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18B1 - 복합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18B1
KR102275818B1 KR1020200159067A KR20200159067A KR102275818B1 KR 102275818 B1 KR102275818 B1 KR 102275818B1 KR 1020200159067 A KR1020200159067 A KR 1020200159067A KR 20200159067 A KR20200159067 A KR 20200159067A KR 102275818 B1 KR102275818 B1 KR 10227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user
coupled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형진
Original Assignee
주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진 filed Critical 주형진
Priority to KR102020015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복수의 기구부를 구비하여, 턱걸이 운동뿐만 아니라, 평행봉 운동, 복부 운동, 푸시업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운동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기구부와,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기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기구부와,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기구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 기구부 또는 제2 기구부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기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운동 장치{Complex exercise device with load distribu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 분산 구조를 갖는 복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트니스 센터에는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다양한 운동기구 중 하나인 철봉은 사용자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바(bar)에 매달린 상태에서 여러 가지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이다.
종래의 철봉은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과, 프레임 구조물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매달릴 수 있는 바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봉은 바가 미리 정해진 높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 바가 과도하게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신작이 큰 사용자의 경우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봉은 팔 힘을 이용하여 바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팔 힘이 약한 사용자나, 체중이 무거운 사용자는 철봉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철봉은 바에 매달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에 매달린 상태에서 스스로 몸의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운동을 수행해야만 하고, 이에 운동 중 잘못 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봉은 사용자가 바에 매달려 수행하는 운동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없고, 이에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복수의 기구부를 구비하여, 턱걸이 운동뿐만 아니라, 평행봉 운동, 복부 운동, 푸시업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팔 힘이 약한 사용자나 고체중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을 통해 단계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거나,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체중이나 팔의 근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운동 중 사용자의 신체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에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기구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기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기구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기구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구부 또는 상기 제2 기구부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기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구부, 상기 제2 기구부 및 상기 제3 기구부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구부, 상기 제2 기구부 및 상기 제3 기구부의 타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어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기구부, 상기 제2 기구부 및 상기 제3 기구부의 체결 및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수직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행봉 운동 시 사용자의 일 측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수직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행봉 운동 시 사용자의 타 측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제2 파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은, 상기 수직바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의 외면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파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수직바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수직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수직바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수직바의 평행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수직바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수직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로드빔; 상기 로드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 파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로드빔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지바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바 지지부; 및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로드빔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파지바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구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축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루프바;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에는, 상기 축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각도 조절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바는,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바;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축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절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관형의 각도 조절 바디; 상기 각도 조절 바디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각도 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핀; 및 상기 각도 조절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각도 조절 핀을 상기 축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가 겹쳐지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클립;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클립의 일 측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클립의 일 측을 상기 수평바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클립 가압부; 및 상기 제1 클립 가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클립 가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클립의 일 측 및 타 측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연결클립의 일 측은 상기 수평바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연결클립의 타 측은 상기 수직바의 외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클립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클립은, 상기 수평바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립판; 상기 수직바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립판; 및 상기 제1 클립판과 상기 제2 클립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클립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 가압부는,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클립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홈; 상기 제2 클립 가압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2 클립 가압부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홈; 및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수용된 상기 제2 클립 가압부의 입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립 가압부는, 상기 제3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클립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판과, 상기 제1 가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압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조작판을 포함하는 