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93B1 -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93B1
KR102273593B1 KR1020200085357A KR20200085357A KR102273593B1 KR 102273593 B1 KR102273593 B1 KR 102273593B1 KR 1020200085357 A KR1020200085357 A KR 1020200085357A KR 20200085357 A KR20200085357 A KR 20200085357A KR 102273593 B1 KR102273593 B1 KR 10227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ccessful bid
transaction medium
requirement information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족민의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족민의달배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구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가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제공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판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낙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SUMER-ORIENTED TRADING MEDIA SHARING ECONOMY PLATFORM}
본 발명은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거래)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다수의 유저를 확보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즉, 스마트 폰 등)는, 모바일 기능(통신 기능)과 PC 기능(운영체제, 어플케이션 및/또는 인터넷 등)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의사소통, 상품구매, 정보전달 및/또는 위치추적 등을 가능하게 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활용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더하여, 현대인의 바쁜 일상과 통신 및 교통의 발달에 따라 각종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한 서비스업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다양한 거래매체(예를 들면, 음식, 물류, 부동산, 용역, 지식 및/또는 기술 등과 같은 상품)를 온라인을 통해 주문하여 배송받을 수 있는 배달 서비스업이 발달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현대사회의 핵가족화나 1인 가구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먹을 수 없는 상황이 빈번해졌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메뉴를 주문 및 배달하는 음식배달 서비스업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온라인 거래 방식은, 해당하는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구매자(수요자)가 상품을 선택해 구매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기존의 온라인 거래 방식에서는, 실질적인 수요자 즉, 구매자의 요구사항이나 의사가 반영되는 수요자 중심적인 거래 방식이 아닌,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의 제안 범위 내에서만 소정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판매자 중심적인 거래 방식이 고수되어 온 실정이다.
그리하여, 기존의 온라인 거래 시 구매자는, 판매자로부터 일률적으로 편성되어 제시되는 거래매체에 대한 제한적인 정보만을 확인하고, 소정의 타협을 거쳐 구매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공급자 중심의 거래방식은 공급자들끼리의 과잉경쟁에 따라 공급과잉으로 인한 물질 과다사용으로 이어져 자연생태계까지 과다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수요자 중심의 거래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시사한다.
KR 10-2017-0046040 A
본 발명은, 구매자 중심의 자율적인 취사 선택에 따른 거래를 구현하기 위하여,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거래) 서비스를 실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를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해당 거래매체가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 필요한 모든 재화 및/또는 용역 각각을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까지의 모든 과정을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해 제시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해 제시되는 거래매체를 기반으로, 실시간 자율경쟁(경매)을 통한 입찰(거래)을 수행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가 원하는 거래매체가 자신에게 도착하기까지 배달희망 장소를 제공하는 객체 및/또는 배달장소까지 배달을 제공하는 객체 등, 거래매체의 도착 중간과정에 필요한 제반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들을 수요자가 중심이 되어 결정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거래매체란, 음식, 물류, 부동산, 용역, 지식 및/또는 기술 등과 같은 상품 등과 같이 경제활동 제반에서의 거래대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빅 데이터(Big data)에 기반한 딥러닝(Deep-learning)을 기반으로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를 결정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구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가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제공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판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낙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의 선정에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원스톱(one stop)으로 확인하는 안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자가 제시한 상기 판매 요건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하여 상기 구매자가 결제하고자 선정된 거래매체인 낙찰상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낙찰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요건정보와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낙찰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낙찰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낙찰정보는, 상기 낙찰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 간의 대응되는 각 파라미터의 값을 일치 및 통합시켜 생성되는 통합 요건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긱(Gig) 경제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의 유저가 상기 구매자 또는 상기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거래매체에 대하여 수행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 연속하여 원스톱(one stop)으로 타 거래매체에 대해 진행되는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상기 타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된 타 거래매체의 낙찰정보를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상기 낙찰정보와 그룹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낙찰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안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낙찰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는,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상기 구매 요건정보와의 부합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판매 요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낙찰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낙찰상품 정보의 상기 구매 요건정보 또는 상기 판매 요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입력을 획득하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거래매체가 상기 구매자에게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중간 과정에서 요구되는 