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35B1 -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35B1
KR102274635B1 KR1020210032329A KR20210032329A KR102274635B1 KR 102274635 B1 KR102274635 B1 KR 102274635B1 KR 1020210032329 A KR1020210032329 A KR 1020210032329A KR 20210032329 A KR20210032329 A KR 20210032329A KR 102274635 B1 KR102274635 B1 KR 10227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ship
vessel
inspe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기
Original Assignee
최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기 filed Critical 최용기
Priority to KR102021003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2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models or simulation, e.g. statistical models or stochast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으로서, 다수 개의 선박장비가 내부에 마련된 선박을 점검한다.

Description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Inspection Method for Ship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는 통합 항해 시스템, 기관실 및 화물 감시제어 시스템, 선박 자동 추진제어 시스템, 항해정보 기록장치 등이 있으며 항해정보 관리와 선내 각 설비의 감시 및 조작 등의 기능을 통해 선내 노동의 경감, 선박의 안전성 향상, 운항의 경제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가용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원격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기능 탑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 및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도면과 선박장비의 전력계통의 점검 과정을 자동화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숙련도만 가지고 있어도 전력계통의 점검이 가능한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다수 개의 선박장비가 내부에 마련된 선박을 점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선박과 통신하여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전력사용량을 포함한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상기 선박의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점검결과를 제공하는 점검서버;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화서버; 및 상기 자동화서버에서 생성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점검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선박의 상기 자동화서버와 통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박장비 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분류부에서 분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하여 누적한 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따른 점검결과 및 점검방법은 제안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상기 자동화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자동화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하고, 상기 선박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점검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선박과 통신하여 상기 자동화서버로부터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수신한 상기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상기 선박의 설계와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점검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검서버가 제공하는 점검결과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클리닝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검서버가 제공하는 점검결과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선박장비의 정상 작동을 점검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사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서버에서 생성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점검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장비는, 자동화서버와 원격으로 제어되는 선박장비인 Automation Product, Other Electric parts, Switch Boards 및 Circuit breakers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의 내부로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선박장비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막대형태의 하단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들의 사이 공간을 이루는 지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되며, 상기 하단지지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체결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회전부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 상에서 상기 작업지지대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 체결부가 고정되도록하여 상기 제2 체결부에 안착되는 상기 회전부와 다른 회전부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픽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부위에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부와 함께 상기 다수 개의 회전부가 안착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설계도면과 선박장비의 전력계통의 점검 과정을 자동화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숙련도만 가지고 있어도 전력계통의 점검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점과 원격으로 연결되어 각 지점의 전력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고, 전력이 누수되거나 설계와 상이하게 쓰이는 부분을 표시하여 시현해줌으로서 점검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가 내부에 마련된 선박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10)은 점검서버(900)를 통해 선박(100)의 내부에 위치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자동화서버(190)를 통해 선박(100)의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자동화서버를 이용하여 선박(100)의 내부에 위치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자동화서버(19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고, 선박(100)은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점검서버(900)로 송신할 수 있다.
점검서버(900)는 선박(100)과 통신하여 자동화서버(190)로부터 선박(100)의 내부에 마련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점검서버(900)는 수신한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를 선박(100)의 설계와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고, 점검서버(900)는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점검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서버(900)는 선박(100)과 통신하여 선박(100)의 내부에 마련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전력사용량을 포함한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를 선박(100)의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점검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검서버(900)는 데이터송수신부(930), 데이터분류부(950) 및 데이터베이스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송수신부(930)는 사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100)의 자동화서버(19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분류부(950)는 데이터송수신부(930)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선박장비 별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970)는 데이터분류부(950)에서 분류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하여 누적한 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970)는 생성한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송수신부(930)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따른 점검결과 및 점검방법은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서버(900)가 제공하는 점검결과는 선박(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클리닝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할 수 있고, 선박(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선박장비(110)의 정상 작동을 점검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100)은 자동화서버(19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서버(190)는 내부에 위치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자동화서버(190)에서 생성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검서버(9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사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화서버(190)에서 생성한 다수 개의 선박장비(110)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검서버(90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선박장비(110)는 자동화서버(190)와 원격으로 제어되는 선박장비(110)인 Automation Product, Other Electric parts, Switch Boards 및 Circuit breakers를 포함할 수 있고, 선박(100)의 내부로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자동화서버와 원격으로 제어되며 사용되는 선박장비인 Automation Product, Other Electric parts, Switch Boards 및 Circuit breakers를 확인할 수 있고, 각 선박장비의 부속품들인 Machinery Parts의 다양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부(400)는 선박장비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40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부(410), 회전지지부(410)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되는 제1 체결부(420),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부(403)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2 체결부(430), 회전부(40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픽스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400)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선박장비들의 중량과 종류에 따라 작업지지대(401)의 상부에 배치되는 회전부(403)의 간격을 조절하여 선박장비들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지지부(410)는 작업지지대(401) 상부의 폭 방향 테두리 부위에 마주보면서 작업지지대(401)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부(410)는 막대형태의 하단지지부(411), 하단지지부(411)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지지돌기(412), 지지돌기(412)들의 사이 공간을 이루는 지지홈(41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410)의 하단지지부(411)는 제1 체결부(420)가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수 있다.
