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27B1 - 전기 전송매체 - Google Patents

전기 전송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27B1
KR102274227B1 KR1020190152939A KR20190152939A KR102274227B1 KR 102274227 B1 KR102274227 B1 KR 102274227B1 KR 1020190152939 A KR1020190152939 A KR 1020190152939A KR 20190152939 A KR20190152939 A KR 20190152939A KR 102274227 B1 KR102274227 B1 KR 10227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arallel
twisted
iron core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569A (ko
Inventor
신양철
Original Assignee
신양철
주식회사 골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철, 주식회사 골든피아 filed Critical 신양철
Priority to KR102019015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2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송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를 전송하는 복수의 도선을 서로 꼬임 연결하여 된 도선복합체(10) 및 상기 도선복합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도선복합체와 연결되는 철심(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의 철심과 도선복합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도선복합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철심에 의해 최대한 증폭되면서 전류가 전송되도록 하되, 특히, 도선복합체를 한 쌍의 평행한 제1, 2평행도선과, 이들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꼬아서 서로 일정한 패턴의 얽힘을 갖도록 하는 제1, 2꼬임도선으로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이러한 도선복합체가 철심의 외측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나선 권취되어 전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전기 전송시 전력의 위상 지연이나 전압 강하가 최소화됨은 물론 이러한 전송 매체에 대해 길이 방향의 잡아당김 등의 외력이 부하되어도 그 전체 형상의 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진폭 감쇠의 저감 강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전송매체{ELECTRIC TRANSMISSION MEDIA}
본 발명은 전기 전송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전송시 전력의 위상 지연이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기 전송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나 전력을 전송로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로가 갖는 저항 성분이나 인덕턴스 성분에 기인하여 수신측이나 수전측에서 수신한 신호나 전력은 송신 신호(입력)에 대하여 전압이 강하하고(진폭이 감쇠함), 또한 위상이 지연되게 되어 전송 특성이 열화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위상 지연이나 전압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여 전송 특성을 가장 좋게 하도록 전송로의 구성을 설계하는 것은 최대의 과제이다.
특히, 고주파 신호의 전송시에는 전송로에 존재하는 부유 용량이나 인덕턴스, 표피 효과나 유전손실 등에 의한 손실이나 주파수 분산 등의 영향이 커지고 신호 열화가 현저해져서 장거리 전송의 경우에는 도중에 신호 증폭하는 중계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 열화에 의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 송신측의 송신 파형을, 미리 손실에 의한 파형 열화를 고려하여, 그만큼을 보상한 파형으로 하기 위한 이퀄라이저를 설치하는 구성이 실용화되어 있지만 이퀄라이저로 인한 비용 상승, 구성의 복잡화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호를 신호 열화가 현저한 고주파 성분과, 열화가 적은 저주파수 성분으로 분리해 대응하는 기술도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신호를 평면 패턴이 편평한 디귿자 형상을 나타내는 파형 열화 보상부에 의해 저주파 성분과 고주파 성분으로 분리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고주파 성분이 용량에 대하여 임피던스가 작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배선간 용량을 이용한 고주파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이 고주파 전송 경로에 의해 고주파 성분을 분리하는, 한편, 저주파 성분에 관해서는 그 경로를 도체 선로로 구성한 저주파 전송선 경로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고주파 전송 경로보다 소정량만큼 긴 저주파 전송선 경로측에 저주파 성분을 경유시킴으로써, 즉, 고주파 전송 경로와의 사이에 전송의 시간차를 형성하여 저주파 성분보다 고주파 성분을 일찍 전송함으로써 파형 열화를 보상할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결과를 합성함으로써 신호 파형 열화를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구성의 파형 열화 보상 전송로에 관한 종래 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이러한 신호 열화는 집적 회로의 배선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면, 기가 헤르츠 이상의 클럭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집적 회로에서는 배선의 인덕턴스 성분뿐만 아니라 리턴 전류의 경로로서의 그라운드의 영향이 커지고, 즉,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 부유 용량이나 인덕턴스가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큰 문제가 되며, 리턴 전류는 배선의 주파수 특성에 강하게 의존하게 되어 반드시 그라운드를 통과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전송로를 통해 고주파수 신호가 전송될 때에는 전송 특성이 열화하여 출력단에서의 전압 레벨의 저하나 위상의 지연이 더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로에서 전송되는 신호 품질은 전송로 자체가 갖는 저항 성분, 용량 성분, 인덕턴스 성분의 영향을 받고, 특히 고주파 전송에서는 이들 성분의 부유 성분이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신호의 진폭 감쇠(전압 강하), 위상 지연(지연)이 매우 커져 전송 특성의 평가 파라미터로서의 아이 패턴이 크게 무너지게 되면서 신호전송의 최대의 과제로 남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서는 2개의 전송로를 통해 원래는 위상 편차가 없는 각각 상이한 신호가 상이한 전송 특성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전송로의 전송 주파수 특성의 차이에 기인하여 양쪽 신호에 위상차가 생기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빠른 쪽의 신호(위상 지연이 적은 신호)를 지연기에 의해 지연시켜서 양쪽 신호의 위상차를 보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부러 지연 시간이 적은 신호의 위상을 지연이 큰 신호의 위상에 맞출 필요가 있어 절대적인 신호 전송의 고속화 방향에는 반하는 것이었다.
