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91B1 -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91B1
KR102277091B1 KR1020190159618A KR20190159618A KR102277091B1 KR 102277091 B1 KR102277091 B1 KR 102277091B1 KR 1020190159618 A KR1020190159618 A KR 1020190159618A KR 20190159618 A KR20190159618 A KR 20190159618A KR 102277091 B1 KR102277091 B1 KR 102277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transmission tower
fiber composite
composite overhead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425A (ko
Inventor
김현식
김민호
주우진
임영섭
김재훈
조삼규
Original Assignee
(주)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트론 filed Critical (주)매트론
Priority to KR102019015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4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magnetically coupl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1F2038/143Inductive couplings f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송전탑 주변을 감시하도록 하는 송전탑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송전탑에 설치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다수의 비접촉커플러를 설치한다. 원격지의 송전탑에 검출부를 설치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출한다. 통신모뎀에서 검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생성하여 비접촉커플러로 전달하고 비접촉커플러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으로 주파수신호를 전달한다. 이로써 복수의 송전탑 간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주파수신호가 전달되어 원격지의 관리서버에서 수신하도록 한다. 관리서버는 해당 정보를 분석하여 원격지의 송전탑의 감시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using OPGW}
본 발명은 송전탑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탑 간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송전탑 감시를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송전탑 주변을 감시하도록 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송전탑은 고압의 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세워진 철탑을 말한다. 고전압의 직류와 교류 방식을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154kV, 345kV, 765kV 등의 고전압이 많이 사용된다.
송전탑에는 벼락으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가공지선이 가설된다. 이러한 가공지선은 전력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벼락전류는 가공지선에서 송전탑을 거쳐 땅으로 유도된다.
최근에 가공지선을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OPGW: Optical Power Ground Wire)으로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가공지선은 단지 벼락을 땅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지만,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은 벼락으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가공지선에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 다중신호의 전송까지 첨가한 케이블이다.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은 외부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기계적 충격에서 보호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의 재질 등으로 보호되고, 광섬유는 높은 열 저항 성질을 견디기 위해 열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코팅된다.
송전탑은 야외에 설치되므로 노후 진행이 빠르고 바람, 태풍, 낙뢰 등 악천후로 인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노후나 손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10-2007-0099246에는 송전탑에 설치되어 부근지역의 기상 및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긴급한 통지가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문헌에서는 기상 상황이나 환경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송전탑이나 송전선을 직접 감시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송전탑의 감시를 위해 드론을 활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악천후에서는 드론을 띄우기가 어렵고 필요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드론을 띄워서 송전탑을 감시하는 것이므로 송전탑을 상시적으로 실시간 감시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산악지역에 설치된 송전탑의 경우 송전선의 착빙에 의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착빙 감시를 위한 장치를 구축해야 하는데 산악지역 특성상 감시장치의 설치 및 이를 위한 통신망을 구축이 어렵다.
특히, 산악지역은 유선통신망 구축이 곤란하고 무선통신망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보안이 취약하며 통신장애 유발 요인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송전탑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를 위해 새로운 방식의 통신망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7-0099246
본 발명은 송전탑 간에 설치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OPGW)에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비접촉식 커플러를 통해 감지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탑의 감시를 위해 새로운 통신선로의 구축 없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OPGW)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기술을 통해 송전탑 주변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선 통신 방식에 비해 시공과 유지보수가 유리하고 무선통신에 비해 신뢰성이 높고 통신의 효율성, 유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송전탑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은, 송전선과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이 서로 연결된 n개의 송전탑 중 제1송전탑에 설치되어 제1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제1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특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1통신모뎀; 상기 제1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통신모뎀에서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으로 전달하는 제1비접촉커플러;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각각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각각 수집하여 상호 간에 전달하는 2(n-2)개의 비접촉커플러; 제n송전탑에 설치되어 제2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 상기 제n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집하여 출 력하는 제2비접촉커플러; 상기 제n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제2비접촉커플러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에 대응하는 제1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통신모뎀; 상기 제1특성정보 및 제2특성정보를 원격지로 중계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를 통해 중계되는 제1,2특성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감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검출부는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발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검출부는 상기 송전탑 및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대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피복탈락을 촬영할 수 있고,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접촉커플러는, 다수 개가 적층된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된 코일; 상기 코일 양단에 연결된 2개의 접속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통신모뎀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2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서의 통신상태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각각 비접촉식으로 결합된 두 비접촉커플러 간에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두 비접촉커플러 간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파수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은 상시적으로 송전탑 주변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탑에 감시장치를 직접 설치하고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감시정보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상태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악천후에서도 송전탑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통신선로의 구축 없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하므로 추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선 통신 방식에 비해 시공과 유지보수가 유리하고 무선통신에 비해 신뢰성이 높고 통신의 효율성, 유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커플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커플러의 복수의 코어 및 코어에 코일을 권선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개의 송전탑(1) 간에는 복수의 송전선(10) 및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OPGW)(20)이 설치될 수 있다. 송전선(10)은 단상 또는 삼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송전탑(1)에 설치되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삭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20)은 벼락으로부터 송전탑(1) 및 송전탑(1)에 연결된 각종 장치 및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광섬유 코어가 배치되며 광섬유 코어를 통한 광통신의 역할도 수행한다.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20)에는 비접촉커플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 감시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송전선(10)과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20)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송전탑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n개의 송전탑을 예시로 설정하기로 한다.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제1검출부(120a)를 포함한다. 제1검출부(120a)는 n개의 송전탑 중 제1송전탑에 설치되어 제1특성정보를 검출한다.
