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500B1 - 회전식 스팀 청소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스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500B1
KR102275500B1 KR1020210010584A KR20210010584A KR102275500B1 KR 102275500 B1 KR102275500 B1 KR 102275500B1 KR 1020210010584 A KR1020210010584 A KR 1020210010584A KR 20210010584 A KR20210010584 A KR 20210010584A KR 102275500 B1 KR102275500 B1 KR 10227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pump
stand
stea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식
Original Assignee
(주)티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케이케이 filed Critical (주)티케이케이
Priority to KR102021001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5Machines using UV-lamps, IR-lamps, ultrasound or plasma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유체를 기화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탠드부;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본체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걸레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는, 하부에 벨크로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공간인 체결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체결공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체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체결공간에서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벨크로가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된 후,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공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에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방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스팀 청소기{ROTATIONAL STEAM CLEANER}
본 발명은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저면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걸레에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방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걸레가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형태인 고정식 스팀 청소기와, 걸레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인 회전식 스팀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경우에는, 회전모듈이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모듈의 저면에 걸레가 장착되며, 회전모듈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듈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스팀을 공급받은 걸레가 회전되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동안 청소, 즉, 물걸레질을 하지 않아 청소면에 딱딱하게 굳어진 먼지, 음료 등의 이물질을 물에 불린 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분무기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딱딱하게 굳어진 이물질을 물에 불리지 않고 기존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만으로 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면이 장시간동안 고온의 스팀에 노출되므로, 해당 청소면이 변형되거나 부식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87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소기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걸레에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방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유체를 기화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탠드부;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본체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걸레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는, 하부에 벨크로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공간인 체결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체결공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체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체결공간에서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벨크로가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된 후,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공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제1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히터부로 펌핑하는 제2펌프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펌프로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펌프로 유입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히터부와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2펌프와 상기 메인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메인밸브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펌프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1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펌프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의 온도에 따라 펌핑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스탠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부가 연결되면 상기 스탠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주배터리부가 아닌 상기 보조배터리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면의 중심부분에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스탠드부가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접촉되어 승강되면, 상기 스탠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부회전판과, 상기 상부회전판과 체결되며 저면에 상기 걸레가 장착되는 하부회전판과, 상기 상부회전판과 상기 하부회전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회전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하부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는, 청소면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청소면을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에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방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1펌프 또는 제2펌프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부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도 스팀을 안정적으로 생성하여 걸레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하부회전판이 4점의 탄성부에 의해 롤링 및 피칭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스탠드부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탠드부 내부의 주배터리부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예열 과정에서 주배터리부의 전원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사용시간도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크로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손상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의 저면이 청소면과 닿아있을 시,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UV 빛을 이용한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고정부재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하부회전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탄성부에 의해 하부회전판이 탄성지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체결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체결모듈이 벨크로를 하부회전판에 체결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벨크로가 체결된 하부회전판을 저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전원 공급과 관련된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예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제2펌프의 펌핑 조절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본체부에 살균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고정부재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하부회전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탄성부에 의해 하부회전판이 탄성지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체결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체결모듈이 벨크로를 하부회전판에 체결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벨크로가 체결된 하부회전판을 저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전원 공급과 관련된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예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제2펌프의 펌핑 조절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본체부에 살균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는 스탠드부(110)와, 본체부(120)와, 각도조절부(130)와, 보조배터리부(140)를 포함한다.
스탠드부(110)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유체를 기화시켜 스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3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스탠드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스탠드케이스(111)와, 수용부(112)와, 히터부(113)와, 제2펌프(114)와, 메인밸브(115)와, 제1밸브(116)와, 제2밸브(117)와, 주배터리부(118)와,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스탠드케이스(111)는 하부에 후술하는 고정부재(13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i)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핸들(111a)이 연장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부(112)와 히터부(113)와 제2펌프(114)와 메인밸브(115)와 제1밸브(116)와 제2밸브(117)와 주배터리부(118)와 제어부(119)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탠드케이스(11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111b)이 형성되어 제어부(1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용부(112)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탠드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수용공간에는 유체가 수용되며, 후술하는 메인밸브(115)에 연통된다.
