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73B1 -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73B1
KR102276973B1 KR1020190100412A KR20190100412A KR102276973B1 KR 102276973 B1 KR102276973 B1 KR 102276973B1 KR 1020190100412 A KR1020190100412 A KR 1020190100412A KR 20190100412 A KR20190100412 A KR 20190100412A KR 102276973 B1 KR102276973 B1 KR 10227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strument
sterilization
wind instru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644A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준 filed Critical 박희준
Priority to KR102019010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악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묻은 분비물을 살균함과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살균시간을 단축하고 살균효과가 증대되도록,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살균봉; 및 상기 살균봉이 내측에 삽입되는 관악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모듈은 관악기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관악기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건조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Sterilizing and drying apparatus for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악기를 거치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管樂器, Wind instrument)는 관에 입으로 공기를 불어놓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하며, 관악기의 음높이는 주어진 관의 길이에 따라, 그리고 연주자가 관악기를 구성하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불어넣는 공기 진동을 조절하여 정해진다.
관악기는 만들어지는 소재에 따라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로 분류되기도 하며, 만들어진 형태에 따라 리코더, 클라리넷 등과 같이 직선 형태를 이루는 직관 안기와, 섹소폰 등과 같이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곡관 악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악기는 나무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입으로 마우스피스 부분을 물고 관 속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바, 입 속에 존재하는 침,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분비물이 관악기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관악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여 연주자의 건강을 해하게 되고 악취가 발생되며, 부식이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61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투명 플라스틱 관과 상기 투명 플라스틱 관이 상방으로 구비된 거치대 악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관악기를 투명 플라스틱 관에 끼워 자외선램프를 통해 그 내부를 살균소독할 수 있기는 하나, 내부에 묻은 침과 같은 분비물을 건조하기에는 효과적이지 않아 살균시간이 오래걸리고 살균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614호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건습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악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묻은 분비물을 살균함과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살균시간을 단축하고 살균효과가 증대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살균봉; 및 상기 살균봉이 내측에 삽입되는 관악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모듈은 관악기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관악기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건조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악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외선 램프에 의해 내부가 살균됨과 동시에 건조팬을 통해 내부에 묻은 분비물을 건조시키게 되므로, 살균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악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에 관악기가 거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가 사용 후 정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가 정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관악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묻은 분비물을 살균함과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살균시간을 단축하고 살균효과가 증대되도록,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살균봉; 및 상기 살균봉이 내측에 삽입되는 관악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모듈은 관악기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관악기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건조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된 살균봉(100)과, 살균봉(100)이 내측에 삽입되는 관악기(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200)을 포함한다.
살균봉(100)은 살균 및 건조될 관악기(10)의 길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관악기(10)의 종류에 따라 길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살균봉(10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램프(110)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살균봉(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의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살균봉(100)의 단부에도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될 수 있다.
관악기(10)는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살균봉(100)은 관악기(10)의 양단의 구멍 중 일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자외선램프(110)가 작동됨으로써 관악기(10)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박멸하여 살균할 수 있다.
거치모듈(200)에 관악기(10)가 거치됨에 있어 일단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거치되며, 거치모듈(200)은 관악기(10)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관악기(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건조팬(210)이 구비된다. 