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44B1 -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44B1
KR102277244B1 KR1020190108858A KR20190108858A KR102277244B1 KR 102277244 B1 KR102277244 B1 KR 102277244B1 KR 1020190108858 A KR1020190108858 A KR 1020190108858A KR 20190108858 A KR20190108858 A KR 20190108858A KR 102277244 B1 KR102277244 B1 KR 10227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role
carbon quantum
polypyrrole
quantum dot
bio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855A (ko
Inventor
정윤경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2Small organic 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5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 A61K49/0067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quantum dots, fluorescent nano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61K49/0091Microparticle, microcapsule, microbubble, microsphere, micr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higher or equal to 1 micrometer
    • A61K49/0093Nanoparticle, nanocapsule, nanobubble, nanosphere, nan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smaller than 1 micrometer, e.g. polymeric nanopart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는 세포 영상화와 광열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체내 투과 및 유지(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효과가 뛰어나, 세포 내에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면서도 형광을 방출할 수 있어 종양과 같은 질병의 진단이 가능하고,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열 변환 효과로 인해 종양 세포와 같은 유해한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카르복시기로 기능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와 아민기가 풍부한 탄소양자점을 EDC/NHS 결합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손쉽게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CARBON QUANTUM DOTS-POLYPYRROLE NANO COMPOSITE FOR BIOIMAGING AND PHOTOTHERMAL THERAPEUTIC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기술은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나노 소재를 이용해 정상 조직의 손상 없이 암세포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런 치료방법에 이용하기 위하여, 기존 조영제나 항암제에 비하여 우수한 효능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나노소재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광열치료 방법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치료방법으로 국소적인 가열을 통해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적인 세포를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광열치료에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나노 의약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에 개발된 나노 의약품은 종양에 균일하게 전달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7313호는 광열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폴리피롤 등을 이용한 고분자 나노입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분자 나노입자는 단순히 폴리피롤을 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폴리피롤 나노입자가 자체적으로 특별한 신호를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별도로 종양을 진단해야 하고, 광열치료를 수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기술의 하나의 목적은 탄소양자점이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술은 탄소양자점이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은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은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영상화용 조성물을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은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버퍼용액에 분산하는 단계,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아미드) [1-ethyl-3-(3- dimethyl-aminopropyl) carbodimide, EDC]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는 세포 영상화와 광열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체내 투과 및 유지(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효과가 뛰어나, 세포 내에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면서도 형광을 방출할 수 있어 종양과 같은 질병의 진단이 가능하고,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열 변환 효과로 인해 종양 세포와 같은 유해한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카르복시기로 기능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와 아민기가 풍부한 탄소양자점을 EDC/NHS 결합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손쉽게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기술의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농도에 따른 808 nm 레이저 (1 W cm-2) 조사 시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0.5 mg/mL)에 레이저를 간헐적으로 조사 시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광열 변환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처리한 HeLa cell의 공초점 형광 이미지이다.
본 기술에 있어서,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은 표면 작용기 그룹이 아민기(NR2)로 기능화 되어있는 탄소양자점을 의미~인 탄소양자점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혹은 분지된 1개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기술에 있어서,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표면 작용기 그룹이 카르복실기(COOH)로 기능화 되어있는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의미한다.
본 기술은 하나의 양태로 탄소양자점이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롤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피롤(pyrrole), 1H-피롤-1-프로피온산(1H-pyrrole-1- propionic acid), 1-2(-시아노에틸)피롤(1-(2-Cyanoethyl)pyrrole), 1-(디메틸아미노)피롤(1-(Dimethylamino)pyrrole) 및 메틸 1H-피롤-3-카복실레이트(Methyl 1H-pyrrole-3-carbox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중합된 것일 수 있다.
본 기술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본 기술의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의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비히클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이온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캄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양모지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기술의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기술에 따른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injection) 현탁액은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이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기술에 따른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를 들면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멸균 주사용 제제는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비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비휘발성 오일은 그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a)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버퍼용액에 분산하는 단계, (b)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아미드) [1-ethyl-3-(3- dimethyl-aminopropyl) carbodimide, EDC]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d)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는 세포 영상화와 광열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체내 투과 및 유지(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효과가 뛰어나, 세포 내에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면서도 형광을 방출할 수 있어 종양과 같은 질병의 진단이 가능하고,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열 변환 효과로 인해 종양 세포와 같은 유해한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생체 영상화 또는 광열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기술의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카르복시기로 기능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와 아민기가 풍부한 탄소양자점을 EDC/NHS 결합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손쉽게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기술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기술의 요지에 따라 본 기술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1-1. 탄소양자점의 제조
탄소양자점을 나노 복합체를 전기로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뉴트럴 레드 12mg 및 요소 60mg을 탈이온수 10ml에 용해시켰다. 그 후, 제조된 용액을 테플론-라인드 스텐레스(Teflon-lined stainless) 오토클레이브에 밀봉하고 22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시린지 필터(0.2㎛)로 큰 입자를 제거하고, 실리카 겔 칼럼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을 얻었다.