히터부(113)는 수용부(112)에서 유입된 유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스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메인밸브(115)에 연통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본체부(120)의 분사부(127)에 연통되며, 제어부(119)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제2펌프(114)는 수용공간의 유체를 히터부(113)로 펌핑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메인밸브(115)에 연통되고, 타측은 히터부(113)에 연통되며, 제어부(119)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메인밸브(115)는 수용공간의 유체가 제1펌프(125)로 유입되는 제1유로(f1, 112→125)와 수용부(112)에 수용된 유체가 제2펌프(114)로 유입되는 제2유로(f2, 112→114)를 구비하며, 제어부(119)의 제어에 의해 제1유로(f1) 또는 제2유로(f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수용부(112)에 연통되고 타측은 제2펌프(114) 또는 후술하는 본체부(120)의 제1펌프(125)에 연통된다. 이러한 메인밸브(115)는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밸브(115)에 따르면, 제어부(119)의 유체분사동작 및 스팀공급동작이 하나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밸브(116)는 메인밸브(115)를 통과한 유체가 제1펌프(125)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메인밸브(115)에 연통되고 타측은 제1펌프(125)에 연통된다.
제2밸브(117)는 메인밸브(115)를 통과한 유체가 제2펌프(114)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메인밸브(115)에 연통되고 타측은 제2펌프(114)에 연통된다.
이러한 제1밸브(116)와 제2밸브(117)는 단방향(One-Way) 방식의 밸브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단방향 방식으로 마련되는 제1밸브(116)와 제2밸브(117)에 따르면,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1펌프(125) 또는 제2펌프(114)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주배터리부(118)는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스탠드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119)는 히터부(113)와 제1펌프(125)와 제2펌프(114)와 메인밸브(115)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히터부(113)와 제1펌프(125)와 제2펌프(114)와 메인밸브(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9)는 유체분사동작과 스팀공급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분사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유체분사 신호를 제어부(119)에 전송하면, 제어부(119)가 메인밸브(115)의 제2유로(f2)가 폐쇄되고 제1유로(f1)가 개방되도록 메인밸브(11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후술하는 본체부(120)의 제1펌프(125)를 작동시킨다. 제1펌프(125)의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본체부(120)의 분사노즐(126)로 펌핑된 유체는 분사노즐(126)의 단부에서 외부로 분사된다.
스팀공급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팀공급 신호를 제어부(119)에 전송하면, 제어부(119)가 메인밸브(115)의 제1유로(f1)가 폐쇄되고 제2유로(f2)가 개방되도록 메인밸브(11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제2펌프(114)와 히터부(113)를 작동시킨다. 제2펌프(114)의 작동에 의해 히터부(113)로 펌핑된 유체는 기화되어 스팀이 생성된다. 생성된 스팀은 후술하는 본체부(120)의 분사부(1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걸레(124)에 공급된다.
한편, 제어부(119)는 히터부(113)의 온도에 따라, 히터부(113)로 펌핑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펌프(114)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히터부(113)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상태에서 히터부(113)로 과도한 유체가 펌핑되는 경우 펌핑된 유체가 열에너지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여 스팀으로 온전히 전환되지 못하고 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과도한 유체에 의해 히터부(113)의 온도가 더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제어부(119)는 히터부(113)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펌핑되는 유체의 양이 적도록(즉, 낮은 출력을 내도록) 제2펌프(114)를 제어하여, 히터부(113)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스팀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19)는 히터부(113)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거나 그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펌프(114)가 보다 높은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9)는 히터부(113)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부(113)의 온도가 100℃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펌프(114)가 70%의 출력만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히터부(113)의 온도가 100℃와 110℃ 사이인 경우에는 제2펌프(114)가 85%의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히터부(113)의 온도가 110℃ 이상인 경우에는 제2펌프(114)가 100%의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19)에 따르면, 히터부(113)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도 스팀을 안정적으로 생성하여 걸레(124)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부(120)는 저면에 걸레(12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청소면을 청소하는 것으로서, 외부로 유체를 분사하고, 걸레(124)에 스팀을 공급하며,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30)의 일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본체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본체케이스(121)와, 구동부(122)와, 회전부(123)와, 걸레(124)와, 제1펌프(125)와, 분사노즐(126)과, 분사부(127)와, 살균부(128)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21)는 내부에 후술하는 구동부(122)와, 제1펌프(125)와, 분사노즐(126)과, 분사부(127)가 설치되며, 저면에 후술하는 회전부(12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 각도조절부(130)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21)는 상면의 중심부분에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30)를 지지하는 곡면 형상의 돌출부(121a)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부(121a)의 주위부분은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30)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요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구동부(122)는 후술하는 회전부(123)에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부(123)에 연결되며, 제어부(119)에 의해 제어된다.
