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426B1 -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426B1
KR102274426B1 KR1020200110553A KR20200110553A KR102274426B1 KR 102274426 B1 KR102274426 B1 KR 102274426B1 KR 1020200110553 A KR1020200110553 A KR 1020200110553A KR 20200110553 A KR20200110553 A KR 20200110553A KR 102274426 B1 KR102274426 B1 KR 10227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ability
remote
user
information
difficu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4426B9 (en
Inventor
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가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바플러스 filed Critical (주)가바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1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4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26B1/en
Publication of KR10227442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26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a method therefor, and the purpose is to control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by a remote control method by voice or a remote controll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oice input unit i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of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The apparatus comprises a second remote transceiver which extracts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an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same to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or wirelessly transmi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configured to input the problem area, difficulty, or answer by drag-and-drop method using the existing mouse or touchpad and allows a single cognitive ability trainer to be used individually or by a group. Multiple users can conveniently use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매 예방 및 인지 재활을 위한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사용자가 문제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을 선택 입력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인지능력 훈련기에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문제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을 선택 입력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인지능력 훈련기를 개인형 또는 그룹형으로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a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selects and inputs a problem area, difficulty level, or answer in a drag-and-drop method using a mouse or a touchpad. I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implemented to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one or mor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s or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user's voice are used to select and input the problem area, difficulty level, or answer to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It relates to a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a single cognitive ability trainer to be selectively used as an individual or group type and simultaneously to be convenient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최근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인을 위한 실버 산업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의 건강 유지 또는 발병 확률이 높은 노인성 치매증의 예방, 조기발견 또는 재활치료를 위한 인지능력 훈련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As an aging society progresses as the average lifespan is recently extended, various silver industri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elderly. In particular, cognitive ability training programs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or preventing, early detection, or rehabilitation of senile dementia,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onset.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9714호(명칭: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하기로 함)에는 복수의 난이도 레벨을 갖는 수개의 문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 따라 상이한 난이도의 문제를 일정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자 수준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3-0099714 (Name: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system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several methods having a plurality of difficulty levels. A technique is known that can provide problems of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user level by storing the problems in a database and combining problems of different difficulty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selected by the user in a certain ratio.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복수의 등급 문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분야 및 등급의 인지 능력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훈련에 임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a plurality of grade problems corresponding to cognitive domains of various field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in various fields and grades to actively engage in training without feeling bored. made it possible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0925호(명칭: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장치,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하기로 함)에는 치매 예방 인지 훈련 프로그램과 연계해서 집중력, 기억력, 시지각, 지남력, 범주화, 상황판단 능력을 훈련시킬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0925 (name: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training devic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2') in connection with the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training program concentra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orientation Techniques are known that can train the ability to , categorize, and judge situations.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뇌활성화를 돕고, 노인들의 치매 예방과 경증 치매환자들의 인지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노인성 뇌질환으로 야기되는 인지력 손상에 대한 재활 훈련을 도울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t is possible to help brain activation, prevent dementia in the elderly and reduce cognitive decline i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reby helping rehabilitation training for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senile brain diseas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지 능력 증진 또는 훈련 시스템들에서는 훈련과정에서 학습자 또는 훈련자가 유형별 또는 난이도별 문제를 선택한 후 해당 문제의 답안을 입력하게 될 때, 마우스나 터치패드 등을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문제의 답안을 선택하여 매칭시키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답안 입력을 위해서는 마우스 클릭이나 손 터치로 원하는 답안을 선택하고 선택한 답안을 마우스나 손으로 드래그하여 해당 문제의 정답 영역 내에 답안을 드롭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답안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인지능력 훈련기로 단일 사용자만 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여러 명의 답안을 동시에 입력받아야만 하는 그룹용 인지능력 훈련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고비용을 들여 개발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임에도 불구하고 그 적용 범위 또는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However, in these conventional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or training systems, when a learner or trainee selects a problem by type or difficulty in the training process and then inputs an answer to the problem, the problem is solved by a drag-and-drop method using a mouse or a touchpad. Since it is implemented to select and match the answers of , in order to input an answer, select the desired answer with a mouse click or hand touch, drag the selected answer with the mouse or hand, and drop the answer within the correct answer area of the problem. Only then is it possible to enter answers. Therefore, only a single user can learn with one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it cannot be used for group cognitive training that requires multiple answers to be input at the same time. Or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its use.