상기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낙찰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낙찰상품이 완성되기까지 투입된 제반 원료나 중간재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거래) 서비스를 구현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유저 누구든지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될 수 있으며, 수요자에게 필요한 거래매체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판매자들이 실시간 자율경쟁 입찰을 수행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거래 시 구매자의 요구사항이나 의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판매자는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실질적인 수요 고객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를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해당 거래매체가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 필요한 모든 재화 및/또는 용역 각각을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까지의 모든 과정을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에 기반한 일련의 프로세스로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매체에 대한 거래가 원스톱(one stop)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해 제시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해 제시되는 거래매체를 기반으로 실시간 자율경쟁을 통한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해 제시된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최선의 선택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빅 데이터(Big data)에 기반한 딥러닝(Deep-learning)을 기반으로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를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판매자 중 구매자에게 최선의 거래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판매자를 빠르고 편리하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한 거래매체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확인 가능한 안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거래매체에 대한 관리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관리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요건정보가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되어 출력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요건정보가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되어 출력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낙찰상품을 선택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결제된 상품에 대한 수령 여부를 결정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은, 상호 연동하여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거래)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이하,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 플랫폼이란, 거래매체(예컨대, 음식, 물류, 부동산, 용역, 지식 및/또는 기술 등과 같은 상품)에 대한 구매자(수요자)의 요구사항을 기초로, 판매자(공급자)들이 실시간의 자율경쟁 입찰을 수행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은, 상호 연동을 통하여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라면 누구든 간에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되어 자율경쟁 입찰 방식의 원스톱형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은, 거래매체의 형태(재화 또는 서비스 등)에 관계없이 구매자에게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거래매체 대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한 원스톱 자율경쟁형 입찰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형 거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거래매체를 '음식'상품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 또한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 유저 단말(2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플랫폼 관리서버(100: Platform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유저 단말(2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유저 단말(200)과 교환함으로써,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유저(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유저 단말(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유저 단말(2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구매자의 거래매체(실시예에서, 음식상품 등)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판매자 간의 실시간 자율경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가 희망한 거래매체가 자신에게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서비스(예를 들면, 도달장소를 제공하는 판매자 및/또는 도달장소까지 배달하는 판매자 등)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의 거래매체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를 빅 데이터(Big data)에 기반한 딥러닝(Deep-learning)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구매하고자 선택된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거래매체가 생성되는 초기부터 거래매체의 완성되기까지의 원료 또는 중간재(용역이나 지식과 같이 무형의 경우도 동일)의 모든 이력을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관리서버(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서비스 제공서버(110), 자율경쟁 관리서버(120), 딥러닝 서버(130), 결제관리 서버(14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플랫폼 관리서버(1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플랫폼 관리서버(1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가 플랫폼 관리서버(10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서비스 제공서버(110)는, 유저 단말(2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서버(110)는,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유저 단말(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서버(110)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율경쟁 관리서버(12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한 자율경쟁형 거래(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율경쟁 관리서버(120)는, 구매자의 요구사항(실시예로,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상품에 대한 요건 등)에 기반한 판매자 간의 실시간 자율경쟁 입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율경쟁 관리서버(12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한 추가의 중간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자율경쟁 관리서버(12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서 거래매체에 따라서 거래매체가 도달되어야 할 장소제공자(판매자) 및/또는 거래매체 도달에 필요한 배달공급자(판매자) 등과 같은 중간공급자를 추가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서버(130)는, 빅 데이터(Big data)에 기반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필요한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딥러닝 서버(13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서 자율경쟁을 통한 입찰을 수행할 시, 구매자에게 최적의 