 세포를 치료 목적으로 투여 시 효과 예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EACAM1 발현이 일반 간암과 비교하여 감소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삭제
KR1020190112645A 2019-09-11 2019-09-11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27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45A KR102277435B1 (ko) 2019-09-11 2019-09-11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45A KR102277435B1 (ko) 2019-09-11 2019-09-11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10A KR20210031110A (ko) 2021-03-19
KR102277435B1 true KR102277435B1 (ko) 2021-07-13

Family

ID=7526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45A KR102277435B1 (ko) 2019-09-11 2019-09-11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435B1 (ko)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ACR-AHNS Head and Neck Cancer Conference, Vol. 23, No. 23, Abstract 33 (2017.12.)*
ANTICANCER RESEARCH, Vol. 37, pp. 1169-1176 (2017)
Cancer Cell Int, Vol. 18, No. 133, pp. 1-12 (2018)
Cancer Immunol Res, Vol. 4, No. 7, pp. 574-581(2016)
PLOS ONE, Vol. 8, No. 2, p. 1-11 (2013.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10A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9968B (zh) 作为癌症疗法的芳烃受体(AhR)调节剂
CN107106580B (zh) 治疗癌症干细胞的组合物
KR101841339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펩티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7531768A (zh) 抗衰老化合物及其用途
CN114761012A (zh) 组合疗法
KR20220042087A (ko) 엠토르 신호전달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2386596B (zh) 一种抗肿瘤联合用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1358952B (zh) 一种抗肿瘤药物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CN112022871A (zh) 金诺芬在制备用于治疗去势抵抗性前列腺癌药物中的应用
CN114870009A (zh) 一种抗肿瘤联合组合物及其应用和抗肿瘤药物
Avramis et al.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s of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NSC 680410 against human leukemia and glioblastoma cell lines
CN111343984A (zh) 包含链黑菌素及雷帕霉素作为有效成分的癌症预防或治疗用药学组合物
KR102277435B1 (ko)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소라페닙 내성 간암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WO2015130081A1 (ko) Stat3 저해활성을 갖는 토목향 헥산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9071661A (zh) 通过膜受体连接的抗病毒免疫疗法
CN109833321A (zh) 一种逆转肝癌细胞对sorafenib耐药性的药物组合物
KR20210107548A (ko) 엠토르 신호전달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4010789A (zh) 蟾蜍甾烯类化合物在制备治疗egfr和/或stat3驱动疾病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KR20230029360A (ko) C19를 포함하는 암 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8472296A (zh) Akt2在诊断和治疗肿瘤中的用途
CN113893351A (zh) 组合物及其在制备治疗癌症的药物中的应用
JP7336777B2 (ja) 没食子酸エピガロカテキンと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との併用の、癌治療薬の製造への用途
KR101821498B1 (ko) 브루소찰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LU505195B1 (en) Use of Carvedilol in the Preparation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Leukaemia
CN113952343A (zh) 隐丹参酮在抑制stat5蛋白磷酸化方面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