특성정보는 송전탑(1), 송전선(10) 및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이하, OPGW라 한다)(20)에서의 물리적 특성값 또는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발열, 영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제1통신모뎀(131)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뎀(131)은 제1송전탑에 설치되며 제1검출부(120a)에서 검출된 제1특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는 제1통신모뎀(131)에서 제1특성정보를 OPGW(2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제1비접촉커플러(110-1)를 포함한다. 제1비접촉커플러(110-1)는 OPGW(20)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된다. 제1비접촉커플러(110-1)는 제1송전탑에 연결된 OPGW(20)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제1통신모뎀(131)에서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OPGW(20)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n개의 송전탑 중에서 첫번 째 송전탑인 제1송전탑과 마지막 송전탑인 제n송전탑 사이에 설치된 송전탑, 즉 제2 내지 제n-1 송전탑에는 좌우로 각각 2개씩 비접촉커플러(110-2)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송전탑과 제n송전탑 사이에 배치된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의 경우 각 송전탑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OPGW(20)에 비접촉커플러(110-2)가 각각 결합되며, 이들 2개씩의 비접촉커플러(110-2)는 OPGW(20)를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각각 수집하여 상호 간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는 제1송전탑의 제1비접촉커플러(110-1)와 후술하는 제n송전탑의 제n비접촉커플러(110-n) 간에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1비접촉커플러(110-1)에서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바로 이웃한 제2송전탑의 비접촉커플러(110-2)에서 수신하여 다음 이웃한 제3송전탑의 비접촉커플러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3송전탑의 비접촉커플러는 다시 제4송전탑의 비접촉커플러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의 비접촉커플러(110-2)를 통해 주파수신호가 계속 전달되어 마지막인 제n송전탑의 제n비접촉식커플러(110-n)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의 OPGW(2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비접촉커플러(110-2) 간에는 동축케이블(17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170)을 통해 주파수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의 경우 각 송전탑과 OPGW(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 연결된 지점에서는 주파수신호가 온전하게 OPGW(20)를 통해 전달될 수 없다. 즉, 그 지점에서는 주파수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두 개의 비접촉커플러(110-2) 간에는 OPGW(20)를 통해 주파수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주파수신호의 손실을 막기 위해 OPGW(20)를 통해 주파수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두 비접촉커플러(110-2) 간에 직접 연결된 동축케이블(170)을 통해 주파수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제2검출부(120b)를 포함한다. 제2검출부(120b)는 n개의 송전탑 중 마지막인 제n송전탑에 설치되어 제2특성정보를 검출한다. 제2특성정보는 제1특성정보와 동일하며, 송전탑(1), 송전선(10) 및 OPGW(20)에서의 물리적 특성값 또는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발열, 영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1,2검출부(120a,120b)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2검출부(120a,120b)는 각각 풍향을 검출하는 풍향센서(212),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센서(213), OPGW(20) 및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14), 주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215), 송전탑(1), 송전선(10) 및 OPGW(20)에서의 발열을 검출하는 발열센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센서(216)는 열 발생에 반응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제1,2검출부(120a,120b)가 각각 제1송전탑 및 제n송전탑의 OPGW(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2검출부(120a,120b)가 제2 내지 제n-1 송전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전탑의 OPGW(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2검출부(120a,120b)이 설치되는 송전탑에 통신모뎀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신모뎀은 해당 송전탑의 OPGW(20)에 설치된 비접촉커플러로 주파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2검출부(120a,120b)는 송전탑(1), 송전선(10) 및 OPGW(20) 및 그 주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카메라(217)는 CCTV를 포함하여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실시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17)는 OPGW(20)의 피복탈락을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217)는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송전탑 감시시스템은 제n송전탑의 OPGW(20)에 설치된 제2비접촉커플(120-n)를 포함한다. 제2비접촉커플(120-n)는 제n송전탑에 연결된 OPGW(20)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OPGW(20)를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집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2비접촉커플러(110-1,110-n) 및 제2 내지 제n-1 송접탑의 OPGW(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비접촉커플러는 모두 원통형상으로 구현되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에 OPGW(20)가 중공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비접촉커플러가 OPGW(2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들 비접촉커플러는 내부에 코일이 코어에 권선되어 있어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주파수신호를 OPGW(20)에 전달할 수 있고, 또한 OPGW(20)를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커플링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송전탑 감시스템은 제2통신모뎀(132)을 포함한다. 제2통신모뎀(132)은 제n송전탑에 설치되며 제2비접촉커플러(110-n)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에 대응하는 제1특성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2검출부(120b)로부터 제2특성정보도 수신한다.