제1 가압부재; 상기 제1 가압판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2 클립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판과, 상기 제2 가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가압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조작판을 포함하는 제2 가압부재; 복수의 핀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3 클립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을 서로 지지하고,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조작판과 상기 제2 조작판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복수의 기구부를 구비하여 턱걸이 운동뿐만 아니라, 평행봉 운동, 복부 운동, 푸시업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기구부를 구비하여, 팔 힘이 약한 사용자나 고체중의 사용자도 쉽게 턱걸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구부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높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체중이나 팔의 근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구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운동 중 사용자의 신체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에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1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2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가 회전되어 지지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가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루프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루프바가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클립과 복수의 클립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구조를 갖는 복합 운동 장치(100)(이하 '복합 운동 장치(100)'라 함)는 베이스 프레임(10),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제1 지지부(11), 제2 지지부(12) 및 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는 좌우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 측에 배치되고,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타 측에 배치되고,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의 타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3)는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는 각각, 지면에 배치되고, 연결부(1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수평바(HB)와, 수평바(HB)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의 체결 및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V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바(VB)에는,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의 체결 및 위치조절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 기구부(20), 제2 기구부(30) 및 제3 기구부(40)는 체결공에 결합 가능한 볼트 형태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수직바(V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구부(2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기구부(20)는 제1 지지부(11)의 수직바(V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행봉 운동 시 사용자의 일 측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제1 파지유닛(21)과, 제2 지지부(12)의 수직바(V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행봉 운동 시 사용자의 타 측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제2 파지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1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파지유닛(21) 및 제2 파지유닛(22)은 각각, 수직바(VB)에 결합되고, 수직바(VB)의 외면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Y축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브라켓부(BM1)와, 제1 브라켓부(BM1)에 결합되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파지바(G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2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기구부(3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기구부(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기구부(30)는 로드빔(LB)과, 로드빔(LB)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브라켓부(BM2)와, 제2 브라켓부(BM2)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 파지바(GB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빔(LB)은 제1 지지부(11)의 수직바(VB)와 제2 지지부(12)의 수직바(V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11)의 수직바(VB)와 제2 지지부(12)의 수직바(VB)의 평행을 유지시키고, 제1 지지부(11)의 수직바(VB)와 제2 지지부(12)의 수직바(V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부(BM2)는 좌우 방향을 따라 로드빔(LB)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제2 파지바(GB2)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바 지지부(BS1)와, 좌우 방향을 따라 로드빔(LB)의 타 측에 배치되어 제2 파지바(GB2)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바 지지부(BS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가 회전되어 지지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가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기구부(4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기구부(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 기구부(20) 또는 제2 기구부(30)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기구부(4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제3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기구부(40)는 축부(41), 루프바(42) 및 회전각도 조절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41)는 좌우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41)에는 축부(41)의 회전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회전각도 조절부(43)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각도 조절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루프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루프바(42)는 축부(41)에 결합되고, 축부(4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루프바(42)는 제1 지지바(421)와, 제1 지지바(421)로부터 이격되어 제1 지지바(42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바(422)와, 축부(41)에 결합되어 제1 지지바(421)와 제2 지지바(422)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바(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423)는 축부(41)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1 지지바(421)와 제2 지지바(422)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바(423)는 축부(41)에 결합되는 절곡부(4231)와, 절곡부(42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바(421)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장부(4232)와, 절곡부(423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바(422)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장부(4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4232)와 제2 연장부(4233)는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루프바가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장부(4232) 및 제2 연장부(4233)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4232) 및 제2 연장부(4233)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가능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볼트 형태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길이조절 가능한 제1 연장부(4232) 및 제2 연장부(4233)는 반드시 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회전각도 조절부(43)는 축부(41)에 결합되어 축부(4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각도 조절부(43)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축부(4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관형의 각도 조절 바디(431)와, 각도 조절 바디(431)에 지지되고, 복수의 각도 조절공(41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축부(4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핀(432)과, 각도 조절 바디(431)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도 조절 핀(43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각도 조절 핀(432)을 축부(41)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클립과 복수의 클립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복합 운동 장치(100)는 연결클립(50)과, 제1 클립 가압부(60)와, 제2 클립 가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클립(50)은 