따라서, 관악기(10)는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살균봉(100)이 내측에 삽입되면서, 거치모듈(200)에 의해 일단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자외선램프(110)에 의해 내부가 살균됨과 동시에 건조팬(210)을 통해 내부에 묻은 침과 같은 분비물이 신속히 건조되므로, 살균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자외선램프(110)를 통한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관악기(10)는 연주자가 입으로 무는 마우스피스부(11)와, 마우스피스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악기본체부(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피스부(11)는 악기본체부(12)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부(11)와 악기본체부(12)를 각각 분리하여 살균 및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악기본체부(12)는 살균봉(100)과 건조팬(210)에 의해 살균 및 건조될 수 있고, 마우스피스부(11)는 거치모듈(200)에 포함된 보조건조팬(220)과 보조살균구(230)에 의해 살균 및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건조팬(220)은 악기본체부(12)로부터 분리되어 마우스피스(11)가 거치모듈(200)에서 일단이 밀폐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1)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으며, 보조살균구(23)는 마우스피스(11)의 일단 또는 타단 측에서 마우스피스(11)의 내측으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세균의 번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침 등과 같은 분비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마우스피스부(11)를 별도 분리하여 살균 및 건조할 수 있으므로, 관악기(10)를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는 관악기(10)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직관악기(10a)와 곡관악기(10b)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직관악기(10a)와 곡관악기(10b)의 살균 및 건조를 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직관악기(10a)를 위한 살균건조장치라도 곡관악기(10b)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고, 곡관악기(10b)를 위한 살균건조장치라도 직관악기(10a)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직관악기(10a)를 위한 살균건조장치이며, 거치모듈(200)은 판 형태를 이루는 지지판(240)을 포함하며, 지지판(240)의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치모듈(200)에 거치되는 직관악기(10a)의 직경보다 지지판(240)의 크기가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40)의 중앙에 살균봉(10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240)은 중앙에 직관악기(10a)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는 본체끼움부(242)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끼움부(242)의 상면은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본체끼움부(242)의 하측인 지지판(240) 내부에는 건조팬(2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끼움부(242)는 살균봉(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끼움부(242)의 상면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제1 설치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살균봉(100)은 상기 제1 설치살이 교차된 지점에서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판(240)에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40)에는 본체끼움부(242)와 이격된 지점에 마우스피스부(11)가 거치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끼움부(24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끼움부(243)는 상면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제2 설치살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살균구(23)는 상기 제2 설치살이 교차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끼움부(243)의 하측인 지지판(240) 내부에는 보조건조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관악기(10a)용 살균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부(11)와 악기본체부(12)를 분리시킨 후, 이를 각각 일단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마우스피스끼움부(243)와 본체끼움부(242)에 거치한 다음, 살균봉(100), 건조팬(210), 보조살균구(23) 및 보조건조팬(220)을 통해 살균 및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9는 곡관악기(10b)를 위한 살균건조장치이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모듈(200)은 판 형태를 이루는 지지판(240)과, 지지판(240)에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지지대(250)를 포함한다.
지지판(240)은 이하에서 설명한 구성을 고려하였을 때, 길이가 폭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판(240)에는 마우스피스부(11)가 거치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끼움부(24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끼움부(243)는 상면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제2 설치살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살균구(23)는 상기 제2 설치살이 교차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끼움부(243)의 하측인 지지판(240) 내부에는 보조건조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곡관악기(10b)용 살균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부(11)와 악기본체부(12)를 분리시킨 후, 이를 각각 일단이 밀폐도니 상태를 이루도록 거치하여 살균 및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지지대(250)의 상단에는 살균봉(10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살균봉(100)이 회동하는 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살균봉(100)이 회동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하게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곡관악기(10b)가 거치모듈(200)에 거치되고 살균봉(100)이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봉(100)을 상방으로 회동하여 살균봉(100)이 곡관악기(10b)의 악기본체부(12) 타단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봉(100)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곡관악기(10b)의 악기본체부(12)를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모듈(200)은 지지대(250)가 세워진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동일선 상을 이루는 지지판(240)의 지점에 구비되는 거치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260)는 세워진 지지대(250)를 향해 사선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살균봉(100)이 삽입된 곡관악기(10b)의 악기본체부(12)가 안착될 수 있다. 거치대(260)는 곡관악기(10b)가 용이하게 안착되면서 안착된 곡관악기(10b)가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C'자 형태를 이루어 내측에 곡관악기(10b)의 악기 본체부(12)가 끼워질 수 있는 파지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60)는 거치대에 놓인 곡관악기(10b)에서 깔때기 형태를 이루는 단부인 벨부(13)를 밀폐하는 커버(270)가 상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270)가 회동하는 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커버(270)에는 건조팬(210)이 구비되어 커버(270)에 의해 일단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며 거치된 곡관악기(10b)의 악기본체부(12)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본체부(12)가 거치대(26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270)가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본체부(12)가 거치대(260)에 거치되면 커버(27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악기본체부(12)의 일단이 밀폐되도록 하고, 건조팬(210)을 작동시켜 악기본체부(12)의 타단으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지지대(24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240)으로부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길이로 보관홈(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240)는 보관홈(241)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관악기(10)를 살균하지 않을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0)가 보관홈(241)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240)가 회동하고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보관홈(241)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할 경우 지지판(24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바, 지지판(240)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대(240)는 보관홈(241)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보관홈(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길이를 조절한 다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0)를 보관홈(241)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도 9에 도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 : 관악기 10a : 직관악기