KR 10-2013-0099714 A 2013.09.06. 공개KR 10-2013-0099714 A 2013.09.06. open KR 10-2014-0140925 A 2014.12.10. 공개KR 10-2014-0140925 A 2014.12.10. op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매 예방 및 인지 재활을 위한 인지능력 훈련기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이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문제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지능력 훈련기에서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하나의 인지능력 훈련기를 개인형 또는 그룹형으로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oblem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provided through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for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is one or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remote transmitter/receiver controllers or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user's voice,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configured to input the problem area, difficulty level, or answer by drag-and-drop method using the existing mouse or touchpa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solve the existing problems and allow a single cognitive ability trainer to be selectively used as an individual or a group type, and to be convenient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무선 통신부와 컨텐츠 저장부를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와의 통신으로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지능력 훈련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능력 훈련기의 제어장치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기기별 고유번호정보가 각각 부여되며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의 영역, 난이도, 및 답안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입력에 따른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인지능력 훈련기로 무선 송출하거나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표출하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능력 훈련기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로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무선 송출하는 제2원격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훈련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에서 무선 수신되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한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에서 무선 수신되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해당 원격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ent storage unit, and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receives and stores the contents, extracts and presents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scores points according to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to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In the control apparatus of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unit comprising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which proceeds and outpu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or transmi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interface unit is a voice Including a voice input unit for input, the control device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is given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the area, difficulty, and answer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to generat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key input and transmit wirelessly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together with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r to transmit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with their own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are received and expressed together,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based on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to determine the area or difficulty level by the remote user. and a second remote transceiver that extract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delivers it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or wirelessly transmi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cognitive training control unit includes the user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or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a nearby user, or the remote user's area based on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Alternatively, while extracting and presenting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by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nearby user, or the wireless reception from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Cognitive ability training is conducted for each user by scoring a score according to the remote user'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t is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or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unit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유/무선 통신부와 컨텐츠 저장부를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와의 통신으로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로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무선 송출하는 제2원격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인지능력 훈련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인지능력 훈련기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개인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그룹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에 대한 기기별 고유번호를 각각 설정하여 부여하고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각각 등록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 (b) 인지능력 훈련기가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인지능력 훈련을 위한 초기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2단계, (c) 인지능력 훈련기가 음성을 통해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영역 또는 난이도의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단계, (d) 인지능력 훈련기가 음성을 통해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면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음성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는 제4단계, 및 (e) 원격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해당 원격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방법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ent storage unit, and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receives and stores the contents, extracts and presents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scores points according to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to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that proceeds and outpu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or transmits it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least one remote transmitter/receiver controller by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A second remote that extracts unique number information an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or combine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with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wirelessly In the control method of a cognitive ability trainer including a transceiver, (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receives, registers and stores the voice information of a remote user for individual learning, or a remote user for group learning The first step of setting and assigning a unique number for each device for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to be used as a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of each, and registering and storing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each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respectively, (b) cognitive ability trainer A second step of loading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received or pre-stored from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outputting it as an initial screen or voice for cognitive training on the user interface unit, (c)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By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or through at least one of a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 based on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the region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remote user is extracted, and the corresponding region or difficult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voice output as Step 3, (d)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voice or at least one of a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based on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extract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a remote user,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The fourth step of performing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remote user based on voice or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by scoring a score according to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while outputting the screen or voice, and (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s for each remote user The fifth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as a user interface screen or voice, transmitting it to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combining it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t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It is a remote control method of cognitive ability trainer, including.