판매자를 추천 또는 매칭하기 위한 빅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딥러닝 서버(13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learning Neural Network) 등에 기반하여 위와 같은 빅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관리 서버(14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거래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제관리 서버(14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상에서 구매자에게 제시된 복수의 후보 거래매체(음식상품 등)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낙찰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구매 요건정보, 판매 요건정보, 낙찰상품 정보, 낙찰정보 및/또는 안심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서버(110), 자율경쟁 관리서버(120), 딥러닝 서버(130), 결제관리 서버(14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랫폼 관리서버(1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실시간 자율경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랫폼 관리서버(1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거래매체에 따라서 거래매체가 도달되어야 할 장소제공자(판매자) 및/또는 거래매체 도달에 필요한 배달공급자(판매자) 등과 같은 중간공급자를 추가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를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을 통해 결정하고,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초로 구매하고자 선택된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일부를 유저 단말(200)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 유저 단말(200: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저 단말(200)은,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2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저 단말(200)은, 메모리(210), 프로세서 어셈블리(220), 통신 모듈(230), 인터페이스 모듈(240), 입력 시스템(250), 센서 시스템(2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유저 단말(2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210)에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211)이 저장되며, 플랫폼 어플리케이션(211)에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10)는, 구매 요건정보, 판매 요건정보, 낙찰상품 정보, 낙찰정보 및/또는 안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21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210)에 저장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2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210)의 플랫폼 어플리케이션(2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 프로세서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플랫폼 관리서버(1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2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모듈(230)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컨텐츠 소스를 저장한 컴퓨팅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받은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30)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플랫폼 관리서버(100) 및/또는 다른 유저 단말(20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23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260)은, 이미지 센서(261), 위치 센서(IMU, 263), 오디오 센서,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61)는, 유저 단말(2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261)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예컨대, 음식 이미지 등)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61)는, 유저 단말(2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유저 단말(2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2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MU(263)는 유저 단말(2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230)과 연동하여, 유저 단말(2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IMU(263)는, 검출된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머리 움직임을 검출 및 추적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211)은 이러한 IMU(263) 및 이미지 센서(261)를 사용하여 물리적 공간 내의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거나 물리적 공간 내의 특징 또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265)는, 유저 단말(2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265)는, 유저 단말(20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265)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예컨대, 구매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유저 단말(2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유저 단말(2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저 단말(2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250)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250)은 버튼, 터치 센서 및 사용자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2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250)은,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저 단말(2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271) 상에 터치 센서(2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7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2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271)는 터치 센서(2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유저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유저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유저 단말(200)을 구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유저 단말(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유저 단말(200)은,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200)은, 구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구매자 단말(200-1) 및 판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판매자 단말(200-2)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200-1)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거래매체를 구매하는 구매자 측에서 사용되는 유저 단말(200)일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200-2)은,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 측에서 사용되는 유저 단말(200)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판매자 단말(200-2)은, 음식을 제조하여 공급하는 판매자의 제조자 단말, 음식을 배송하는 배달자의 배달자 단말 또는 음식 섭취공간을 제공하는 공간 관리자의 공간관리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매자 단말(200-1)과 판매자 단말(200-2)은, 사용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된 것이며, 유저 단말(200)이 수행하는 기능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다.