즉, 하단지지부(411) 상에는 다수 개의 제1 체결부(420)가 배치되게 되고 각각의 제1 체결부(420)에는 회전부(403)가 배치되어 제1 체결부(420)가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사용자의 필요한 위치에 배치됨으로 인해 다수 개의 회전부(403)의 이격 간격이 정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돌기(412)와 지지홈(413)은 픽스부(440)를 통해 제1 체결부(420)가 하단지지부(411)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412)와 지지홈(413)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제1 체결부(42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하단지지부(411)에 연결되어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될 수 있고, 봉 형태의 회전부(403)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체결부(420)는 하단지지부(411)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421), 제2 체결부(430)가 형성된 부위에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체결부(430)와 함께 회전부(403)가 안착된 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지지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체결홈(421)은 하단지지부(411)를 감싸면서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하단지지부(411)와 대응된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홈(422)은 회전부(403)가 제1 체결부(4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말단의 하면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부(430)는 제1 체결부(420) 상에서 작업지지대(401)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회전부(40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체결부(430)는 회전지지홈(422)에 연결되고 'ㄴ' 형태로 형성되면서 회전부(403)에 밀착되는 삽입형성부(431)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2 체결부(430)는 삽입형성부(431)가 회전지지홈(422)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회전부(403)가 삽입형성부(431)에 거치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홈(422)과 삽입형성부(4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부(430)는 삽입형성부(4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삽입형성부(431)이 연결부(432)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430)는 삽입형성부(431)의 하면에서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부(433)와 연결되는 결합돌기(4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420)는 회전지지홈(422)에 형성되어 삽입형성부(431)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삽입홈(4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420)는 제1 삽입홈(423)에 형성되어 결합돌기(434)가 수용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삽입홈(4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형성부(431)은 탄성부(433)의 탄발력과 연결부(432)에 의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 울어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33)는 일단이 제2 삽입홈(424)에 고정되고, 타단이 결합돌기(434)에 연결된 상태로 삽입형성부(431)에 탄성을 발휘하여 삽입형성부(431)이 연결부(432)를 통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삽입형성부(431)이 회전되는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삽입형성부(431)는 탄성부(433)의 탄발력과 연결부(432)에 의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울어 지게 배치됨으로써, 삽입형성부(431)와 마주보는 삽입형성부(431)의 상호 거리가 회전부(40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403)가 삽입형성부(431)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탄성부(433)는 삽입형성부(431)에 탄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제2 삽입홈(424)에 고정되기 때문에 삽입형성부(431)가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탄성부(433)의 팽창하는 거리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부(433)는 삽입형성부(431)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울어진 상태를 형성하도록 함 과 동시에 삽입형성부(431)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403)가 삽입형성부(431)에 안착될 경우, 회전부(403)의 무게에 의해 삽입형성부(431)를 가압함으로서, 탄성부(433)는 압축되게 되고, 삽입형성부(431)와 그의 마주보는 안착판의 상부는 회전부(403)를 사이에 두고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 면에 밀착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삽입형성부(431)의 하부는 제1 삽입홈(423)에 수용되고, 결합돌기(434)는 탄성부(433)과 함께 제2 삽입홈(424) 내부로 수용되게 될 수 있다.