또한, 주로 전송로의 저항 성분에 기인하는 진폭 열화(전압 강하)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고, 전송 도중에 중계기에 내장시킨 증폭기에서 진폭을 증폭시키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나쁜 특성에 맞추기 위해서 좋은 특성을 고의로 악화시켜 보상한다는 소극적인 대책밖에 강구되지 않아서, 전송로를 통한 전송시의 신호 열화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일본 특개 제2004-29753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전송로를 통한 전송시의 신호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별도의 철심과 도선복합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도선복합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철심에 의해 최대한 증폭되면서 전류가 전송되도록 하되, 특히, 도선복합체를 한 쌍의 평행한 제1, 2평행도선과, 이들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꼬아서 서로 일정한 패턴의 얽힘을 갖도록 하는 제1, 2꼬임도선으로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이러한 도선복합체가 철심의 외측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나선 권취되어 전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전송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는 전기를 전송하는 복수의 도선을 서로 꼬임 연결하여 된 도선복합체; 및 상기 도선복합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도선복합체와 연결되는 철심;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 상기 제1평행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 및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제2평행도선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며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상기 제1꼬임도선의 꼬임 방식과 대칭되게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꼬임도선은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브이자(V)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꼬임도선은 상기 제1꼬임도선과 마주보는 역브이자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2꼬임도선은 서로 대칭되는 브이자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엑스자(X) 형상으로 겹치는 겹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겹침부에서는 상기 제1, 2꼬임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다른 하나의 도선상에 놓이는 위치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 상기 제1평행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 및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싸고 나서 상기 제2평행도선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상기 제1꼬임도선의 꼬임 방식과 대칭되게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꼬임도선은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블유(W)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꼬임도선은 상기 제1꼬임도선과 마주보는 역더블유자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2꼬임도선은 서로 대칭되는 더블유자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엑스자(X) 형상으로 겹치는 겹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겹침부에서는 상기 제1, 2꼬임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다른 하나의 도선상에 놓이는 위치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 상기 제1평행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 상기 제1, 2평행도선 사이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들과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평행도선; 및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중간평행도선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중간평행도선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평행도선 및 중간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상기 제2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중간평행도선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중간평행도선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평행도선 및 중간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꼬임도선은 상기 제1평행도선 및 중간평행도선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블유(W)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꼬임도선은 상기 제1꼬임도선과 주기가 일정간격 엇갈려 마주보는 역더블유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철심은 권취되는 상기 도선복합체가 상기 철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도선복합체가 상기 철심의 중심축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권취되는 상기 도선복합체의 나선경로를 따라 상기 도선복합체의 폭넓이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전송매체는 별도의 철심과 도선복합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도선복합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철심에 의해 최대한 증폭되면서 전류가 전송되도록 하되, 특히, 도선복합체를 한 쌍의 평행한 제1, 2평행도선과, 이들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꼬아서 서로 일정한 패턴의 얽힘을 갖도록 하는 제1, 2꼬임도선으로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이러한 도선복합체가 철심의 외측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나선 권취되어 전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전기 전송시 전력의 위상 지연이나 전압 강하가 최소화됨은 물론 이러한 전송 매체에 대해 길이 방향의 잡아당김 등의 외력이 부하되어도 그 전체 형상의 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진폭 감쇠의 저감 강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의 철심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의 철심에 스톱퍼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실험예로서, 10a는 도 3의 전송매체가 설치된 태양광 모듈과 일반 전선이 설치된 태양광 모듈의 비교실험을 위한 제품설치 사진이고,
10b는 10a의 제품설치구성도이고,