본 발명에 의하면, 인지능력 훈련기를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의 마우스나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하나의 인지능력 훈련기와 다수 사용자 간의 일대 다수형태의 인지능력 훈련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고비용으로 개발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하나의 인지능력 훈련기만으로도 다수의 사용자들이 그룹형으로 확장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can be conveniently used using a remote controller, a one-to-many type between one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multiple users, which could not be implemented by the drag-and-drop method using the existing mouse or touchpad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is possible, and therefor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developed at high cost can be expanded and used by multiple users in a group type with only one cognitive ability trainer, so that multiple users can conveniently use it at the same time be able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방법의 처리흐름을 예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gnitive ability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operational flowcharts illustrating the processing flow of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cognitive ability tr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지능력 훈련기의 원격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131)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구비한 인지능력 훈련기(100), 인지능력 훈련기(100)와 양방향에서 원격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지능력 훈련기(100)가 인지능력 훈련을 위해 필요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로 제시하고 제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답안을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선택 입력받아 개인별 인지능력을 훈련하도록 구현된 인지능력 훈련시스템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는 학교 등지에서 학습용도로 사용되거나 병원 등지에서 치매환자 학습용, 치매예방 학습용, 장애인 학습 훈련용, 어린이 인지훈련용, 일반환자의 뇌질환 훈련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영역별 또는 난이도별 문제와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보기 답안들로서, 영역별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영역별 및 난이도별 문제, 각 문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을 위한 답안 입력 영역, 및 각 문제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보기 답안에 관련된 문자 또는 이미지들이 영역별 및 난이도별로 그룹핑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일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cognitive ability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s voice input.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having a voice input unit 131 for the user interface unit 130 and a second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200a-200n ),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ordinators (200a-200n) that can remote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presen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to the user interface unit 130, and drag and drop the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resented content by the user using a mouse or a touchpad. It can be implemented by being applied to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system implemented to train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by receiving selective input in this way. Her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are used for learning purposes in schools, etc., or for learning dementia patients in hospitals, dementia prevention learning, learning training for the disabled, cognitive training for children, and brain disease training for general patients by area or difficulty level. As a problem and a plurality of example answers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a number of problems for each domain and difficulty level required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domain, an answer input area for inputting answers corresponding to each problem, and a plurality of answers corresponding to each problem Characters or images related to the answer may b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grouped by area and difficulty.

인지능력 훈련기(100)는 유/무선 통신부(110)와, 컨텐츠 저장부(12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131)가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 및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includ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 content storage unit 120 , a user interface unit 130 having a voice input unit 131 for user's voice input, and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 ), and a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

유/무선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으로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or transmits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 Transmits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컨텐츠 저장부(120)는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저장하고, 무선 수신되거나 직접 입력되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한다. The content storage unit 120 stores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management server 300, and is a device of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that are wirelessly received or directly input.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of each star is entered in advance and stor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131)가 구비되며,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거나 컨텐츠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화면으로 표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며 화면을 통한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 또는 음성을 통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여기서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일 수 있으며,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이용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일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30 includes a voice input unit 131 for a user's voice input, and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ies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or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20 . The training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by voice, and the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nearby user through the screen, or the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through the voice is input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ransmit Here, the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a nearby user may be an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using a mouse, keyboard, or touch pad, and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microphone, etc. It may be an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using a voice.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한 음성 등록모드, 또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초기 등록을 위한 조정기 등록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미리 설정된 별도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서 무선 송출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을 수행하는 원격 송수신 모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음성 입력부(131)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을 수행하는 음성 모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터치되는 근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접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을 수행하는 근접 터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 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미리 설정된 별도의 키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원격 송수신 모드 또는 음성 모드 또는 근접 터치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원격 수신되는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추출하여 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원격 수신되는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원격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is a voice registration mode for registering the user's voice, or a coordinator registration mode for initial registration of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a preset separate It can be set through a key input means, and also receives remote control signal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to extract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a remote user,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accordingly In a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for performing the above, or by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by voice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31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extracting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a remote user, and cognitive ability accordingly A voice mode for performing training, or a proximity touch mode for receiving a proximity control signal to be touch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extracting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a proximity user, and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accordingly It can be programmed to be selectively performed, and such an operation mode is to arbitrarily select any one of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the voice mode, or the proximity touch mode using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a preset separate key input means.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be settable. As a result,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uses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or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20 to the user interface. At least one of the region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input through the unit 130, the region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nput by vo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he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It is extrac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remotely from one, and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a nearby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input by vo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The remote user'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r the remote user'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remotely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mo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lers (200a-200n), the score is scored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training,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he second remote is output as a screen or vo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or combined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t transmits wirelessly through the transceiver 150 .