-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이하,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upload)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0-1)과 연동하여,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이하, 음식상품)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구매 요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구매 요건정보란,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상품에 대한 음식명, 음식 이미지, 필수 식재료, 요구 식재료 원산지, 구매인분, 제안가격, 배달위치 및/또는 음식취향 정보(예컨대, 채식주의자, 저염식자 또는 할랄음식자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구매 요건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0-1)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될 수 있는 구매 요건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상에 리스트(list)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요건정보가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되어 출력되는 모습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 요건정보를 수요 위시 리스트(Demand wish list)로 생성하여 유저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저 단말(200)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 요건정보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 측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상품(거래매체)에 대한 요구사항을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게시함으로써, 판매자 측에서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취사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 거래 방식을 탈피하여, 구매자(즉, 수요자) 중심형의 거래 방식을 구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에 대한 판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upload)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2)과 연동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된 구매자의 구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구매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음식상품에 대한 제공사항을 설정한 정보인 판매 요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요건정보란, 해당하는 구매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음식에 대한 음식명, 음식 이미지, 사용 식재료, 식재료 원산지, 판매인분, 제안가격, 배달가능 여부 및/또는 음식 취향충족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판매 요건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될 수 있는 판매 요건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상에 리스트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요건정보가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되어 출력되는 모습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6를 참조하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 요건정보 별 판매 요건정보를, 판매 위시 리스트(Supply wish list)로 생성하여 유저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판매 위시 리스트를 제공받은 유저 단말(200)이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 요건정보 별 판매 요건정보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측에서 해당 구매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음식상품(거래매체)에 대한 요건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게시함으로써, 수요가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공급에 있어 판매자 간의 자율경쟁이 시현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상품에 대해 제시되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최선의 선택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래매체가 음식상품인 경우, 판매자는 음식상품을 판매하는 자에만 국한하지 않고 음식상품이 도달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자 및/또는 음식상품 배달을 제공하는 자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거래매체가 음식상품이 아닌 경우로서 그 거래매체가 최종수요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중간 과정의 공급자 집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획득된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에 기초하여,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낙찰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란, 구매자의 구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 요건정보 간의 비교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구매하고자 선정된 음식상품인 낙찰상품을 결정하고, 결정된 낙찰상품에 대한 낙찰상품 정보 및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기초로 하나의 수요에 대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상호 경쟁하는 구조의 거래 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매자가 판매자들로부터 제시되는 복수의 상품 중 최선의 상품을 쉽고 편리하게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또한 실시예에서 낙찰상품 정보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통해 최종 구매하기로 결정된 낙찰상품에 대한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낙찰정보란,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 간의 불일치하는 파라미터(예컨대, 제안가격 등)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파라미터를 일치시키는 조정을 수행하여 산출되는 통합 요건정보일 수 있다.
즉, 낙찰정보는, 낙찰상품에 대한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의 각 파라미터가 모두 일치 및 통합되어 생성되는 요건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은 낙찰정보를 생성할 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당하는 파라미터 값을 조정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먼저 구매 요건정보 및 판매 요건정보를 기초로 1) 낙찰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 별로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요건정보 간 비교를 기반으로, 해당 구매 요건정보에 매칭되는 최선의 판매 요건정보를 선정할 수 있고, 선정된 판매 요건정보를 기초로 공급되는 음식상품을 낙찰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 및/또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구매 요건정보에 대한 낙찰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낙찰상품을 선택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낙찰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하여, 구매 요건정보에 매칭되어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요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낙찰상품을 결정할 수 있는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를 구매자 단말(200-1)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공된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낙찰상품을 