10c, 10d는 시험결과 데이터로서 10c는 전력량이고, 10d는 전압에 대한 것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도 1의 전송매체)과 일반도선과의 실험예에 대한 시험평가서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는 도선복합체(10) 및 철심(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선복합체(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도선은 심선에 피복이 감싸여진 이른바 피복전선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도선복합체(10)는 전기를 전송하는 복수의 도선을 서로 꼬임 연결하여 된 것으로써, 상기 도선복합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11)과, 상기 제1평행도선(11)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12) 및 상기 제1평행도선(1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제1평행도선(11)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제2평행도선(12)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1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제2평행도선(12)의 외주면 외측을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11)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1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제1평행도선(11)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2평행도선(11,12)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며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13)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선복합체(10)는 상기 제1꼬임도선(13)의 꼬임 방식과 대칭되게 상기 제1, 2평행도선(11,12)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14)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꼬임도선(13)은 상기 제1, 2평행도선(11,12)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브이자(V)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꼬임도선(14)은 상기 제1꼬임도선(13)과 마주보는 역브이자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꼬임도선(13,14)은 서로 대칭되는 브이자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11,12)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엑스자(X) 형상으로 겹치는 겹침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겹침부(15)에서는 상기 제1, 2꼬임도선(13,14)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다른 하나의 도선상에 놓이는 위치(즉, 도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꼬임도선(13)이 제2꼬임도선(14)의 상부에 위치됨)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철심(20)은 상기 도선복합체(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도선복합체(10)와 연결되는 산화철 재질의 사각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철심(20)은 원통형 또는 타원형 등의 환상형의 막대구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철심(20)은 권취되는 상기 도선복합체(10)가 상기 철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도선복합체(10)가 상기 철심(20)의 중심축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철심(2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안착홈(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도 5에서와 같이, 권취되는 상기 도선복합체(10)의 나선경로를 따라 상기 도선복합체(10)의 폭넓이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톱퍼(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전송매체는 일반적인 고주파 신호의 전송로가 부유 인덕턴스와 부유 용량, 또는 저항 성분과 같은 등가적으로 분포 정수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시에는 반드시 위상의 지연이나 진폭 감쇠(전압 강하)가 생겨서 신호 파형의 열화가 생기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복수의 도선을 얽기고 ??기도록 서로 꼬아서 된 상기 도선복합체(10)에 의해 도선간의 전력누수가 최소화되고, 이에 더해, 상기 도선복합체(10)를 철심(20)의 외주면에 권취시키는 방식을 통해 도선복합체(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철심에 의해 최대한 증폭되면서 전류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 또한 전력누수를 방지하여 원활한 전기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선복합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선복합체(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31)과, 상기 제1평행도선(31)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32) 및 상기 제1평행도선(31)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싸고 나서 상기 제2평행도선(32)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32)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31)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31)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2평행도선(31,32)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33)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선복합체(30)는 상기 제1꼬임도선(33)의 꼬임 방식과 대칭되게 상기 제1, 2평행도선(31,32)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34)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꼬임도선(33)은 상기 제1, 2평행도선(31,32)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블유(W)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꼬임도선(34)은 상기 제1꼬임도선(33)과 마주보는 역더블유자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꼬임도선(33,34)은 서로 대칭되는 더블유자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31,32)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엑스자(X) 형상으로 겹치는 겹침부(35)를 형성하고, 상기 겹침부(35)에서는 상기 제1, 2꼬임도선(31,32)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다른 하나의 도선상에 놓이는 위치(즉, 도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꼬임도선(33)이 제2꼬임도선(34)의 상부에 위치됨)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선복합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선복합체(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41)과, 상기 제1평행도선(41)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42)과, 상기 제1, 2평행도선(41,42) 사이에서 상기 제1, 2평행도선(41,42)들과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평행도선(43) 및 상기 제1평행도선(41)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중간평행도선(43)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중간평행도선(43)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41)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41)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평행도선(41) 및 중간평행도선(43)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44)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선복합체(40)는 상기 제2평행도선(42)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중간평행도선(43)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중간평행도선(43)의 외주면을 2중으로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4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평행도선(42)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평행도선(42) 및 중간평행도선(43)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45)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꼬임도선(44)은 상기 제1평행도선(41) 및 중간평행도선(43)의 외주면과 꼬이면서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블유(W)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꼬임도선(45)은 상기 제1꼬임도선(44)과 주기가 일정간격 엇갈려 마주보는 역더블유 형상이 연속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송매체는 별도의 철심과 도선복합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도선복합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철심에 의해 최대한 증폭되면서 전류가 전송되도록 하되, 특히, 도선복합체를 한 쌍의 평행한 제1, 2평행도선과, 이들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꼬아서 서로 일정한 패턴의 얽힘을 갖도록 하는 제1, 2꼬임도선으로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이러한 도선복합체가 철심의 외측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나선 권취되어 전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전기 전송시 전력의 위상 지연이나 전압 강하가 최소화됨은 물론 이러한 전송 매체에 대해 길이 방향의 잡아당김 등의 외력이 부하되어도 그 전체 형상의 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진폭 감쇠의 저감 강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실험예 1