즉, 삽입형성부(431)의 상부가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회전부(403)가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회전되면서 작업지지대(401)의 폭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회전부(403)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선박장비가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될 수 있다.
한편, 픽스부(440)는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제1 체결부(420)가 고정되도록하여 제2 체결부(430)에 안착되는 회전부(403)와 다른 회전부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스부(440)는 제1 체결부(420)를 관통하는 픽스홀(441), 픽스홀(441)과 회전지지부(410)의 지지홈(4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제1 체결부(420)가 회전지지부(41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픽스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픽스부재(442)는 하단지지부(411) 상에 제1 체결부(420)의 제1 체결홈(421)이 연결된 상태에서, 픽스부재(442)가 픽스홀(441)과 지지홈(4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 인해 제1 체결부(420)가 하단지지부(41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부라켓고정부(400)는 픽스부재(442)과 픽스홀(441) 및 지지홈(413)을 통해 제1 체결부(420)가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의 하단지지부(411)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하여 제1 체결부(420)에 거치되는 회전부(403)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410), 회전지지부(410)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되는 제1 체결부(420), 다수 개의 회전부(403)가 안착되도록 하는 제2 체결부(430), 회전부(40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픽스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410)는 막대형태의 하단지지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420)는 하단지지부(411)에 안착되는 제1 체결홈(421), 회전부(403)가 안착된 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지지홈(422), 삽입형성부(431)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삽입홈(423) 및 제2 삽입홈(4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430)는 회전부(403)에 밀착되는 삽입형성부(431), 연결부(432), 탄성부(433) 및 결합돌기(434)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부(440)는 제1 체결부(420)를 관통하는 픽스홀(441), 픽스홀(441)과 회전지지부(4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제1 체결부(420)가 회전지지부(41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픽스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픽스부재(442)는 픽스부재(442)가 픽스홀(441)과 지지홈(413)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제 한하는 상단형성부(443), 픽스부재(442)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444), 픽스홀(441)과 지지홈(413)을 관통한 나선형 돌기(444)에 체결되어 픽스부재(442)가 픽스홀(441)과 지지홈(413)을 관통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형성부(443)는 픽스부재(442)가 픽스홀(441)에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더불어, 상단형성부(443)는 사용자가 상단형성부(443)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어, 나선형 돌기(444)에 고정부재(445)가 결합되거나 분리되기 위하여 픽스부재(442)이 회전되도록 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형성부(443)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컨베이어부(400)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선박장비를 이송하기 위한 작업지지대(401)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 하단지지부(411)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하단지지부(411)에 제1 체결부(420)의 제1 체결홈(421)을 통해 제1 체결부(42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전지지홈(422)에는 삽입형성부(431)가 연결부(4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삽입형성부(431)는 탄성부(433)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삽입형성부(431)는 탄성부(433)의 탄발력과 연결부(432)에 의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 울어지게 배치됨으로써, 삽입형성부(431)와 마주보는 삽입형성부(431)의 상호 거리가 회전부(40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403)가 삽입형성부(431)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탄성부(433)는 삽입형성부(431)에 탄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제2 삽입홈(424)에 고정되기 때문에 삽입형성부(431)가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탄성부(433)의 팽창하는 거리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부(433)는 삽입형성부(431)이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기울어진 상태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삽입형성부(431)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제1 체결부(420)가 유동되도록 하여 제1 체결부(420)에 안착될 회전부(403)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즉, 하단지지부(411)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1 체결부(420)의 상호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체결부(420)에 안착되는 회전부(403)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단지지부(411)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 제1 체결부(420)의 상호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한 후에는 픽스부(440)를 통해 제1 체결부(420)가 하단지지부(41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픽스부(440)의 픽스부재(442)이 제1 체결부(420)를 관통하는 픽스홀(441)과 회전지지부(410)의 지지홈(4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제1 체결부(420)가 회전지지부(41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다.