선택하는 구매자 입력을 해당하는 구매자 단말(200-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구매자는, 해당 구매자의 구매 요건정보에 대하여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업로드된 복수의 판매 요건정보 간 비교를 수행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낙찰상품을 낙찰상품 선택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가 복수의 판매 요건정보 간 비교를 수행하여, 제공가격이 가장 낮은 판매 요건정보의 음식상품을 낙찰상품으로 결정하는 구매자 입력을 해당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0-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딥러닝에 기반하여 낙찰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딥러닝 서버(130)와 연동하여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매 요건정보에 매칭되어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요건정보 중, 해당하는 구매 요건정보와의 부합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판매 요건정보를 나열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나열된 판매 요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기준(예컨대, 부합도가 가장 높은 판매 요건정보 또는 상위 5% 이내의 부합도를 가지는 판매 요건정보 등)에 따라서 구매자가 최종적으로 결제할 최선의 판매 요건정보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선정된 판매 요건정보의 음식상품을 낙찰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요건정보에 매칭되는 판매자 별 판매량 및/또는 만족도에 기초한 빅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판매자 별 판매량 및/또는 만족도에 대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판매량 및/또는 만족도가 높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낙찰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2) 선택된 낙찰상품에 대한 낙찰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최종적으로 구매하고자 결정된 낙찰상품에 대한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를 포함하는 낙찰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3) 생성된 낙찰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낙찰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 간에 대응되는 각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의 파라미터인 음식명, 음식 이미지, 필수 식재료, 요구 식재료 원산지, 구매인분, 제안가격, 배달위치 및/또는 음식 취향 정보와, 그에 각각 대응되는 판매 요건정보의 파라미터인 음식명, 음식 이미지, 사용 식재료, 식재료 원산지, 판매인분, 제안가격, 배달가능 여부 및/또는 음식 취향충족 여부 정보의 각 대응요소 간 파라미터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 간의 각 대응요소 간 파라미터 값이 모두 일치하도록, 파라미터 값을 조정 및 통합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각 대응요소 간 파라미터 값이 불일치하는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파라미터 값을 일치시켜 통합하는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 요건정보의 제안가격 파라미터와, 판매 요건정보의 제안가격 파라미터의 각 파라미터 값이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안가격 파라미터 값을 일치시키는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 간에 각 대응요소 간 파라미터 값을 모두 일치시켜 통합하면, 일치 및 통합된 해당 파라미터 값들에 기초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 및/또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에 대한 파라미터 조정을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하여,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 파라미터 값 또는 판매 요건정보 파라미터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를 구매자 단말(200-1) 및 판매자 단말(200-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는, 구매자 단말(200-1)로 제공되어 구동되는 경우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수행되게 할 수 있고, 판매자 단말(200-2)로 제공되어 동작하면 낙찰상품 정보의 판매 요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공된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구매자 및 판매자 입력을 기반으로, 구매자 및 판매자 양측으로부터 실시간 조정되어 업데이트된 파라미터 값인 파라미터 조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파라미터 조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일치 및/또는 통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0-1)로부터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제 1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2)로부터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제 2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제 1 및 2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정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에 대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제 1 및 2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해당 파라미터 조정정보의 파라미터 값을 낙찰정보에 반영할 최종 파라미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제 1 및 2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정보가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기준(예컨대, 파라미터 조정정보 간 평균 값 등)에 따라서 최종 파라미터 값을 산출 및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의 입력에 의해 업데이트된 파라미터 값에 대한 구매자와 판매자의 동의여부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최종 파라미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도 8b를 더 참조하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구매자 및 판매자 입력을 기반으로, 구매자 및 판매자 양측으로부터 업데이트된 파라미터 값에 대한 동의여부를 나타내는 동의 여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동의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양측 모두에서 해당 파라미터 값에 대해 동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동의 시점의 파라미터 값을 낙찰정보에 반영할 최종 파라미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일치 및 통합된 최종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낙찰상품에 대한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생성된 낙찰정보를 구매자 단말(200-1)과 판매자 단말(200-2)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딥러닝에 기반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딥러닝 서버(130)와 연동하여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을 수행해 최적의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 정보의 구매 요건정보의 제안가격 파라미터와, 판매 요건정보의 제안가격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이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기존에 수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낙찰정보 생성 과정을 통해 획득된 빅 데이터를 기초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기 수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낙찰정보 