제2원격 송수신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무선 송출한다.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of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extracts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an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r by combin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wirelessly transmits.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기기별 고유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의 영역, 난이도, 및 답안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입력에 따른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인지능력 훈련기(100)로 무선 송출하거나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are each given a device-specific number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the area, difficulty, and answer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to enter the key.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is created and transmitted wirelessly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together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r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received along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designed to express

이러한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는 고유번호 저장부(210), 제1원격 송수신부(220), 키입력부(230), 표시부(240), 및 원격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se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are configured to include a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 a first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0 , a key input unit 230 , a display unit 240 , and a remote control unit 250 .

고유번호 저장부(210)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해 부여된 각 기기별 고유번호를 각각 저장한다.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stores a unique number for each device given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respectively.

제1원격 송수신부(220)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원격제어신호로 무선 송신하거나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전달한다.Th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o combine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 the remote control signal. Alternatively,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

키입력부(230)는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예를 들면 다수의 특수키와 문자키 및 번호키 등)를 구비하여 각 키입력에 따른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발생시켜 원격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이러한 키입력부(230)는 각각의 특수키와 문자키 및 번호키에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 입력을 위한 기능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특수키와 문자키 및 그와 함께 연달아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번호키 등의 조합으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영역 선택정보로는 문자키 'S'(section)와 영역 선택할 번호키, 난이도 선택정보로는 문자키 'L'(level)과 난이도 선택할 번호키, 답안 선택정보로는 다수 개의 보기답안을 문제의 번호 순서대로 앞번호부터 뒷번호 순으로 자동 입력하는 순차 입력방식과 다수 개의 보기 답안을 문제의 번호 순서없이 문제의 번호를 지정하여 무작위로 입력하는 무작위 입력방식으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으며, 순차 입력방식의 경우 제1특수키(*)와 선택 답안의 번호키, 무작위 입력방식의 경우 제2특수키(#)와 문자키 'Q'(question)와 선택 문제의 번호키와 문자키 'A'와 선택 답안의 번호키를 반복 사용하여 보기 답안을 각각 선택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key input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eg, a plurality of special keys, character keys, number keys, etc.) for selecting an area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or difficulty or answer, and a remote user's area according to each key input. Alternatively,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50 . In the key input unit 230, a function for inputting a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preset to each special key, character key, and number key, and each special key, character key and the same It will be possible to initially set the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a combination of number keys that are selectively input in succession. For example, as the area selection information, the letter key 'S' (section) and the number key to select the area, the letter key 'L' (level) and the number key to select the difficulty level as the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re multiple answer answers. It can be set up by dividing it into a sequential input method in which you automatically input from the front number to the last number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the question, and a random input method in which multiple answer answers are entered randomly by specifying the number of the question without the sequence of the number of the question. In the case of the input method, the first special key (*) and the number key for the selected answer, the second special key (#) and the letter key 'Q' (question) for the random input method, and the number key and the letter key 'A' for the selection problem It will be possible to set to select and input each answer by repeatedly using ' and the number key of the selected answer. Hereinafter, the case set as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표시부(240)는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와 원격 송수신상태 및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원격 제어부(250)는 키입력부(230)에서 전달되는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고유번호 저장부(210)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원격 송수신부(220)를 통해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무선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키입력부(230)에서 전달되는 각각의 특수키와 문자키 및 그와 함께 연달아 선택 입력되는 번호키 등으로 조합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고유번호 저장부(210)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부(250)에서는 키입력부(230)에서 문자키 'S'(section)와 영역 선택할 번호키가 연달아 입력되면 영역 선택정보로 인식하고, 문자키 'L'(level)과 난이도 선택할 번호키가 연달아 입력되면 난이도 선택정보로 인식하며, 제1특수키(*)와 답안 선택할 번호키가 연달아 입력되면 순차 입력방식의 답안 선택정보로 인식하고, 제2특수키(#)와 문자키 'Q'(question)와 문제 선택할 번호키와 문자키 'A'와 답안 선택할 번호키가 연달아 입력되면 무작위 입력방식의 문제와 답안 선택정보로 인식한다.The remot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by combining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230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to generate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 is transmitted wirelessly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hrough A remot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of 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 For example, in the remote control unit 250, when the letter key 'S' (section) and the number key to select an area are sequentiall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30, it is recognized as area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letter key 'L' (level) and difficulty are selected. When the number key is input consecutively, it is recognized as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first special key (*) and the number key to select an answer are input consecutively, it is recognized a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sequential input method, and the second special key (#) and character key When 'Q' (question), a number key to select a question, a letter key 'A', and a number key to select an answer are entered in succession, it is recognized as a random input method question and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또한 원격 제어부(250)에서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에서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240)로 출력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to receiv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from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240 .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 제어방법을 예시한 동작 처리 순서도로서, 음성 정보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등록하는 제1단계(a; S101-S106)와,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로딩하여 초기화면을 출력하는 제2단계(b;S201)와, 사용자의 음성입력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의 원격 제어신호를 통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c;S202-S210)와, 사용자의 음성입력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의 원격 제어신호를 통한 사용자의 답안 선택에 따라 훈련을 수행하는 제4단계(d;S211-S213), 및 훈련 결과를 제시하는 제5단계(e;S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 흐름은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미리 설정된 별도의 키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원격 송수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2A and 2B are an operation processing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cognitive ability tr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a; S101) of registering voice information or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a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S106), the second step (b; S201) of load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and outputting the initial screen, and extrac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or the selection of the area or difficulty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A third step (c; S202-S210) of outputting the above,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user's answer selection through the user's voice input or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d; S211-S213), and a fifth step (e; S214) of presenting the training result, and this operation flow is performed by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using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a separate preset. It can be performed in a state set to operate in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by using the key input means of