회전부(123)는 구동부(1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부(123)는 보다 상세하게, 상부회전판(123a)과, 하부회전판(123b)과, 탄성부(123c)와, 체결모듈(123d)을 포함한다.
상부회전판(123a)은 구동부(1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하부회전판(123b)과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회전판(123b)은 상부회전판(123a)과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저면에 걸레(124)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분사부(127)와 연통되어 걸레(124)에 스팀을 공급하는 공간인 중심공간(s1)이 중심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중심공간(s1)을 통해 후술하는 분사부(127)에서 분사된 스팀이 걸레(124)에 공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23c)는 상부회전판(123a)과 하부회전판(123b)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회전판(123b)을 탄성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하부회전판(123b)에 형성된 삽입공간(s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23c)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하부회전판(123b)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123c)에 따르면, 회전부(123)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하부회전판(123b)이 4점의 탄성부(123c)에 의해 롤링 및 피칭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부회전판(123b)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걸레(124)가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벨크로(v)가 구비될 수 있는데, 하부회전판(123b)은 하부에 벨크로(v)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공간인 체결공간(t)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공간(t)은 후술하는 체결모듈(123d)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 단턱이 형성된다.
이 때, 하부회전판(123b)의 체결공간(t)에는 체결모듈(123d)이 설치된다.
체결모듈(123d)은 벨크로(v)를 하부회전판(123b)에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체결공간(t)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모듈(123d)은 보다 상세하게, 제1베이스부(123d1)와, 제2베이스부(123d2)와, 결속부(123d3)와, 힌지핀을 포함한다.
제1베이스부(123d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후술하는 힌지핀이 삽입되어 하부회전판(123b)과 힌지결합될 수 있게 하는 공간인 힌지결합공간(h)이 형성된다.
제2베이스부(123d2)는 제1베이스부(123d1)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베이스부(123d1)의 하부에 형성된다.
결속부(123d3)는 체결공간(t)에 형성된 단턱에 결속되어 체결모듈(123d)을 하부회전판(123b)에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제1베이스부(123d2)의 전면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일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힌지핀은 체결모듈(123d)이 하부회전판(123b)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베이스부(123d1)의 힌지결합공간(h)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모듈(123d)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체결공간(t)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벨크로(v)가 체결공간(t)에 삽입된 후, 체결모듈(123d)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결속부(123d3)가 하부회전판(123b)의 저면에 걸려 결속됨으로써 벨크로(v)가 하부회전판(123b)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모듈(123d)에 따르면, 체결부분이 고온의 스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벨크로(v)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손상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레(124)는 청소면을 청소하는 것으로서, 회전부(123)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펌프(125)는 수용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 내부에 설치되고, 본체부(120)의 일측은 메인밸브(115)에 연통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분사노즐(126)에 연통되며, 제어부(119)에 의해 제어된다.
분사노즐(126)은 제1펌프(125)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공급받아 외부, 즉 전방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은 제1펌프(125)에 연통된다.
분사부(127)는 히터부(113)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여 걸레(124)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히터부(113)에 연통되고 타측은 하부회전판(123b)의 중심공간(s1)에 연통된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부(119)가 유체분사동작과 스팀공급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동부(122)와 제2펌프(114)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어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예열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히터부(113)만를 작동시켜 예열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9)가 조작반(111b)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청소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유체분사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1펌프(125)를 동작시켜 유체를 전방에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스팀 또는 온수 분사 여부 신호를 입력받아 히터부(113)를 작동시켜 예열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스팀 또는 온수를 걸레(124)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온수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2펌프(114)는 100%의 출력을, 히터부(113)는 80%의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즉, 펌핑되는 유체의 양을 많게 하고 열에너지의 공급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면 걸레(124)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약스팀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2펌프(114)는 50%의 출력을, 히터부(113)는 80%의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강스팀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2펌프(114)는 80%의 출력을, 히터부(113)는 100%의 출력을 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걸레(124)가 스팀 또는 온수를 공급받으면 구동부(122)가 동작하여 회전부(123)를 회전시키고 청소면을 청소하게 된다.