생성 과정을 통해 획득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요건정보와 판매 요건정보의 제안가격 파라미터 값의 차이값 및/또는 해당하는 구매자와 판매자 성향 등에 따른 최종 제안가격 파라미터 값에 대한 통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빅 데이터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해당하는 낙찰상품에 대한 최선의 낙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수요가 발생한 음식상품에 대한 구매자의 요구사항과 판매자의 제공사항 간의 차이를 조정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의 합의에 따른 최종적인 상품 요건을 도출해 제공함으로써,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가 수요자 또는 공급자 어느 입장이더라도 실질적인 만족도가 향상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생성된 낙찰정보를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하여 유저 단말(200)로 송신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생성된 낙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낙찰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제관리 서버(140)와 연동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낙찰정보를 기초로 해당 낙찰상품에 대한 구매자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0-1)로 위와 같은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유저 즉, 구매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해당하는 낙찰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추가적인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 및 그에 따른 상품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타 거래매체(예컨대, 음식상품 배달 서비스 및/또는 음식 섭취공간 대여 서비스 상품 등)에 대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거래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거래매체가 최종 수요자에게 도달되기까지 거래매체가 도달하는 장소를 제공하는자 및/또는 거래매체를 도달장소까지 배달을 제공하는자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기능 동작은, 상술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기능 동작과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기재는 요약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기존에 수행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 연속하여 원스톱(one stop)으로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상품을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해당 음식상품이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 필요한 모든 재화 및/또는 용역(예컨대, 음식상품 배달 및/또는 음식 섭취공간 대여 등) 각각을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에 기반한 일련의 프로세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획득되는 낙찰정보를, 기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기 획득된 낙찰정보와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복수의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낙찰정보를 그룹화하여 일괄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낙찰정보에 기반한 상품결제(즉, 낙찰상품에 대한 구매자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시적으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음식상품에 대한 제 1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최종 결정된 제 1 낙찰상품(음식상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 및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은 제 1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연장선 상에서, 상기 음식상품의 배달 용역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 2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음식상품을 배달할 배달업체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2 낙찰상품(배달 서비스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정된 제 2 낙찰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 및 완료할 수 있다.
더하여,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은 제 1 및 2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연장선 상에서, 상기 음식상품을 섭취할 공간을 대여하는 공간대여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 3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수행을 통해 상기 음식상품을 섭취할 공간을 제공받을 공간관리 업체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3 낙찰상품(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정된 제 3 낙찰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 및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낙찰상품(예시에서, 비용 지불이 완료된 음식상품, 배달 서비스 상품 및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에 대한 낙찰정보를 그룹화하여 일괄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구매자에게 필요한 일련의 상품(재화 및/또는 용역 상품 등)들에 대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원스톱으로 진행 가능함으로써, 복수의 거래매체에 대한 선정에서부터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의 필요한 제반 용역 및/또는 자원 등을 일괄적으로 손 쉽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구매자의 취사선택이 이루어지던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구매자가 일 거래매체(실시예에서, 음식상품)에서부터, 해당 거래매체가 자신에게 전달될 때까지 형성되는 모든 과정에서 필요한 용역 및/또는 자원 거래매체를 스스로 취사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제가 완료된 낙찰상품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결제된 상품에 대한 수령 여부를 결정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결제된 낙찰상품(예컨대, 음식상품, 배달 서비스 상품 및/또는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 등)에 대한 구매자의 수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결제된 낙찰상품에 관련된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의 단말을 포함하는 유저 단말(200)과 연동하여, 낙찰상품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해당하는 유저 단말(200)(구매자 단말(200-1) 및/또는 판매자 단말(200-2))로 결제가 완료된 낙찰상품에 대한 수령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는, 낙찰상품의 도착여부 및/또는 소정의 품질 만족여부 등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제공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유저(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낙찰상품이 구매자에게 정상적으로 수령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의 카테고리가 음식상품인 경우, 해당 음식상품을 결제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0-1)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제공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구매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해당 음식상품에 