실시예 1-2.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제조
1 g 폴리비닐피롤리돈 (MW : 40,000)을 25 mL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91 μL 피롤과 78.22 mg 1H-피롤-1-프로피오닉 산 (1H-pyrrole-1-propionic acid)을 용액에 넣고 10분간 교반한 다음, 1 mL 염화제2철 6수화물(iron (III) chloride hexahydrate) (0.4 g mL-1)를 넣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흑색 용액을 시린지 필터 (0.2 μm)와 분자량 한계 (molecular weight cutoff, MWCO)가 2,000 달톤인 투석 카세트를 이용해 큰 입자와 반응되지 않은 분자를 제거하고,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 따라 제조된 탄소양자점과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는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과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EDC/NHS 커플링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도 1에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입자(1 mg mL-1)를 10 mL PBS 버퍼에 분산시킨 후,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아미드) [1-ethyl-3-(3- dimethyl-aminopropyl) carbodimide, EDC] 4 mg과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 6 mg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탄소양자점(2 mg mL-1)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 mg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투석 카세트를 이용해 과량의 시약과 부산물들을 제거하여 탄소양자점 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광열 변환 효율 측정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광열 변환 효율을 계산하기 위해 수용액 상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석영 셀에 1 mL 탄소양자점 복합체 (0.1 ~ 1.0 mg mL-1)를 넣어 808 nm 파장의 레이저 (1 W cm-2)를 10분간 조사하고 자연 냉각시켰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1 mg mL-1 농도에서 약 24.2℃, 1.0 mg mL-1 농도에서 약 30.9℃의 온도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0.5 mg mL-1)에 5회의 레이저를 간헐적으로 조사한 결과 레이저의 on/off 동안 약26.7℃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광열 변환 효율이 42.4%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가 광열치료용도로 이용되어 종양 세포를 충분히 사멸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생체 영상화 성능 확인
공초점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본 기술에 따른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의 생체 영상화 성능을 확인하였다. HeLa 세포를 100,000 개/mL 로 공초점 디쉬 (confocal dish)에 분주하여 부착 될 때까지 1 일 동안 배양을 시켰다. 그 후 배양된 세포주에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Biosesang, Sungnam, Korea) 1 mL를 분주하여 2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0.2 mg/mL)를 포함한 배양용 배지를 2 mL씩 분주한 후 1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다시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 1 mL를 분주하여 2번 세척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형광이미지는 공초첨 레이저 조사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LSM 800,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의 투과광도와 조사속도, 밝기, 명암대비를 고정시키고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가 함유된 세포이미지를 관찰하였다. 여기 (exitation) 파장을 405 nm, 488 nm, 561 nm 파장대의 레이저의 빛을 주입시키고 세포 내에서 발광하는 방출파장의 빛을 400 - 500 nm, 500 - 580 nm 및 580 - 700 nm 필터를 각각 사용하여 형광을 흡수해 내어 세포 내에서의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에서 강한 빛을 내는 이미지를 검출하였다. 또한 같은 위치에서 명시야 이미지와 모든 이미지를 합친 이미지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eLa 세포 내에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에 의한 형광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탄소양자점이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 또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와 광열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양자점은 표면에 -N(R)2 기 (아민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 또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와 광열치료용 조성물:
    상기에서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혹은 분지된 1개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표면에 카르복실기(COOH)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 또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와 광열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피롤(pyrrole), 1H-피롤-1-프로피온산(1H-pyrrole-1- propionic acid), 1-2(-시아노에틸)피롤(1-(2-Cyanoethyl)pyrrole), 1-(디메틸아미노)피롤(1-(Dimethylamino)pyrrole) 및 메틸 1H-피롤-3-카복실레이트(Methyl 1H-pyrrole-3-carbox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 또는 형광에 의한 생체 영상화와 광열치료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카르복실화된 폴리피롤 나노입자를 버퍼용액에 분산하는 단계;
    (b)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아미드) [1-ethyl-3-(3- dimethyl-aminopropyl) carbodimide, EDC]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아민 종결된 탄소양자점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d) 하이드록실아민 (Hydroxylamine)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는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양자점은 표면에 -N(R)2 기 (아민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혹은 분지된 1개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표면에 카르복실기(COOH)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피롤 나노입자는 피롤(pyrrole), 1H-피롤-1-프로피온산(1H-pyrrole-1-propionic acid), 1-2(-시아노에틸)피롤(1-(2-Cyanoethyl)pyrrole), 1-(디메틸아미노)피롤(1-(Dimethylamino)pyrrole) 및 메틸 1H-피롤-3-카복실레이트(Methyl 1H-pyrrole-3-carbox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08858A 2019-09-03 2019-09-03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58A KR102277244B1 (ko) 2019-09-03 2019-09-03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58A KR102277244B1 (ko) 2019-09-03 2019-09-03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55A KR20210027855A (ko) 2021-03-11