제1단계(a)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개인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그룹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 대한 기기별 고유번호를 각각 설정하여 부여하고,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 부여된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에 각각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S101-S106)이다.In the first step (a),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registers and stores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for individual learn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remote control for group learning A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for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to be used as a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is set and assigned, and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is recognized It is a step (S101-S106) of registering and storing each in th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제2단계(b)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에서 수신되거나 컨텐츠 저장부(120)에 기저장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인지능력 훈련을 위한 초기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201)이다.In the second step (b),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or pre-stored in the contents storage unit 120 . It is a step of loading and outputting an initial screen or voice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to the user interface unit 130 (S201).

제3단계(c)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음성을 통해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영역 또는 난이도의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202-S210)이다.In the third step (c),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based on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r through voice. It is a step (S202-S210) of receiving, extracting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a remote user, and outputting the content of the area or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creen or voice to the user interface unit (S202-S210).

제4단계(d)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음성을 통해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상기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한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면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음성 또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는 단계(S211-S213)이다.In the fourth step (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is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based on voice or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remote user based on voice or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control signals, extracting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remote users, and outputting them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voice, and scoring points according to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t is a step in progress (S211-S213).

제5단계(e)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원격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거나 해당 원격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로 무선 송출하는 단계(S214))이다. In the fifth step (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outpu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remote user as a user interface screen or voice, or 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A step of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or combining it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t to each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unit 150 (S214)).