대한 낙찰정보(즉, 최종적으로 구매자와 판매자가 합의한 요건정보)에 부합하게 조리된 음식을 온전하게(예컨대, 음식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 등) 수령하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의 카테고리가 배달 서비스 상품인 경우, 해당 배달 서비스 상품을 결제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0-1)과, 배달 서비스를 공급하는 배달자의 판매자 단말(200-2)(즉, 배달자 단말)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제공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구매자와 판매자(배달자)의 입력을 기초로, 해당하는 배달 서비스 상품에 대한 낙찰정보의 상품 배달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위치로 배달하려는 상품(예컨대, 음식상품)이 온전하게(예컨대, 해당 상품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 등) 배송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낙찰상품의 카테고리가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인 경우, 해당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을 결제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0-1)과, 공간대여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간 관리자의 판매자 단말(200-2)(즉, 공간관리 단말)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위와 같이 제공된 수령 확인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구매자와 판매자(공간 관리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해당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에 대한 낙찰정보의 대여공간 정보에 따른 장소를 구매자가 온전하게(예컨대, 대여공간 정보의 대여시간을 충족 등) 이용하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결제가 완료된 거래매체가 구매자에게 제대로 수령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 제공 및 품질 향상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그룹화되어 일괄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낙찰상품(예컨대, 음식상품, 배달 서비스 상품 및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 등)에 대한 수령 확인을 진행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낙찰상품 각각의 수령 확인이 진행됨에 따른 안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안심정보란, 원스톱으로 진행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 의해 획득되어 그룹으로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낙찰상품 각각에 대한 선정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각 낙찰상품이 구매자에게 도달할 때까지(즉, 수령 확인이 될 때까지)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심정보는, 각 낙찰상품에 대한 낙찰정보, 결제정보, 수령확인 정보, 수령시각 정보 및/또는 진행단계 정보(예컨대, 배달 서비스 상품인 경우 현재 상품의 위치정보, 등 공간대여 서비스 상품인 경우 사용 경과시간 및/또는 잔여 사용시간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안심정보는, 낙찰상품이 완성되기까지 투입된 원료 또는 중간재(용역이나 지식과 같이 무형의 경우도 동일)의 모든 이력에 대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플랫폼 관리서버(100)는,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의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통하여 구매자가 결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매체 모두에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일괄 추적 및 확인할 수 있는 안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거래매체에 대한 관리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유저 누구든지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될 수 있으며, 수요자에게 필요한 거래매체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판매자들이 실시간 자율경쟁 입찰을 수행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거래 시 구매자의 요구사항이나 의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판매자는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실질적인 수요 고객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를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정하는 것에서부터, 해당 거래매체가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 필요한 모든 재화 및/또는 용역 각각을 공급해 줄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까지의 모든 과정을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에 기반한 일련의 프로세스로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매체에 대한 거래가 원스톱(one stop)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해 제시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해 제시되는 거래매체를 기반으로 실시간 자율경쟁을 통한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해 제시된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최선의 선택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빅 데이터(Big data)에 기반한 딥러닝(Deep-learning)을 기반으로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거래매체를 공급하는 판매자를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판매자 중 구매자에게 최선의 거래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판매자를 빠르고 편리하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한 거래매체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확인 가능한 안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거래매체에 대한 관리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원료 또는 중간재를 통해 판매자로부터의 완성이 필요한 거래매체의 요구사항을 설정한 정보이며, 상기 원료 또는 중간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제공사항을 설정한 정보이며, 상기 원료 또는 중간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낙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판매자들로부터 등록된 상기 구매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명칭, 이미지, 원료나 중간재에 대한 정보 및 제안가격을 포함하는 판매 요건정보들을 상기 구매자에게 리스트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의 선정에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수령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원스톱(one stop)으로 확인하는 안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매체에 대하여 수행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에 연속하여 원스톱(one stop)으로 타 거래매체에 대해 진행되는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자가 제시한 상기 판매 요건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하여 상기 구매자가 결제하고자 선정된 거래매체인 낙찰상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낙찰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요건정보와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낙찰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낙찰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정보는,