이로써, 제1검출부(120a)에서 검출된 제1특성정보가 제1통신모뎀(131)에 의해 주파수신호로 변환된 후 복수의 비접촉커플러를 통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제2통신모뎀(132)로 전달되는 것이다.
송전탑 감시스템은 중계부(1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2통신모뎀(132)은 제1,2검출부(120a,120b)로부터 수신되 제1,2특성정보를 중계부(140)로 전달한다
중계부(140)는 제1,2특성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의 관리서버(1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계부(140)는 허브장치 또는 게이트웨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서버(150)는 중계부(140)를 통해 중계되는 제1,2특성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관리서버(150)는 중계부(140)를 통해 수신된 제1,2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분석하여 OPWG(20)에서의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OPGW(20)에서의 통신상태에 따라 비접촉커플러(11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150)는 수신된 제1,2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주파수신호를 추출 및 분석함으로써 OPGW(20)을 통한 통신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관리서버(150)는 이러한 분석을 위한 분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특히, 관리서버(150)는 정상적인 통신상태와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통신상태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미리 저장하고, 비접촉커플러(110)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신호에 대응하는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감시시스템에서는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 범위 내에 있는 복수(n개)의 송전탑에 감지부를 설치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특성정보를 통신모뎀에서 주파수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통신모뎀에서 주파수신호를 OPGW에 설치된 복수의 비접촉커플러를 통해 전달하여 OPGW를 통해 주파수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통신모뎀에서 특성정보가 수신되면 중계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한다.
이로써, 원격지의 관리서버에서 각 송전탑의 특성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커플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접촉커플러(110)는 제1하우징(111) 및 제2하우징(112)로 구성된다. 도 3의 (a)와 같이 제1,2하우징(111,112)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며, 둘은 서로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비접촉커플러(110)을 OPGW(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서로 결합시킨다. 도 3의 (b)와 같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113)가 형성되도록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를 결합하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113)에 OPGW(20)를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커플러의 복수의 코어 및 코어에 코일을 권선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2하우징(111,112)의 내부에는 각각 제1,2하우징(111,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원통 형상의 코어(114)가 삽입 및 적층되어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코어(114)은 제1,2하우징(111,11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며, 제1,2하우징(111,112)에 서로 동일한 모양과 개수의 코어(114)가 각각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와 같이 제1,2하우징(111,112)이 서로 결합되면 제1하우징(111)의 코어(114)의 끝단부와 제2하우징(112)의 코어(114)의 끝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접촉하여 전체적으로 코어(114)가 원통형상이 된다.
코어(114)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115)이 권선된다. 도면에는 일례로 1개의 코일(115)이 권선된 예를 도시한다. 특히,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이 서로 결합하여 원통형상이 되면 각 하우징(111,112)의 내부에 적층된 코어(114)도 원통형상이 되며, 원통형상의 코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14)이 권선되는 것이다.