여기서 제1단계는 (a1) 원격 송수신 조정기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 대한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등록하는 단계(S101-S103), 및 (a2) 음성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S104-S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격 송수신 조정기 등록모드 및 음성 등록모드는 선, 후 진행 순서가 특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first step is (a1) when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registration mode is selected, each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for each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is received and sequentially registered (S101-S103), and (a2) ) when the voice registration mode is selected, receiving and registering the user's voice information (S104-S106). The order of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registration mode and voice registration mode is not specified.

제3단계는 (c1)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음성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음성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신호를 기등록된 음성신호와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기등록된 사용자 음성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2-S205), (c2) 인지능력 훈련기(100)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가 원격 송수신모드에서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와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S206-S208), 및 (c3) 상기 추출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209,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원격 송수신 모드에서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사용자에 의한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는 각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되고 원격 제어신호로서 제1원격 송수신부(220)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In the third step (c1),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31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in the voice mode, and the received voice Comparing the signal with the pre-registered voice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voice signal matches the pre-registered user voice signal, and extracting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remote user from the input voice signal if they match (S202- S205), (c2)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wirelessly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in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from the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Steps (S206-S208) of extracting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remote user and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respectively (S206-S208), and (c3) extract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extracte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unit It is made including the steps (S209 and S210) of outputting the screen or voice through (130). In this case, in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it is possible to input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y a remote us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and the inputte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nd They are combined together and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as a remote control signal.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유/무선 통신부(110)와 컨텐츠 저장부(120)를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거나 컨텐츠 저장부(120)에 기저장된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입력되는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입력되거나 터치 입력되는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무선 송출하는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포함하는 인지능력 훈련기(100)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ent storage unit 120 to receive from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or a content storage unit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necessary for cognitive training stored in 120 are voic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r touch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While extracting and presenting according to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a score is scored according to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nputted by voice or touch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and each user Cognitive ability training in which cognitive ability training is performed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is output as a screen or vo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by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and extracting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an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being appli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including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상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gnitive ability trainer and the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인지능력 훈련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음성 입력부(131)를 통해 원격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음성정보를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에 개인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등록 및 저장한다.First,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the remote user'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31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and receives the input user voice information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for personal learning. It is registered and saved as a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또한 인지능력 훈련기(100)는 그룹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를 준비하여 그 각각에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기기별 고유번호를 각각 설정하여 고유번호 저장부(210)에 부여(저장)하고,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가 제1원격 송수신부(220)를 통해 각각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무선 송출하여 인지능력 훈련기(100)에 전송한다. 인지능력 훈련기(100)는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에 그룹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등록 및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prepares a plurality of remo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lers 200a-200n to be used as a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group-type learning, and each device has a unique number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Each is set and given (stored) to 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and each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200a-200n) wirelessly transmits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through the first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0 to recognize the ability It is transmitted to the trainer 100 .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wirelessly receives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each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unit 150 to provid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for group-type learning. It is registered and saved as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상기와 같이 개인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사용자의 음성정보 및 그룹형 학습을 위한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각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가 등록 및 저장되면,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유/무선 통신부(110) 및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직접 수신하거나 컨텐츠 저장부(120)에 기저장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화면 또는 음성으로 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음성 입력부(131)를 통해 음성으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가 입력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가 입력되는지,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화면 또는 음성으로 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voice information to be used as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dividual learning and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of each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200a-200n) to be used as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group-type learning When the information is registered and store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to perform cognitive ability training. The required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is directly received or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20 is loaded and presented as a screen or voic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 and the voice input unit 131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 ) whether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by voice, or the adjacent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at least one of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It is checked whether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and presen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30 as a screen or voice.