살균부(128)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청소면을 감지하여 청소면을 살균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청소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살균부(128)는 보다 상세하게, 지지부(128a)와, UV LED 램프(128b)와,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지부(128a)는 후술하는 UV LED 램프(128b)와 센서부(미도시)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UV LED 램프(128b)는 UV(Ultraviolet, 자외선) 빛을 조사하여 청소면을 살균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지지부(128a)에 설치되되 청소면과 마주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이 때, UV 빛이 청소면에 조사될 수 있도록, 살균부(128)가 설치된 본체케이스(121)의 일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본체부(120)가 청소면에 닿아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28a)에 설치되되 청소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제어부(119)는 센서부(미도시)가 바닥의 청소면을 감지함에 따라 UV LED 램프(128b)의 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살균부(128)에 따르면, 본체부(120)의 저면이 청소면과 닿아있을 시,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UV 빛을 이용한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도조절부(130)는 스탠드부(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스탠드부(110)와 본체부(1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각도조절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상부하우징(131)과, 하부하우징(132)과, 힌지부(133)와, 고정부재(134)를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31)은 스탠드부(110)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스탠드케이스(111)의 하부가 상부하우징(131)을 감싸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32)은 내부에 후술하는 고정부재(134)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후술하는 힌지부(133)가 형성된다.
이 때, 하부하우징(132)의 상면에는 승강된 고정부재(134)가 스탠드케이스(11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i)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p)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133)는 본체부(120)에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부(130)에 결합된 스탠드부(11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다.
고정부재(134)는 하부하우징(1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요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종횡방향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양측에 스프링부재(134a)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를 거치하기 위해 바닥면에 대해 직립되도록 하는 경우, 고정부재(134)는 본체케이스(121)의 돌출부(121a)에 접촉되어 승강되는데, 이 때, 승강된 고정부재(134)는 스탠드케이스(11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i)에 삽입되어 스탠드부(110)가 좌우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스탠드부(110)를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고정부재(134)는 돌출부(121a)와 이격되는데, 이 때, 고정부재(134)는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부재(134a)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삽입홀(i)에서 이탈되므로, 스탠드부(110)가 좌우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134)의 고정방식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스탠드부(110)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부(110) 내부의 주배터리부(118)의 전원만을 이용하여 예열하는 경우, 주배터리부(118)의 용량이 커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주배터리부(118)의 부피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장형의 보조배터리부(140)를 구비하여 예열을 하는 경우, 스탠드부(110) 내부의 주배터리부(118)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조배터리부(140)는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가 거치대에 거치되는 경우 스탠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즉, 외장형으로 마련되어 거치대에 거치된다. 이러한 보조배터리부(140)는 내부에 보조전원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탠드부(110)는 내부에 외부전원관리부와 주전원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주배터리부(118)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과 보조배터리부(140)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호 전환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제어부(11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9)는 보조배터리부(140)가 연결되면 스탠드부(110) 내부에 설치된 주배터리부(118)가 아닌 보조배터리부(140)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히터부(113)가 예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19)는 외부전원관리부를 통해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지 않거나,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더라도 보조배터리부(14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113)가 주배터리부(118)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예열할 수 있도록 주전원관리부와 스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외부전원관리부를 통해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조배터리부(140)도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113)가 보조배터리부(14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예열할 수 있도록 보조전원관리부와 외부전원관리부와 스위치를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119)는 온도가 100℃를 넘어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113)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예열 완료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에는 예열 완료 타이머가 동작하게 되는데, 기설정된 시간에 이르면 제어부(119)는 예열 종료 또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배터리부(140)에 따르면, 스탠드부(110) 내부의 주배터리부(118)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예열 과정에서 주배터리부(118)의 전원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의 사용시간도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탠드부(110)와, 본체부(120)와, 각도조절부(130)와, 보조배터리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에 따르면, 걸레(124)에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방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1펌프(125) 또는 제2펌프(114)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부(113)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도 스팀을 안정적으로 생성하여 걸레(124)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123)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하부회전판(123b)이 4점의 탄성부(123c)에 의해 롤링 및 피칭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청소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스탠드부(110)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탠드부(110) 내부의 주배터리부(118)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예열 과정에서 주배터리부(118)의 전원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의 사용시간도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크로(v)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손상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120)의 저면이 청소면과 닿아있을 시,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UV 빛을 이용한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