이때, 픽스부재(442)이 픽스홀(441)과 지지홈(4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픽스부재(442)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444)에 고정부재(445)를 체결함으로써 제1 체결부(420)는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제1 체결부(420)는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다른 제1 체결부와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체결부(420)의 제2 체결부(430)에 안착되는 회전부(403)와 다른 회전부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부(403)가 삽입형성부(431)에 안착될 경우, 회전부(403)의 무게에 의해 삽입형성부(431)을 가압함으로서, 탄성부(433)는 압축되게 되고, 삽입형성부(431)와 그의 마주보는 안착판의 상부는 회전부(403)를 사이에 두고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 면에 밀착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삽입형성부(431)의 하부는 제1 삽입홈(423)에 수용될 수 있고, 결합돌기(434)는 탄성부(433)와 함께 제2 삽입홈(424) 내부로 수용되게 될 수 있다.
즉, 삽입형성부(431)의 상부가 회전부(403)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회전부(403)가 회전지지홈(422) 상에서 회전되면서 작업지지대(401)의 폭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회전부(403)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선박장비가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될 수 있다.
더불어, 회전부(403)와 다른 회전부와의 상호 간격을 재 조정하기 위해서는 픽스부재(442)의 나선형 돌기(444)에서 고정부재(445)를 분리하고, 픽스부재(442)이 제1 체결부(420)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제1 체결부(420)를 하단지지부(411) 상에서 유동시킨 후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에 다시 고정시킴으로써, 회전부(403)와 다른 회전부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선박장비의 중량이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회전부간의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하고 재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컨베이어부(400)의 활용도를 높이고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회전부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선박장비의 지속적인 하중을 분산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용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선박장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부(400)의 일부 구성인 하단지지부(411)는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기둥부(4115)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지지부(411)는 제1 완충부(41122), 제2 완충부(4113), 외측형성부(4112) 및 공간형성부(41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41122)는 외측형성부(4112)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외측형성부(4112)의 중앙을 관통하며 위치하는 제2 완충부(4113)의 외측면을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완충부(41122)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완충부(41122)는 제1 완충부(411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인 본드 또는 테이프 등의 장치에 의해 외측형성부(4112)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완충부(411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는 외측형성부(4112)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완충부(41122)의 하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어 제1 완충부(41122)를 외측형성부(4112)의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완충부(4113)는 외측형성부(4112)의 중앙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동시에 외측형성부(411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측면 양단에 제1 완충부(41122)가 위치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부(4113)의 상단(41131) 및 하단(41132)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41131) 및 하단(41132)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완충부(4113)의 상단(41131)은 외측면이 자바라의 형상과 같이 '>'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수축 및 이완 구동할 수 있고, 제2 완충부(4113)의 하단(41132)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형성부(4112)의 내측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완충부(4113)의 상단(41131)의 양단은 자바라의 형상과 같이 '>'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41131)의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을 위하여 내부공간(41121)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형성부(411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막혀있는 반면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의 개방된 내측면에는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형성부(4112)의 개방된 상단은 공간형성부(41152)가 삽입하여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공간형성부(41152)의 외측면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려 회전함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외측형성부(4112)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완충부(41122) 또는 제2 완충부(4113)가 수축 및 이완함에 따라 함께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형성부(4112)의 재질은 일 실시예를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수축 및 이완하는 장치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41152)는 외측형성부(4112)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하단기둥부(4115)가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내부로 하단기둥부(4115)가 삽입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기둥부(4115)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부(433)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이 공간형성부(41152)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기둥부(4115)의 상단은 탄성부(433)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선박장비를 이송하는 경우 회전부(403)가 회전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측형성부(4112)와 탄성부(433)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자동화서버 및 점검서버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자동화서버 및 점검서버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박자동화 시스템
100: 선박
900: 점검서버

Claims (2)

  1. 다수 개의 선박장비가 내부에 마련된 선박을 점검하는,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선박과 통신하여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전력사용량을 포함한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상기 선박의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점검결과를 제공하는 점검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화서버; 및
    상기 자동화서버에서 생성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점검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선박의 상기 자동화서버와 통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박장비 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분류부에서 분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하여 누적한 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따른 점검결과 및 점검방법은 제안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은,
    상기 자동화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위치와 선박장비 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자동화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하고,
    상기 선박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점검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선박과 통신하여 상기 자동화서버로부터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수신한 상기 선박장비의 장비상태를 상기 선박의 설계와 비교하여 전력계통의 이상을 파악하고,