이때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음성 모드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기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정보가 기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정보신호와 일치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른 영역 또는 난이도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반면에 원격 송수신 모드인 경우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제1원격 송수신부(220)에서 무선 송출된 원격 제어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와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그 추출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른 영역 또는 난이도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with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in the case of the voice mode, and the input voic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voice information signal of the registered user If they match,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put voice signal,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of the area or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extracte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is displayed. or output by voice. On the other hand, in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and device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0 of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Each unique number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of the area or difficulty according to the extracte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output as a screen or voic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

이러한 상태에서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음성 입력부(131)를 통해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가 음성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근접 터치로 입력되는지, 또는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원격 송수신부(220)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입력된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면서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한다. 이때에도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기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정보가 기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정보신호와 일치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점수 채점 및 훈련을 수행하며,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제1원격 송수신부(220)에서 무선 송출된 원격 제어신호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와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점수 채점 및 훈련을 수행한다. In this stat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s input by voice or by a proximity touch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31 of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h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200a -200n), it is checked whether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s input from the at least on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is performed while scoring a score according to the input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Even at this time,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with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if the input voice information matches the voice information signal of the registered user, input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is extracted from the voice signal, scoring and training are performed, and the answer of the remote user is obtain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of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By extracting selection information and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respectively, score scoring and training are performed.

이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예를 들면 정답 유/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저장하게 하거나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다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 중의 해당 기기로 무선 송출한다.Thereafter,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eg, correct answer presence/non-existence) is out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and stored in the server. or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in combination with the user's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to transmit wirelessly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s 200a-200n.

상기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수신한 해당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부여된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와 함께 수신되는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기반으로 수신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표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인지능력 훈련 결과를 원거리에서 자신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를 통해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that has receive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ransmit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which is received along with its own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for each device. By receiving based on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and expressing it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the user can easily and directly check his/her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from a distance through his/her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which ar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rans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유/무선 통신망 100 : 인지능력 훈련기
110 : 유/무선 통신부 120 : 컨텐츠 저장부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1 : 음성 입력부
140 :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 150 : 제2원격 송수신부
200a-200n : 원격 송수신 조정기 210 : 고유번호 저장부
220 : 제1원격 송수신부 230 : 키입력부
240 : 표시부 250 : 원격 제어부
300 :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
50: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cognitive ability trainer
110: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content storage unit
130: user interface unit 131: voice input unit
140: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50: second remote transceiver unit
200a-200n: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10: unique number storage unit
220: first remote transceiver 230: key input unit
240: display unit 250: remote control
300: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Claims (9)

삭제delete 유/무선 통신부(110)와 컨텐츠 저장부(120)를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으로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인지능력 훈련기(100)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훈련기의 제어장치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기기별 고유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의 영역, 난이도, 및 답안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입력에 따른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상기 인지능력 훈련기(100)로 무선 송출하거나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표출하는 다수 개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능력 훈련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의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추출하여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무선 송출하는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한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서 무선 수신되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선택정보에 따라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한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근접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에서 무선 수신되는 기기별 고유번호정보 기반의 원격 사용자의 답안 선택정보에 따라 점수를 채점하여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을 진행하고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거나 해당 원격 사용자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조합하여 제2원격 송수신부(150)를 통해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격 송수신 조정기(200a-200n)는,
타 기기와의 식별을 위한 기기별 고유번호가 각각 부여되어 저장되는 고유번호 저장부(210);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함께 무선 송신하거나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원격 송수신부(220);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입력에 따른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를 발생시켜 원격 제어부(250)로 전달하는 키입력부(230);
원격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와 원격 송수신상태 및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40); 및
키입력부(230)에서 전달되는 원격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고유번호 저장부(210)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와 조합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원격 송수신부(220)를 통해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로 무선 송출하거나 인지능력 훈련 제어부(14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별 인지능력 훈련 결과정보를 자신의 기기별 고유번호정보를 기반으로 수신하여 표시부(240)로 출력하는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It ha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ent storage unit 120 to communicate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to receive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ceive and store, extract and present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and score points according to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Includes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hat performs training and outputs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ransmits it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In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is provided with a unique number for each device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and has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the area, difficulty, and answer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so that the remote user can It generate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wirelessly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together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r receives and displays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along with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A plurality of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s (200a-200n); includ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er 10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extracts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and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 140) or a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user interface unit 130 includes a voice input unit 131 for voice input,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r the nearby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or the at least one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ler 200a-200n wirelessly received by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While extracting and presenting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pecific number information, the remote user'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he proximity user's Cognitive ability training is conducted for each user by scoring a score according to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r the remote user'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The result information is output as voice or scr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r transmit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 or combined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remote user.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wirelessly through the second remote transceiver 150,
The remote transceiver controller (200a-200n) is,
a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in which a unique number for each device is assigned and stored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 devices;
A first remote transceiver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to wirelessly transmit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ir device-specific unique number information or to receive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220);
a key input unit 230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an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of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to generate and transmit information on a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level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key input to the remote control unit 250;
a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the remot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and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remote transceiver 220 by combining the remot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230 with the device-specific number information of the unique number storage unit 210 to generate a remote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receiving cognitive ability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that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140 or transmitted from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rol unit 140 based on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240 . Control unit 250;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는,
영역별 인지능력 훈련에 필요한 다수의 영역별 및 난이도별 문제;
각 문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을 위한 답안 입력 영역; 및
각 문제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답안에 관련된 문자 또는 이미지들이 영역별 및 난이도별로 그룹핑된 인지능력 훈련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A number of domain-specific and difficulty-specific problems required for domain-specific cognitive training;
an answer input area for inputting answers corresponding to each question; and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 or images related to a plurality of answers corresponding to each problem ar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s grouped by area and difficult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사용자의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영역 또는 난이도 또는 답안 선택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s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user,
Cognitive ability trainer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r difficulty or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using a mouse, keyboard, or touch p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10553A 2020-08-31 2020-08-31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KR102274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53A KR102274426B1 (en) 2020-08-31 2020-08-31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53A KR102274426B1 (en) 2020-08-31 2020-08-31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426B1 true KR102274426B1 (en) 2021-07-07
KR102274426B9 KR102274426B9 (en) 2021-10-27