110 : 스탠드부
111 : 스탠드케이스
i : 삽입홀
111a : 핸들
111b : 조작반
112 : 수용부
113 : 히터부
114 : 제2펌프
115 : 메인밸브
f1 : 제1유로
f2 : 제2유로
116 : 제1밸브
117 : 제2밸브
118 : 주배터리부
119 : 제어부
120 : 본체부
121 : 본체케이스
121a : 돌출부
122 : 구동부
123 : 회전부
123a : 상부회전판
123b : 하부회전판
s1 : 중심공간
s2 : 삽입공간
123c : 탄성부
123d : 체결모듈
t : 체결공간
v : 벨크로
123d1 : 제1베이스부
h : 힌지결합공간
123d2 : 제2베이스부
123d3 : 결속부
124 : 걸레
125 : 제1펌프
126 : 분사노즐
127 : 분사부
128 : 살균부
128a : 지지부
128b : UV LED 램프
130 : 각도조절부
131 : 상부하우징
132 : 하부하우징
p : 관통홀
133 : 힌지부
134 : 고정부재
134a : 스프링부재
140 : 보조배터리부

Claims (9)

  1.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유체를 기화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탠드부;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본체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걸레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는,
    하부에 벨크로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공간인 체결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체결공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체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체결공간에서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벨크로가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된 후,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공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벨크로를 상기 회전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제1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히터부로 펌핑하는 제2펌프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펌프로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펌프로 유입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히터부와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2펌프와 상기 메인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메인밸브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펌프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1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펌프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의 온도에 따라 펌핑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스탠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보조배터리부가 연결되면 상기 스탠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주배터리부가 아닌 상기 보조배터리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면의 중심부분에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스탠드부가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접촉되어 승강되면, 상기 스탠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부회전판과, 상기 상부회전판과 체결되며 저면에 상기 걸레가 장착되는 하부회전판과, 상기 상부회전판과 상기 하부회전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회전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하부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청소면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청소면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KR1020210010584A 2021-01-26 2021-01-26 회전식 스팀 청소기 KR10227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84A KR102275500B1 (ko) 2021-01-26 2021-01-26 회전식 스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84A KR102275500B1 (ko) 2021-01-26 2021-01-26 회전식 스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500B1 true KR102275500B1 (ko) 2021-07-09

Family

ID=7686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84A KR102275500B1 (ko) 2021-01-26 2021-01-26 회전식 스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27B1 (ko) * 2021-11-18 2022-09-05 (주)티케이케이 융과 심지 탈부착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스팀 청소기
WO2023063480A1 (ko) *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티케이케이 온수 제공 크래들 도킹용 스팀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06B1 (ko) * 2004-12-30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의 증기 또는 물 분사 장치
US20140245555A1 (en) * 2013-03-01 2014-09-04 Jason Boyd Thorne Floor cleaning appliance
US20140259515A1 (en) * 2013-03-15 2014-09-18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Steam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eam cleaning devices
KR20170028763A (ko)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
KR20170028765A (ko) *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06B1 (ko) * 2004-12-30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의 증기 또는 물 분사 장치
US20140245555A1 (en) * 2013-03-01 2014-09-04 Jason Boyd Thorne Floor cleaning appliance
US20140259515A1 (en) * 2013-03-15 2014-09-18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Steam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eam cleaning devices
KR20170028763A (ko)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
KR20170028765A (ko) *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80A1 (ko) *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티케이케이 온수 제공 크래들 도킹용 스팀청소기
KR102439727B1 (ko) * 2021-11-18 2022-09-05 (주)티케이케이 융과 심지 탈부착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스팀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500B1 (ko) 회전식 스팀 청소기
JP3590400B2 (ja) 足マッサージ器
EP1759622B1 (en) Dishwasher
US20060249186A1 (en) Heated liquid cleaner
CN101287402A (zh) 具有uv发生器的洗涤机
US20180280233A1 (en) Vaporizing and vapor heating assembly and personal care appliances including the same
KR20170016181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5078111B2 (ja) 電気かみそり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624841B1 (ko) 젖병세척기
WO2007037248A1 (ja) 剤供給装置
KR20220122473A (ko) 청소기
KR200269604Y1 (ko) 스팀 청소기
KR102439727B1 (ko) 융과 심지 탈부착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스팀 청소기
KR20240012947A (ko) 청소기
KR100994757B1 (ko) 비가열식 테이블세척기
KR200215415Y1 (ko) 증기소독 청소기
CN218943242U (zh) 一种具有热水箱的基站及对清洁表面热处理的清洁系统
KR102514360B1 (ko)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US20230279600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washing and drying a reusable diaper
KR20240012945A (ko) 청소기
CN220360382U (zh) 用于器具的清洁头和器具
CN220360386U (zh) 用于器具的清洁头和器具
CN220360384U (zh) 用于器具的清洁头和器具
JP3898262B2 (ja) 衛生洗浄器
KR20220057138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