KR102277244B1 true KR102277244B1 (ko) 2021-07-13

Family

ID=7514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58A KR102277244B1 (ko) 2019-09-03 2019-09-03 생체 영상화 및 광열치료용 탄소양자점-폴리피롤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313B1 (ko) 2011-03-22 2013-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암세포의 광열치료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940054A1 (it) * 1994-03-23 1995-09-2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olisaccaridi solfatati
KR101288460B1 (ko) * 2009-06-26 2013-07-26 주식회사 진코스 양자점-클로린 유도체의 접합체를 함유하는 광감작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암 치료 및 진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313B1 (ko) 2011-03-22 2013-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암세포의 광열치료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초록집(2019.04), pp.469.*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2018. Vol.6, pp.127-134.*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5. Vol.25, pp.1451-14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55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Magnetic and fluorescent carbon nanotubes for dual modal imaging and photothermal and chemo-therapy of cancer cells in living mice
Zhou et al. Upconversion nanophosphors for small-animal imaging
Cheng et al. Polydopamine-coated manganese carbonate nanoparticles for amplified magnetic resonance imaging-guided photothermal therapy
Su et al. Cetuximab-conjugated iodine doped carbon dots as a dual fluorescent/CT probe for targeted imaging of lung cancer cells
Chen et al. Fabrication of fluorescent nanoparticles based on AIE luminogens (AIE dots) and their applications in bioimaging
Shen et al. Lanthanide-doped upconverting luminescent nanoparticle platforms for optical imaging-guided drug delivery and therapy
Che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fluorescent nanostructures for bioimaging
Kempen et al. Theranostic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biodegrade after pro-survival drug delivery and ultrasound/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stem cells
Shan et al. Upconverting organic dye doped core-shell nano-composites for dual-modality NIR imaging and photo-thermal therapy
WO2018095017A1 (zh) 一种靶向光热黑磷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en et al. CMCTS stabilized Fe 3 O 4 particles with extremely low toxicity as highly efficient near-infrared photothermal agents for in vivo tumor ablation
Hemmer et al. Upconverting and NIR emitting rare earth based nanostructures for NIR-bioimaging
Zhao et al. Multifunctional core–shell upconverting nanoparticles for 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of liver cancer cells
Chen et al. Core–shell hybrid upconversion nanoparticles carrying stable nitroxide radicals as potential multifunctional nanoprobes for upconversion luminescence and magnetic resonance dual-modality imaging
Hemmer et al. In vitro and in vivo investigations of upconversion and NIR emitting Gd 2 O 3: Er 3+, Yb 3+ nanostructur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Fahmi et al. Phenylboronic acid-modified magnetic nanoparticles as a platform for carbon dot conjugation and doxorubicin delivery
Yukawa et al. In vivo imaging technology of transplanted stem cells using quantum dots for regenerative medicine
CN104592993A (zh) 一种碳量子点的制备方法及其应用
Rehor et al. Phosphonate–titanium dioxide assemblies: platform for multimodal diagnostic–therapeutic nanoprobes
US20140147391A1 (en) BIOPROBE BASED ON SINGLE-PHASE UPCONVERSION NANOPARTICLES (UCNPs) FOR MULTI-MODAL BIOIMAGING
Yao et al. Facile peptides functionalization of lanthanide-based nanocrystals through phosphorylation tethering for efficient in vivo NIR-to-NIR bioimaging
KR20180070558A (ko) 의학적 또는 미용적 용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페리자성 또는 강자성 산화철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입자
WO2015034918A1 (en) Core-satellite nanocomposites for mri and photothermal therapy
CN111529720A (zh) 一种诊疗一体化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Mao et al. Amplification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in semiconducting polymer nanoprobe for grasping the behaviors of systemically administered endothelial cells in ischemia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