도 3의 전송매체(AIT)를 일반 도선과 동일한 조건으로 태양광 모듈에 설치하여 태양전지의 출력량을 2014.3.21.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후 12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대전대학교 응용과학관 옥상에서 측정하였다.(도 10a 내지 10d 참조)
측정결과 약 20% 정도의 전력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도 3의 전송매체(AIT)를 코아에 감은 도 1의 전송매체를 일반 도선과 동일한 조건으로 태양광 모듈에 설치하여 태양전지의 출력량을 측정하였다.(도 11a 내지 11 d 참조)
측정결과 본발명의 전송매체(With AIT 모듈)이 without AIT 모듈보다 최소 207.1%에서 최대 300.8%까지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10 : 도선복합체 11 : 제1평행도선
12 : 제2평행도선 13 : 제1꼬임도선
14 : 제2꼬임도선 20 : 철심
21 : 안착홈 22 : 스톱퍼
30 : 도선복합체 31 : 제1평행도선
32 : 제2평행도선 33 : 제1꼬임도선
34 : 제2꼬임도선 40 : 도선복합체
41 : 제1평행도선 42 : 제2평행도선
43 : 중간평행도선 44 : 제1꼬임도선
45 : 제2꼬임도선

Claims (5)

  1. 삭제
  2. 전기를 전송하는 복수의 도선을 서로 꼬임 연결하여 된 도선복합체; 및
    상기 도선복합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도선복합체와 연결되는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도선복합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연장되는 제1평행도선;
    상기 제1평행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평행도선; 및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고 나서 상기 제2평행도선으로 향한 후 다시 상기 제2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싼 다음 다시 상기 제1평행도선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평행도선의 외주면 외측을 감싸는 패턴이 연속해서 반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며 진행되는 제1꼬임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송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복합체는 상기 제1꼬임도선의 꼬임 방식과 대칭되게 상기 제1, 2평행도선의 외주면과의 꼬임이 행해지면서 진행되는 제2꼬임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송매체.
  4. 전기를 전송하는 복수의 도선을 서로 꼬임 연결하여 된 도선복합체; 및 상기 도선복합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진행되도록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도선복합체와 연결되는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철심은 권취되는 상기 도선복합체가 상기 철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송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도선복합체가 상기 철심의 중심축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송매체.



KR1020190152939A 2019-11-26 2019-11-26 전기 전송매체 KR10227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39A KR102274227B1 (ko) 2019-11-26 2019-11-26 전기 전송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39A KR102274227B1 (ko) 2019-11-26 2019-11-26 전기 전송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69A KR20210064569A (ko) 2021-06-03
KR102274227B1 true KR102274227B1 (ko) 2021-07-07

Family

ID=7639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39A KR102274227B1 (ko) 2019-11-26 2019-11-26 전기 전송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2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538A (ja) 2003-03-27 2004-10-21 Hitachi Ltd 波形劣化補償伝送線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icおよび高速信号送受信装置
JP2010081185A (ja) * 2008-09-25 2010-04-08 Oki Electric Ind Co Ltd 方向性結合器及び送受信機
US20110140823A1 (en) 2009-12-15 2011-06-16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module
JP2016197974A (ja) 2015-04-06 2016-11-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装部材付配線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538A (ja) 2003-03-27 2004-10-21 Hitachi Ltd 波形劣化補償伝送線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icおよび高速信号送受信装置
JP2010081185A (ja) * 2008-09-25 2010-04-08 Oki Electric Ind Co Ltd 方向性結合器及び送受信機
US20110140823A1 (en) 2009-12-15 2011-06-16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module
JP2016197974A (ja) 2015-04-06 2016-11-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装部材付配線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69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601B2 (en) Data transmission connector system with free floating potential ring
JP5865481B2 (ja) シールドスターカッドケーブル
JP5704127B2 (ja) 多対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
US20080173464A1 (en) Shielded flat pair cable with integrated resonant filter compensation
WO2012078489A1 (en) Twinax cable design for improved electrical performance
KR20070101202A (ko)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유도 커플러의배열
US8269592B1 (en) Pulse transformer
JP4335974B1 (ja) 伝送媒体
KR102274227B1 (ko) 전기 전송매체
US4593153A (en) Power transmission cable, such as loudspeaker cable
US20040040736A1 (en) Shielded cable
WO2010073315A1 (ja) 伝送装置
US5770992A (en) Transformer with overshoot compensation coil
US20070008075A1 (en) Signal coupling device
CN1321425C (zh) 反射型电涌抑制电缆
US7268444B2 (en) Feed line structure
KR101756254B1 (ko) 실드를 포함하는 스타-쿼드 케이블
CN111937229A (zh) 用于传输电磁波信号的波导
KR101823236B1 (ko) 공통 모드 필터
JP4292274B2 (ja) 小振幅作動信号用回路
JP5024969B2 (ja) 反射特性利用による高速・長距離伝送システムおよびイコライザ
CN203774010U (zh) 一种防止共模信号干扰的电缆屏蔽改良结构
CN107545955A (zh) 差分信号传输用电缆以及多芯差分信号传输用电缆
US3453494A (en) Neutralizing transformers
KR20230068501A (ko) 이더넷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