Family

ID=7686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53A KR102274426B1 (en) 2020-08-31 2020-08-31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42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714A (en) 2012-02-29 2013-09-06 김태유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40925A (en)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넷블루 Recognition training device for preventing dementia
KR20170127123A (en) * 2016-05-11 2017-11-21 (주)메디즈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KR20180085602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이드웨어 Device for assisting in performing brain train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dementia, and application for executing it
KR20200070632A (en)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Train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714A (en) 2012-02-29 2013-09-06 김태유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40925A (en)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넷블루 Recognition training device for preventing dementia
KR20170127123A (en) * 2016-05-11 2017-11-21 (주)메디즈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KR20180085602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이드웨어 Device for assisting in performing brain train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dementia, and application for executing it
KR20200070632A (en)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Train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426B9 (en)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6582A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dapted to personalize language learning to individual users
EP1118974A1 (en) System, apparatus an dmethod for maximiz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arning, retaining and retrieving knowledge and skills
JP2015508296A (en)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Prendiville Developing facilitation skills: A handbook for group facilitators
JP2015503117A (en)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learning method providing system, and learning apparatus
KR101387075B1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Sigafoos et 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ch et al. Gesturing meaning: non-action words activate the motor system
KR102274426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recognition ability trainer and thereof method
KR100983109B1 (en) English vocabulary memory system and online english vocabulary memory method
Perham et al. Distraction of mental arithmetic by background speech
KR20190007679A (en)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spatial perception game
KR101080092B1 (en)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 and installation using thereof
JP2007003691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KR102083787B1 (en) System for cognitive learning of infirm
KR100824313B1 (en) Studying cadence robot where hri techniques in compliance with a teacher intervention from classroom environment are applied
JP7410725B2 (en) Management devices, methods and programs
JP2004258403A (en) Learning system
KR20210079802A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brain development application, keyboard
KR101804703B1 (en) Table typ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object recongnition
EP3614330A1 (en)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binary principle, and method therefor
KR20150072937A (en)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90085570A (en)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KR102381309B1 (en) User's emotion expression system about interpretation of ar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1067B1 (en) Teaching system for training teacher of after school classes us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