중계부(140)와 관리서버(150) 간에는 유선통신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신탑(1)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효율적인 통신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의 감시 시스템에서는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비접촉식으로 비접촉커플러를 연결하고 비접촉커플러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을 충전한 후,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검출부와 카메라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검출부와 카메라부를 상시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 송전탑과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송전탑 10 : 송전선
20 :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OPGW)
110 : 비접촉커플러 111 : 제1하우징
112 : 제2하우징 113 : 중공부
114 : 코어 115 : 코일
120 : 검출부 131 : 제1통신모뎀
132 : 제2통신모뎀 140 : 중계부
150 : 관리서버 160 : 표시부

Claims (9)

  1. 송전선과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이 서로 연결된 n개의 송전탑 중 제1송전탑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대한 제1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제1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특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1통신모뎀;
    상기 제1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통신모뎀에서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으로 전달하는 제1비접촉커플러;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각각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각각 수집하여 상호 간에 전달하는 2(n-2)개의 비접촉커플러;
    제n송전탑에 설치되어 상기 제n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대한 제2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
    상기 제n송전탑에 연결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일측에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제2비접촉커플러;
    상기 제n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제2비접촉커플러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에 대응하는 제1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통신모뎀;
    상기 제1특성정보 및 제2특성정보를 원격지로 중계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를 통해 중계되는 제1,2특성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감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은 내부에 광섬유 코어가 배치되며 상기 광섬유 코어를 통한 광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내지 제n-1 송전탑의 상기 좌측 및 우측의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은 상기 각 송전탑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의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비접촉커플러 간에는 동축케이블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두 개의 비접촉커플러 간에 주파수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1,2특성정보는 각각 상기 제1,2송전탑에 연결된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의 피복탈락 정보이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서의 정상적인 통신상태와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통신상태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각각 미리 저장하고, 상기 주파수신호에 따라 통신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상기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1,2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서의 광통신에 대한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검출부는 상기 송전탑 및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에 대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커플러는,
    다수 개가 적층된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된 코일;
    상기 코일 양단에 연결된 2개의 접속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통신모뎀이 연결되는 송전탑 감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59618A 2019-12-04 2019-12-04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KR102277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18A KR102277091B1 (ko) 2019-12-04 2019-12-04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18A KR102277091B1 (ko) 2019-12-04 2019-12-04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25A KR20210070425A (ko) 2021-06-15
KR102277091B1 true KR102277091B1 (ko) 2021-07-16

Family

ID=7641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618A KR102277091B1 (ko) 2019-12-04 2019-12-04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42B1 (ko) * 2021-11-17 2023-05-09 한국전력공사 분포형 음향 센싱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295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제니스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송전철탑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01B1 (ko) 2006-04-04 2008-06-12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송전탑을 이용한 기상 및 환경 감시 시스템
KR20080099565A (ko) * 2007-05-10 2008-11-13 (주)매트론 중성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 방법
KR20150030837A (ko) * 2013-09-12 2015-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감시 시스템
KR101796270B1 (ko) * 2016-03-04 2017-11-10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옥외용 비접촉식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42B1 (ko) * 2021-11-17 2023-05-09 한국전력공사 분포형 음향 센싱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25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31019A (ja) 送電設備の点検システム
KR102277091B1 (ko)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Khawaja et al. Monitoring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a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contactless technologies
KR102344195B1 (ko) 전력선 촬영 방법
US201201880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cable system of a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1614602A (zh) 输电线路监测方法及装置
CN102147290A (zh) 红外成像温度监测方法和系统
CN101949986A (zh) 一种光纤光栅复合绝缘子的在线监测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285825B1 (ko) 광전력전송장치를 이용한 송전 철탑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광전력전송장치를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11238573A (zh) 一种光纤型多参数电缆终端检测系统
KR102522703B1 (ko) 점퍼 케이블을 매개로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신 선로 및 전력원으로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KR102380224B1 (ko)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을 통신 선로 및 전력원으로 이용한 송전탑 감시 시스템
CN103247122A (zh) 一缆式光缆振动探测报警系统
CN106501672A (zh) 一种电力检修用高压电缆外皮破损检测系统
CN213213470U (zh) 通信线路的故障检测系统
CN212111619U (zh) 基于物联网和人工智能的输电线路避雷设施故障检测设备
CN108663970B (zh) 一种电力操作安全监控系统
CN211602196U (zh) 高压电塔缆线侦测装置
CN217032539U (zh) 一种输电线路光电融合长距离监测装置
CN105656193A (zh) 一种无人值守变电站高压柜防护监控系统
CN104022463A (zh) 一种架空高压输电线路机器人巡检系统
DE102019216561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Leiterseildurchhangs einer Freileitung
CN210183095U (zh) 一种用于变电站的智能巡视辅助系统
CN114235017A (zh) 一种输电线路光电融合长距离监测装置及方法
CN204231025U (zh) 一种无人值守变电站高压柜防护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