10b : 곡관악기 11 : 마우스피스부
12 : 악기본체부 13 : 벨부
100 : 살균봉 110 : 자외선램프
200 : 거치모듈 210 : 건조팬
220 : 보조건조팬 230 : 보조살균구
240 : 지지판 241 : 보관홈
242 : 본체끼움부 243 : 마우스피스끼움부
250 : 지지대 260 : 거치대
270 : 커버

Claims (5)

  1.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된 살균봉(100); 및
    상기 살균봉(100)이 내측에 삽입되는 관악기(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2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모듈(200)은 관악기(10)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관악기(10)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건조팬(210)과, 판 형태를 이루는 지지판(240)과, 상기 지지판(240)에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지지대(250)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봉(100)은 지지대(250)의 상단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악기(10)는 연주자가 입으로 무는 마우스피스부(11)와, 상기 마우스피스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악기본체부(12)를 포함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부(11)가 악기본체부(12)로부터 분리가능하되,
    상기 살균봉(100)과 건조팬(210)은 악기본체부(12)를 살균 및 건조하고,
    상기 거치모듈(200)은 악기본체부(12)로부터 분리되어 거치된 마우스피스부(11)의 일단이 밀폐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부(11)의 타단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보조건조팬(220)과, 상기 마우스피스부(11)의 내측으로 자외선을 발산하는 보조살균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40)은 지지대(2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길이로 보관홈(241)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25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단이 보관홈(241)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200)은 지지대(250)가 세워진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동일선 상을 이루는 지지판(240)의 지점에서 세워진 지지대(250)를 향해 사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거치대(2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거치대(260)에 관악기(10) 중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곡관악기(10b)가 놓여지되,
    상기 거치대(260)는 거치대에 놓인 곡관악기(10b)에서 깔때기 형태를 이루는 단부인 벨부(13)를 밀폐하면서 상기 건조팬(210)이 구비된 커버(270)가 상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5. 삭제
KR1020190100412A 2019-08-16 2019-08-16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KR10227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12A KR102276973B1 (ko) 2019-08-16 2019-08-16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12A KR102276973B1 (ko) 2019-08-16 2019-08-16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44A KR20210020644A (ko) 2021-02-24
KR102276973B1 true KR102276973B1 (ko) 2021-07-13

Family

ID=7468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412A KR102276973B1 (ko) 2019-08-16 2019-08-16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89Y1 (ko) 2008-12-19 2009-07-06 김재준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탈습기
KR101551107B1 (ko) * 2014-04-09 2015-09-07 손혜성 관악기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관악기 살균시스템
KR101654168B1 (ko) * 2015-11-20 2016-09-08 손범규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약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14U (ko) 2008-12-19 2010-06-29 김재준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건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89Y1 (ko) 2008-12-19 2009-07-06 김재준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탈습기
KR101551107B1 (ko) * 2014-04-09 2015-09-07 손혜성 관악기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관악기 살균시스템
KR101654168B1 (ko) * 2015-11-20 2016-09-08 손범규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약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44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190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
KR101516878B1 (ko) 휴대용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2276973B1 (ko) 관악기용 살균건조장치
KR20080004650U (ko) 살균 기능이 있는 악기케이스
CN111212665B (zh) 具有消毒单元的加湿器
KR200445189Y1 (ko)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탈습기
KR20100006614U (ko)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건습기.
KR101377982B1 (ko) 광 균일 조사장치를 이용한 살균수단을 구비한 가습기
KR101551107B1 (ko) 관악기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관악기 살균시스템
KR20140134002A (ko) 진동부재를 구비한 서적 소독기
WO2010071346A3 (ko) 관악기용 살균소독 및 방향 탈습기
KR101519791B1 (ko) 관악기 스탠드
KR101654168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약음장치
KR20210017665A (ko) 색소폰 살균장치
KR102232856B1 (ko) 마우스피스 살균기
KR101332603B1 (ko) 관악기용 송풍건습기
KR102081896B1 (ko)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 장치
US20200230662A1 (en) Methods of cleaning musical wind instruments
KR20180048031A (ko) 리코더 소독기
CN219440077U (zh) 一种牙刷消毒器
KR102231960B1 (ko) 오카리나 살균케이스
TWM530118U (zh) 牙刷消毒裝置
JP2016126055A (ja) 電子管楽器、消毒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852112A (zh) 一种酒店用的牙具放置盒
KR102497416B1 (ko) 플루트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