    상기 낙찰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 간의 대응되는 각 파라미터의 값을 일치 및 통합시켜 생성되는 통합 요건정보인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긱(Gig) 경제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의 유저가 상기 구매자 또는 상기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의 상기 타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된 타 거래매체의 낙찰정보를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상기 낙찰정보와 그룹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낙찰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안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는,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상기 구매 요건정보와의 부합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판매 요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낙찰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낙찰상품 정보의 상기 구매 요건정보 또는 상기 판매 요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입력을 획득하는 요건정보 조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11.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긱(Gig) 경제 기반의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원료 또는 중간재를 통해 판매자로부터의 완성이 필요한 거래매체의 요구사항을 설정한 정보이며, 상기 원료 또는 중간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구매 요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제공사항을 설정한 정보이며, 상기 원료 또는 중간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요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유경제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낙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매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된 거래매체에 대한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요건정보 및 상기 판매 요건정보를 기반으로, 자율경쟁형 입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낙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판매자들로부터 등록된 상기 구매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거래매체에 대한 명칭, 이미지, 원료나 중간재에 대한 정보 및 제안가격을 포함하는 판매 요건정보들을 상기 구매자에게 리스트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매체가 상기 구매자에게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중간 과정에서 요구되는 상기 자율경쟁형 입찰 서비스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낙찰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낙찰상품이 완성되기까지 투입된 제반 원료나 중간재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0200085357A 2020-07-10 2020-07-10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7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57A KR102273593B1 (ko) 2020-07-10 2020-07-10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57A KR102273593B1 (ko) 2020-07-10 2020-07-10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593B1 true KR102273593B1 (ko) 2021-07-06

Family

ID=7686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357A KR102273593B1 (ko) 2020-07-10 2020-07-10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49B1 (ko) * 2021-07-27 2021-11-04 주식회사 트리온 쌍방향 광고,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35A (ko) * 2001-09-19 2002-01-10 김동환 인터넷중개시스템을 이용한 컴퓨터판매방법
KR20170046040A (ko) 2015-10-20 2017-04-28 쌍호 가정집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95228A (ko) * 2017-09-01 2019-08-14 (주)태우그린푸드 축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3203A (ko) * 2018-06-20 2019-12-30 유재근 역경매를 이용한 가전제품 중개서버
KR102100430B1 (ko) * 2019-03-08 2020-05-26 다빈치온 주식회사 잉여 음식 판매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063334A (ko) * 2018-11-21 2020-06-05 주식회사 상진테크 빅데이터 기반 불용재고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35A (ko) * 2001-09-19 2002-01-10 김동환 인터넷중개시스템을 이용한 컴퓨터판매방법
KR20170046040A (ko) 2015-10-20 2017-04-28 쌍호 가정집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95228A (ko) * 2017-09-01 2019-08-14 (주)태우그린푸드 축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3203A (ko) * 2018-06-20 2019-12-30 유재근 역경매를 이용한 가전제품 중개서버
KR20200063334A (ko) * 2018-11-21 2020-06-05 주식회사 상진테크 빅데이터 기반 불용재고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00430B1 (ko) * 2019-03-08 2020-05-26 다빈치온 주식회사 잉여 음식 판매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49B1 (ko) * 2021-07-27 2021-11-04 주식회사 트리온 쌍방향 광고,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474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sonalization and enhancement of a marketplace
JP7182652B2 (ja) 購入のための拡張現実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325498A1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US10706117B2 (en)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utilizing wear time to recommend items
US9818147B2 (en) 3D printing: marketplace with federated access to printers
US11037254B1 (en) Item selec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s
KR102204924B1 (ko) 쇼핑 트립 플래너
US20140324725A1 (en) Delivery of goods to dynamically-located users
US10524118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ctivation
JP6955572B2 (ja) 決済ハンドオフシステム
US20220398608A1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for order and delivery service recommendations
KR102273593B1 (ko) 수요자 중심형 거래매체 공유경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73085A1 (en) Joint gift registry
WO2016022436A1 (en) Facilitating intelligent and competitive consumer-favored online shopping experience at computing devices
CN112352257A (zh) 即时报价分配系统
US20240078509A1 (en) Area based delivery order notification and management
US10405140B1 (en) Venue experience management
Sidnal et al. English auction issues in mobile E-commerce
TW201545095A (zh) 行動通訊裝置及其處理方法與計算機可讀取儲存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