    상기 점검서버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점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점검서버가 제공하는 점검결과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를 클리닝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서버가 제공하는 점검결과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선박장비의 정상 작동을 점검하는 점검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사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서버에서 생성한 상기 다수 개의 선박장비의 장비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점검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는,
    자동화서버와 원격으로 제어되는 선박장비인 Automation Product, Other Electric parts, Switch Boards 및 Circuit breakers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의 내부로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선박장비를 지지하는 작업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막대형태의 하단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들의 사이 공간을 이루는 지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유동된 후 고정되며, 상기 하단지지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체결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회전부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 상에서 상기 작업지지대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 체결부가 고정되도록하여 상기 제2 체결부에 안착되는 상기 회전부와 다른 회전부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픽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부위에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부와 함께 상기 다수 개의 회전부가 안착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회전지지홈에 연결되고 'ㄴ'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부에 밀착되는 삽입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삽입형성부가 상기 회전지지홈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삽입형성부에 거치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회전지지홈과 상기 삽입형성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삽입형성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형성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제1 완충부;
    상단은 '>'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축 및 이완 구동하고,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막혀 있도록 형성되되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개방된 내측면에는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부를 고정하는 장치가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형성부; 및
    상기 외측형성부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가능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형성부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하여 상기 외측형성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려 회전하여 고정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제2 완충부의 외측면을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부는,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외측형성부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중앙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형성부의 내측 하단 중앙에 고정연결 되고,
    상기 외측형성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 완충부 또는 상기 제2 완충부가 수축 및 이완함에 따라 함께 수축 및 이완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중앙에 하단기둥부가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로 상기 하단기둥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단기둥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공간형성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단기둥부는,
    상단이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형성부와 상기 탄성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켜주는,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2. 삭제
KR1020210032329A 2021-03-11 2021-03-11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KR10227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29A KR102274635B1 (ko) 2021-03-11 2021-03-11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29A KR102274635B1 (ko) 2021-03-11 2021-03-11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35B1 true KR102274635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329A KR102274635B1 (ko) 2021-03-11 2021-03-11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226A (ko) * 2011-07-14 2013-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8637A (ko) * 2014-04-14 2015-10-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지지구를 갖는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226A (ko) * 2011-07-14 2013-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8637A (ko) * 2014-04-14 2015-10-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지지구를 갖는 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4341B2 (en) Solar tracking system employing multiple mobile robots
US20030160731A1 (en) System for remotely adjusting antennas
Anderson et al. Satellite ultraquiet isolation technology experiment (SUITE)
US20080310298A1 (en) Providing Bypass Switches to Bypass Faulty Nodes
US7183996B2 (en) System for remotely adjusting antennas
US8339899B2 (en)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 comprising modules associated with units connected to sensors, the modules being autonomous with respect to power supply, synchronisation and storage
US20170299740A1 (en) Land based unit for seismic data acquisition
KR102274635B1 (ko) 선박자동화 시스템 점검 방법
US20060150857A1 (en) Remote-controlled vehicle which travels on conductors and which can pass over obstacles by means of temporary support rotors
US10972649B2 (en) Infrared and visible imaging system for devic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WO2004023269A3 (en) Post-harvest non-containerized reporting system
JP2001522041A (ja) 海洋地震捕捉システム用の電力切替方法
CN111837450A (zh) 便携式自主载具连接性平台
JP2019530841A (ja) タワー制振装置
US11525933B2 (en) Wireless seismic acquisition node and method
US20050108114A1 (en) Inventory replenishment notification system
BRPI0917897A2 (pt) processo e instrumento de aquisição e recuperação de dados provenientes de satélites
US11519230B2 (en) Sensor unit for monitoring a tubular
FR2962589A1 (fr) Reperage de cablage dans un aeronef
Crandle et al. Tradeoffs between umbilical and battery power in ROV performance
US9291730B2 (en) Stress-relief device for geophysical equipment or node
US20070164030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application as a universal lid closure for underground landscape boxes
US20120106296A1 (en)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 comprising modules associated with units connected to sensors, the modules being autonomous with respect to power supply, synchronisation and storage
CN207816556U (zh) 一种自适应柔性支撑
Jones et al. A new high-precision and low-power GNSS receiver for long-term installations in remote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