수평바(HB)와 수직바(VB)가 겹쳐지는 부분에 결합되어 수평바(HB)와 수직바(VB)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클립(50)은 수평바(HB)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립판(51)과, 수직바(VB)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립판(52)과, 제1 클립판(51)과 제2 클립판(52)을 서로 연결하고, 수평바(HB)와 수직바(VB)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클립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립 가압부(60)는 수평바(H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클립(50)의 일 측을 가압하여 연결클립(50)의 일 측을 수평바(HB)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립 가압부(60)는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611)이 형성되는 가이드 바(61)와, 가이드레일(611)에 결합되어 제1 클립판(51)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바(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바(62)는 가이드레일(6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홈(621)과, 제2 클립 가압부(70)의 일부가 수용되고, 제2 클립 가압부(70)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홈(622)과, 제2 가이드홈(622)에 수용된 제2 클립 가압부(70)의 입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홈(6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립 가압부(70)는 제1 클립 가압부(60)에 결합되어 제1 클립 가압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클립(50)의 일 측 및 타 측을 동시에 가압하여 연결클립(50)의 일 측은 수평바(HB)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연결클립(50)의 타 측은 수직바(VB)의 외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클립 가압부(70)는 제1 가압부재(71)와, 제2 가압부재(72)와, 제3 가압부재(73)와, 탄성조절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71)는 제3 가이드홈(6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가이드홈(623)에 결합되는 슬라이더(711)와, 슬라이더(711)에 결합되고 제2 가이드홈(622)에 안착되어 제1 클립판(51)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판(712)과, 제1 가압판(71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가압판(7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조작판(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72)는 제1 가압판(712)에 대향 배치되어 제2 클립판(52)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판(721)과, 제2 가압판(7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가압판(72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조작판(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압부재(73)는 복수의 핀부재(731)를 통해 제1 가압부재(71)와 제2 가압부재(72)에 결합되어 제1 가압부재(71)와 제2 가압부재(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3 클립판(53)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조절부재(74)는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을 서로 지지하고,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에 외력이 가해져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압축되었다가,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을 가압하여 제1 조작판(713)과 제2 조작판(722)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복수의 기구부(20, 30, 40)를 구비하여 턱걸이 운동뿐만 아니라, 평행봉 운동, 복부 운동, 푸시업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기구부(40)를 구비하여, 팔 힘이 약한 사용자나 고체중의 사용자도 쉽게 턱걸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구부(40)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높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부하되는 하중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체중이나 팔의 근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구부(40)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운동 중 사용자의 신체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에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복합 운동 장치
10. 베이스 프레임
11. 제1 지지부
12. 제2 지지부
HB. 수평바
VB. 수직바
13. 연결부
20. 제1 기구부
21. 제1 파지유닛
22. 제2 파지유닛
BM1. 제1 브라켓부
GB1. 제1 파지바
30. 제2 기구부
LB. 로드빔
BM2. 제2 브라켓부
BS1. 제1 바 지지부
BS2. 제2 바 지지부
GB2. 제2 파지바
40. 제3 기구부
41. 축부
411. 각도 조절공
42. 루프바
421. 제1 지지바
422. 제2 지지바
423. 연결바
4231. 절곡부
4232. 제1 연장부
4233. 제2 연장부
43. 회전각도 조절부
431. 각도 조절 바디
432. 각도 조절 핀
433. 탄성부재
50. 연결클립
51. 제1 클립판
52. 제2 클립판
53. 제3 클립판
60. 제1 클립 가압부
61. 가이드 바
611. 가이드레일
62. 가압바
621. 제1 가이드홈
622. 제2 가이드홈
623. 제3 가이드홈
70. 제2 클립 가압부
71. 제1 가압부재
711. 슬라이더
712. 제1 가압판
713. 제1 조작판
72. 제2 가압부재
721. 제2 가압판
722. 제2 조작판
73. 제3 가압부재
731. 핀부재
74. 탄성조절부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평행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기구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기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기구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기구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구부 또는 상기 제2 기구부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기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축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루프바;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바는,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바;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축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절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운동 장치.
KR1020200159067A 2020-11-24 2020-11-24 복합 운동 장치 KR10227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67A KR102275818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67A KR102275818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18B1 true KR102275818B1 (ko) 2021-07-08

Family

ID=7689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067A KR102275818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9B1 (ko) *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139A (en) * 1990-03-09 1991-04-30 Lumex, Inc. Assisted dip/chin exercise device
JP2015223432A (ja) * 2014-05-29 2015-12-14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鉄棒練習具
CN206621705U (zh) * 2017-04-14 2017-11-10 李晓春 弹性助力可调的组合训练器
CN209187993U (zh) * 2018-10-29 2019-08-02 王秋亮 一种用于整脊健椎的室内单双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139A (en) * 1990-03-09 1991-04-30 Lumex, Inc. Assisted dip/chin exercise device
JP2015223432A (ja) * 2014-05-29 2015-12-14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鉄棒練習具
CN206621705U (zh) * 2017-04-14 2017-11-10 李晓春 弹性助力可调的组合训练器
CN209187993U (zh) * 2018-10-29 2019-08-02 王秋亮 一种用于整脊健椎的室内单双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9B1 (ko) *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602B2 (en) Weightlifting system with positionable handles
US8147390B2 (en) Weightlifting system
US20180147438A1 (en) Exercise apparatus
KR102275818B1 (ko) 복합 운동 장치
CN107432781A (zh) 一种骨科夹持装置
US9433818B2 (en) Adjustable motion control arm pads for bench press and other weight lifting systems
US20120094813A1 (en) Physical exercise apparatus
CN207436347U (zh) 钢网架球螺栓下吊顶用的过渡装置
US10188894B2 (en) Barbell
CN205867507U (zh) 便携式乒乓球发球练习器
CN205182081U (zh) 健身器
CN211371114U (zh) 一种机械加工设备的减震装置
KR101090536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EP1967235A1 (en) Gymnastic apparatus for muscle training, particularly of the bench type
KR101814518B1 (ko) 리프팅 장치
CN110051962B (zh) 一种体育训练用双杠结构
CN204767163U (zh) 一种杠杆上配重板的紧固装置
US20180099186A1 (en) Flexibility device
KR101640575B1 (ko) 평행봉 운동기구
US11154741B2 (en) Fitness apparatus for press-up exercises
CN207898266U (zh) 一种椅座椅背联动椅子
KR20190000443U (ko) 기능성 바벨 거치대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CN204972832U (zh) 一种杠杆上配重板的固定环
KR20030091615A (ko)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